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41B1 -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41B1
KR101655741B1 KR1020150044804A KR20150044804A KR101655741B1 KR 101655741 B1 KR101655741 B1 KR 101655741B1 KR 1020150044804 A KR1020150044804 A KR 1020150044804A KR 20150044804 A KR20150044804 A KR 20150044804A KR 101655741 B1 KR101655741 B1 KR 101655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mold
head
hard
cer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순주
Original Assignee
(주)국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림원 filed Critical (주)국림원
Priority to KR102015004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과 후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펀치면(S1)과 다이면(S2)을 갖는 한 세트의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하부 금형(200)에 나무 재질의 몰딩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S200)과; 프레스(300)로 상기 상부 금형(100)을 하부 금형(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경침 베개 성형체(S)를 성형하는 단계(S300)와; 상기 상부 금형(100)을 후퇴시킨 후 경침 베개 성형체(S)를 탈형하는 단계(S4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이고 상기 나무 재질의 몰딩 재료는 코르크 일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 The Wooden Pillow Producing Method }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베개는 알려진 바와 같이 사람이 누울 때 머리를 받쳐주는 침구로서 사용되나 이러한 베개는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여 장시간 사용 가능 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베개가 뒷머리 전체를 감싸고 있으므로 뒷머리의 혈액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성을 갖는 내부재료에 외피를 천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로 인하여 쿠션 때문에 머리가 편안해지기는 하나 경추를 눌러주는 지압효과를 바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384459(국림원)이 있다.
본 발명은 나무 재질의 경침 효과를 갖는 베개로서 전면 중앙과 전면 양측 의 기능이 다르고, 후면 중앙과 후면 양측의 기능이 모두 다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의 하측에 어깨를 지지하여 주는 부위가 형성되어 전면 중앙이 경추 견인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었으며, 전면의 양측이 측방 취침시 머리 지지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 후면에 원형의 서로 크기가 다른 두부 지지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안착감을 느끼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가운데 호형상의 볼록한 경추 교정부를 구성하여 일자목을 "C"자목으로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는 물리 치료 보조기구로 시용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과 후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펀치면(S1)과 다이면(S2)을 갖는 한 세트의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하부 금형(200)에 나무 재질의 몰딩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S200)과;
프레스(300)로 상기 상부 금형(100)을 하부 금형(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경침 베개 성형체(S)를 성형하는 단계(S300)와;
상기 상부 금형(100)을 후퇴시킨 후 경침 베개 성형체(S)를 탈형하는 단계(S40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나무 재질의 경침 효과를 갖는 베개로서 전면 중앙과 전면 양측 의 기능이 다르고, 후면 중앙과 후면 양측의 기능이 모두 다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전면의 하측에 어깨를 지지하여 주는 부위가 형성되어 전면 중앙이 경추 견인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었으며, 전면의 양측이 측방 취침시 머리 지지 높이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몸체 후면에 원형의 서로 크기가 다른 두부 지지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안착감을 느끼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가운데 호형상의 볼록한 경추 교정부를 구성하여 일자목을 "C"자목으로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는 물리 치료 보조기구로 시용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흐름도.
도 2(a, 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전면, 후면 사시도
도 3(a, b, c)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전면부 구성도(평면도, 중심 단면도,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후면 평면도.
본 발명에서 코르크란 나무 표피하에서 채취하는 목전질(木栓質) 물질이다. 얇은 세포막으로 구획된 독립 세포의 집합체로서, 각 세포는 공기를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기체,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으며 탄성이 풍부하고 저온성이 좋으며 또한 압축성이 풍부하다. 밀폐용 기자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나무 경침 베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흐름도. 도 2(a, 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전면, 후면 사시도, 도 3(a, b, c)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전면부 구성도(평면도, 중심 단면도,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후면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은,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과 후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펀치면(S1)과 다이면(S2)을 갖는 한 세트의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하부 금형(200)에 나무 재질의 몰딩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S200)과, 프레스(300)로 상기 상부 금형(100)을 하부 금형(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경침 베개 성형체(S)를 성형하는 단계(S300)와, 상기 상부 금형(100)을 후퇴시킨 후 경침 베개 성형체(S)를 탈형하는 단계(S400)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비와 같이, 여기서 상기 나무 재질의 몰딩 재료는 코르크(Cork)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과 후면의 형상 서로 다르고,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 형상의 가로 방향 기준선 대비 비대칭 형상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나무 경침 베개는 몸체 전면의 중간에 오목하게 만곡(彎曲)진 경추 지지부(10)와, 몸체 전면의 양측에 상기 경추 지지부(10)에 인접되며 상기 경추 지지부(10)보다 높게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머리측방 지지부(20)와, 상기 머리측방 지지부(20)의 하측 변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된 견골 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추 지지부(10)의 상측 변두리선(11)은 상기 머리측방 지지부(20)의 상측 변두리선(21)보다 내향으로 오목지게 들어가 있어 몸체 전면 중간 상측에 상측 공동부(70)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나무 경침 베개에 있어서, 몸체 후면의 일측에 오목하게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두부 지지부(40)와, 몸체 후면의 타측에 오목하게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두부 지지부(50)와, 몸체 후면의 중간에 상기 제1, 제2 두부 지지부(40, 50)보다 높게 횡방향으로 만곡지게 돌출 형성된 경추 교정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나무 경침 베개에 있어서, 베개가 몸체 전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바닥에 지지되었을때, 상기 경추 지지부(10)의 하측 중심 탑(10a)이 높고 상측 중심 단(10b)이 낮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추 지지부(10)의 상측단(10b)에 인접하여 경추 지지부(10) 상부의 경사면 연장부에 다른 경사도 또는 다른 홈 깊이로 윤곽선상 구분되게 뒷통수 지지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나무 경침 베개에 있어서, 머리측방 지지부(20)의 양단(20a, 20b)을 잇는 횡방향 가상선 보다 중간부위(20c)가 오목하게 0.5 ~ 2cm 만큼 내입진 것이 바람직하다. 평평평하거나 너무 내입지는 경우 두부의 형상 때문에 불편을 느낄 수 있다. 제1 두부 지지부(40), 제2 두부 지지부(50)는, 변두리에 상향 경사진 경사부(40b, 50b)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 편안함을 줄 수 있다. 경추 교정부(60)는 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만곡진 3 ~ 6개의 요철부(60, 60b)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상부 금형
200 : 하부 금형
10 : 경추 지지부
20 : 머리측방 지지부
30 : 견골 지지부
40 : 제1 두부 지지부
50 : 제2 두부 지지부
60 : 경추 교정부
70 : 상측 공동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과 후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펀치면(S1)과 다이면(S2)을 갖는 한 세트의 상부 금형(100)과 하부 금형(200)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하부 금형(200)에 나무 재질의 몰딩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S200)과;
    프레스(300)로 상기 상부 금형(100)을 하부 금형(200) 방향으로 가압하여 경침 베개 성형체(S)를 성형하는 단계(S300)와;
    상기 상부 금형(100)을 후퇴시킨 후 경침 베개 성형체(S)를 탈형하는 단계(S40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나무 재질의 몰딩 재료는 코르크(Cork)이고,
    상기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과 후면의 형상 서로 다르고,
    상기 경침 베개 성형체(S)의 전면 형상의 가로 방향 기준선 대비 비대칭 형상 이고,

    상기 경침 베개 성형체(S)는,
    몸체 전면의 중간에 오목하게 만곡(彎曲)진 경추 지지부(10)와,
    몸체 전면의 양측에 상기 경추 지지부(10)에 인접되며 상기 경추 지지부(10)보다 높게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머리측방 지지부(20)와,
    상기 머리측방 지지부(20)의 하측 변두리에 오목하게 형성된 견골 지지부(30)와,
    상기 경추 지지부(10)의 상측 변두리선(11)이 상기 머리측방 지지부(20)의 상측 변두리선(21)보다 내향으로 오목지게 들어가 있음으로써 몸체 전면 중간 상측에 형성된 상측 공동부(70)와,
    몸체 후면의 일측에 오목하게 원형으로 형성된 제1 두부 지지부(40)와,
    몸체 후면의 타측에 오목하게 원형으로 형성된 제2 두부 지지부(50)와,
    몸체 후면의 중간에 상기 제1, 제2 두부 지지부(40, 50)보다 높게 횡방향으로 만곡지게 돌출 형성된 경추 교정부(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베개가 몸체 전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바닥에 지지되었을때,
    상기 경추 지지부(10)의 하측 중심 탑(10a)이 높고 상측 중심 단(10b)이 낮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10)의 상측단(10b)에 인접하여 경추 지지부(10) 상부의 경사면과 구분되게 뒷통수 지지부(1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측방 지지부(20)의 양단(20a, 20b)을 잇는 횡방향 가상선 보다 중간부위(20c)가 오목하게 0.5 ~ 2cm 만큼 내입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부 지지부(40), 제2 두부 지지부(50)는,
    변두리에 상향 경사진 경사부(40b, 50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 양측면에 내장홈(80)과 내장홈 개폐용 뚜껑을 형성하여
    상기 내장홈(80)에 향기 또는 음이온을 발산하는 쑥, 약초, 식물, 광물을 삽입하고 내장홈 개폐용 뚜껑을 닫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KR1020150044804A 2015-03-31 2015-03-31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KR101655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04A KR101655741B1 (ko) 2015-03-31 2015-03-31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04A KR101655741B1 (ko) 2015-03-31 2015-03-31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41B1 true KR101655741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804A KR101655741B1 (ko) 2015-03-31 2015-03-31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937B1 (ko) 2017-03-28 2018-10-01 김주일 바른 자세 교정을 위한 일체형 도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326A (ko) * 2000-10-23 2002-05-01 백재수 건강베개
KR20100083685A (ko) * 2009-01-14 2010-07-22 김종돈 베개
KR20110069333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아이자 베개의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525809B1 (ko) * 2014-04-29 2015-06-09 (주)국림원 비대칭 경사형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326A (ko) * 2000-10-23 2002-05-01 백재수 건강베개
KR20100083685A (ko) * 2009-01-14 2010-07-22 김종돈 베개
KR20110069333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아이자 베개의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525809B1 (ko) * 2014-04-29 2015-06-09 (주)국림원 비대칭 경사형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937B1 (ko) 2017-03-28 2018-10-01 김주일 바른 자세 교정을 위한 일체형 도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197Y1 (ko) 지압 베개
EP1613199B1 (en) Sleep apnea avoidance process and apparatus
CN105283100A (zh) 功能性枕头
TWM552320U (zh) 健康枕
CN206995017U (zh) 组合式枕头
KR101655741B1 (ko) 프레스 금형을 이용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제조 방법
KR101549384B1 (ko) 구조 개선된 다기능 나무 경침 베개
WO2024077788A1 (zh) 拼接模压成型枕芯及其模压成型方法
CN202355010U (zh) 可调式座椅音频保健颈枕
KR101768611B1 (ko) 체압 분산형 인체공학 베개
WO2020177191A1 (zh) 一种双阶段式可调节多功能抗皱枕芯
CN210748331U (zh) 一种双面可用的透气乳胶床垫
CN204764650U (zh) 一种记忆回弹枕
CN209995811U (zh) 一种双阶段式可调节多功能抗皱枕芯
CN209610680U (zh) 一种人体工学软硬分区乳胶枕
CN201256829Y (zh) 具有仰卧和侧卧生理曲度的颈椎保健枕
CN105877337A (zh) 一种可以产生负氧离子的乳胶枕
JP2006055383A (ja) うつ伏せでも快適寝用枕
CN212307446U (zh) 一种蝶形枕头
WO2019218144A1 (zh) 颈枕及颈枕枕芯
CN203468167U (zh) 健康睡眠枕
CN215015841U (zh) 一种可调节使用高度的枕头
KR100787992B1 (ko) 하그베개
CN218551887U (zh) 可自行调节局部硬度与高度的床垫
CN210433240U (zh) 一种可适应多种睡姿的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