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20B1 -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 Google Patents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20B1
KR101656020B1 KR1020150048340A KR20150048340A KR101656020B1 KR 101656020 B1 KR101656020 B1 KR 101656020B1 KR 1020150048340 A KR1020150048340 A KR 1020150048340A KR 20150048340 A KR20150048340 A KR 20150048340A KR 101656020 B1 KR101656020 B1 KR 10165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rusher
wheel
mov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
Priority to KR1020150048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하며 수목가지의 파쇄가 가능한 파쇄기에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하우스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파쇄작업과 더불어 레일이 설치된 수경재배시설 등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레일이동부는 레일 상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레일이동휠과; 레일이동휠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레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레일이동휠이 레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쇄기가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일이동휠은 외측 둘레를 따라 지지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홈을 포함하며, 간격조절홈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레일의 간격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간격을 갖는 레일 상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A Crusher for Twing being Able to Moving on Rail}
본 발명은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하며 수목가지의 파쇄가 가능한 파쇄기에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하우스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파쇄작업과 더불어 레일이 설치된 수경재배시설 등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레일이동부는 레일 상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레일이동휠과; 레일이동휠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레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레일이동휠이 레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쇄기가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일이동휠은 외측 둘레를 따라 지지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홈을 포함하며, 간격조절홈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레일의 간격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간격을 갖는 레일 상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과수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과일의 수확 향상을 위하여 매년 가지치기를 한다. 가지치기로 잘려진 수목가지는 파쇄기로 분쇄하여 바닥에 뿌려주게 된다. 일정 이상의 규모를 가지는 과수 농가에서는 수목가지를 파쇄하는 파쇄기를 보유한 곳이 많고, 파쇄기의 성능에 따라 과수농가의 작업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목가지를 파쇄하는 파쇄기에 관하여서는 많은 기술이 특허등록되거나 출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파쇄기가 판매되고 있다. 목재 파쇄기는 대형목재를 파쇄하는 것에서부터 중, 소형의 수목가지를 파쇄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특히 과수농가에서는 중, 소형의 수목가지 파쇄기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 파쇄기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바퀴를 부착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화초나 특용작물을 재배하는 시설하우스 내에서 사용하기에는 이동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며, 특히 수경으로 재배되는 시설하우스 내에서는 도 1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 함입된 부분(W)에 레일(R)을 설치하고, 도 1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된 부분(W)마다 한 쌍의 레일(R)을 복수개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바, 종래 파쇄기는 이러한 레일(R) 상을 이동할 수 없어 시설하우스 내에서의 사용이 매우 어려웠다.
최근 산업발달에 의한 농경지의 감소화와 농산물의 계절에 관계없는 소비화 경향에 대응하기 위해 사계절 경작에 의한 농산물의 대량생산, 무공해재배, 신선도유지를 도모할 수 있는 수경재배농법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바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이동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수경재배시설 내에서도 이동 작업이 가능한 파쇄기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2376호(2014. 12. 08. 등록) "수목가지 파쇄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부를 포함하여 하우스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파쇄작업과 더불어 수경재배시설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일 상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레일이동휠과; 레일이동휠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레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레일이동휠이 레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쇄기가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측 둘레를 따라 지지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홈을 갖는 레일이동휠을 포함하고, 간격조절홈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레일의 간격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간격을 갖는 레일 상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부를 포함하여 하우스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동부는 레일 상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레일이동휠과; 상기 레일이동휠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레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파쇄기가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동휠은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홈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레일의 간격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부를 포함하여 하우스 등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파쇄작업과 더불어 수경재배시설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일 상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레일이동휠과; 레일이동휠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레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레일이동휠이 레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쇄기가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 둘레를 따라 지지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홈을 갖는 레일이동휠을 포함하고, 간격조절홈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레일의 간격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간격을 갖는 레일 상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레일이 설치되는 시설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레일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레일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레일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장력조절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도 5의 인입롤러의 이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레일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부(1)를 포함하여, 하우스 등에 설치된 레일(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경재배 등을 실시하는 시설하우스 등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배양액 등의 물이 수용되는바 레일(R)을 설치하여 운반수단 등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파쇄기를 레일(R)이 설치된 시설하우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레일(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바, 종래 파쇄기에 레일이동부(1)를 추가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실외에서는 일반적인 파쇄기의 사용과 레일(R)이 설치된 시설하우스 내에서의 사용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레일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는 구동부(3)를 포함하여, 바퀴에 의한 일반적 이동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일이동이 가능한 파쇄기는 인입부(4), 엔진(5), 본체(6), 파쇄부(7), 동력전달부(8), 장력조절부(9) 등의 구성을 포함하며,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레일이동부(1)는 파쇄기가 레일(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레일(R) 상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레일이동휠(11)과; 상기 레일이동휠(11)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레일(R)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판(12)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이동휠(11)은 파쇄기의 일반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의 회전축, 정확하게는 후술할 전,후방바퀴(32,33)와 같이 전,후방바퀴(32,33)의 바퀴축(321,331)에 연결되어 바퀴축(321,33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레일이동휠(11)은 상기 전,후방바퀴(32,33)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2줄로 형성되는 레일(R)을 따라 파쇄기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레일(R)의 개수 또는 레일이동휠(11)의 개수는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이동휠(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레일(R)에 밀착되어 레일(R)을 따라 이동하고, 레일(R)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일이동휠(11)에는 상기 지지판(12)이 고정되어 레일(R)에 지지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레일이동휠(11)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판(12)이 필요없을 수 있으나, 파쇄기가 다양한 간격을 갖는 레일(R)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에 지지판(12)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이동휠(1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일정 간격으로 간격조절홈(111)이 형성되어 레일(R)의 사이의 간격에 따라 지지판(1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간격조절홈(111)은 상기 레일이동휠(11)의 외측 둘레을 따라 함입 또는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일이동휠(11)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홈(111)에는 상기 지지판(12)이 삽입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12)은 레일(R)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레일이동휠(11)이 좌우로 이동하여 레일(R)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바, 장소마다 다르게 설치되는 레일(R)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지지판(12)이 삽입되는 간격조절홈(111)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간격을 갖는 레일(R)에 파쇄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12)은 상기 간격조절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레일이동휠(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이동휠(11)과 함께 회전하면서 돌출된 부분이 레일(R)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레일(R)의 외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이동휠(11)은 상기 지지판(12)이 레일(R)에 걸려 좌우이동이 제한되므로, 레일(R)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2)은 레일(R)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삽입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홈(111)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다양한 간격을 갖는 레일(R)에 파쇄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2)은 중심부로 후술할 전,후방바퀴(32,33)의 바퀴축(321,331)이 통과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레일이동휠(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간격조절홈(111)에 삽입되도록 하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3)는 파쇄기를 이동시켜 움직이면서 일반적인 파쇄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5)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31)와, 상기 본체(6)의 양측에 형성되는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 그리고 상기 유압모터(31)의 회전력을 상기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에 전달하는 구동력전달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모터(31)는 상기 엔진(5)에 연결된 유압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유압모터(3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1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311)은 후술할 구동력전달부(34)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31)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 및 레일이동휠(11)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바퀴(32)는 상기 파쇄기의 전측, 즉 파쇄기의 배출부(623)가 형성되는 측에 양측으로 하나씩 형성되며, 후술할 전방구동력전달부(341)에 의해 유동모터(31)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전방바퀴(32)의 내측에는 상기 레일이동휠(11)이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후방바퀴(33)는 상기 파쇄기의 후측, 즉 파쇄기의 투입부(621)가 형성되는 측에 형성되는 측에 양측으로 하나씩 형성되며, 후술할 후방구동력전달부(342)에 의해 유동모터(31)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상기 후방바퀴(33)의 내측에도 상기 레일이동휠(11)이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구동력전달부(34)는 상기 유압모터(31)의 구동력을 상기 전, 후방바퀴(32, 33)에 전달하여 상기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가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파쇄기의 양측에 각각의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를 연결하도록 동일하게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측의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 그리고 타측의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는 각각 함께 구동된다. 이에 따라 파쇄기는 4개의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가 동시에 구동이 가능한 4륜구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의 전방바퀴(32), 후방바퀴(33)만을 구동하여 좁은공간에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 파쇄기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력전달부(34)는 상기 전방바퀴(3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방구동력전달부(341)와, 상기 후방바퀴(33)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방구동력전달부(342)를 포함하여, 상기 유압모터(31)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이 상기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압모터(31)를 상기 전방바퀴(32)와 후방바퀴(33)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 후방 구동력전달부(341,342)를 통하여 전, 후방바퀴(32,33)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압모터(31)에 의한 구동력이 전, 후방바퀴(32,33)에 균형있게 전달되도록 하고, 전, 후방 구동력전달부(341, 342)에 주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이동휠(11)이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도 전, 후방의 레일이동휠(11)에 구동력이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전, 후방 구동력전달부(341, 342)에 주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구동력전달부(342)는 상기 유압모터(31)의 구동력을 상기 전방바퀴(32)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압모터(31)의 회전축(31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311)과 함께 회전하는 전방구동스프라켓(341a)과 상기 전방바퀴의 바퀴축(321)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바퀴(32)와 함께 회전하는 전방종동스프라켓(341b)과 상기 전방구동스프라켓(341a) 및 전방종동스프라켓(341b)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방구동체인(341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유압모터(31)의 구동에 따라 유압모터의 회전축(311)이 회전하면, 상기 전방구동스프라켓(341a)이 회전하고, 상기 전방구동스프라켓(341a)에 감겨있는 전방구동체인(341c)이 함께 회전하면, 상기 전방구동체인(341c)이 감겨있는 전방종동스프라켓(341b)이 회전하여 전방바퀴(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이동휠(11)도 당연히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후방구동력전달부(342)는 상기 유압모터(31)의 구동력을 상기 후방바퀴(33)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압모터(31)의 회전축(31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311)과 함께 회전하는 후방구동스프라켓(342a)과 상기 후방바퀴의 바퀴축(331)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바퀴(33)와 함께 회전하는 후방종동스프라켓(342b)과 상기 후방구동스프라켓(342a) 및 후방종동스프라켓(342b)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후방구동체인(342c)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구동력전달부(342)의 작동원리는 상기 전방구동력전달부(341)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입부(4)는 파쇄기의 후술할 투입부(621)로 투입되는 피파쇄물을 가압하여 파쇄기 내부로 인입시키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기로 투입되는 피파쇄물을 가압하여 인입시키는 인입롤러(41)와, 상기 인입롤러(4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수단(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입부(4)는 상기 인입롤러(4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43)와, 상기 인입부(4)의 유압모터(43)의 동력을 상기 인입롤러(4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44)을 포함한다.
상기 인입롤러(41)는 상기 유압모터(4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후술할 투입부(621)로 투입되는 피파쇄물을 가압하여 파쇄기 내부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수목가지의 파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입롤러(41)는 원통형상의 드럼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방사형의 돌출날(41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날(411)은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입롤러(41)가 피파쇄물을 가압하여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피파쇄물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과 파쇄기 내부로 밀어 넣는 힘이 동시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피파쇄물을 인입하는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날(411)의 양측으로는 상기 돌출날(411)을 지지하는 돌출날지지부(412)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돌출날(411)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입롤러(41)의 중심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413)이 형성되어 후술할 상하조절수단(42)의 링크암(422), 동력조절수단(44)의 종동스프라켓(443) 등이 삽입되어 상기 인입롤러(41)의 상하 위치조절과 회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상하조절수단(42)은 파쇄기로 투입되는 피파쇄물의 크기에 따라 인입롤러(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피파쇄물의 크기 또는 양에 따라 상기 인입롤러(41)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파쇄물을 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파쇄기 내부에 효율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조절수단(42)은 상기 본체(6)의 수직프레임(612)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축(421)과 상기 지지축(421) 및 상기 인입롤러(41)의 회전축(413)에 양단이 결합되는 링크암(422)을 포함하여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612)의 가이드홈(612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압모터(43)는 상기 인입롤러(4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엔진(5)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펌프(미도시)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유압모터(43)의 회전축(431)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431)의 회전력은 후술하는 동력전달수단(44)을 통하여 상기 인입롤러(41)에 전달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44)을 통하여 인입롤러(41)의 상하이동과 회전이 동시에 가능해진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4)은 상기 유압모터(43)의 동력을 상기 인입롤러(41)에 전달하여 상기 인입롤러(4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압모터(43)의 회전축(431)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441)과, 상기 지지축(42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연결스프라켓(442), 상기 인입롤러(41)의 회전축(413)에 삽입되어 상기 인입롤러(41)와 함께 회전하는 종동스프라켓(443)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441)과 연결스프라켓(442)은 제1체인(444)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연결스프라켓(442)과 종동스프라켓(443)은 제2체인(445)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바, 상기 유압모터(43)의 동력이 상기 인입롤러(41)에 전달되어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상하조절수단(42)을 통한 상기 인입롤러(41)의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엔진(5)은 파쇄기의 각 구성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8)를 통하여 후술할 커터(71)가 회전하도록 하며, 유압펌프(미도시)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압모터(31, 43)들을 구동하여 바퀴 및 레일이동휠(11)의 구동과 인입롤러(4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6)는 파쇄개의 기본 골격과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파쇄기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61)와 상기 프레임부(61)의 외측 및 상측을 덮어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부(6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61)는 상기 구동부(3)가 형성된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프레임(611), 상기 하측프레임(6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커터(71)의 회전축(711) 등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421)이 형성되어 인입롤러(41)의 회전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프레임(612), 상기 하측프레임(611)의 후측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손잡이, 각종 구동레버(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제어프레임(6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612)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612a)이 형성되어 상기 인입롤러(41)가 가이드홈(612a)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62)는 상기 프레임부(61)의 상측에 결합되어 파쇄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파쇄기의 후측에 형성되어 수목가지 등의 피파쇄물이 인입되는 투입부(621)와 상기 투입부(621)를 파쇄하는 커터(71)가 수용되는 커터수용부(622)와, 파쇄기의 전측에 형성되어 파쇄된 피파쇄물이 파쇄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623)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621)에는 상기 인입롤러(41)가 형성되어 피파쇄물이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커터수용부(622)에는 파쇄부(7)가 형성되어 수목가지 등을 상기 커터(71)에 의해 파쇄하고, 상기 배출부(623)를 통해서 배출된다.
상기 파쇄부(7)는 상기 투입부(621)로 투입된 피파쇄물을 잘게 자르도록 하는 구성으로, 플라이휠(72)이 커터(7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커터수용부(622)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커터(71)는 고속회전에 의해 수목가지를 잘게 잘라야 하므로, 상기 엔진(5)으로부터 상기 동력전달부(8)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장력조절부(9)를 통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쇄부(7)는 커터(71)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711)에 두개의 플라이휠(72)이 결합되고, 상기 플라이휠(72)의 내측면에 커터(71)의 양측단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커터(71)가 플라이휠(72)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커터(71)의 반복사용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5)의 구동축(51) 및 상기 커터(71)의 회전축(711)에 연결되어 상기 엔진(5)의 구동력을 커터(71)에 전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5)의 구동축(51) 및 상기 커터(71)의 회전축(711)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83), 상기 엔진(5)과 연결부(83)를 연결하는 제1동력전달부(81), 상기 연결부(83)와 상기 커터(71)를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부(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81)는 상기 엔진(5)과 상기 연결부(83) 사이에 형성되어 엔진(5)의 구동력을 상기 연결부(83)에 전달하며, 상기 엔진(5)의 구동축(5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811)와 상기 구동풀리(811)와 연결부(83)의 후술할 연결풀리(832)를 연결하는 제1구동밸트(8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풀리(811)는 상기 엔진(5)의 구동축(5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구동풀리(811)의 회전과 함께 상기 구동풀리(811)에 감겨있는 제1구동밸트(81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술할 연결부(83)의 연결풀리(832)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엔진(5)의 구동력이 상기 연결부(83)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82)는 상기 연결부(83)와 상기 커터(71)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83)가 전달받은 구동력을 상기 커터(71)에 전달하며, 상기 커터(71)의 회전축(71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커터풀리(821)와, 상기 커터풀리(821)와 연결풀리(832)를 연결하는 제2구동밸트(8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풀리(832)에 감겨있는 제2구동밸트(822)는 상기 엔진(5)의 구동축(51)의 회전, 상기 제1구동밸트(812)의 회전 및 상기 연결풀리(832)의 회전에 따라 회전을 시작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밸트(822)의 일측이 감겨있는 상기 커터풀리(821)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5)의 구동력은 상기 연결부(83)를 거쳐 상기 커터(71)에 전달되며, 상기 커터의 회전축(7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터(71)가 회전하여 피파쇄물을 잘게 자르게 된다.
상기 연결부(83)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81), 제2동력전달부(82)와 각각 연결되어 엔진(5)의 구동력이 커터(71)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6)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축(831)과, 상기 연결축(83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연결풀리(8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동력전달부(81)의 제1구동밸트(8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풀리(832)가 회전하며, 상기 연결풀리(832)의 회전에 따라 연결풀리(832)의 일측에 함께 감겨있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82)의 제2구동밸트(822)가 회전하여 상기 커터풀리(821)가 회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83)로 인해 상기 엔진(5)과 커터(71)를 연결하는 구동밸트는 제1구동밸트(812)와 제2구동밸트(822)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고, 구동밸트가 제1구동밸트(812)와 제2구동밸트(822)로 나뉘어 형성됨에 따라 구동밸트에 주어지는 부하는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밸트의 장력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엔진(5)의 구동력이 손실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커터(71)까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력조절부(9)는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구동밸트(822) 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상기 제1구동밸트(812)와 제2구동밸트(822) 모두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동밸트'라 함은 상기 제1구동밸트(812)와 제2구동밸트(822)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상기 장력조절부(9)는 상기 동력전달부(8)에 의하여 구동밸트에 주어지는 부하를 줄이고 동력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장력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5)의 구동력이 상기 커터(71)에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가 과도하게 팽팽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밸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6)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축(91)과; 상기 회전축(91)에 그 중심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92)와; 상기 회전부재(92)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를 가압하는 가압부(9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9)는 상기 장력조절부(9)와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레버(94)를 포함하여 상기 장력조절부(9)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91)은 상기 본체(6)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부재(92)의 중심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92)의 회전의 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부재(92)는 그 중심이 상기 회전축(91)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양측 끝단에는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를 누를 수 있도록 가압부(93)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93)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가압부(931)와 하측가압부(932)로 형성되어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상측 및 하측을 모두 가압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9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상기 상측가압부(931) 및 하측가압부(932)가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가압부(93)는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를 가압하여 구동밸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재(92)의 양 끝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롤러, 구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밸트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측가압부(931)와 구동밸트의 하측을 가압하는 하측가압부(9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밸트(812)와 제2구동밸트(8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구동풀리(811)와 연결풀리(832), 커터풀리(821)와 연결풀리(832)에 감겨 회전하므로,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구동밸트의 외측, 즉 구동밸트의 상측부분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구동밸트의 하측부분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구동밸트를 가압하여야 구동밸트가 상술한 각각의 풀리들에 감긴상태에서 당겨져 효과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93)는 구동밸트의 상측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상측가압부(931)와, 구동밸트의 하측부분을 아래에서 위로 누르는 하측가압부(932)를 포함하여 상하에서 구동밸트를 동시에 누르도록 함으로써 구동밸트의 장력을 안정적이고 균형있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효율적으로 구동력을 손실없이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부(93)는 구동밸트가 너무 팽팽하게 당겨진 경우 구동밸트를 덜 가압하도록 회전시켜 구동밸트의 장력을 감소시켜 구동밸트가 끊어지거나 이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94)는 상기 회전부재(92)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9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6)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레버(94)는 그 형상 및 재질에 제한이 없으며, 외부에서 손으로 잡고 상기 회전부재(9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장력조절부(9)의 작동과정에 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절레버(94)를 조작하여 상기 회전부재(92)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상측가압부(931)는 상기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상측을 ①방향, 즉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고, 상기 하측가압부(932)는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하측을 ②방향, 즉 아래에서 위로 누르게 되어 제1구동밸트(812) 또는 제2구동밸트(822)의 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팽팽하게 하여 구동력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동력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오랜 기간 사용에 의해 구동밸트의 장력이 감소한 경우에도 상기 장력조절부(9)를 통하여 더욱 팽팽하게 당겨줌으로써 구동밸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체비용, 교체 작업에 따른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구동밸트가 너무 팽팽하게 당겨져 끊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92)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측가압부(931)가 ③방향, 즉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도록 하고, 상기 하측가압부(932)가 ④방향, 즉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여 구동밸트를 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밸트의 장력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8)를 통하여 구동밸트에 주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장력조절부(9)를 통하여 구동밸트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밸트의 사용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기를 높은 동력전달효율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유지 관리 비용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레일이동부
11: 레일이동휠 111: 간격조절홈
12: 지지판
3: 구동부
31: 유압모터 311: 회전축
32: 전방바퀴 33: 후방바퀴
34: 구동력전달부 341: 전방구동력전달부
341a: 전방구동스프라켓 341b: 전방종동스프라켓
341c: 전방구동체인
342: 후방구동력전달부
342a: 후방구동스프라켓 342b: 후방종동스프라켓
342c: 후방구동체인
4: 인입부
41: 인입롤러
411: 돌출날 412: 돌출날고정부 413: 회전축
42: 상하조절수단 421: 지지축 422: 링크암
43: 유압모터 431: 회전축
44: 동력전달수단
441: 구동스프라켓 442: 연결스프라켓 443: 종동스프라켓
444: 제1체인 445: 제2체인
5: 엔진
51: 구동축
6: 본체
61: 프레임부
611: 하측프레임 612: 수직프레임 612a: 가이드홈
613: 제어프레임
62: 커버부
621: 투입부 622: 커터수용부 623: 배출부
7: 파쇄부
71: 커터 711: 회전축 72: 플라이휠
8: 동력전달부
81: 제1동력전달부 811: 구동풀리 812: 제1구동밸트
82: 제2동력전달부 821: 커터풀리 822: 제2구동밸트
83: 연결부 831: 연결축 832: 연결풀리
9: 장력조절부
91: 회전축
92: 회전부재
93: 가압부 931: 상측가압부 932: 하측가압부
94: 조절레버

Claims (3)

  1. 수목가지를 파쇄하며,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파쇄기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엔진의 동력에 의해 바퀴를 회전시켜 파쇄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의 바퀴축 상에 함께 형성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이동부;를 포함하여, 지면에서의 이동과 레일 상의 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레일이동부는,
    레일 상에 접촉되며, 상기 바퀴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레일이동휠과; 상기 레일이동휠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레일이동휠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레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이동휠은,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간격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중공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간격조절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레일의 간격에 따라 삽입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동부는,
    본체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와 연결되어 유압모터의 구동력을 전방바퀴와 후방바퀴에 전달하며, 양측에 한쌍이 형성되는 전, 후방 구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 후방 구동력전달부는 각각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전, 후방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전, 후방바퀴의 바퀴축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전, 후방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전, 후방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각각 연결하는 전, 후방 구동체인을 포함하여, 상기 양측의 유압모터 중 하나 만을 작동하면 일측의 전, 후방 바퀴만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2. 삭제
  3. 삭제
KR1020150048340A 2015-04-06 2015-04-06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KR10165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40A KR101656020B1 (ko) 2015-04-06 2015-04-06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40A KR101656020B1 (ko) 2015-04-06 2015-04-06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020B1 true KR101656020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340A KR101656020B1 (ko) 2015-04-06 2015-04-06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1656A (zh) * 2020-09-01 2020-11-13 河南省荥阳市海通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粉碎机
KR102197303B1 (ko) * 2020-03-23 2020-12-31 김동원 이동형 리프터
KR20220009774A (ko) 2020-07-16 2022-01-25 백솔희 움직임 감지 다기능 돌출형 레일
KR20220009768A (ko) 2020-07-16 2022-01-25 백솔희 다기능 돌출형 레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231A (ko) * 2008-02-18 2009-08-21 김성규 바퀴간격 조절형 작업용 이동의자
KR100920711B1 (ko) * 2009-03-25 2009-10-09 박우군 수목가지 파쇄기
KR101472376B1 (ko) * 2012-11-27 2014-12-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 수목가지 파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231A (ko) * 2008-02-18 2009-08-21 김성규 바퀴간격 조절형 작업용 이동의자
KR100920711B1 (ko) * 2009-03-25 2009-10-09 박우군 수목가지 파쇄기
KR101472376B1 (ko) * 2012-11-27 2014-12-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네오 수목가지 파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03B1 (ko) * 2020-03-23 2020-12-31 김동원 이동형 리프터
KR20220009774A (ko) 2020-07-16 2022-01-25 백솔희 움직임 감지 다기능 돌출형 레일
KR20220009768A (ko) 2020-07-16 2022-01-25 백솔희 다기능 돌출형 레일
CN111921656A (zh) * 2020-09-01 2020-11-13 河南省荥阳市海通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粉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020B1 (ko) 레일 이동이 가능한 파쇄기
CN108040656B (zh) 一种果树砧木剪切处理机
CN105993372B (zh) 双辊式香蕉秸秆粉碎还田机
CN203896734U (zh) 一种甘薯杀秧机
CN202476106U (zh) 一种立辊式玉米收获割台的不对行切割装置
CN102884916B (zh) 一种葡萄残枝捡拾粉碎聚拢机
CN204034810U (zh) 可移动式枝条粉碎机
CN203761778U (zh) 一种秸秆切碎还田旋耕一体机
KR101602616B1 (ko) 시설원예용 식물분쇄기
CN204443113U (zh) 一种悬臂式多功能割草机
CN116897625A (zh) 一种玉米秸秆还田施菌机
CN201094923Y (zh) 碎枝机碎枝装置
KR101425908B1 (ko) 고설재배용 베드의 배토용 쇄토장치
CN203633177U (zh) 锯盘式秸秆粉碎还田机
KR101650351B1 (ko) 파쇄기
CN109247152A (zh) 一种园林建筑用高效修剪装置
CN203537871U (zh) 果园树盘碎草机
CN208063819U (zh) 一种小型双刀盘大棚除草机
CN202635028U (zh) 立式果园锄草机
CN205865097U (zh) 一种菠萝叶切碎还田机
CN203261799U (zh) 一种碎草机
KR102151888B1 (ko) 시설원예용 식물분쇄 작업기
CN208971994U (zh) 一种高效型甜菜打秧机
CN212812629U (zh) 一种新型种植翻土机
CN217076847U (zh) 一种农机维修用支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