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55B1 -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55B1
KR101656055B1 KR1020150044170A KR20150044170A KR101656055B1 KR 101656055 B1 KR101656055 B1 KR 101656055B1 KR 1020150044170 A KR1020150044170 A KR 1020150044170A KR 20150044170 A KR20150044170 A KR 20150044170A KR 101656055 B1 KR101656055 B1 KR 10165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oduct
information
lis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5004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ist of products which is viewed by a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란 인터넷상에 홈페이지로 개설된 상점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을 거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거래되는 상품에는 전자부품과 같은 실물뿐 아니라, 원거리 교육이나 의학적 진단과 같은 서비스도 포함된다. 또한 뉴스, 오디오, 소프트웨어와 같은 디지털 상품도 포함된다.
사용자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가격과 품질 등을 비교하기 위해 복수의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조회하고 이들을 비교하여 구매를 결정하곤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이미 조회한 상품을 다시 한 번 조회하고자 하는 필요가 발생한다. 그러나,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상품이 너무 많은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조회한 상품을 다시 찾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를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방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웹 페이지의 일부에 표시되는 레이어에 상기 나머지 상품의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가 스크롤되더라도 상기 레이어는 스크롤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나머지 상품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는 구매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상기 구매 시점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가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 상기 방문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상품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을 모아서 리스트로 웹 페이지에 표시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조회를 원하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접근성, 및 만족도가 증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을 웹 페이지에 표시하여 제공할 때,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과 이미구매한 상품은 리스트에서 제거하거나, 또는 리스트 내에서 구별되는 방법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조회를 원하는 상품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접근성, 및 만족도가 증대되고,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위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 나아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웹 페이지 상에서 사용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의 리스트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200)에게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202)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메모리,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112),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 웹 페이지 제공부(115),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품의 리스트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가 한 번 이상 상세 페이지를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웹 페이지에 표시하여 제공하고, 이 때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과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은 더 이상 사용자가 관심을 갖지 않는 상품으로 간주하여, 상품 리스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는,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페이지, 사용자 계정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각 상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등 다양한 종류의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상품의 리스트가 표시된 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조회하고 싶은 상품을 선택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품 상세 페이지를 방문하게 되면, 방문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방문정보는, 상품 상세 페이지의 웹 주소, 상품 명, 상품의 고유코드, 방문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는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는 쿠키(cookie) 데이터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쿠키 데이터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방문했던 상품 상세 페이지의 방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문 정보는, 각 상품 상세 페이지의 웹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각 상품 상세 페이지는 서로 다른 웹 주소를 가지므로, 웹 주소를 알면 어떤 상품의 상세 페이지를 조회하였는지 확인 가능하다. 방문 정보는, 사용자가 각 상품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시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 측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는 사용자의 IP주소, 사용자가 로그인한 ID,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의 고유 정보를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로 사용하고, 각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를 사용자의 식별 코드와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서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조회하여 획득할 수 있다. 방문정보는, 상품 상세 페이지의 웹 주소, 상품 명, 상품의 고유코드, 방문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112)는,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이하에서 장바구니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구매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품 정보를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의 상품 보관함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을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하였다가, 쇼핑 완료 후 장바구니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품을 일괄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특정 상품을 저장하면, 이 정보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식별코드에 연계하여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고유 식별코드는, 사용자 단말(200)이 접속한 네트워크 IP주소, 사용자가 로그인한 ID,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1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서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획득할 수 있다. 장바구니 상품 정보는, 각 상품에 부여된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품 상세 페이지 주소, 상품명, 장바구니 저장 시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면, 이 정보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식별코드에 연계하여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구매한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고유 식별코드는, 사용자 단말(200)이 접속한 네트워크 IP주소, 사용자가 로그인한 ID, 사용자의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각 상품에 부여된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상품 정보는 상품 상세 페이지 주소, 상품명, 상품 구매 시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 중에서,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및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생성된 상품 리스트를 웹 페이지 제공부(115)에 제공하고,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생성된 상품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상품 리스트를 이용하여 직접 화면을 구성 및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품 리스트가 웹 페이지 제공부(115)에 제공되고, 웹 페이지 제공부(115)가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에 의해 획득된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가 각 상세 페이지의 웹 주소인 경우,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각 웹 주소에 대응되는 상품의 고유 코드, 상품명 등을 상품 정보로써 획득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112)에 의해 획득된 장바구니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상품 정보는 전술한 것과 같이 각 상품에 부여된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의 고유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에 의해 획득된 구매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상품 정보는 전술한 것과 같이 각 상품에 부여된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구매 상품의 고유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들 중,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의 고유 코드와 일치하는 상품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을 제외하고, 구매 상품의 고유 코드와 일치하는 상품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을 제외하고, 나머지 상품만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한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 리스트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의 리스트이다. 이러한 상품 리스트가 웹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사용자는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상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가 생성한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면서, 웹 페이지의 일부에 표시되는 레이어에 상품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레이어에 상품 리스트를 표시할 때에,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들의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품의 대표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대표 이미지 뿐 아니라, 부가 정보들을 레이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사용자가 상품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시간 정보를, 해당 상품의 대표 이미지와 함께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 중에서,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및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을 제외하는 대신,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및 이미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서는 부가 정보를 더 포함시켜서 상품 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이라는 정보, 또는 구매된 상품이라는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부가 정보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된 시점, 또는 구매된 시점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의 리스트를 웹 페이지에 표시할 때,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들 중 적어도 일부를, 나머지 상품들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을 표시할 때에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대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의 문구에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된 시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을 표시할 때에는 해당 상품이 이미 구매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대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의 문구에는, 해당 상품이 구매된 시점이 포함될 수 있다.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웹 페이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웹 페이지의 일부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레이어에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가 제공하는 상품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웹 페이지를 자유롭게 열람하다가, 과거 상세 페이지를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을 다시 확인하고자 할 때, 웹 페이지 상의 레이어에 표시된 상품 리스트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회하고자 하는 상품을 다시 검색하여 찾을 필요가 없이, 바로 원하는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며,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증대된다.
한편,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리스트가 표시되는 레이어를 웹 페이지에 중첩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레이어의 위치는 고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웹 페이지가 스크롤되더라도 레이어는 스크롤되지 않고 화면 상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는,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의 고유 식별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고유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이 접속한 네트워크의 IP주소, 사용자 단말(200)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ID, 사용자의 개인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가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시계열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에서 도 2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는,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를 획득한다.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쿠키 데이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단계 S32에서 도 2의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112)는 사용자가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한 장바구니 상품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획득하고, 도 2의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상품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획득한다. 장바구니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는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구매 상품 정보는 구매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에서 도 2의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단계 S31에서 획득된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34에서 도 2의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단계 S32에서 획득된 장바구니 상품 정보와 구매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 중, 장바구니에 담은 상품과 이미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단계 S34에서 도 2의 웹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가 생성한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웹 페이지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일 수 있고,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웹 페이지의 일부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레이어에 상기 나머지 상품의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가 스크롤되더라도 레이어는 스크롤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단계 S34에서 도 2의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단계 S32에서 획득된 장바구니 상품 정보와 구매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구매한 상품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34에서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리스트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구매한 상품들 중 적어도 일부를 나머지 상품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된 상품을 표시할 때에는 이미 구매된 상품이라는 취지의 문구 및/또는 구매 시점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을 표시할 때에는 장바구니에 이미 저장된 상품이라는 취지의 문구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 전자상거래 제공 서버(100), 결제 관리 서버(4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네트워크(300)와 관련하여서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네트워크(300)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 나아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웹 페이지 상에서 사용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의 리스트를 웹 페이지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결제 관리 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결제 관리 서버(400)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웹 사이트 상에서 이루어지는 결제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결제 관리 서버(400)는 웹 사이트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수단 정보가 인증되면 결제 요청을 승인하여, 최종적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결제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관리 서버(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뿐 아니라, 다른 복수의 서버들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200)의 결제를 관리할 수 있다.
결제 관리 서버(400)는 결제가 승인되면 사용자 단말(200)로 승인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승인 코드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승인 코드는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되거나, MMS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결제 관리 서버(400)에 의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승인 코드를 수신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제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는 승인 코드와 함께, 결제에 관련된 제반 정보들을 보관할 수 있다. 결제에 관련된 정보는, 구매 상품 정보, 가격, 결제 시점, 구매 사이트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탑재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가 도 4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탑재되는 경우에도,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전술한 구현 예들과 다른 구현 예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가 도 4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탑재되는 경우,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 뿐 아니라, 타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결제 관리 서버(400)가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 승인 코드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로부터 사전의 동의를 받은 경우에 한하여 진행할 수 있다.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 중, 결제 관리 서버(400)가 발신인인 메시지로부터 기설정된 포맷의 승인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결제 관리 서버(400)에 의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정된 경로에 저장된 내부 데이터에 접근하여, 승인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집한 승인 코드를 결제 관리 서버(400)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승인 코드에 해당하는 결제 관련 정보로써 구매 상품 정보, 가격, 결제 시점, 구매 사이트명 등을 결제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뿐 아니라, 타 사이트에서의 사용자의 구매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 중에서,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을 제외하고, 사용자가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타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 중,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가 결제 관리 서버(400)로부터 획득한 결제 관련 정보에 포함된 구매 상품 정보와 일치하는 상품이 있는 경우, 해당 상품을 제외하여 최종 상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가 획득한 타 사이트 결제 관련 정보에 포함된 구매 상품 정보와,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 정보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품 명, 상품 고유코드, 가격, 제조사, 판매자 등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 상품 명이 모두 일치하거나, 제조사, 상품 명, 가격이 모두 일치하면 동일한 상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 상품 명이 모두 일치하거나, 판매자, 상품 명, 가격이 모두 일치하면 동일한 상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사용자가 상세 페이지를 방문한 상품 중에서,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및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을 제외하는 대신,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및 이미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서는 부가 정보를 더 포함시켜서 상품 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이라는 정보, 또는 구매된 상품이라는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부가 정보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된 시점, 또는 구매된 시점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해당 상품이 구매된 사이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의 리스트를 웹 페이지에 표시할 때,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나머지 상품들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을 표시할 때에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대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의 문구에는,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저장된 시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을 표시할 때에는 해당 상품이 이미 구매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대표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의 문구에는, 해당 상품이 구매된 시점, 해당 상품이 구매된 사이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4에 도시된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탑재된 도 2의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1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에서 도 2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111)는,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를 획득한다.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쿠키 데이터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단계 S52에서 도 2의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112)는 사용자가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한 장바구니 상품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획득하고, 도 2의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사용자가 구매한 구매 상품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6)로부터 획득한다. 장바구니 상품 정보 및 구매 상품 정보는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구매 상품 정보는 구매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3에서 도 2의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결제 관리 서버(400)가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 승인 코드를 수집하고, 승인 코드를 결제 관리 서버(400)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승인 코드에 대응되는 결제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결제 관련 정보는 구매 상품 정보, 가격, 결제 시점, 구매 사이트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계 S53에서 도 2의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113)는 결제 관리 서버(400)로부터 사용자가 타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결제 관리 서버(400)로부터 획득된 결제 관련 정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54에서 도 2의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단계 S51에서 획득된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55에서 도 2의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단계 S52에서 획득된 장바구니 상품 정보와 구매 상품 정보 및 단계 S53에서 획득된 타 사이트 구매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적이 있는 상품 중, 장바구니에 담은 상품, 이미 구매한 상품, 및 타 사이트 구매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단계 S55에서 도 2의 웹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가 생성한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웹 페이지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일 수 있고,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웹 페이지의 일부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레이어에 상기 나머지 상품의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웹 페이지가 스크롤되더라도 레이어는 스크롤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 따르면, 단계 S55에서 도 2의 상품 리스트 제공부(114)는, 단계 S52에서 획득된 장바구니 상품 정보와 구매 상품 정보 및 단계 S53에서 획득된 타 사이트 구매 상품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구매한 상품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5에서 웹 페이지 제공부(115)는 상품 리스트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구매한 상품들 중 적어도 일부를 나머지 상품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상품을 표시할 때에는 구매 사이트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웹 페이지(60)의 예가 도시되었다. 웹 페이지(60)는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메인 페이지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추천 상품, 기획전, 카테고리별 상품 정보가 표시되었다.
웹 페이지(60)의 일 레이어(61) 상에는 사용자가 최근 조회한 상품의 대표 이미지가 나열된다. 도 6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최근 조회한 하나의 상품의 대표 이미지(611)가 레이어(61)에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 이미 구매한 상품은 리스트에서 제외되어, 레어이(61)에 표시되지 않은 예가 도시된 것이다. 레이어(61)는 웹 페이지(60)가 아래로 스크롤되더라도, 그 위치가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웹 페이지(60)의 다른 예가 도시되었다. 도 7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최근 조회한 복수의 상품의 대표 이미지(611, 612, 613)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예와는 달리,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과 이미 구매된 상품이 리스트에서 제외되지 않고, 나머지 상품들과 구별되어 표시된 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7의 예에서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의 대표 이미지(612)는 “장바구니에 담겨있어요”라는 문구의 메시지(72)와 함께 표시되었고, 이미 구매한 상품의 대표 이미지(613)는 “XXXX.X.X 구매한 상품입니다.”와 같이 구매 시점을 포함하는 문구의 메시지(73)와 함께 표시되었다. 즉,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과 이미 구매한 상품은, 나머지 상품과 구별되어 표시되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웹 페이지(60)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었다. 도 8의 에에서는 사용자가 최근 조회한 복수의 상품의 대표 이미지(611, 612, 613)가 표시된 예가 도시되었다. 도 8의 예에서는 이미 구매한 상품의 대표 이미지(613)가 “WWW.XXX.CO.KR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입니다.”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이미 구매한 타 사이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구의 메시지(83)와 함께 표시되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네트워크
400: 결제 관리 서버
110: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
111: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
112: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
113: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
114: 상품 리스트 제공부
115: 웹 페이지 제공부
116: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나머지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웹 페이지의 일부에 표시되는 레이어에 상기 나머지 상품의 대표 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가 스크롤되더라도 상기 레이어는 스크롤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6.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과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나머지 상품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는 구매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웹 페이지 제공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상기 구매 시점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8. 사용자의 고유 식별코드와 연관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를 획득하는 상품 상세 페이지 방문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상의 상품 보관함인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장바구니 상품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구매 상품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방문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중 상기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저장한 상품 및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의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나머지 상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상품 리스트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회 상품 리스트 제공 장치.
  9.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44170A 2015-03-30 2015-03-30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5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170A KR101656055B1 (ko) 2015-03-30 2015-03-30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170A KR101656055B1 (ko) 2015-03-30 2015-03-30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055B1 true KR101656055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170A KR101656055B1 (ko) 2015-03-30 2015-03-30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511B1 (ko) * 2022-02-17 2022-06-07 주식회사 로원홀딩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49350B1 (ko) * 2021-12-31 2022-09-29 황성혜 재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631382B1 (ko) * 2023-06-16 2024-01-31 주식회사 미카 제 1 언어가 한국어인 사용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052A (ko) * 2004-04-23 2005-10-27 윤미경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물품 판매 방법
JP2010257132A (ja) * 2009-04-23 2010-11-11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商品購入管理装置
KR20140019940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시리스트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40066893A (ko) * 2012-11-23 2014-06-03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관심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052A (ko) * 2004-04-23 2005-10-27 윤미경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물품 판매 방법
JP2010257132A (ja) * 2009-04-23 2010-11-11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商品購入管理装置
KR20140019940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시리스트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20140066893A (ko) * 2012-11-23 2014-06-03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관심 상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50B1 (ko) * 2021-12-31 2022-09-29 황성혜 재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4511B1 (ko) * 2022-02-17 2022-06-07 주식회사 로원홀딩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1382B1 (ko) * 2023-06-16 2024-01-31 주식회사 미카 제 1 언어가 한국어인 사용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6353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urchase information to consumers relating to advertisements displaying the product
KR2018009925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63580B1 (ko) 전자상거래 추천 분석 시스템 및 추천 분석 방법
KR2019004399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KR101656055B1 (ko) 사용자가 조회한 상품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95570B1 (ko) 키워드 추출에 의한 온라인 쇼핑 장바구니의 자동 생성 방법
KR101742745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60275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group-based merchandising and a one touch group checkout
JP5034049B2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装置、アフィリエイト管理方法、および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KR101043267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59757A (ja) 販売価格提示サービスシステム
US10572886B2 (en) Obtaining information on purchasing processes
KR20170019394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JP4992088B2 (ja) ウェブサーバ装置、ウェブページ管理方法、およびウェブサーバプログラム
JP5996154B1 (ja) 管理装置、管理方法、非一時的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43106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7102522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357890B1 (ko) 비교 광고 및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72175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09512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5333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0612A (ko) 광고접근정도를 상품의 판매가에 직접 적용한전자상거래방법 및 장치
JP6139770B1 (ja) レコメンド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0141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10078839A (ko) 사용자의 자국어에 의한 전 세계 인터넷(Internet) 상품비교 검색 구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