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65B1 -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65B1
KR101655765B1 KR1020150127528A KR20150127528A KR101655765B1 KR 101655765 B1 KR101655765 B1 KR 101655765B1 KR 1020150127528 A KR1020150127528 A KR 1020150127528A KR 20150127528 A KR20150127528 A KR 20150127528A KR 101655765 B1 KR101655765 B1 KR 10165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iving habit
vehicl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 등록 및 상기 등록된 운전자의 선택이 가능한 운전자 선택부,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소정시간 동안 학습하여 저장하는 운전습관 저장부,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실시간으로 학습하는 운전습관 학습부 및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통해 현재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기존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운전자 선택부에 등록된 운전자가 아니라 하여도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운행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부득이하게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제3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도 운행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OF DRIVER'S CUSTOM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IE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등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저장한 후, 이를 현재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점차 고급화되고 가격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도난 방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도난 방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차주가 아닌 제3자가 차문을 열려고 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차량에 가해지는 경우 도난 방지 경보를 울림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고 있으나, 분실한 차키를 획득한 제3자 또는 차주 몰래 복사한 차키를 가진 제3자가 차문을 열려고 하는 등의 경우에는, 도난 방지 시스템이 차주를 식별할 수 없는 바, 차량이 도난 당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일한 차량을 운행한다 하여도 운전자마다 운전습관은 다를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차선 변경을 할 때 방향 지시등을 끝까지 켜지 않고, 3회 점멸 모드(Mode)를 이용한다든지, 회전할 때 스티어링휠을 한 번에 크게 돌린다든지, 정차 후 출발할 때 액셀레이터를 강하게 밟는다든지, 브레이크 패달을 급하게 자주 밟는다든지 등과 같은 운전습관은 운전자 개인의 성향이 묻어날 수밖에 없으므로 완벽하게 동일한 운전습관을 가진 복수의 운전자가 존재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이렇게 운전자마다 상이한 운전습관은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이 되는바, 이를 도난 방지 시스템에 적용하면 기존 도난 방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주의 운전습관을 통해 차주를 식별할 수 있는 새롭고 진보한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7680호(2006.05.29)
본 발명은 운전습관을 통해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는, 운전자 등록 및 상기 등록된 운전자의 선택이 가능한 운전자 선택부,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소정시간 동안 학습하여 저장하는 운전습관 저장부,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실시간으로 학습하는 운전습관 학습부 및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통해 현재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기존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운전자 선택부에 등록된 운전자가 아니라 하여도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운행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부득이하게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제3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도 운행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 선택부는, 복수의 운전자 등록이 가능하며, 상기 운전자 선택부는, UDS(United Diagnostic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운전자 등록이 가능하고,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는,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 및 운전습관 학습부는,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 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전송 받아 학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3회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 ECU(Engine Control Unit)에 이그니션 오프(Ignition Off)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 전송 이후에 운전자가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ECU에 림프홈(Limp-home)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ECU에 림프홈(Limp-home)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하여 3회를 초과하여 전송한 경우, 상기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는 (a) 운전자 선택부가 운전자를 등록하는 단계, (b) 운전자 선택부가 상기 등록된 운전자를 선택하는 단계, (c) 운전습관 저장부가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소정시간 동안 학습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운전습관 학습부가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실시간으로 학습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으로 구현하여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의 운전자 선택부는, 복수의 운전자 등록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a)단계의 운전자 선택부는, UDS(United Diagnostic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운전자 등록이 가능할 수 있고, 상기 (c)단계의 운전습관 저장부는,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c)단계 및 (d)단계의 운전습관 저장부 및 운전습관 학습부는,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 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전송 받아 운전습관을 학습할 수 있으며, 상기 (e)단계 이후에, (f) 제어부가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3회 이상 일치하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의 판단결과 3회 이상 일치하지 않았다면, 제어부가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g)단계 이후에,(h) 제어부가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 받는 단계 및 (i) 제어부가 상기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상기 (i)단계 이후에, (j) 제어부가 상기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으로 3회 초과하여 전송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k) 상기 (j)단계의 판단결과 연속하여 3회를 초과하여 전송하였다면, 제어부가 상기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통해 현재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기존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 선택부에 등록된 운전자가 아니라 하여도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운행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부득이하게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제3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도 운행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 실내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운전자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차량 실내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운전자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100)는 운전자 선택부(10), 운전습관 저장부(20), 운전습관 학습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며, 기타 부가적인 다른 구성들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 선택부(10)는 운전자의 등록과 등록된 운전자의 선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차주에 해당하는 주운전자와 차주의 가족이나 지인 등에 해당하는 부운전자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차주에 해당하는 주운전자는 한 명인 것이 일반적이며, 차주의 가족이나 지인 등에 해당하는 부운전자는 여러 명일 수 있으므로, 운전자 선택부(10)는 복수의 운전자 등록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주운전자를 1명 등록하고, 주운전자의 배우자와 자녀를 각각 부운전자로 등록할 수 있다. 등록 가능한 운전자의 수는 제한이 없으나, 하나의 차량을 지나치게 많은 운전자가 운행하는 일이 흔하지는 않으므로, 택시나 트럭 등과 같은 영업용 차량을 제외한 자가 운행 차량은 등록 가능한 운전자의 수가 5명 정도를 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운전자의 등록을 위해 운전자 선택부(10)에는 운전자 등록 및 선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운전자 등록은 예를 들어, 운전자의 이름, 나이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기타 다른 정보를 부가적으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과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실내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주운전자인 홍길동을 입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실내에 터치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계기판을 통하여 입력하거나 별도의 입력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운전자를 등록한 이후 차량을 판매하게 되어 등록된 운전자의 삭제가 필요하거나 잘못 입력된 정보를 수정해야 하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별도의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등록된 운전자의 삭제 및 입력된 정보의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운전자의 선택 역시 운전자 등록 및 선택 프로그램에 의하여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과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실내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등록된 주운전자 ABC, 부운전자1 DEF, 부운전자2 GHI 중에서 주운전자 ABC를 선택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운전자의 선택 역시 운전자의 등록과 마찬가지로 차량 실내에 터치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계기판을 통하여 입력하거나 별도의 선택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운전자의 등록 및 선택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실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과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세대 통신 프로토콜인 UDS(United Diagnostic Protocol)을 통해 운전자 선택부(10)의 메모리(미도시)에 운전자를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등록된 운전자의 삭제 및 입력된 정보의 수정 역시 UDS를 통해야 할 것이다.
운전습관 저장부(20)는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운전습관을 소정시간 동안 학습하여 저장하며, 운전자 선택부(10)에 복수의 운전자가 등록되어 있다면 운전습관 저장부(20) 역시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선택부(10)에 주운전자 ABC, 부운전자1 DEF, 부운전자2 GHI가 등록되어 있고, 주운전자 ABC가 선택되었다면 ABC에 대한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부운전자 1 DEF가 선택되었다면, DEF에 대한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차량을 둘 이상의 운전자가 동시에 운행할 수 없으므로 운전습관 저장부(20)는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는 있으나, 동시에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는 없다.
운전습관 저장부(20)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기 위해 ECU(Engine Control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할 수 있으며, 기타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부품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하, 운전자 ABC의 운전습관과 관계된 차선 변경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주행 중이던 운전자가 좌회전을 하려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중앙 차선에서 주행 중이던 운전자는 좌회전 차선에 진입하기 위해 스티어링휠을 크게 좌측으로 돌렸으며, 좌측 방향 지시등은 켜지 않았다. 좌회전 차선에 진입한 후 좌회전 신호를 대기하기 위해 브레이크 패달을 급하게 밟아 급정거를 했으며, 좌회전 대기를 위해 좌측 방향 지시등을 3회 점멸 모드로 켰다. 이후, 좌회전 신호가 들어오고 운전자는 액셀레이터를 강하게 밟아 급출발함과 동시에 스티어링휠을 크게 좌측으로 돌려 좌회전을 하였다. 상기 설명한 실시 예에서, 좌회전 차선에 진입하기 위해 스티어링휠을 크게 좌측으로 돌리는 점, 좌측 방향 지시등은 켜지 않은 점, 급정거를 하는 점, 좌측 방향 지시등을 3회 점멸 모드로 켜는 점, 급출발을 하는 점 모두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해당한다. 이 경우, 운전습관 저장부(20)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제어장치 및 부품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ECU, 스티어링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및 방향 지시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데이터의 전송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노이즈에 강하고 통신 속도가 최대 1Mbps로 빠르다는 장점이 있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를 전송받은 운전습관 저장부(20)는 데이터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하는바, 여기서 학습은 일종의 정규화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 운전자 ABC에 대한 운전습관은 차선 변경 및 회전을 위해 스티어링휠을 크게 돌림, 방향 지시등을 3회 점멸 모드로 킴, 급출발 및 급정거를 함 등과 같이 정규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학습하여 저장되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많으면 많을수록 후술할 제어부(40)에 의한 판단의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운전습관의 종류, 개수 및 데이터 크기의 제한은 설정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습은 소정시간 동안 이루어져야 하는바, 짧은 시간 동안의 학습만으로는 운전습관을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차량 시동을 건 이후, 연속되는 1시간 동안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소정횟수 이상의 학습이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학습을 위해 별도의 학습 모드(Mode)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학습 모드를 통해 소정시간 및 소정횟수와 무관하게 짧은 시간 동안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누적되어 저장된 운전습관 전체가 운전자의 운전습관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운전습관 학습부(30)는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실시간으로 학습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주운전자 ABC가 선택되었다 하여도 이와 무관하게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독자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선택된 운전자가 반드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라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습관 학습부(30) 역시 운전습관 저장부(20)와 마찬가지로 ECU(Engine Control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재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할 수 있으며, 기타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부품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운전습관 학습부(30)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한다는 점에서 운전습관 저장부(20)와 일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운전습관 학습부(30)를 별개의 구성이 아닌 운전습관 저장부(20)의 일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운전습관 저장부(20)와 운전습관 학습부(30)를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하되, 상기 설명한 학습 모드의 경우에는 운전습관 저장부(20)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학습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운전습관 학습부(30)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운전습관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운전습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문제되지 않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도난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주운전자 ABC가 선택되었는데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은 주운전자 ABC의 운전습관이 아닌 경우, 차량 도난의 가능성이 있으며,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된 운전자를 잘못 선택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선택된 운전자가 아닌 등록된 다른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아닌지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주운전자 ABC가 선택되었는데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은 주운전자 ABC의 운전습관이 아닌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된 부운전자1 DEF, 부운전자2 GHI의 운전습관과 일치하는지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판단 결과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된 운전자를 잘못 선택함이 명백한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된 운전자를 재선택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운전자 선택부(10)는 이를 차량 실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판단에 의하더라도 운전습관이 일치하는 등록된 운전자가 없는 경우, 차량 도난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는바, 제어부(40)는 ECU에 이그니션 오프(Ignition Off) 메시지를 전송한다. 엔진이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 들어가면 연료 공급이 중단되며 모든 전기회로가 차단되므로 엔진의 동작은 멈추게 되고 결과적으로 운행 중인 차량은 더 이상 운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운행 중이던 차량이 갑자기 멈추는 경우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있으며, 부득이하게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하지 못한 운전자가 운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40)는 운전습관이 3회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운전습관 불일치 횟수에 대한 3회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자동차 제조회사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운전습관 불일치가 1회만 발생하여도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5회 이상 발생해야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일정 횟수 이상의 운전습관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여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면, 차량이 도난 당한 경우에 매우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부득이하게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하지 못한 운전자가 운행해야 하는 경우까지 운전습관 불일치가 일정 횟수 이상이 되어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차량 운행에 불편을 초래하므로 별도의 방안이 필요하다.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부득이하게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하지 못한 운전자가 운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패스워드가 올바른 경우 ECU에 림프홈(Limp-home)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하여 차량의 제한적인 운행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패스워드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의 설정은 별도의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 설정 프로그램을 통하거나 상기 설명한 운전자 선택부(10)에 운전자를 등록하는 운전자 등록 및 선택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패스워드의 입력은 차량 실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림프홈 모드는 차량의 출력을 강제로 제한하여 정비소에 입고되는데 필요한 차량의 출력만 발생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써, 설정된 림프홈 모드는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까지 지속되며, 재시동을 하면 해제된다. 그러나 재시동 후 역시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하지 못한 운전자가 운행해야 한다면 제어부(40)는 또다시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할 수밖에 없으며, 차량은 림프홈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운행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제어부(40)가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하여 3회 초과하여 전송한 경우, 제어부(40)는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한다. 차량의 출력을 강제로 제한한 상태로 무한정 차량을 운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의 연속은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것을 1회의 기준으로 하며,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 전송에 대한 3회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자동차 제조회사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으로 2회만 전송하여도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연속으로 5회 이상 전송해야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라 할지라도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가 연속하여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100)는 운전습관을 기준으로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는바, 운전자를 식별할 수 없는 기존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된 운전자가 아니라 할지라도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이그니션 모드에서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므로 부득이하게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하지 못한 운전자가 운행해야 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차량의 운행을 지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100)는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운전자 선택부(10)가 운전자를 등록하며(S210), 등록된 운전자를 선택한다(S220). 구체적으로 차주에 해당하는 주운전자와 차주의 가족이나 지인 등에 해당하는 부운전자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차주에 해당하는 주운전자는 한 명인 것이 일반적이며, 차주의 가족이나 지인 등에 해당하는 부운전자는 여러 명일 수 있으므로, 운전자 선택부(10)는 복수의 운전자 등록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자의 등록을 위해 운전자 선택부(10)에는 운전자 등록 및 선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운전자 등록은 예를 들어, 운전자의 이름, 나이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기타 다른 정보를 부가적으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등록 및 선택은 차량 실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과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차세대 통신 프로토콜인 UDS(United Diagnostic Protocol)을 통해 운전자 선택부(10)의 메모리(미도시)에 운전자를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등록된 운전자의 삭제 및 입력된 정보의 수정 역시 UDS를 통해야 할 것이다.
이후, 운전습관 저장부(20)가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소정시간 동안 학습하여 저장한다(S230). 구체적으로, 운전자 선택부(10)에 복수의 운전자가 등록되어 있다면 운전습관 저장부(20) 역시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하나의 차량을 둘 이상의 운전자가 동시에 운행할 수 없으므로 동시에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할 수는 없다. 한편, 운전습관 저장부(20)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기 위해 ECU(Engine Control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할 수 있으며, 기타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부품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의 전송은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노이즈에 강하고 통신 속도가 최대 1Mbps로 빠르다는 장점이 있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습관 학습부(30)는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실시간으로 학습한다(S240). 예를 들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주운전자 ABC가 선택되었다 하여도 이와 무관하게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독자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선택된 운전자가 반드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라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습관 학습부(30) 역시 운전습관 저장부(20)와 마찬가지로 ECU(Engine Control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재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할 수 있으며, 기타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부품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S230과 S240 단계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두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S240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40)가 운전습관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250). 여기서 운전습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문제되지 않지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도난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주운전자 ABC가 선택되었는데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은 주운전자 ABC의 운전습관이 아닌 경우, 차량 도난의 가능성이 있으며,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된 운전자를 잘못 선택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선택된 운전자가 아닌 등록된 다른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아닌지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S251). 예를 들어,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주운전자 ABC가 선택되었는데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은 주운전자 ABC의 운전습관이 아닌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습관 학습부(3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된 부운전자1 DEF, 부운전자2 GHI의 운전습관과 일치하는지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판단 결과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된 운전자를 잘못 선택함이 명백한 경우, 제어부(40)는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된 운전자를 재선택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252), 운전자 선택부(10)는 이를 차량 실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에 표시할 수 있다(S253).
그러나 추가판단에 의하더라도 운전습관이 일치하는 등록된 운전자가 없는 경우, 차량 도난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는바, 제어부(40)는 운전습관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선택부(10)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운전습관 학습부(20)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3회 이상 일치하지 않았는지 판단하고(S254), 3회 이상 일치하지 않는다면 ECU에 이그니션 오프(Ignition Off) 메시지를 전송한다(S255). 여기서, 운전습관 불일치 횟수에 대한 3회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자동차 제조회사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운전습관 불일치가 1회만 발생하여도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5회 이상 발생해야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부득이하게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하지 못한 운전자가 운행해야 하는 경우에 제어부(40)는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 받으며(S260), 패스워드가 올바른 경우 제어부(40)는 ECU에 림프홈(Limp-home)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하여(S261) 차량의 제한적인 운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나 패스워드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262). 여기서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의 설정은 별도의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 설정 프로그램을 통하거나 상기 설명한 운전자 선택부(10)에 운전자를 등록하는 운전자 등록 및 선택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패스워드의 입력은 차량 실내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계기판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261 단계에서 설정된 림프홈 모드는 현재 운행중인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까지 지속되며, 재시동을 하면 해제된다. 그러나 재시동 후 역시 운전자 선택부(10)에 등록하지 못한 운전자가 운행해야 한다면 제어부(40)는 또다시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할 수밖에 없으며, 차량은 림프홈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운행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제어부(40)는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하여 3회 초과하여 전송하였는지 판단하고(S270), 판단결과, 연속하여 3회를 초과하여 전송하였다면 제어부(40)는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한다(S271). 차량의 출력을 강제로 제한한 상태로 무한정 차량을 운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의 연속은 시동을 끈 후, 재시동하는 것을 1회의 기준으로 하며,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 전송에 대한 3회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자동차 제조회사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으로 2회만 전송하여도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연속으로 5회 이상 전송해야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라 할지라도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가 연속하여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중복 서술을 위해 자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100)에 적용되는 기술적 특징 및 효과들은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10: 운전자 선택부
20: 운전습관 저장부
30: 운전습관 학습부
40: 제어부

Claims (16)

  1. 운전자 등록 및 상기 등록된 운전자의 선택이 가능한 운전자 선택부;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소정시간 동안 학습하여 저장하는 운전습관 저장부;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실시간으로 학습하는 운전습관 학습부; 및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소정 회수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 ECU(Engine Control Unit)에 이그니션 오프(Ignition Off)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 전송 이후에 운전자가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ECU에 림프홈(Limp-home)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선택부는,
    복수의 운전자 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선택부는,
    UDS(United Diagnostic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운전자 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는,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 및 운전습관 학습부는,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전송 받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CU에 림프홈(Limp-home)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하여 3회를 초과하여 전송한 경우, 상기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9. (a) 운전자 선택부가 운전자를 등록하는 단계;
    (b) 운전자 선택부가 상기 등록된 운전자를 선택하는 단계;
    (c) 운전습관 저장부가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소정시간 동안 학습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운전습관 학습부가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실시간으로 학습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제어부가 상기 운전습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운전자 선택부에 의해 등록 및 선택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상기 운전습관 학습부가 학습한 현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3회 이상 일치하지 않았는지 판단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의 판단결과 소정 회수 이상 일치하지 않았다면, 제어부가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h) 제어부가 긴급 시동용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및
    (i) 제어부가 상기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운전자 선택부는,
    복수의 운전자 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운전자 선택부는,
    UDS(United Diagnostic Protocol) 프로토콜을 통해 운전자 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운전습관 저장부는,
    복수의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학습하여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및 (d)단계의 운전습관 저장부 및 운전습관 학습부는,
    차량의 각종 제어장치, 스티어링휠, 액셀레이터, 브레이크 패달, 방향 지시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전송 받아 운전습관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 이후에,
    (j) 제어부가 상기 ECU에 림프홈 모드 진입 메시지를 연속으로 3회 초과하여 전송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k) 상기 (j)단계의 판단결과 연속하여 3회를 초과하여 전송하였다면, 제어부가 상기 ECU에 이그니션 오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방법
KR1020150127528A 2015-09-09 2015-09-09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 KR10165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528A KR101655765B1 (ko) 2015-09-09 2015-09-09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528A KR101655765B1 (ko) 2015-09-09 2015-09-09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65B1 true KR101655765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528A KR101655765B1 (ko) 2015-09-09 2015-09-09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27B1 (ko) * 2018-01-09 2019-07-3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차량에 대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6039588A (zh) * 2023-03-02 2023-05-02 南京飞恩微电子有限公司 线控制动控制方法及系统
KR20230131984A (ko) 2022-03-07 2023-09-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하는 운전성향을 고려한 운전자 식별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930A (ko) * 1997-04-03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의 도난 방지방법
KR20060057680A (ko) 2004-11-24 2006-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비상시동 장치 및 방법
JP2006199192A (ja) * 2005-01-21 2006-08-03 Tokai Rika Co Ltd 車両盗難防止装置
KR20100028259A (ko) * 2008-09-04 2010-03-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2014520719A (ja) * 2011-07-19 2014-08-25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両用の制御装置、プログラミング装置およびプログラミング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930A (ko) * 1997-04-03 1998-11-16 김영귀 자동차의 도난 방지방법
KR20060057680A (ko) 2004-11-24 2006-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비상시동 장치 및 방법
JP2006199192A (ja) * 2005-01-21 2006-08-03 Tokai Rika Co Ltd 車両盗難防止装置
KR20100028259A (ko) * 2008-09-04 2010-03-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JP2014520719A (ja) * 2011-07-19 2014-08-25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両用の制御装置、プログラミング装置およびプログラミング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27B1 (ko) * 2018-01-09 2019-07-3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차량에 대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30131984A (ko) 2022-03-07 2023-09-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하는 운전성향을 고려한 운전자 식별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CN116039588A (zh) * 2023-03-02 2023-05-02 南京飞恩微电子有限公司 线控制动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0995B2 (en) Vehicle middleware
US9338170B2 (en) On board vehicle media controller
US9417834B2 (en) Occupant sharing of displayed content in vehicles
US9134986B2 (en) On board vehicle installation supervisor
US9043073B2 (en) On board vehicle diagnostic module
US9055022B2 (en) On board vehicle networking module
US9173100B2 (en) On board vehicle network security
US9081653B2 (en) Duplicated processing in vehicles
US20170078472A1 (en) On board vehicle presence reporting module
US20160255575A1 (en) Network selector in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20160114745A1 (en) On board vehicle remote control module
US20130204466A1 (en) On board vehicle networking module
US20130205412A1 (en) On board vehicle media controller
US20130205026A1 (en) Media filter in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US20130282238A1 (en) Monitoring state-of-health of processing modules in vehicles
WO2014158766A1 (en) On board vehicle networking module
WO2014158667A1 (en) Duplicated processing in vehicles
WO2014143563A1 (en) Occupant sharing of displayed content in vehicles
WO2014158672A1 (en) On board vehicle media controller
US10416665B2 (en)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and vehic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10101400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breakdown diagnosis
KR101655765B1 (ko) 차량 도난 방지용 운전습관 등록 장치 및 방법
US20240179072A9 (en) Vehicle middleware
GB2564909A (en) Message monitoring and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