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257B1 -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257B1
KR101656257B1 KR1020160044074A KR20160044074A KR101656257B1 KR 101656257 B1 KR101656257 B1 KR 101656257B1 KR 1020160044074 A KR1020160044074 A KR 1020160044074A KR 20160044074 A KR20160044074 A KR 20160044074A KR 101656257 B1 KR101656257 B1 KR 10165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tube
pipe
vacuum
vacuum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윤
Original Assignee
(주)비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씨엠 filed Critical (주)비씨엠
Priority to KR102016004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0Vacuum disti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는 콤팩트한 구조에서 교반농축 및 용기 터닝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면서 열교환면적 확대로 증기 액화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농축액이 외부누출 없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00)에 탑재되는 진공용기(10), 진공펌프(20),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Rotary vacuum concentration and distillation equipment for the food extract}
본 발명은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구조에서 교반농축 및 용기 터닝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면서 열교환면적 확대로 증기 액화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농축액이 외부누출 없이 신속하게 배출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진공농축기는 진공상태에서 과일 등의 식품에 포함된 수분을 일부 증발시켜 농도에 따라 원액 주스 및 잼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저온에서 수분이 증발됨에 따라 식품 고유의 맛과 향 그리고 영양성분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점으로 인해 식품 가공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진공농축기는 식품가공공장에 대형라인으로 시공되므로 다품종 소량 가공에 어려움이 따랐고, 이에 진공농축기를 소형화하는 추세이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열교환기 설치면적 축소로 증기 액화효율이 저하되면서 전체적으로 농축시간이 장시간 지연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606328호에서, 덮개가 구비되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농축기 본체와, 농축기 본체와 연결되어 증기를 응축하는 응축부와, 응축액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응축부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으로 구성되고, 냉각수단은 냉각매체를 강제 급기로 냉각하도록 저장탱크, 냉각펌프, 냉각팬 구성이 추가로 더 구비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농축기의 소형화로 인한 응축효율 저하가 불가피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저장탱크, 냉각펌프, 냉각팬으로 구성되는 냉각수단을 더 구비하였고, 이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면서 부피가 증가되고, 특히 냉각수단 운전에 추가적인 전기에너지 소모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응축기 본체는 원료 투입 및 내부세척을 위해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덮개에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응축기와 연결관으로 연결됨에 따라 덮개를 개방하거나 응축기 본체를 기울일 경우 일일이 연결관을 분리 및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콤팩트한 구조에서 교반농축 및 용기 터닝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면서 열교환면적 확대로 증기 액화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농축액이 외부누출 없이 신속하게 배출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프레임(100)에 탑재되어, 원료 가열 히터(12)와 교반날(14)이 구비되는 진공용기(10)와, 진공용기(10)에서 증발되는 기체를 흡입하여 회수조(22)에 포집하는 진공펌프(20)와, 회수조(22)로 이송되는 기체를 액화하는 열교환기(3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측으로 이격되는 가상 천장선(L)을 기준하여, 가상 천장선(L)과 진공용기(10)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설치공간(110)과, 진공용기(10) 대비 낮은 높이의 회수조(22) 상부와 가상 천장선(L) 사이에 형성되는 제2설치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설치공간(110)(120)에 배치되는 열교환기(30)는 제2설치공간(120)에 종방향으로 확장되는 급냉구간(32)과, 제1설치공간(110)에서 횡방향으로 확장되는 지연구간(34)이 'ㄱ'자형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30)는 급냉구간(32) 하부에서 지연구간(34) 단부방향으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탱크(36)와, 냉매탱크(36) 내부에는 냉매와 역방향으로 증발 기체를 이동하는 코일형 열교환관(38)이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관(38)은 꺽임부(38a)와 직선부(38b)의 반복 형성에 의해 코일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38)은 냉매 순환방향으로 갈수록 코일간격이 축소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용기(10)는 횡축(11)을 중심으로 터닝작동되면서 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교반날(14)이 설치되고, 상부에 입구(13)가 개방되어 덮개(16)가 설치되며, 덮개(16)에는 열교환관(38)의 입구측관(39)과 연결되도록 증기토출관(1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38)의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은 튜브클램프(40)에 의해 클램핑/언클램핑되고, 튜브클램프(40)는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기밀홈(4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면접촉블록(42)과, 어느 일측 기밀홈에 삽입 설치되어 팽창시 다른 일측 기밀홈으로 확장 삽입되는 공압튜브(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압튜브(44)가 설치되는 어느 일측 기밀홈(42a)은 입구측에 탈부착되는 스톱링(46)에 의해 입구 폭이 축소되어 공압튜브(44)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용기(10) 입구(13) 측에는 배출홈(13a)이 외측으로 확장형성되고, 배출홈(13a)과 대응하는 덮개(16)에 배출밸브(16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콤팩트한 구조에서 교반농축 및 용기 터닝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면서 열교환면적 확대로 증기 액화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농축액이 외부누출 없이 신속하게 배출되고, 특히 열교환기 내부로 유입되는 증발 기체는 먼저 지연구간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1차 열교환되면서 일부 액화되고, 이어서 지연구간을 통과한 증발 기체 및 액체는 급냉구간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급냉구간 하부에서 냉매가 초기 유입되므로 급냉구간에서 회수조로 가까워질수록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의 열교환관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의 내용물 배출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의 증기토출관이 튜브클램프에 의해 클램핑/언클램핑작동되는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는 콤팩트한 구조에서 교반농축 및 용기 터닝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면서 열교환면적 확대로 증기 액화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농축액이 외부누출 없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00)에 탑재되는 진공용기(10), 진공펌프(20),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에 탑재되어, 원료 가열 히터(12)와 교반날(14)이 구비되는 진공용기(10)와, 진공용기(10)에서 증발되는 기체를 흡입하여 회수조(22)에 포집하는 진공펌프(20)와, 회수조(22)로 이송되는 기체를 액화하는 열교환기(30)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대차형태로 저면에 휠 및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높낮이 받침대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쉽게 위치 변경하면서 높낮이 받침대를 이용하여 수평조절 및 위치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용기(10)는 횡축(11)을 중심으로 터닝작동되면서 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교반날(14)이 설치되고, 상부에 입구(13)가 개방되어 덮개(16)가 설치되며, 덮개(16)에는 열교환관(38)의 입구측관(39)과 연결되도록 증기토출관(16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어느 일측에 진공용기(10)가 선회되도록 배치되고, 진공용기(10) 선회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일측에 진공펌프(20) 및 회수조(22)가 각각 배치되어, 협소한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조밀하게 위치되더라도 진공용기(10)가 주변 부품에 간섭없이 선회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횡축(11)은 진공용기(10) 중앙부 양측에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종바에 의해 지지되고, 수동레버, 모터,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또 진공용기(10) 저면으로 교반날(14)을 회전하는 구동축이 설치되고, 상부 입구(13)가 덮개(16)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서, 교반날(14) 및 교반날(14) 구동수단에 의해 횡축(11)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하방향에 위치되어 운전 중 진공용기(10)에 별도의 고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종방향으로 견고하게 유지되어 진공용기(10) 기울어짐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진공용기(10) 저면에 교반날(14)이 위치되므로 진공용기(10) 상부 즉, 덮개(16)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열교환기(30)의 지연구간(34)이 배치되는 제1설치공간(110)으로 이용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측으로 이격되는 가상 천장선(L)을 기준하여, 가상 천장선(L)과 진공용기(10)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설치공간(110)과, 진공용기(10) 대비 낮은 높이의 회수조(22) 상부와 가상 천장선(L) 사이에 형성되는 제2설치공간(120)이 형성된다. 제1, 2설치공간(110)(120)은 진공용기(10)와 회수조(22)의 높낮이 및 베이스프레임(100)상에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도 1과 같이 진공용기(10) 대비 회수조(22) 높이가 낮게 형성되므로 회수조(22) 상부에 종방향으로 확장된 제2설치공간(120)이 형성되고, 제2설치공간(120) 대비 제1설치공간(110)은 진공용기(10) 사이즈로 인해 폭방향으로 확장된 제1설치공간(110)이 확보된다.
이때, 상기 제1, 2설치공간(110)(120)에 배치되는 열교환기(30)는 제2설치공간(120)에 종방향으로 확장되는 급냉구간(32)과, 제1설치공간(110)에서 횡방향으로 확장되는 지연구간(34)이 'ㄱ'자형으로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0)는 급냉구간(32) 하부에서 지연구간(34) 단부방향으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탱크(36)와, 냉매탱크(36) 내부에는 냉매와 역방향으로 증발 기체를 이동하는 코일형 열교환관(38)이 구비된다. 즉, 냉매는 급냉구간(32)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 후 증발 기체가 초기 유입되는 지연구간(34) 단부방향으로 횡방향 이동되고, 증발기체는 냉매탱크(36)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형 열교환관(38)을 통하여 지연구간(34)에서 횡방향 이동 후 급냉구간(32)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입구측관(39)을 타고 열교환기(30) 내부로 유입되는 증발 기체는 먼저 지연구간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1차 열교환되면서 일부 액화되고, 이어서 지연구간(34)을 통과한 증발 기체 및 액체는 급냉구간(32)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이때 급냉구간(32) 하부에서 냉매가 초기 유입되므로 급냉구간(32)에서 회수조(22)로 가까워질수록 열교환효율이 향상되어, 증류작업시 액화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증발 기체 손실로 인한 증류액 손실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30)는 급냉구간(32)과 지연구간(34)으로 인해 열교환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열교환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는바,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열교환기(30)로 초기 유입되는 증발물은 고온 기체상태이므로 액체 대비 빠르게 이송되지만, 횡방향으로 확장형성되는 지연구간(34)의 구조적 특성상 증발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송속도가 저하되어 열교환 시간이 길어진다.
이어서 지연구간(34)에서 일부 액화된 물방울형태의 증발물은 종방향으로 확장되는 급냉구간(32)에서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신속하게 이송되어 급냉구간(32) 하부에 지속적으로 포집된 상태로 진공펌프(2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바, 즉 액화된 증발물이 급냉구간(32) 하부에 포집 잔류 대기하여 기체상태의 증발물 이송을 방해하는 차단막을 형성하므로 증발 기체의 외부손실이 긴밀하게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30)는 급냉구간(32) 하부에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가 증발물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올라가면 대류현상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지연구간에서 이동속도가 감소되고, 이때 냉매는 온도가 상승한 상태이지만, 지연구간(34)으로 초기 유입된 증발물이 고온의 기체상태이므로, 증발 기체 대비 온도가 여전히 심하게 발생되므로, 지연구간(34)에서 열교환 냉매로 재사용된 후 증발 기체가 초기 유입되는 열교환기(30) 입구측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열교환기(30) 내부 구조가 급냉구간(32)과 지연구간(34)으로 구분되어 냉매 유속 및 증발물의 이송 구간별 온도차를 이용하여 냉매에 잔류하는 냉각에너지를 1, 2차에 걸쳐 활용하므로, 냉매를 상온수 또는 지하수로 적용하더라도 열교환효율이 우수하게 유지되어 증발물이 기체상태로 배출되는 손실이 방지된다. 한편, 증발 기체 배출용량에 따라 통상의 외부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냉매를 냉각후 순환방식으로 재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열교환관(38)은 꺽임부(38a)와 직선부(38b)의 반복 형성에 의해 코일형으로 배치된다. 도 2 (a)와 같이 열교환관(38)이 1회 코일링시 꺽임부(38a)를 4개소에 두어 직선부(38b)와 함께 4각관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b)는 각각의 코일링부에 형성된 꺽임부(38a)를 서로 불일치하도록 형성하여 냉매탱크(36) 내부에서 이송되는 냉매와의 접촉면적 및 마찰저항이 확대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열교환관(38)은 1회 코일링시 4개의 꺽임부(38a)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1회 코일링시 3~12개의 꺽임부(38a)를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38)은 냉매 순환방향으로 갈수록 코일간격이 축소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열교환관(38) 코일 간격이 넓은 구간에서는 증발물이 빠르게 이송되면서 냉매 순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급속 열교환되고, 코일 간격이 좁은 구간에서는 증발물 이송이 느려지면서 열교환 시간이 지연되는 방식으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므로, 냉매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코일간격을 상기와 같이 상이하게 설정하여 냉매에 잔류하는 냉각에너지 회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진공용기(10) 입구(13) 측에는 배출홈(13a)이 외측으로 확장형성되고, 배출홈(13a)과 대응하는 덮개(16)에 배출밸브(16b)가 설치된다. 배출홈은 진공용기(10) 입구(13) 테두리부 일구간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덮개(16)는 입구(13) 가장지리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도 3과 같이 농축 또는 증류 공정을 완료한 후 진공용기(10) 내부에 내용물을 배출시 증기토출관(16a)에 연결된 입구측관(39)을 분리한 상태로 진공용기(10)를 기울이고, 이어서 배출밸브(16b)를 개방하여 정위치로 배출량을 조절하므로 내용물의 외부 누출이 방지된다. 한편, 증류공정 후에 폐기되는 내용물의 경우 덮개(16)를 개방하고 진공용기(10)를 기울이면 배출홈(13a)으로 포집되어 배출되므로 넓은 입구로 인해 확산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38)의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은 튜브클램프(40)에 의해 클램핑/언클램핑되고, 튜브클램프(40)는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기밀홈(4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면접촉블록(42)과, 어느 일측 기밀홈에 삽입 설치되어 팽창시 다른 일측 기밀홈으로 확장 삽입되는 공압튜브(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접촉블록(42)은 서로 대향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접촉시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때 기밀홈(42a)은 입구측관(39) 및 증기토출관(16a)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면접촉블록(42)이 분리 후 조립시 정위치에 서로 면접되도록 어느 일측 면접촉블록(42) 일단에 스톱턱을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공압튜브(44)가 설치된 면접촉블록(42)이 증기토출관(16a)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공압튜브(44)는 밸브 또는 스위치 작동에 의해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도록 구비되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튜브클램프(40)가 클램핑/언클램핑 작동된다.
이때, 상기 공압튜브(44)가 설치되는 어느 일측 기밀홈(42a)은 입구측에 탈부착되는 스톱링(46)에 의해 입구 폭이 축소되어 공압튜브(44)를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스톱링(46)은 기밀홈(42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경 사이즈가 기밀홈(42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기밀홈(42a)에 공압튜브(44)를 삽입한 상태로 스톱링(46)을 체결하면, 스톱링(46)에 의해 기밀홈(42a) 입구가 축소되어, 공압튜브(44)가 팽창되더라도 기밀홈(42a)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구속된다.
상기 튜브클램프(40)에 의한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 클램핑/언클램핑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에 구비되는 한 쌍의 면접촉블록(42)을 밀착시킨 상태로 밸브 또는 스위치 작동에 의해 공압튜브(44)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공압튜브(44)가 팽창되면서 일부가 기밀홈(42a) 외부로 돌출되어 다른 일측 기밀홈(42a)으로 수용되는 형태로 클림핑되어 한 쌍의 면접촉블록(42) 사이 기밀이 유지된다. 이어서 농축 또는 증류 공정을 완료한 후에 밸브 또는 스위치 조작으로 공압튜브(44)에 공기를 배출시키면 간단하게 한 쌍의 면접촉블록(42)이 언클램핑된다.
이처럼, 상기 튜브클램프(40)의 클램핑/언클램핑 작동이 밸브 또는 스위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제어되므로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자동화설비 구축시 덮개(16)의 증기토출관(16a)과 입구측관(39) 분리, 체결에 따른 자동제어가 용이하며, 작업자가 가열된 진공용기에 근접하지 않고도 튜브클램프(40)의 클램핑/언클램핑 작동을 수행하므로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이점이 있다.
10: 진공용기 20: 진공펌프
30: 열교환기 40: 튜브클램프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100)에 탑재되어, 원료 가열 히터(12)와 교반날(14)이 구비되는 진공용기(10)와, 진공용기(10)에서 증발되는 기체를 흡입하여 회수조(22)에 포집하는 진공펌프(20)와, 회수조(22)로 이송되는 기체를 액화하하도록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탱크(36)와 증발 기체를 이동하는 코일형 열교환관(38)을 갖는 열교환기(3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측으로 이격되는 가상 천장선(L)을 기준하여, 가상 천장선(L)과 진공용기(10)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설치공간(110)과, 진공용기(10) 대비 낮은 높이의 회수조(22) 상부와 가상 천장선(L) 사이에 형성되는 제2설치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설치공간(110)(120)에 배치되는 열교환기(30)의 냉매탱크(36)과 코일형 열교환관(38)은 제2설치공간(120)에 종방향으로 확장되는 급냉구간(32)과, 제1설치공간(110)에서 횡방향으로 확장되는 지연구간(34)이 'ㄱ'자형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냉매는 급냉구간(32)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이동 후 증발 기체가 초기 유입되는 지연구간(34) 단부방향으로 횡방향 이동되고, 증발기체는 냉매탱크(36)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형 열교환관(38)을 통하여 지연구간(34)에서 횡방향 이동 후 급냉구간(32)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38)은 꺽임부(38a)와 직선부(38b)의 반복 형성에 의해 코일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38)은 냉매 순환방향으로 갈수록 코일간격이 축소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10)는 횡축(11)을 중심으로 터닝작동되면서 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교반날(14)이 설치되고, 상부에 입구(13)가 개방되어 덮개(1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6)에는 열교환관(38)의 입구측관(39)과 연결되도록 증기토출관(16a)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관(38)의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은 튜브클램프(40)에 의해 클램핑/언클램핑되고, 튜브클램프(40)는 입구측관(39)과 증기토출관(16a)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기밀홈(4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면접촉블록(42)과, 어느 일측 기밀홈에 삽입 설치되어 팽창시 다른 일측 기밀홈으로 확장 삽입되는 공압튜브(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압튜브(44)는 밸브 또는 스위치 작동에 의해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튜브(44)가 설치되는 어느 일측 기밀홈(42a)은 입구측에 탈부착되는 스톱링(46)에 의해 입구 폭이 축소되어 공압튜브(44)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10) 입구(13) 측에는 배출홈(13a)이 외측으로 확장형성되고, 배출홈(13a)과 대응하는 덮개(16)에 배출밸브(16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KR1020160044074A 2016-04-11 2016-04-11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KR10165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74A KR101656257B1 (ko) 2016-04-11 2016-04-11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74A KR101656257B1 (ko) 2016-04-11 2016-04-11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257B1 true KR101656257B1 (ko) 2016-09-12

Family

ID=5695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074A KR101656257B1 (ko) 2016-04-11 2016-04-11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2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96B1 (ko) 2017-04-03 2017-11-08 김용식 다목적 농축 및 추출 장치
KR20190043227A (ko) 2017-10-18 2019-04-26 이인두 건강보조식품용 농축기
KR20210021644A (ko) * 2019-08-19 2021-03-02 김애란 주류 살균 및 증류장치
KR20210108256A (ko) 2020-02-25 2021-09-02 김보미 식품용 진공 추출 및 농축장치
KR102366843B1 (ko) * 2022-01-07 2022-02-25 (주)에프엘씨엔피 식품농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83Y1 (ko) * 2001-08-13 2001-12-03 조용호 약탕기의 대류식 수증기 냉각장치
JP2009165459A (ja) * 2007-12-19 2009-07-30 Shinwa Kogyo Kk 水素ガス及び窒素ガスの混合体を食品に溶存させる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水素ガスと窒素ガスを溶存させて成る食品
KR101024218B1 (ko) * 2010-12-07 2011-03-29 주식회사 수성이엔지 약재추출기
KR101606328B1 (ko) * 2015-10-29 2016-03-25 김창우 식품 농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83Y1 (ko) * 2001-08-13 2001-12-03 조용호 약탕기의 대류식 수증기 냉각장치
JP2009165459A (ja) * 2007-12-19 2009-07-30 Shinwa Kogyo Kk 水素ガス及び窒素ガスの混合体を食品に溶存させる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水素ガスと窒素ガスを溶存させて成る食品
KR101024218B1 (ko) * 2010-12-07 2011-03-29 주식회사 수성이엔지 약재추출기
KR101606328B1 (ko) * 2015-10-29 2016-03-25 김창우 식품 농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96B1 (ko) 2017-04-03 2017-11-08 김용식 다목적 농축 및 추출 장치
KR20190043227A (ko) 2017-10-18 2019-04-26 이인두 건강보조식품용 농축기
KR20210021644A (ko) * 2019-08-19 2021-03-02 김애란 주류 살균 및 증류장치
KR102280119B1 (ko) * 2019-08-19 2021-07-20 김애란 주류 살균 및 증류장치
KR20210108256A (ko) 2020-02-25 2021-09-02 김보미 식품용 진공 추출 및 농축장치
KR102366843B1 (ko) * 2022-01-07 2022-02-25 (주)에프엘씨엔피 식품농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257B1 (ko) 식품 추출용 회전식 진공 농축 및 증류장치
US20110214434A1 (en) Air dryer including vortex tube
KR19980032989A (ko) 병렬형 냉동기
CN105854336B (zh) 一种热量回收的高低温耦合浓缩系统
JP2016223659A (ja) 除湿乾燥装置
US5704227A (en) Method of condensing a volatile compound out of a gas stream and an apparatus for this purpose
US20210301804A1 (en) Multi-cooling type cold trap
US487708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oling a fluid
US5974812A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KR101110049B1 (ko)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CN113606879B (zh) 一种通过振动混合实现超快速无团聚真空冷冻干燥的装置
KR102366843B1 (ko) 식품농축장치
JP2023026674A (ja) 吸着ベースヒートポンプおよび水の脱塩方法
KR20160071544A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JP5793745B2 (ja) 冷却トラップ装置
KR200240531Y1 (ko) 기액분리기 및 냉각액 순환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농축장치 시스템
KR101996408B1 (ko) 증발냉각기능을 구비한 제습장치
CN117404875A (zh) 一种液氮与机械制冷联用的高效冻干机
CN219462558U (zh) 一种切换化霜冷凝装置和高浓度voc废气处理系统
CA1066525A (en) Coordinated heat pump system
CN108069852B (zh) 醋酸连续回收系统及其工作方法
KR100445255B1 (ko) 냉동기를 이용한 냉·온유체 공급장치
KR20220080808A (ko) 연속 정제 대상물 공급부 및 이를 갖는 승화 정제 장치
KR20220080807A (ko) 압착 개폐 유닛 및 이를 갖는 승화 정제 장치
JP2003035459A (ja) 冷凍装置及び冷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