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802B1 -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802B1
KR101655802B1 KR1020150012232A KR20150012232A KR101655802B1 KR 101655802 B1 KR101655802 B1 KR 101655802B1 KR 1020150012232 A KR1020150012232 A KR 1020150012232A KR 20150012232 A KR20150012232 A KR 20150012232A KR 101655802 B1 KR101655802 B1 KR 10165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supply
water
pip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740A (ko
Inventor
박준수
구지영
이지윤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02B1/ko
Priority to PCT/KR2016/000819 priority patent/WO2016122189A1/en
Priority to US15/546,434 priority patent/US10054358B2/en
Publication of KR2016009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4Temperature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0Quick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제빙기와; 제빙기로 물을 급수하고 압축기와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는 급수배관과;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와; 급수배관 또는 압축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에 따라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음펨바 효과를 고려한 설정온도범위로 승온된 물을 제빙기로 급수할 수 있어, 신속한 제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음식물 등(이하, 피저장물로 칭함)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는 장치로서, 영하의 온도 상태에서 피저장물을 보관하는 냉동실과, 영상의 온도 상태에서 피저장물을 보관하는 냉장실이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가 장착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제빙기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외부의 물은 급수라인을 통해 제빙기로 급수될 수 있다. 급수라인에는 급수라인을 통과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가 설치될 수 있고, 냉장고는 급수밸브를 개폐하여 제빙기로 급수되는 물을 단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빙기가 신속하게 제빙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로 물을 급수하고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배관 또는 압축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에 따라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압축기에 접촉된 폐열 회수관과; 상기 폐열 회수관으로 물을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폐열 회수관을 통과한 물을 상기 제빙기로 안내하는 출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폐열 회수관 또는 출수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응축기에 접촉된 열 회수관과; 상기 열 회수관으로 물을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열 회수관을 통과한 물을 상기 제빙기로 안내하는 출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열 회수관 또는 출수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설정시간동안 오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빙기로 물을 급수하고 압축기와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 급수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배관의 감지 온도에 따라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헌더,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급수배관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급수배관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설정시간 오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펨바 효과를 고려한 설정온도범위로 승온된 물을 제빙기로 급수할 수 있어, 신속한 제빙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의 폐열 또는 응축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물을 설정온도범위로 승온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기히터로 물을 승온하는 경우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냉매라인 및 제빙급수라인이 함께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제빙기 및 아이스뱅크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냉매라인 및 제빙급수라인이 함께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냉매라인 및 제빙급수라인이 함께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제빙기 및 아이스뱅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와;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4)를 포함한다. 냉장고는 응축기(4)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6)와, 팽창기구(6)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와 응축기(4)와 팽창기구(6)와 증발기(8)는 냉매배관(9)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냉장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F)(R)이 형성된 본체(B)와, 본체(B)에 설치되어 저장실(F)(R)을 여닫는 도어(D1)(D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B)에는 냉동실(F)과 냉장실(R)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D1)(D2)는 냉동실(F)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D1)와, 냉장실(R)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D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와 응축기(4)와 팽창기구(6)와 증발기(8)는 본체(B)에 설치될 수 있고, 증발기(8)는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적어도 하나와 냉기순환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제빙기(11)와; 제빙기(11)로 물을 급수하고, 일부가 압축기(2)와 응축기(4)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는 급수배관(14)과; 급수배관(14)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16)를 포함한다.
제빙기(11)는 냉동실(F) 내부에 위치되게 본체(B)에 설치되거나 냉동실 도어(D1)의 배면에 위치되게 냉동실 도어(D1)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기(11)는 냉동실(F)의 냉기에 의해 물을 제빙할 수 있다.
냉장고는 제빙기(11)에 의해 제빙된 얼음이 담겨지는 아이스뱅크(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뱅크(12)는 냉동실 도어(D1)의 배면에 위치되게 도어(6)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아이스뱅크(12)의 얼음이 외부로 취출되는 디스펜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3)는 냉동실 도어(D1) 또는 냉장실 도어(D2)에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11)는 얼음을 생성하여 아이스뱅크(12)로 이송할 수 있고, 아이스뱅크(12)의 얼음은 디스펜서(31)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제빙기(11)는 급수배관(14)를 통해 급수된 물이 담겨지는 제빙 트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112)는 물이 담겨지는 제빙공간이 형성되고, 급수배관(14)에서 제빙공간으로 공급된 물을 냉동실(F)의 냉기에 의해 제빙될 수 있다.
제빙기(11)는 제빙기(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빙온도센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온도센서(114)는 제빙 트레이(112)에 설치될 수 있고, 제빙 트레이(11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빙온도센서(114)는 온도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20)는 제빙온도센서(114)에서 출력된 온도 신호에 따라, 제빙기(11)의 제빙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제빙기(11)는 제빙 트레이(112)에서 제빙된 얼음이 제빙 트레이(112)과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녹이는 히터(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16)는 제빙 트레이(112)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116)는 아이스뱅크(12)로 이빙이 필요할 때, 제빙 트레이(112)를 가열하여 승온시킬 수 있고, 얼음은 제빙 트레이(112)와 접한 부분이 녹을 수 있고, 후술하는 이빙기구에 의한 이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빙기(11)는 제빙기(11)에 생성된 얼음을 아이스뱅크(12)로 이빙시키는 이빙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빙기구의 온시, 이빙기구는 제빙기(11)의 얼음을 퍼올려 아이스뱅크(12)로 이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이빙기구는 이빙모터(118)와, 이빙모터(118)에 의해 회전되어 제빙기(11)의 얼음을 퍼올리는 이젝터(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빙기구의 온시, 이빙기구는 제빙 트레이(112)를 비틀어 제빙 트레이(112)의 얼음을 아이스뱅크(12)로 이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빙기구는 제빙 트레이(112)에 연결되어 제빙 트레이(112)를 회전시키는 이빙모터와, 제빙 트레이(112)가 걸리는 것에 의해 제빙 트레이(112)가 비틀어지는게 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아이스뱅크(12)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는 만빙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만빙센서(120)는 아이스뱅크(12)에 담겨진 얼음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아이스뱅크(12)에 담겨진 얼음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적용 가능하다.
만빙센서(120)는 아이스뱅크(12)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된 레버(121)와, 레버를 회전시키는 레버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레버회전기구의 회전 각도로 아이스뱅크(12) 내 담겨진 얼음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빙센서(120)는 아이스뱅크(12)로 승강되게 배치된 승강부재와,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아이스뱅크(12) 내 담겨진 얼음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빙센서(120)는 원거리에서 얼음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자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급수배관(14)은 제빙급수밸브(16)의 개방시 외부에서 급수된 물을 제빙기(11)로 안내할 수 있다. 급수배관(14)은 외부에서 급수된 물이 압축기(2)의 열을 흡열한 후 제빙기(11)로 급수될 수 있도록 일부가 압축기(2)와 접촉될 수 있다. 급수배관(14)과 압축기(2)의 접촉시, 급수배관(14)은 제빙기(11)로 급수될 물을 압축기(2)의 열에 의해 승온시킬 수 있고, 음펨바 효과(Mpemba effect)를 이용하여 제빙기(11)의 신속한 제빙을 도울 수 있다. 여기서, 음펨바 효과는 특정한 상황에서 고온의 물이 저온의 물보다 더 빨리 어는 현상으로서, 일예로, 35℃의 물이 5℃의 물 보다 더 빨리 어는 현상일 수 있다.
급수배관(14)은 압축기(2)에 접촉되는 폐열 회수관(142)과; 폐열 회수관(142)으로 물을 안내하는 입수관(144)과; 폐열 회수관(142)을 통과한 물을 제빙기(11)로 안내하는 출수관(146)을 포함할 수 있다.
폐열 회수관(142)은 적어도 일부가 압축기(2)의 외둘레를 적어도 1회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폐열 회수관(142)는 압축기(2)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부분이 압축기(2) 외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고, 압축기(2)의 열은 폐열 회수관(142)을 통해 물로 전달될 수 있다.
입수관(144)은 일단이 냉장고 외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폐열 회수관(142)에 연결될 수 있다. 입수관(144)은 폐열 회수관(14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로 제조된 후 폐열 회수관(142)과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출수관(146)은 일단이 제빙기(11)로 물을 안내하게 위치되고 타단이 폐열 회수관(142)에 연결될 수 있다. 출수관(146)은 폐열 회수관(14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로 제조된 후 폐열 회수관(142)과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빙급수밸브(16)는 급수배관(14)을 통과하는 물을 단속할 수 있다. 제빙급수밸브(16)는 출수관(146)에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급수밸브(16)의 온시, 제빙급수밸브(16)는 개방될 수 있고, 물은 급수배관(14)을 통과하여 제빙기(11)로 급수될 수 있다. 제빙급수밸브(16)의 오프시, 제빙급수밸브(16)는 클로즈될 수 있고, 제빙급수밸브(16)는 급수배관(14)을 통한 급수를 차단할 수 있다.
냉장고는 급수배관(14) 또는 압축기(2)에 설치된 온도센서(18)와; 온도센서(18)의 감지 온도에 따라 제빙급수밸브(16)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온도센서(18)는 폐열 회수관(142) 또는 출수관(144)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18)는 주기적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온도센서(18)에서 감지된 급수배관(14)의 온도를 메모리 등의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시 데이터 저장부(22)에 최근 저장된 온도를 읽어 후술하는 설정온도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적어도 하나의 부하에 따라 압축기(2)를 온,오프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시, 온도센서(18)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이면, 제빙급수밸브(16)를 설정시간동안 오픈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시, 온도센서(18)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미만이면, 제빙급수밸브(1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은 제빙 트레이(112)의 얼음이 이빙기구에 의해 이빙 완료된 조건일 수 있다.
설정온도범위는 음펨바 효과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온도범위일 수 있다. 설정온도범위는 제빙완료시간(즉, 급수배관(14)에서 제빙기(11)로 물이 급수된 후 제빙이 완료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온도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설정온도범위는 실험에 의해 제빙완료시간을 최소화하는 온도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설정온도범위는 하한온도와, 상한온도를 갖을 수 있다. 일예를 들어, 하한온도가 33℃로 설정될 수 있고, 상한온도는 37 ℃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온도범위는 냉동실(F)의 온도대역별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온도범위는 냉동실(F)의 온도대역별로 하한온도과, 상한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들어, 냉동실이 -20℃ 일 때 설정온도범위는 33℃ 내지 37 ℃로 설정될 수 있고, 냉동실 온도가 -20℃ 초과 -10℃ 이하일 때 설정온도범위는 34℃ 내지 38 ℃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시간은 제빙 트레이(112)에 물이 채워지는 기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냉매라인 및 제빙급수라인이 함께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급수배관(14')은 응축기(4)의 열을 흡열하여 물을 승온시킬 수 있다. 급수배관(14')이 응축기(4)에 접촉된 열 회수관(142')과; 열 회수관(144')으로 물을 안내하는 입수관(144')과; 열 회수관(142')을 통과한 물을 제빙기(11)로 안내하는 출수관(146')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는 급수배관(14')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응축기(4)는 냉매와 물이 열교환되는 수냉식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냉식 열교환부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와, 물이 통과하는 물유로를 포함하며, 냉매유로와 물유로는 열전달부재를 사이에 두고 구획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열 회수관(142')는 물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응축기(4)는 공랭식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열 회수관(142')은 응축기(4) 표면에 열전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온도센서(18)는 열 회수관(142') 또는 출수관(146')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냉장고의 동작방법은 제빙기(11)로 물을 급수하고 압축기(2)와 응축기(4)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 급수배관(14)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배관(14)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는 급수배관(14)에 설치된 온도센서(18)가 급수배관(14)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냉장고의 동작방법은 급수배관(14)의 감지 온도에 따라 급수배관(14)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16)를 제어하는 단계(S2)(S3)(S4)(S5)(S6)(S7)를 포함한다.
제빙급수밸브(16)를 제어하는 단계(S2)(S3)(S4)(S5)(S6)(S7)는 제빙급수밸브(16)를 오픈 제어하거나 클로즈 유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빙급수밸브(16)를 제어하는 단계(S2)(S3)(S4)(S5)(S6)(S7)는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시, 급수배관(14)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이면 제빙급수밸브(16)를 설정시간 오픈할 수 있다.(S2)(S3)(S4)
제어부(20)는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시, 급수배관(14)의 온도를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및 상한온도와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급수배관(14)의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범위이면, 제빙급수밸브(16)를 설정시간 오픈할 수 있다.(S2)(S3)(S4)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은 제빙 트레이(112)의 얼음이 이빙기구에 의해 이빙 완료된 조건일 수 있고, 제어부(20)는 제빙 트레이(112)의 얼음이 이빙기구에 의해 이빙 완료된 시점에, 온도센서(18)의 감지 온도를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및 상한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S2)(S3)
비교결과 온도센서(18)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이면, 현재 급수배관(14)의 물 온도는 음펨바 효과를 이용한 신속한 제빙이 가능한 온도이고, 제어부(20)는 제빙급수밸브(16)를 설정시간동안 오픈할 수 있다.(S4) 제빙급수밸브(16)의 오픈시, 급수배관(14)의 물은 제빙기(11)로 급수되어 제빙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제빙급수밸브(16)가 오픈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제빙급수밸브(16)를 클로즈할 수 있다.(S5)
한편, 제빙급수밸브(16)를 제어하는 단계(S2)(S3)(S4)(S5)(S6)(S7)는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시, 급수배관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미만이면 제빙급수밸브(1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S2)(S3)(S6)(S7)
제어부(20)는 제빙기(11)의 급수 조건시, 급수배관(14)의 온도를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S2)(S3)(S6)
비교결과 온도센서(18)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미만이면, 급수배관(14)의 물 온도는 음펨바 효과를 고려한 설정온도범위에 도달되지 못한 상태이고, 제어부(20)는 제빙급수밸브(1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S7)
한편, 냉장고의 동작방법은 컨트롤 패널 등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제빙 정지 명령이 입력되거나 냉장고 전원이 오프된 경우, 더 이상 제빙기(11) 및 제빙급수밸브(16)를 제어하지 않고, 제빙기(11)에 의한 제빙은 정지될 수 있다.(S8)(S9)
반면에, 냉장고의 동작방법은 제빙 정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고, 냉장고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경우, 급수배관(14)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로 복귀할 수 있다.(S8)(S1)
냉장고의 동작방법은 제빙급수밸브(16)가 클로즈인 동안에 압축기(2)의 폐열이 급수배관(14)으로 전달되어 온도센서(18)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에 도달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어부(20)는 제빙급수밸브(16)의 클로즈 유지를 중단하고, 제빙급수밸브(16)를 설정시간동안 오픈하는 것이 가능하며, 폐열에 의해 승온된 물은 제빙기(11)로 급수되어 제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압축기 4: 응축기
11: 제빙기 14: 급수배관
16: 제빙급수밸브 18: 온도센서
20: 제어부 142: 폐열 회수관
144: 입수관 146: 출수관

Claims (10)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로 물을 급수하고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배관 또는 압축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에 따라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압축기에 접촉되고, 상기 압축기를 감싸게 배치되는 폐열 회수관과;
    상기 폐열 회수관으로 물을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폐열 회수관을 통과한 물을 상기 제빙기로 안내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폐열 회수관 또는 출수관에 설치된 냉장고.
  4.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로 물을 급수하고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배관 또는 압축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 온도에 따라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응축기에 접촉되고, 상기 응축기를 감싸게 열 회수관과;
    상기 열 회수관으로 물을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열 회수관을 통과한 물을 상기 제빙기로 안내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열 회수관 또는 출수관에 설치된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범위 내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설정시간동안 오픈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클로즈 유지하는 냉장고.
  8. 제빙기로 물을 급수하고 압축기와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된 급수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급수배관의 감지 온도에 따라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급수배관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의 하한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클로즈 유지하는 냉장고의 동작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빙기의 급수 조건시, 상기 급수배관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범위이면, 상기 제빙급수밸브를 설정시간 오픈하는 냉장고의 동작방법.
KR1020150012232A 2015-01-26 2015-01-26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KR10165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32A KR101655802B1 (ko) 2015-01-26 2015-01-26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PCT/KR2016/000819 WO2016122189A1 (en) 2015-01-26 2016-01-26 Refrig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5/546,434 US10054358B2 (en) 2015-01-26 2016-01-26 Refrig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32A KR101655802B1 (ko) 2015-01-26 2015-01-26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740A KR20160091740A (ko) 2016-08-03
KR101655802B1 true KR101655802B1 (ko) 2016-09-08

Family

ID=5654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232A KR101655802B1 (ko) 2015-01-26 2015-01-26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54358B2 (ko)
KR (1) KR101655802B1 (ko)
WO (1) WO20161221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52A1 (ko) * 2022-02-10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9312A (zh) * 2016-12-16 2017-05-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供水功能的冰箱
KR102490371B1 (ko) * 2018-06-01 2023-01-25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냉장고
US11698222B2 (en) 2021-01-06 2023-07-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ood preservation system with filtered water supply to icemaker
DE212021000321U1 (de) 2021-03-16 2022-12-13 Dh Global Co., Ltd. Haus-Eismaschine
KR102319486B1 (ko)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투명도가 향상된 투명얼음 제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7607A (ja) * 2008-04-11 2009-11-05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373A (ja) * 1993-09-06 1995-03-20 Sanyo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
US5425248A (en) * 1994-06-27 1995-06-2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er subassembly for a refrigerator freezer
JPH11248321A (ja) * 1998-03-03 1999-09-14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運転制御方法
US6612118B2 (en) * 2002-02-06 2003-09-02 Imi Cornelius Inc. Ice maker control
JP2004045011A (ja) * 2002-05-16 2004-02-12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および運転方法
KR100577192B1 (ko) * 2003-09-08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의 제빙방법
US20120036874A1 (en) * 2010-08-12 2012-02-16 Jianwu Li Active cooling of a compressor in an appli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7607A (ja) * 2008-04-11 2009-11-05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の運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52A1 (ko) * 2022-02-10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189A1 (en) 2016-08-04
US10054358B2 (en) 2018-08-21
KR20160091740A (ko) 2016-08-03
US20180017313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802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EP2217872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EP2354736B1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7707847B2 (en) Ice-dispensing assembly mounted with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KR100644824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20130192280A1 (en) Refrigerator and defrosting method thereof
KR2005009633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8453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KR2013003735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68251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03233A (ko) 얼음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1711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9906346B (zh) 冰箱及冰箱的控制方法
KR101330936B1 (ko) 냉장고
KR10257245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72328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77635B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상방법
KR10055743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406295B1 (ko) 이중 증발기를 갖는 냉동냉장고용 냉각시스템
KR20190091986A (ko) 냉장고
KR102298724B1 (ko) 제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7020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508773B1 (ko) 독립 냉각 냉장고
KR100913142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7315716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