KR101656709B1 -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 Google Patents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709B1
KR101656709B1 KR1020140127514A KR20140127514A KR101656709B1 KR 101656709 B1 KR101656709 B1 KR 101656709B1 KR 1020140127514 A KR1020140127514 A KR 1020140127514A KR 20140127514 A KR20140127514 A KR 20140127514A KR 101656709 B1 KR101656709 B1 KR 10165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everage
lid
delete delet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779A (ko
Inventor
박기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7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6Unusual reclosable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캔몸체와; 상기 캔몸체의 상부로 시밍된 캔뚜껑과; 상기 캔뚜껑에 구비된 오프너; 및 상기 오프너의 상부로 구비된 기능성 슬라이드 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캔뚜껑에 구비된 캡편이 갭가이더를 따라 이동하는 가운데 오픈된 음료배출홀이 닫혀지거나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음료를 음용한 뒤 남아 있는 음료의 일부가 캔몸체의 상부로 넘쳐 흘러 캔뚜껑 및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캡편이 분실 및 노출을 방지하여 캔의 적층 보관 및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Ease of drinking water intake and keep the can}
본 발명은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캔뚜껑의 음료배출홀을 통해 음료를 음용한 뒤 캔몸체의 내부에 남아 있는 음료를 별도의 다른 용기에 옮겨 보관하지 않고 음료가 남아 있는 캔몸체에 바로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보관 중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코올성음료와 비 알코올성음료를 통틀어 마실 수 있는 모든 액체를 총칭하여 음료라 하며,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과 그 밖에 독특한 향과 맛이 특징인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적당한 흥분·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목적에 따라 많은 종류로 분류된다.
음료는 보관 및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로 저장공간이 제공되는 캔에 채워진 상태로 있고, 캔에 채워진 음료는 캔 뚜껑에 구비된 오프너를 이용하여 음료배출홀이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음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캔 속에 채워진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오프너에 의하여 캔뚜껑에 구비된 음료배출홀이 개방되는 순간 다시 닫을 수 없게 됨에 따라 음료를 전부 음용을 하거나 음료배출홀이 개방된 상태로 방치할 경우, 음료가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특허공보 10-2004-0107758호(2004.12.23)의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이용한 음료용 캔이 제안되었으나, 음료용 캔의 상부로 캡이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어 캔을 상,하부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캡을 열고 닫는 어려움이 있었고, 캡이 덮혀져 있는 상태에서 음료용 캔과 캡 사이로 음료가 누출됨에 따라 다시 캡을 오픈시키는 과정에서 누출된 음료가 주변으로 비산되어 오염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5-0072831호(2005.07.12)의 캔 음료용 캡이 제안되어 캔의 상면을 위생적으로 보호하며, 용기내의 음료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고, 용기와 분리된 캡이 분실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04-0107758호(2004.12.23) 공개특허공보 10-2005-0072831호(2005.07.12)
본 발명은 음료를 음용한 뒤 남아 있는 음료의 일부가 캔몸체의 상부로 넘쳐 흘러 캔뚜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캡편을 간단하게 밀어 젖히는 것으로 닫혀졌던 음료배출홀이 개방되어 남은 음료를 다시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음료배출홀을 덮고 있는 캡편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캔이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캔몸체와; 상기 캔몸체의 상부로 시밍된 캔뚜껑과; 상기 캔뚜껑에 구비된 오프너; 및 상기 오프너의 상부로 구비된 기능성 힌지 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 기능성 힌지 캡은 오프너의 상부 양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된 캡가이더와; 상기 캡가이더의 가운데 형성된 힌지구와; 상기 캡가이더의 양측 단부에 각각 입구 양측벽 내부에 입구폭보다 좁은폭을 갖는 오리피스 언록킹돌기를 구비한 고정홈부와; 상기 힌지구에 일측 단부 양측이 각각 힌지결합된 캡편; 및 상기 캡편의 타측 단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부로 구성되며, 상기 캡가이더 일측의 고정홈부에 캡편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부가 끼워지면서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 언록킹돌기에 의하여 고정돌부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 캡편이 음료배출홀을 닫은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캡가이더 타측의 고정홈부에 캡편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부가 끼워지면서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 언록킹돌기에 의하여 고정돌부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 캡편이 음료배출홀에서 열려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캔뚜껑에 구비된 캡편이 갭가이더를 따라 이동되는 가운데 오픈된 음료배출홀이 닫혀지거나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음료를 음용한 뒤 남아 있는 음료의 일부가 캔몸체의 상부로 넘쳐 흘러 캔뚜껑 및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음료배출홀을 닫거나 오픈되도록 하는 과정이 캡편을 간단하게 밀어 젖히는 것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캡편이 캡가이더에 끼워진 상태로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캡가이더 및 캡편이 캔뚜껑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캔의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에 있어 음료배출홀에 캡편이 반만 덮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의 요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및 기능성 슬라이드캡이 닫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힌지방식을 갖는 캡편이 열리고 닫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캔은 음료를 음용한 뒤 캡편으로 음료배출홀을 닫아 남아 있는 음료의 일부가 캔몸체의 상부로 넘쳐 흘러 캔뚜껑 및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다시 캡편을 밀어 닫혀졌던 음료배출홀을 오픈시켜 남아 있는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몸체(10), 캔뚜껑(20), 오프너(30) 및 기능성 슬라이드 캡(40)으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캔몸체(10)의 캔뚜껑(20)이 시밍(Seaming)되어 내,외부가 기밀 또는 수밀이 유지되어 제조와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캔몸체(10)는 박판형태를 갖는 알루미늄판재 또는 스틸판재가 딥드로잉에 의하여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원형태를 갖는 캔바닥(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캔통(12)의 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캔통(12)은 상부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됨으로써, 상기 캔바닥(11)의 상부면과 캔통(12)의 내부면에 의하여 음료가 저장될 수 있는 충분한 저장공간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캔뚜껑(20)은 캔몸체(10), 캔바닥(11), 캔통(12)과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가장자리가 하부 외측을 향하여 ∩형태로 절곡되며, 개방된 부분에 캔통(12)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시밍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오프너(30)는 캔뚜껑(20)에 구비되어 평상시 캔뚜껑(20)이 폐쇄된 형태가 유지되어 캔몸체(10)의 저장공간부(13)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음용시 캔뚜껑(20)의 일부가 개방되어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어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오프너(30)는 음료배출 마개편(31), 핑거편(32) 및 절취 가이드(33)로 구비된 것으로 음료배출 마개편(31)은 캔뚜껑(20)에 편심되게 구비되어 캔몸체(10)를 약간만 기울여도 내부의 음료가 배출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핑거편(32)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음료배출 마개편(31)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음료배출 마개편(31)에 일측이 결합구(321)로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연장된 부분이 손가락 또는 손톱에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321)는 캔뚜껑(20)과 핑거편(32)이 하나로 관통되어 별도의 핀형태를 갖는 리벳으로 고정되도록 하거나, 도4의 좌측 상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캔뚜껑(20)의 일부가 엠보싱에 의하여 홈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핑거편(32)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스로 가압하는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캔뚜껑(20)이 관통되었을 경우, 관통된 부분을 통해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변질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기 위함이다.
상기 음료배출 마개편(31)은 핑거편(32)에 의하여 캔뚜껑(20)의 일부가 절취되어 분리됨으로써,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음료배출홀(34)이 형성되는 것으로 음료배출홀(34)의 형태를 갖는 절취 가이드(33)에 의하여 구획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취 가이드(33)는 캔뚜껑(20)의 두께에 비해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한 것으로 V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슬라이드 캡(40)은 오프너(30)의 핑거편(32)에 의하여 절취 가이드(33)가 절취되어 절취 가이드(33)의 내측으로 위치된 캔뚜껑(20)의 일부인 음료배출 마개편(31)이 제거됨으로써, 음료배출홀(34)이 오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닫혀지도록 하여 남은 음료가 보관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슬라이드캡(40)은 오프너(30)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평상시 오프너(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캔뚜껑(20)의 가운데 부분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슬라이드 캡(40)은 캡가이더(41), 캡편(42)으로 구비된 것으로 캡가이더(41)는 캔뚜껑(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캡편(42)는 캡가이더(41)를 따라 왕복 이동되어 위치에 따라 음료배출홀(34)이 닫혀지거나 오픈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캔뚜껑(20)에 구비된 음료배출 마개편(31)이 절취되어 형성된 음료배출홀(34)을 상기 캡편(42)이 덮음으로써, 캔몸체(10)의 내부에 남아 있는 음료가 보관되며, 상기 음료배출홀(34)을 덮은 캡편(42)이 젖혀져 음료배출홀(34)이 개방된 상태가 됨에 따라 캔몸체(10)의 내부에 남아 있는 음료를 다시 흡입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캡가이더(41)는 캔두껑(2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2개의 레일(411)(411')로 마주보게 평행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레일(411)(411')은 수직레일(411-1)(411'-1)의 하단이 캔뚜껑(20)의 윗면에 맞대어지게 구비되며, 상기 수직레일(411-1)(411'-1)의 상부에 수평레일(411-2)(411'-2)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캡편(42)이 캔뚜껑(20)의 윗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일(411)(411')은 캔뚜껑(20)에 구비된 오프너(30)와 대응되는 단부에 별도의 캡편 분리방지구(413)(413')가 구비되어 캡편(42)이 길이방향 즉, 레일(411)(411')의 외측으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레일(411-2)(411'-2)은 도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뚜껑(20)의 외측으로 위치된 부분의 외측 높이(H)가 캔뚜껑(20)의 상부면 내측 높이(H') 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캔뚜껑(20)의 외측으로 캡편(42)을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켜 음료배출홀(34)을 덮는 과정에서 낮아지는 높이 차이 만큼 캡편(42)이 캔뚜껑(20)의 상부를 향하여 가압되어짐으로써, 그 만큼의 가압력이 유지되어 수밀유지력을 높여 캔몸체(10)의 내부에 남아 있는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 방지하여 캔뚜껑(20)의 외부가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캡편(42)은 평판형태를 갖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스틸판재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측 상부면과 타측 상부면에 각각 화살표의 형태를 갖는 슬라이드 방향구(421)가 형성되어 음료배출홀(34)을 향하여 이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방향구(421)의 외측으로는 손톱 걸림돌기(422)가 구비되어 손톱을 걸어 캡편(42)을 더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캡편(42)은 하부에 음료배출홀(34)의 면적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실링패드(423)가 구비되어 실링이 더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캔은 먼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손톱을 오프너(30)의 핑거편(32)에 걸은 상태에서 핑거편(32)을 세움과 동시에 결합구(321)에 의하여 결합된 핑거편(32)의 하단부에 의하여 음료배출 마개편(31)이 눌려지게 되고, 이어 절취 가이드(33)에 의하여 음료배출 마개편(31)이 절취되어 캔뚜껑(20)으로 부터 분리됨으로써, 음료배출홀(34)이 형성되어 캔몸체(10)를 기울여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캔몸체(10)에 음료가 남아 있을 경우, 손톱을 캡편(42)에 형성된 손톱걸림돌기(422)에 걸어 외측방향 즉, 캔뚜껑(20)에 음료배출홀(34)이 형성된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캡편(42)이 캡가이더(41)의 레일(411)(41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오픈되었던 음료배출홀(34)이 닫혀져 캔몸체(10)의 내,외부가 폐쇄된 상태로 음료가 저장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때, 캡편(42)의 하부에 실링패드(423)가 음료배출홀(34)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주변에 가압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캔몸체(10)를 꺼꾸로 들더라도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캔뚜껑(20)의 상부로 형성된 캡 가이더(41)가 오프너(30)의 형성된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평행한 직선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뚜껑(20)의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과 길이를 갖는 섹터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캡편(42)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는 손가락 또는 손톱 걸림구(43)를 크게하여 직선형태의 슬라이드식 보다 더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캔뚜껑(20)의 상부로 형성된 캡 가이더(41)가 오프너(30)의 형성된 양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평행한 직선형태를 갖도록 하고, 캡편(42)이 캡 가이더(41)를 따라 직선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몸체(10)의 상부로 시밍된 캔뚜껑(20)에 오프너(30)가 구비되도록 하고, 오프너(30)의 상부에 기능성 힌지 캡(40')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힌지 캡(40')은 오프너(30)의 상부 양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된 캡가이더(41')의 가운데 부분에 힌지구(43)가 형성되도록 하며, 캡가이더(41')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입구 양측벽 내부에 입구폭(W)보다 좁은 폭(W')을 갖는 오리피스 언록킹돌기(441)를 구비한 고정홈부(44)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힌지구(43)에 캡편(42')의 일측 단부 양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캡편(42')의 타측 단부 양측에 고정돌부(421')가 형성되어 힌지캡(40')이 힌지구(43)를 중심으로 거의 180°회동하여 음료배출홀(34)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캡편(42')에 형성된 고정돌부(421')가 고정홈부(44)에 끼워짐과 동시에 고정홈부(44)의 입구 양측벽 내부에 형성된 오리피스 언록킹돌기(441)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유동 또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료배출홀(34)을 열고 닫은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도7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편(42')이 회전하여 캡편(42')의 타측으로 위치된 고정돌부(321')가 음료배출홀(34)의 양측으로 위치되며, 캡가이더(41') 양측인 전방으로 형성된 고정홈부(33)에 끼워짐으로써, 음료배출홀(34)이 닫혀진 상태가 계속유지되어 캔몸체(10)를 흔들어도 캔통(12)의 내부에 있는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7의 좌측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캡가이더(41')의 고정홈부(44)에 캡편(42')의 타측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돌부(421')가 끼워지며, 오리피스 언록킹돌기(441)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유동 또는 이동되는 것이 구속됨으로써 캡편(42')가 항상 오픈된 상태가 유지되어 캔통(12)을 흔들어도 캡편(42')이 닫히지 않음에 따라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10:캔몸체 11:캔바닥
12:캔통 13:저장공간부
20:캔뚜껑 30:오프너
31:음료배출 마개편 32:핑거편
33:절취 가이드 34:음료배출홀
40:기능성 슬라이드 캡 41:캡가이더
42:캡편 321:결합구
411,411':레일 411-1,411'-1:수직레일
411-2,411'-2:수평레일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캔몸체와;
    상기 캔몸체의 상부로 시밍된 캔뚜껑과;
    상기 캔뚜껑에 구비된 오프너; 및
    상기 오프너의 상부로 구비된 기능성 힌지 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 기능성 힌지 캡은 오프너의 상부 양측으로 평행하게 구비된 캡가이더와;
    상기 캡가이더의 가운데 형성된 힌지구와;
    상기 캡가이더의 양측 단부에 각각 입구 양측벽 내부에 입구폭보다 좁은폭을 갖는 오리피스 언록킹돌기를 구비한 고정홈부와;
    상기 힌지구에 일측 단부 양측이 각각 힌지결합된 캡편; 및
    상기 캡편의 타측 단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부로 구성되며,
    상기 캡가이더 일측의 고정홈부에 캡편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부가 끼워지면서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 언록킹돌기에 의하여 고정돌부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 캡편이 음료배출홀을 닫은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캡가이더 타측의 고정홈부에 캡편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부가 끼워지면서 동시에 상기 오리피스 언록킹돌기에 의하여 고정돌부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 캡편이 음료배출홀에서 열려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12. 삭제
KR1020140127514A 2014-09-24 2014-09-24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KR10165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514A KR101656709B1 (ko) 2014-09-24 2014-09-24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514A KR101656709B1 (ko) 2014-09-24 2014-09-24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79A KR20160035779A (ko) 2016-04-01
KR101656709B1 true KR101656709B1 (ko) 2016-09-12

Family

ID=5579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514A KR101656709B1 (ko) 2014-09-24 2014-09-24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1968A1 (pl) * 2017-06-21 2019-01-02 Can-Pack Spółka Akcyjna System zamknięcia pojemnika i wieczko pojemnik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82B1 (ko) * 2011-08-19 2013-01-11 이근복 배출구 자동 덮개를 가지는 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212A (en) * 1977-01-28 1978-11-28 Waterbury Nelson J Vendable reclosable beverage container
KR970049490U (ko) * 1997-05-22 1997-08-12 이기웅 캔 용기 개폐 장치
US20060060584A1 (en) 2002-11-29 2006-03-23 Yoshio Onoda Cap for canned drink
KR20040107758A (ko) 2003-06-13 2004-12-23 서동열 음료용 캔의 캡과 이를 구비한 음료용 캔
KR20060069978A (ko) * 2004-12-20 2006-06-23 최상근 캔용기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82B1 (ko) * 2011-08-19 2013-01-11 이근복 배출구 자동 덮개를 가지는 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1968A1 (pl) * 2017-06-21 2019-01-02 Can-Pack Spółka Akcyjna System zamknięcia pojemnika i wieczko pojemnik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79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653B2 (en) Reclosable container lid
US8727163B2 (en) Splash resistant lids, container assemblies including such lids and related methods
RU2394736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крышка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20110290826A1 (en) Structure for Storing Perishable Liquid
KR200461543Y1 (ko) 일회용 컵 뚜껑
AU624333B2 (en) Beverage containers
RU2673763C2 (ru) Кры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тия
KR200480377Y1 (ko) 텀블러 뚜껑
KR101656709B1 (ko) 음료의 흡입과 보관이 용이한 캔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101680474B1 (ko) 유출 분출구 및 스푼을 가지는 용기 커버
KR101813556B1 (ko) 첨가제 희석을 위한 용기 결합형 첨가제 주입캡슐
KR20150074605A (ko) 접이식 텀블러
CA3139141C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KR102027505B1 (ko)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휴대 용기
KR200487921Y1 (ko) 식품 포장용기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KR20060069978A (ko) 캔용기 개폐장치
KR20160001716U (ko) 파우치형 팩
KR100933665B1 (ko)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KR200359793Y1 (ko) 거품 배출 방지용 액체용기
KR101891520B1 (ko)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
KR101130762B1 (ko) 냉매 케이스가 장착된 컵 뚜껑
KR200494270Y1 (ko) 원터치식 물병마개
KR200315319Y1 (ko) 휴대용 2중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