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226B1 -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226B1
KR101656226B1 KR1020150018700A KR20150018700A KR101656226B1 KR 101656226 B1 KR101656226 B1 KR 101656226B1 KR 1020150018700 A KR1020150018700 A KR 1020150018700A KR 20150018700 A KR20150018700 A KR 20150018700A KR 101656226 B1 KR101656226 B1 KR 10165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stick
reagent
light
polariz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434A (ko
Inventor
정병조
하명진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2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55Details, e.g. use of specially adapted sources, lighting or optical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8Optics, miscellaneous
    • G01N2201/0683Brewster plate; polarisation controll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소변 검출기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고 소변 진단 스틱(stick)의 시약 영역으로 상기 광을 조사하는 제 1 편광 소자, 상기 제 1 편광 소자와 교차 편광 상태로 상기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2 편광 소자, 상기 제 2 편광 소자에 의해 편광이 조절된 광으로부터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광원, 제 1 편광 소자, 제 2 편광 소자 및 컬러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urine analyz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urine using thereof}
본원은 소변 분석 시스템 및 소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변 분석기는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게 되면 질환의 진단을 위해 받게 되는 검사들 중 하나인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위한 장치로서, 대부분의 병원에서 전체 검사량의 약 30% 정도를 점유할 만큼 필수적인 검사 장치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병원 방문을 하지 않고도 일반 가정에서 소변검사 및 분석을 손쉽게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변 분석기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소변 분석기에 따르면, 소변 시료가 묻은 소변 진단 스틱을 CCD 카메라가 내장된 소변 분석기 내에 투입하고,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변 진단 스틱의 컬러 변화를 촬영하여 그 변화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07754 호(2013. 10. 2.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에는 복수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 진단 스틱 전체를 소변 분석기 내에 투입한 후에 소변 분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변 분석기의 부피를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마다 해당 소변 진단 스틱에 맞는 전용의 소변 분석기를 별도로 제조 및 판매하여, 소변 진단 스틱과 소변 분석기가 호환되지 않는 경우, 소변 검사를 실시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소변 분석은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의 컬러 변화의 분석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어서 외부의 빛 요소, 소변 진단 스틱의 표면 상태, 주변 환경의 습도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분석의 정확도가 감소하거나 일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 진단 스틱 전체를 투입하지 않고, 각각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소형화 및 휴대 가능한 소변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제조사의 소변 진단 스틱에 대하여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적인 소변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변 진단 시약 영역에 조사되고, 소변 진단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에 대하여 교차 편광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요인에 의한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의 컬러 정보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소변 분석의 정확도 및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변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고 소변 진단 스틱(stick)의 시약 영역으로 상기 광을 조사하는 제 1 편광 소자; 상기 제 1 편광 소자와 교차 편광 상태로 상기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2 편광 소자; 상기 제 2 편광 소자에 의해 편광이 조절된 광으로부터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광원, 제 1 편광 소자, 제 2 편광 소자 및 컬러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시스템은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고 제 1 소변 진단 스틱(stick)의 시약 영역으로 상기 광을 조사하는 제 1 편광 소자, 상기 제 1 편광 소자와 교차 편광 상태로 상기 시약 영영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2 편광 소자, 상기 제 2 편광 소자에 의해 편광이 조절된 광으로부터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소변 검출기; 및 상기 소변 검출기로부터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소변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은 제 1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소변 분석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변 분석 시작 입력에 기초하여,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1 편광 단계; 상기 제 1 편광 단계 후의 광을 상기 제 1 시약 영역으로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2 편광 단계; 상기 제 2 편광 단계 후의 광으로부터 상기 제 1 시약 영역의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약 영역과 관련된 상기 소변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편광 단계는 상기 제 1 편광 단계와 교차 편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 진단 스틱 전체를 투입하지 않고, 각각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소변 분석 장치 및 시스템을 소형화 및 휴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 또는 소변 진단 스틱의 종류와 관계 없이, 다양한 제조사의 소변 진단 스틱을 이용하여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변 진단 시약 영역에 조사되고, 소변 진단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에 대하여 교차 편광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요인에 의한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의 컬러 정보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소변 분석의 정확도 및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홀더가 소변 검출기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스마트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 시스템(10)은 스마트 단말(110) 및 소변 검출기(120)를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110)은 소변 검출기(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변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으며, 소변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은 TV, 스마트 TV, IPTV 및 PC와 연결된 모니터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변 검출기(120)는 광을 생성하고, 생성한 광의 편광을 1차로 조절하여 소변 진단 스틱(130)의 일 시약 영역(예를 들어, 제 1 시약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변 진단 스틱(130)의 시약 영역에는 사용자의 소변이 침적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소변 검출기(120)는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편광을 2차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1차 편광과 상기 2차 편광은 교차 편광 상태에 있는 것으로서, 교차 편광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편광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소변 검출기(120)는 2차 편광된 광으로부터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는 RGB 값 또는 RGB 각각의 성분 비율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소변 검출기(120)는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으로부터 획득한 컬러 성분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검출기(120)와 스마트 단말(110)은 소변 검출기(120)의 일 면에 구비되어 있는 USB 포트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컬러 성분 데이터는 상기 USB 포트를 경유하여 소변 검출기(120)로부터 스마트 단말(11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소변 검출기(120)와 스마트 단말(110)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단말(110)은 소변 검출기(120)로부터 상기 일 시약 영역(제 1 시약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컬러 성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은 미리 설치되어 있는 소변 분석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신한 컬러 성분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일 시약 영역과 관련된 소변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은 소변 검사에 사용되는 시료(시약)마다의 참조 컬러 성분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소변 검출기(110)로부터 수신한 컬러 성분 데이터와 상기 참조 컬러 성분 데이터를 비교 및 판단하여 사용자의 건강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상기 일 시약 영역과 관련된 소변 분석 결과를 스마트 단말(110)의 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소변 진단 스틱(13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시약 영역 중 일 시약 영역(제 1 시약 영역)에 대한 검사가 마무리되면, 소변 검출기(120)는 소변 진단 스틱(130)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일 시약 영역(예를 들어, 제 2 시약 영역)에 대해 제 1 시약 영역에 대한 분석과 동일하게 컬러 성분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마트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시약 영역에 대한 검사가 마무리되면, 스마트 단말(110)과 소변 검출기(120)가 결합 또는 연결된 상태에서 소변 검출기(120)가 제 2 시약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사용자가 소변 진단 스틱(130) 또는 소변 검출기(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은 소변 검출기(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다른 일 시약 영역(제 2 시약 영역)과 연계된 컬러 성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다른 일 시약 영역과 관련된 소변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120)는 시약 영역에 조사되고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에 대하여 2차례에 걸쳐 교차 편광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요인(예를 들어, 외부의 빛, 시약 영역의 거칠기, 시약 영역의 수분 상태 등)에 의한 색상 정보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시약 영역에 조사되고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에 대하여 2차례에 걸쳐 교차 편광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요인에 관계 없이 소변 분석의 정확도 및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시스템(10)에 따르면, 소변 진단 스틱(130) 전체를 투입하지 않고, 각각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소변 분석 시스템(10)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변 진단 스틱(130) 전체를 투입하지 않기 때문에, 소변 검출기(120)를 특정 소변 진단 스틱 전용의 검사 장치로 설계할 필요 없으며,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변 진단 스틱에 대하여 용이하게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시스템(10)에 따르면, 소변 성분 검출 장비(소변 검출기(120))와 소변 성분 분석 장비(스마트 단말(110))을 분리함으로써, 소변 분석 시스템(10)의 소형화 및 휴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200)는 광원(210), 제 1 편광 소자(220), 반사 미러(230), 제 2 편광 소자(240), 컬러 센서(250), 데이터 송수신부(260), 및 하우징(2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변 검출기(200)는 스마트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광원(210)은 소변 진단 스틱(130)의 시약 영역(132)로 조사되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10)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aser Diode), 고체 다이오드(Solid Las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약 영역(132)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링 형상의 광원(210)의 중앙의 홀 영역(215)을 통과하여 반사 미러(230)에 도달할 수 있다.
제 1 편광 소자(220)는 광원(210)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편광 소자(220)는 소정의 방향성을 가지는 패턴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편광 소자(220)는 편광이 조절된 광을 소변 진단 스틱(130)의 시약 영역(132)으로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편광 소자(2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약 영역(132)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링 형상의 제 1 편광 소자(220)의 중앙의 홀 영역(225)을 통과하여 반사 미러(230)에 도달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변 검출기(200)는 제 1 편광 소자(220)로부터 조사된 광을 시약 영역(132)으로 안내 또는 집광하는 집광판 또는 렌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210) 및 제 1 편광 소자(220)가 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컬러 센서(250)가 시약 영역(132)의 시료의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약 영역(132)에 조사된 광은 반사되어 링 형상의 제 1 편광 소자(220)와 광원(210)의 중앙의 홀 영역(215, 225)을 통과하여 반사 미러(230)에 도달한다. 반사 미러(230)는 시약 영역(132)로부터 반사된 광을 제 2 편광 소자(240)로 반사할 수 있다.
제 2 편광 소자(240)는 제 1 편광 소자(220)과 교차 편광 상태(예를 들어, 제 1 편광 소자의 편광 방향과 제 2 편광 소자의 편광 방향이 직교 상태에 있음)에 있는 것으로서, 시약 영역(132)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편광 소자(240)는 소정의 방향성(예를 들어, 제 1 편광 소자의 편광판의 패턴의 방향과 직교)을 가지는 패턴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 2 편광 소자(240)는 제 1 편광 소자(220)와 동일한 편광판으로서, 제 1 편광 소자(220)의 배치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시약 영역(132)로부터 반사되어 제 2 편광 소자(240)로 안내되며, 광원(210)으로부터 조사되고 난반사된 빛은 제 2 편광 소자(240)에 의하여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제 2 편광 소자(240)는 편광이 조절된 광을 제 2 편광 소자(240)와 마주보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컬러 센서(250)로 조사 및 안내할 수 있다.
컬러 센서(250)는 제 2 편광 소자(240)에 의해 편광이 조절된 광으로부터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센서(250)는 소변이 침적된 시약 영역(132)로부터 반사된 광의 RGB값을 분석 및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센서(250)는 컬러 포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컬러 센서(250)가 획득한 컬러 성분 데이터를 소변 검출기(200)와 연결된 스마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송수신부(260)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컬러 성분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소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70)은 광원(210), 제 1 편광 소자(220), 반사 미러(230), 제 2 편광 소자(240) 및 컬러 센서(25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70)은 데이터 송수신부(260)를 더 수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70) 내부에서 제 2 편광 소자(240)와 컬러 센서(250)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1 편광 소자(220)와 제 2 편광 소자(240)(및 컬러 센서(25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편광 소자(220)와 수직하도록 하우징(270)의 측면에 제 2 편광 소자(240)와 컬러 센서(250)를 배치함으로써, 소변 검출기(2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배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각각의 소자는 도 2의 배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70) 내에 광원(210), 제 1 편광 소자(220), 제 2 편광 소자(240) 및 컬러 센서(250)가 모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사 미러(230)는 불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200)에 따르면, 교차 편광 상태에 있는 제 1 편광 소자(220)와 제 2 편광 소자(24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요인에 의한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의 컬러 정보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소변 분석의 정확도 및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홀더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홀더가 소변 검출기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 홀더(300)는 소변 진단 스틱(130)을 지지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검출기(350)의 하우징(360)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틱 홀더(300)는 소변 진단 스틱이 재치되는 재치판(310) 및 재치판(310)과 수직하는 4개의 면으로 형성되며, 소변 진단 스틱(130)의 복수의 시약 영역(132, 134, 136)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암실 영역(321, 322, 323)을 포함하는 스틱 홀더 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 검출기(350)의 하우징(360)에는 스틱 홀더(300)를 수용하는 삽입부(370) 및 스틱 홀더(300)와 체결되는 체결부(38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80)는 스틱 홀더(300)의 재치판(210)이 삽입되어 재치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350)에 따르면, 제 1 시약 영역(132)을 수용하는 제 1 암실 영역(321)이 소변 검출기(350)의 광원 및 제 1 편광 소자와 마주하도록 스틱 홀더(300)가 하우징(360)의 삽입부(37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소변 검출기(350)에 의한 광원의 조사 및 제 1 시약 영역(132)으로부터 반사된 광에 기초한 소변 분석이 실시되고, 제 1 시약 영역(132)과 관계된 소변 분석 결과가 스마트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암실 영역(321)으로부터 제 2 시약 영역(134)을 수용하는 제 2 암실 영역(322)이 소변 검출기(350)의 광원 및 제 1 편광 소자와 마주하도록 스틱 홀더(300)가 하우징(360)의 삽입부(37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소변 검출기(350)에 의한 광원의 조사 및 제 2 시약 영역(134)으로부터 반사된 광에 기초한 소변 분석이 실시되고, 제 2 시약 영역(134)과 관계된 소변 분석 결과가 스마트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하나의 시약 영역에 대한 검사가 마무리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틱 홀더(300)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 검출기(35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예를 들어, 2초)에 따라, 암실 영역(321, 322, 323)의 길이만큼 스틱 홀더(300)를 이동시키는 스틱 홀더 이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틱 홀더 이동부는 레일 또는 벨트 및 제어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검출기에 따르면, 복수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 진단 스틱 전체를 투입하지 않고, 각각의 소변 진단 시약 영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검사 및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소변 분석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시약 영역에 대응하는 암실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시약 영역 별로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빛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스마트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는 소변 검사 및 분석에 대한 설정, 진단 및 기록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탭(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41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가 메뉴탭(420) 중에서 설정탭(42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는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 회사 선택탭(430), 스틱 종류 선택탭(440) 및 스틱 종류 스캔탭(4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가 소변 진단 스틱(예를 들어,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 회사를 알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조 회사 선택탭(430)을 선택하여 스마트 단말(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 회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가 소변 진단 스틱(예를 들어,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종류를 알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스틱 종류 선택탭(440)을 선택하여 스마트 단말(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변 진단 스틱의 종류 또는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에 따라 소변 검사 항목이 상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변 진단 스틱의 종류를 선택 및 결정하고,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사용되는 소변 진단 스틱에 맞는 소변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변 검사 및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자가 소변 진단 스틱(예를 들어,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종류를 알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틱 종류 스캔탭(450)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400)의 내장 카메라가 구동되어 제 1 소변 진단 스틱을 촬영하고, 스마트 단말(400)은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400)은 추출한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에서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가 메뉴탭(420) 중에서 진단탭(422) 및 일정탭(425)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는 일정 입력 창(42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10)는 일정 입력창(426)을 통해 소변 검사 일정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400)은 소변 검사 일정의 정확한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소변 검사를 실시하는 요일 및 시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스마트 단말(400)은 소변 검사 일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소변 검사 일정에 소변 검사 실시 알람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가 메뉴탭(420) 중에서 기록탭(423)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는 날짜별 기록탭(460) 및 추이 확인탭(47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가 날짜별 기록탭(46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표시부(410)는 설정된 날짜(예를 들어, 2015. 2. 5.)의 소변 검사 기록(465)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400)의 표시부(410)가 추이 확인탭(47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표시부(410)는 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2014. 10. 1.~2014. 12. 31.)의 소변 검사 기록(475)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마트 단말(400)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구동에 의하여 생성 및 표시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500)은 송수신부(510), 분석부(520), 표시부(530), 설정부(540), 스틱 정보 저장부(550), 데이터 저장부(560) 및 알람 생성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500)이 도 5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500)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510)는 소변 진단 스틱(예를 들어,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시약 영역(예를 들어, 제 1 시약 영역)으로부터 획득한 컬러 성분 데이터를 소변 검출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분석부(520)는 수신한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변 분석 프로그램 또는 소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약 영역과 관련된 사용자의 소변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표시부(530)는 분석부(520)에 의한 소변의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20)는 LCD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530)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에서 검사에 사용되는 소변 진단 스틱(예를 들어,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530)는 소변 검사 일정을 설정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설정부(540)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소변 진단 스틱(예를 들어,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종류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 제 1 소변 진단 스틱으로부터 제 1 소변 진단 스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 1 소변 진단 스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에서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이미지로부터 설정부(540)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 정보(예를 들어, 모양, 시약 영역의 컬러 종류, 시약 영역의 갯수, 시약 영역의 배치 순서, 소변 진단 스틱의 일련 번호 등)를 추출할 수 있다. 설정부(540)는 추출한 제 1 소변 진단 스틱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참조 소변 진단 스틱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 각각의 모양, 시약 영역의 컬러 종류, 시약 영역의 갯수, 시약 영역의 배치 순서, 소변 진단 스틱의 일련 번호 등)를 비교 및 판단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540)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자동으로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를 입력하여 소변 검사의 시작 세팅을 할 수 있다.
스틱 정보 저장부(550)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560)는 소변 검출기로부터 수신한 컬러 성분 데이터 또는 분석부(520)에 의해 생성된 소변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부(560)는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및 소변 진단 스틱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시약 영역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시약 영역 마다의 컬러 성분 데이터 및 소변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소변 진단 스틱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시약 영역의 식별자는 데이터 저장부(560)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스틱 정보 저장부(550) 및 데이터 저장부(5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생성부(570)는 소변 검사 일정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소변 검사 일정에 소변 검사 실시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생성부(570)는 SMS 메시지, 팝업 메시지, 진동 등을 생성하여 소변 검사 실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소변 분석 방법은 앞서 도면들을 통해 설명된 소변 분석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소변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스마트 단말은 제 1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은 사용자가 소변 검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스마트 단말은 소변 분석 시작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변 분석 시작을 선택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소변 검출기는, 상기 단계 S620에서 수신한 소변 분석 시작 입력에 기초하여,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할 수 있다(제 1 편광 단계). 단계 S640에서, 소변 검출기는 상기 단계 S630에서의 편광 후의 광을 제 1 시약 영역으로 조사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소변 검출기는 제 1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할 수 있다(제 2 편광 단계). 단계 S650에서는 상기 단계 S630에서의 편광 조절과는 교차 편광을 실시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소변 검출기는 상기 단계 S650에서의 편광 후의 광으로부터 상기 제 1 시약 영역의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70에서, 소변 검출기는 상기 단계 S660에서 획득한 컬러 성분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은 수신한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시약 영역의 시료와 관계된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고, 소변 분석 결과를 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680에서, 상기 소변 진단 스틱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시약 영역과 인접한 제 2 시약 영역에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변 진단 스틱을 이동시키거나, 소변 검출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자동으로 소변 진단 스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시약 영역에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소변 진단 스틱이 이동된 후, 상기 단계 S630 부터 단계 S670까지의 프로세스가 상기 제 2 시약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 검출기는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할 수 있다(제 3 편광 단계). 또한, 소변 검출기는 제 3 편광 후의 광을 제 2 시약 영역으로 조사하고, 제 2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고, 반사된 광에 대하여 상기 제 3 편광 단계와 교차 편광을 조절할 수 있다(제 4 편광 단계). 또한, 소변 검출기는 제 4 편광 후의 광으로부터 상기 제 2 시약 영역의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여, 스마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은 수신한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시약 영역의 시료와 관계된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고, 소변 분석 결과를 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변 진단 스틱에 포함된 복수의 시약 영역에 대하여 소변 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8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소변 분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스마트 단말 120: 소변 검출기
130: 소변 진단 스틱 210: 광원
220: 제 1 편광 소자 230: 반사 미러
240: 제 2 편광 소자 250: 컬러 센서
260: 데이터 송수신부 270: 하우징

Claims (18)

  1. 광을 발생시키고, 중앙에 홀 영역이 형성되는 링형의 광원;
    상기 링형의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고 소변 진단 스틱(stick)의 시약 영역으로 상기 광을 조사하며, 상기 링형의 광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앙에 홀 영역이 형성되는 링형의 제 1 편광 소자;
    상기 제 1 편광 소자와 교차 편광 상태로 상기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링형의 광원과 상기 링형의 제 1 편광 소자의 중앙의 홀 영역을 통과하여 도달하는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2 편광 소자;
    상기 제 2 편광 소자에 의해 편광이 조절된 광을 분석하여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의 시약 영역의 RGB값 또는 RGB 비율을 포함하는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광원, 제 1 편광 소자, 제 2 편광 소자 및 컬러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소변 검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 2 편광 소자 및 상기 컬러 센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편광 소자와 상기 제 1 편광 소자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제 2 편광 소자로 반사하는 반사 미러(mirror)를 더 포함하는 소변 검출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소변 검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스틱 홀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틱 홀더를 수용하는 삽입부와 상기 스틱 홀더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틱 홀더는,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이 재치되는 재치판; 및
    상기 재치판과 수직하는 4개의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의 시약 영역을 수용하는 암실 영역을 포함하는 스틱 홀더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인 소변 검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은 복수의 시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 홀더 본체는 상기 복수의 시약 영역의 각각을 수용하는 복수의 암실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소변 검출기.
  7. 중앙에 홀 영역이 형성되는 링형의 광원으로부터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고 제 1 소변 진단 스틱(stick)의 시약 영역으로 상기 광을 조사하며, 상기 링형의 광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앙에 홀 영역이 형성되는 링형의 제 1 편광 소자, 상기 제 1 편광 소자와 교차 편광 상태로 상기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링형의 광원과 상기 링형의 제 1 편광 소자의 중앙의 홀 영역을 통과하여 도달하는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2 편광 소자, 상기 제 2 편광 소자에 의해 편광이 조절된 광을 분석하여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시약 영역의 RGB값 또는 RGB 비율을 포함하는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소변 검출기; 및
    상기 소변 검출기로부터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소변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을 포함하는 소변 분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상기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스틱 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상기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상기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스틱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으로부터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제 1 소변 진단 스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틱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상기 복수의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제조사의 식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 또는 상기 소변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소변 검사 일정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설정된 소변 검사 일정에 소변 검사 실시 알람을 생성하는 알람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검출기는,
    상기 광원, 상기 제 1 편광 소자, 상기 제 2 편광 소자, 상기 컬러 센서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 2 편광 소자 및 상기 컬러 센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편광 소자와 상기 제 1 편광 소자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소변 검출기는,
    상기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제 2 편광 소자로 반사하는 반사 미러(mirror)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검출기는,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삽입 가능한 스틱 홀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틱 홀더를 수용하는 삽입부와 상기 스틱 홀더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틱 홀더는,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이 재치되는 재치판; 및
    상기 재치판과 수직하는 4개의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의 시약 영역을 수용하는 암실 영역을 포함하는 스틱 홀더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변 진단 스틱은 복수의 시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 홀더 본체는 상기 복수의 시약 영역의 각각을 수용하는 복수의 암실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검출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암실 영역 중 제 1 암실 영역으로부터 제 2 암실 영역이 상기 광원 및 상기 제 1 편광 소자와 마주하도록 상기 스틱 홀더를 이동시키는 스틱 홀더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소변 분석 시스템.
  16. 삭제
  17. 제 7항에 따른 소변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에 있어서,
    제 1 시약 영역을 포함하는 소변 진단 스틱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소변 분석 시작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변 분석 시작 입력에 기초하여,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1 편광 단계;
    상기 제 1 편광 단계 후의 광을 상기 제 1 시약 영역으로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2 편광 단계;
    상기 제 2 편광 단계 후의 광으로부터 상기 제 1 시약 영역의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약 영역과 관련된 상기 소변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편광 단계는 상기 제 1 편광 단계와 교차 편광을 수행하는 것인 소변 분석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은 제 2 시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소변 분석 방법은,
    상기 제 2 시약 영역에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소변 진단 스틱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광을 생성하고 생성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3 편광 단계;
    상기 제 3 편광 단계 후의 광을 상기 제 2 시약 영역으로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 2 시약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편광을 조절하는 제 4 편광 단계;
    상기 제 4 편광 단계 후의 광으로부터 상기 제 2 시약 영역의 컬러 성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컬러 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변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약 영역과 관련된 상기 소변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4 편광 단계는 상기 제 3 편광 단계와 교차 편광을 수행하는 것인 소변 분석 방법.
KR1020150018700A 2015-02-06 2015-02-06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KR101656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00A KR101656226B1 (ko) 2015-02-06 2015-02-06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700A KR101656226B1 (ko) 2015-02-06 2015-02-06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34A KR20160097434A (ko) 2016-08-18
KR101656226B1 true KR101656226B1 (ko) 2016-09-12

Family

ID=5687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700A KR101656226B1 (ko) 2015-02-06 2015-02-06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7905A (zh) * 2019-09-30 2021-03-30 苏州迈瑞科技有限公司 一种尿液颜色检测方法及分析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90B1 (ko) * 2011-12-05 2012-05-02 박순관 헬스케어용 스마트 자가진단 요화학 분석 의료기기
KR101357774B1 (ko) * 2012-10-12 2014-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대용 이미징 장치 및 이미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95B1 (ko) * 2005-07-08 2007-08-30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임상화학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2260A (ko) * 2013-05-07 2014-11-17 김태현 소변 분석 장치 및 소변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90B1 (ko) * 2011-12-05 2012-05-02 박순관 헬스케어용 스마트 자가진단 요화학 분석 의료기기
KR101357774B1 (ko) * 2012-10-12 2014-02-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대용 이미징 장치 및 이미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434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221B2 (en) Portable lateral test reader
US11397181B2 (en) Modular assay reader device
US20180172510A1 (en) Spectrometry system applications
Rozo et al. Closing the loop: a self-consistent model of optical, X-ray and Sunyaev–Zel'dovich scaling relations for clusters of Galaxies
US10498936B2 (en) Assay detector device compatible with any digital camera/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439282B1 (ko) 정착대를 이용한 스마트폰 결합형 구조물 균열 측정장치
CN101375296B (zh) 保证样品载体的质量的方法
CN100410712C (zh) 用于红外光学设备的图像分析聚焦装置和方法
KR101548302B1 (ko) 요화학 분석 장치
CN109827907B (zh) 光学信号处理方法和装置
US11668650B2 (en) Terahertz wave detection device, terahertz wave detection method, and terahertz wave detection system
TW202032123A (zh) 執行分析量測之方法及裝置
WO2015133456A1 (ja) 生化学検査システム
KR101656226B1 (ko) 소변 분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변 분석 방법
US9714903B2 (en) Case for specimen analyzing kit, kit for specimen analyzing,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pecimen analysis apparatus
US9874498B2 (en) In-vitro diagnostic apparatus and in-vitro diagnostic method performed by in-vitro diagnostic apparatus
CN109791136A (zh) 一种检测装置和检测方法
KR102199639B1 (ko) 상이한 규격을 가진 래피드 키트들의 범용 판독 장치
TW201533445A (zh) 分析系統、構成此分析系統之分析用輔助裝置、攜帶型通信終端、及攜帶型通信終端控制用之程式
CN107526590B (zh) 医疗设备的操作指导信息展示方法、装置及终端
KR20190118145A (ko) 세포 배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세포 배양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6624A (ko) 검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5599B1 (ko) 영상 통화 중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054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isalignment between implantable bio sensor and bio-signal receiving module
WO2019061114A1 (zh) 用于物质检测的焦点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