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313B1 -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 Google Patents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313B1
KR101655313B1 KR1020150188469A KR20150188469A KR101655313B1 KR 101655313 B1 KR101655313 B1 KR 101655313B1 KR 1020150188469 A KR1020150188469 A KR 1020150188469A KR 20150188469 A KR20150188469 A KR 20150188469A KR 101655313 B1 KR101655313 B1 KR 10165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layer
pipe
layer
filtration
residu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4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공승배
지훈
박승도
박세영
Original Assignee
(주)대일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이앤지 filed Critical (주)대일이앤지
Priority to KR102015018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3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An infiltration trench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iltration trench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comprises: a precipitation tank in which rainwater flows to be stored; a pollutant removing tank removing pollutants by enabling rainwater to flow in from the precipitation tank; an infiltration trench having a plurality of filter layers, and removing pollutants within rainwater by enabling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pollutant removing tank to pass through the filter layers in order to remove pollutants within the rainwater; and a monitoring unit determining a water level of remaining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 layers.

Description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침투도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 오염물의 제거가 가능하며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infiltration ditches, and more particularly, to infiltration ditches capable of removing high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and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주지된 바와 같이, 도시 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點汚染源; point pollution source)과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점오염원은 가정하수, 공장폐수와 같이 오염배출원이 하나의 점으로 표현될 수 있는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지는 오염원을 말하며,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한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As is well known, pollution sources generated in urban areas are classified into point pollution source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mong them, the point pollution source refers to a pollutant source having a specific discharge route such as domestic sewage and factory waste water, which can be expressed as a single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re classified into unspecified places such as cities, roads, farmland, It refers to the source of emission of a water pollutant.

상기 비점오염원은 생활하수나 공장폐수처럼 특정한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점오염원과 달리 산재되어 있어, 오염원의 정확한 유출경로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유입이 비지속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 배출량이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오염물질이 희석,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are scattered unlike the point pollution sources that are continuously generated at specific points such as domestic sewage or factory wastewater,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accurate outflow route of the pollution source and the inflow is characterized as non-persistent.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collect pollutant outflow and discharge route clearly, and it is difficult to collect pollutant, and the amount of emission and the amount of emission depend greatly on weather conditions such as precipitation and the pollutant is diluted and diffused and is discharged to a large area.

종래의 경우 비점오염원의 유출이 강우 시에만 집중되고 오염원이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원으로서의 그 중요성이 인식되지 못하였다. 그런데 초기 우수(first-flush) 유출수는 비점요염물질의 유출농도가 높고 특히 도시 지역의 경우 중금속 등의 독성물질 함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적절한 제어방안이 요구되고 있다.Conventionally, since the outflow of nonpoint source is concentrated only at the time of rainfall and dispersed in a wide area, the importance of the source as a source is not recognized. However, the first-flush effluent has a high effluent concentration of the non-point-blanking material, and in the case of urban areas, the possibility of containing toxic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is high and appropriate control method is required.

특히 비점오염원에서 강우와 더불어 유출되는 토사, 영양염류, 고농도의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은 수집 처리가 어려운데 특별한 처리 없이 바로 하천으로 유입되면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pollutants such as soil, nutrients, and heavy metals that leach out along with rainfall in nonpoint sources are difficult to collect, and if they enter the river directly, they can contaminate water quality.

현재 알려진 바로는 비점오염원을 저감하는 시설로서 저류형, 침투형, 식생형, 장치형, 하수 처리형 등이 있으나 이는 오염수에 함유되어 있는 특정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원을 제거함과 동시에 비점오염원이 제거된 우수를 지하수로 유도할 수 있는 침투도랑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Currently known as a facility to reduce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there are reservoir type, permeation type, vegetation type, device type, sewage treatment type, etc. However, since it is to remove a specific pollution source contained in the polluted wa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filtration ditch that can lead rainwater that has no nonpoint source to groundwater.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40333호(2012.12.31.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침투도랑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 related art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40333 (published on Dec. 31, 2012), and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of penetration ditch

. .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 오염물의 제거가 가능하며 시설 내에 침투하지 못한 잔류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iltration ditch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capable of removing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and confirming presence or absence of residual water that has not infiltrated into the faci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은, 우수를 유입하여 저장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로부터 우수를 유입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오염물 제거조; 다수의 여과층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물 제거조를 통과한 우수가 상기 다수의 여과층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여 우수 내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침투도랑; 및 상기 다수의 여과층에 포함된 잔류수의 수위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The infiltration ditch having a monitor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ling tank for inflowing and storing stormwater; A contaminant removing tank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introducing stormwater from the settling tank; A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wherein the storm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taminant removal tank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in the stormwater; And a monitoring unit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이때, 상기 침투도랑은, 상기 오염물 제거조의 상부에 결합된 그레이팅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침투도랑의 상부 층을 형성하며 자갈로 구성되는 제1 여과층; 상기 제1 여과층의 하부에서 상기 침투도랑의 중간 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여과층보다 입경이 큰 자갈로 구성되는 제2 여과층; 상기 제2 여과층의 하부에서 상기 침투도랑의 하부 층을 형성하며, 모래로 구성되는 제3 여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여과층의 깊이는 상기 제2 여과층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여과층의 깊이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the infiltration ditch includes a first filtration layer formed in parallel with a grating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contaminant removal trough, forming a top layer of the infiltration trench and being made of gravel; A second filtration layer formed of gravel having a particle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and forming an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permeation ditch and the first filtration layer; And a third filtration layer formed of sand to form a lower layer of the infiltration ditch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wherein a depth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is smaller than a depth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is formed larger than the depth of the third filtration layer.

또한, 상기 제1 여과층과 상기 제2 여과층의 사이에는 제1 섬유필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여과층과 상기 제3 여과층의 사이에는 제2 섬유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여과층의 하부에는 제3 섬유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fiber filt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 second fiber filter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A third fiber filter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ayer.

또한, 상기 침전조 외부의 우수를 상기 침전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관; 상기 침전조 내부의 우수를 상기 오염물 제거조로 유입시키는 제2 유입관; 상기 침전조 내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잔류수 배출관; 및 상기 제1 유입관과 동일 높이상에서 상기 제1 유입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입관은 상기 제1 유입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유입관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잔류수 배출관은 상기 제1 유입관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침전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상향 배치되고, 상기 잔류수 배출관의 출구 측에는 잔류수의 배수를 위해 자갈로 형성된 잔류수 배재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입관의 높이는 상기 그레이팅 및 상기 제1 여과층의 상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stormwater outside the sedimentation tank flows into the sedimentation tank; A second inlet pipe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in the settling tank to 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A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in the sedimentation tank; And a bypass tube instal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inlet pipe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inlet pipe, wherein the second inlet pipe is locat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inlet pipe at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let pipe Wherein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is disposed at a lower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edimentation tank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flow pipe and is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And a height of the second inflow pipe may be equal to an upper height of the grating and the first filtration layer.

또한, 상기 제2 유입관의 전방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의 하단은 상기 제2 유입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의 상단은 상기 제2 유입관과의 사이에 형성된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연결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며, 각각이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사각프레임을 포함하는 한 쌍의 스크린 유닛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유닛을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볼트 및 너트로 나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The low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flow pipe, and the upp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flow pipe The angle adjusting screen includes a rectangular connection fram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connection fram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in the connection frame, A pair of screen units including a rectangular frame coupled to a rim of the mesh member and a fixing member screwing the pair of screen units with bolts and nuts to fix the pair of screen units to the connection frame.

또한, 상기 오염물 제거조는, 원지반층의 상부에 설정 높이로 형성된 모래 바닥층으로부터 상하로 간격부를 형성하도록 세워 설치되는 간격 형성부재; 및 상기 간격 형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되, 전, 후, 좌, 우 및 상하로 다수 개가 조립되어 연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올라이트 또는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여재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오염물 제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는 상기 간격 형성부재의 상단에서 적어도 2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되, 다수 개 중 전방에 연결된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여재가 채워진 상태로 조립되고, 다수 개 중 후방에 연결된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의 수용공간은 상기 여재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오염물 제거조의 상단은 상기 제2 유입관의 하단과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minant removing unit may include an interval forming member installed upright from the bottom of the ground to form a space above and below the bottom of the s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contaminant removing device having a receiving space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gap forming memb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ont, rear, left, right and upper and lower parts can be assembled and connected and filled with a filter material made of zeolite or fiber, Wherein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layers are stacked at the upper end of the gap forming member, and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the contaminants removing device is filled with the filter material And the upper end of the contaminant removal tank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flow pipe.

또한,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박스 하우징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결 돌기와, 서로 이웃하는 나머지 2개의 상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돌기가 끼움 고정되는 연결 홈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 하우징의 내측 면에는 다수 개의 종방향 리브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종방향 리브는 아래로 갈수록 돌출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박스 하우징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원통형 홈이 마련되며, 상기 박스 하우징의 바닥 면에는 다수 개의 배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종방향 리브의 하단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가 구비되되, 상기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는 상기 박스 하우징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되 상호 교차하여 격자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pollutant removing apparatus includes a box housing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he box housing including a pair of connecting protrusions projecting outwardly from two adjacent upper rims,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x housing with a gap therebetween, the longitudinal ribs having a protruding width gradually increasing from a lower position to a lower position,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box housing and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Wherein 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are provided, Doedoe upwardly project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can be mutually cross to form a lattice pattern.

또한, 상기 침투도랑을 통해 정화된 정화수를 수집하는 정화수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 수집부는, 상기 제1 여과층, 상기 제2 여과층 및 상기 제3 여과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단에 개폐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는 수직관통관; 상기 수직관통관의 하단과 연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3 여과층의 하부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정화수를 집수하는 유공관; 상기 수직관통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여과층의 상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관; 상기 하향 경사관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관; 및 상기 수평 연장관에 입구 측이 착탈 결합되며, 상기 제1 여과층의 상부에 설치된 수납 케이스에 밀폐 보관되며 정화수를 채수하도록 상기 수평 연장관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수집용기;를 포함한다. The purified water collecting unit collects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infiltration ditch. The purified water collecting unit is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A straight pipe penetrating opening having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 purge pip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end of the straight pipe, and arranged to be laterally extend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third filter layer to collect purified water; A downwardly inclined tube extending from the vertical tube and being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A horizontal extension pip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downward slanting pipe; And a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and is disposed horizontally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so as to be enclosed in a storage cas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and to collect purified water.

또한, 상기 제1 여과층의 폐색시, 상기 제2 여과층 쪽으로 우수를 강제로 배수시키는 강제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제 배수부는, 박스 형상의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단에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몸체 프레임; 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하단에 마련된 강제 배수 홀과 일단부는 연통하여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여과층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여과층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강제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상면부는 타공이 형성된 메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몸체의 측면부는 상, 하단이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부의 하단은 타공이 없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의 상단는 타공이 형성된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 forced drainage section for forcibly draining the rainwater towar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wh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is closed, wherein the forced drainage section includes: a box-shaped receiving body; A body frame including a cover coupled thereto; And a forced drain pip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fram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rced drain ho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ormed in the second filter layer and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filter layer,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of a mesh having a perfora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wherein a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portion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no perforation, And may be formed of a mesh formed with perforations.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여과층, 상기 제2 여과층 및 상기 제3 여과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잔류수 유입 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여과층 상부로 상향 돌출된 관측관; 상기 관측관의 상단에 ㄱ형상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 축이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의 반대 편에 케이블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돌기에 인접하여 화살 형상의 방향 안내부가 마련된 지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팔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측관 내부의 잔류수 수위변화에 따라 승, 하강하는 부레;를 포함한다.
The monitor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iltration layer, a second filtration layer, and a third filtration layer vertically penetrating the first filtration layer,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Observation tubes; A support member fixed in a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observation tube; A pointing member having a pivoting shaft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one end of the cabl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ivoting shaft, and an arrow-shaped direction guiding portion provided adjacent to the fixing protrusion; A pulley rotatably coupled to the cantilevere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guiding movement of the cable; And a boom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and rising and falling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sidual water level inside the observation pipe.

본 발명에 의하면, 고농도 오염물의 제거가 가능하며 시설 내의 잔류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and have a monitoring function to check presence or absence of residual water in the facil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침전조와 침투도랑 사이에 고농도 오염물 제거조를 형성하여, 초기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침투도랑에 도달하기 전에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침투도랑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해 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 removing tank is formed between the settling tank and the infiltration trench so that the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flowing inflow can be removed before reaching the infiltration trench.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infiltration ditch, and the maintenance work can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갑작스러운 국지성 호우 등에 의해 많은 협잡물 유입 또는 유지관리 미흡으로 인해 침투도랑의 상부 잔 골재 여과층이 폐색되어 침투도랑 하부로의 우수 유입 어려울 때 하부 굵은 골재 여과층 쪽으로 강제 배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a sudden localized heavy rain or the like,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or insufficient maintenance causes insufficient permeation of the upper upper aggregate filtration layer to the infiltration ditch lower part, and forced drainage to the lower coarse aggregate filtration layer There ar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침투도랑의 주기적인 수질 분석이 가능하여 시설의 상태 및 주변의 수질 악화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analyze the water quality of the infiltration trench, and thu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state of the facility and deterioration of the surrounding water qualit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침투도랑의 신속한 시설상태 점검을 위하여 침투도랑의 여과층에 포함된 잔류수의 수위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contained in the filtration layer of the infiltration ditch can be determined in order to quickly check the infiltration ditch facility cond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투도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투도랑에서 오염물 제거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제거조에 이용되는 오염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염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스크린의 측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수 수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 배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enetration tr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taminant removal tank in an infiltration tr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aminant removal apparatus used in a contaminant remova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angle adjustmen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n angle adjus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urified water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forced drain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onito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침투도랑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filtration tr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투도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enetration tr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침투도랑(1)은 침전조(100), 오염물 제거조(200), 침투도랑(300), 모니터링부(350)를 포함한다. 1, the infiltration ditch 1 includes a sedimentation tank 100, a contaminant removal tank 200, a penetration trench 300, and a monitoring unit 350.

상기 침전조(100)는 우수를 유입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dimentation tank 1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storms.

상기 오염물 제거조(200)는 상기 침전조(100)로부터 우수를 유입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200 functions to remove contaminants by introducing stormwater from the settling tank 100.

특히, 강우 시 초기 우수에 포함된 고농도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여, 침투도랑(300) 전체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분적인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해 질 수 있다. Particularly, it can be installed in order to collect high concentration pollutants included in the initial rainfall at the time of rainfall and to prevent clogging of the entire penetration ditch 300, so that partial maintenanc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상기 침투도랑(300)은 다수의 여과층(311, 313, 315)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물 제거조(200)를 통과한 우수가 상기 다수의 여과층(311, 313, 315)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여 우수 내의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The infiltration ditch 300 includes a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311, 313 and 315 so that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contaminant removal tank 200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layers 311, 313 and 315 in order So that contaminants in the storm can be removed.

상기 모니터링부(350)는 상기 다수의 여과층(311, 313, 315)에 포함된 잔류수의 수위를 판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우 종료 후 침투도랑(300) 내의 잔류수의 유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침투도랑(300) 외부에서 잔류수의 수위를 판별하여 유지관리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350 may provide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311, 313, and 315.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mptly and accurately confirm the presence of the residual water in the infiltration ditch 300 after the end of rainfall. Particularly, the maintenance level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outside the infiltration ditch 300.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침투도랑(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과층(311), 제2 여과층(313), 그리고 제3 여과층(3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infiltration ditch 300 may include a first filtration layer 311, a second filtration layer 313, and a third filtration layer 315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여과층(311)은 상기 오염물 제거조(200)의 상부에 결합된 그레이팅(210)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침투도랑(300)의 상부 층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여과층(311)은 후술될 제2 여과층(313)을 구성하는 자갈에 비해 입경이 작은 자갈, 예를 들면 25mm의 자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is preferably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rating 210 coupled to the top of the contaminant removal tank 200 and forms an upper layer of the permeation trench 300. Preferably,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may be composed of a gravel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at of the gravel constituting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25 mm of gravel.

상기 제2 여과층(313)은 상기 제1 여과층(311)의 하부에서 상기 침투도랑(300)의 중간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여과층(311)보다 입경이 큰 자갈, 예를 들면 40mm의 자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may form an intermediate layer of the infiltration ditch 300 below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And gravel having a particle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for example, 40 mm gravel.

그리고 상기 제3 여과층(315)은 상기 제2 여과층(313)의 하부에서 상기 침투도랑(300)의 하부 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 여과층(311) 및 상기 제2 여과층(313)과는 달리 모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filtration layer 315 forms a lower layer of the infiltration ditch 300 below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sand.

이와 함께, 상기 제1 여과층(311)의 깊이는 상기 제2 여과층(311)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여과층(315)의 깊이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depth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may be less than the depth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1 and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third filtration layer 315.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우수는 제1 여과층(311), 제2 여과층(313), 그리고 제3 여과층(315)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물, 즉 정화수로 배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rm can be discharged as purified water, that is, purifi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315 in order.

나아가, 상기 제1 여과층(311)과 상기 제2 여과층(313)의 사이에는 제1 섬유필터(3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여과층(313)과 상기 제3 여과층(315)의 사이에는 제2 섬유필터(3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여과층(315)의 하부에는 제3 섬유필터(316)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a first fiber filter 312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A second fiber filter 314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filter layer 313 and the third filter layer 315. A third fiber filter 316 may be formed below the fourth filter layer 315.

여기서, 상기 제1, 2, 3 섬유필터(312, 314, 316)는 상기 제1, 2, 3 여과층(311, 313, 315) 각각의 바닥 경계부위에 부설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ber filters 312, 314, and 316 are members attached to bottom boundary por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lter layers 311, 313, and 315, respectively.

상기 침전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입관(110), 제2 유입관(120), 잔류수 배출관(130), 그리고 바이패스관(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he sedimentation tank 100 may include a first inlet pipe 110, a second inlet pipe 120, a residual water outlet pipe 130, and a bypass pipe 150 .

상기 제1 유입관(110)은 상기 침전조(100) 외부의 우수를 상기 침전조(1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The first inlet pipe 110 may allow the rainwater outside the sedimentation tank 100 to flow into the sedimentation tank 100.

상기 제2 유입관(120)은 상기 침전조(100) 내부의 우수를 상기 오염물 제거조(20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The second inlet pipe 120 serves to introduce the rainwater in the settling tank 100 into 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200.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유입관(120)은 상기 제1 유입관(110)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유입관(110)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입관(110)의 하단 높이와 상기 제2 유입관(120)의 상단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second inflow pipe 120 may b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inflow pipe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flow pipe 110,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nflow pipe 110 and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flow pipe 120 may be the same.

또한, 상기 제2 유입관(120)의 높이는 상기 그레이팅(210) 및 상기 제1 여과층(311)의 상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제2 유입관(120)을 통해 유동하는 우수가 상기 오염물 제거조(200)를 서서히 통과하며 1차적으로 고농도 오염물질이 제거되면서 상기 침투도랑(300)까지 유동하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The height of the second inflow pipe 120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grating 210 and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This structure allows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inflow pipe 120 to gradually pass through the contaminant removal tank 200 and to flow to the infiltration trench 300 while primarily removing the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상기 잔류수 배출관(130)은 상기 침전조(100) 내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배관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유입관(110)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침전조(10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상향 배치되는 것이 좋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130 is a pipe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in the sedimentation tank 100 and is preferably dispos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dimentation tank 1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flow pipe 110 It is good.

또한, 상기 잔류수 배출관(130)의 출구 측에는 상기 침전조(100)로부터 배출된 잔류수가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자갈로 구성된 잔류수 배재층(140)이 설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잔류수 배재층(140)을 구성하는 자갈의 입경은 전술한 제2 여과층(313)을 구성하는 자갈의 입경과 같은 것이 좋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ing pipe 130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residual water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tank 100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 specific example, the particle size of the gravel constituting the residual water distribution layer 14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particle size of the gravel constituting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바이패스관(150)은 상기 제1 유입관(110)과 동일 높이상에서 상기 제1 유입관(1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bypass pipe 15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inflow pipe 110 on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inflow pipe 110.

한편, 상기 제2 유입관(120)의 전방에는 상기 2 유입관(120)에 마주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 스크린(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n angle adjusting screen 160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inflow pipe 120 so as to be inclined to face the two inflow pipes 120.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160)의 하단은 상기 제2 유입관(12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160)의 상단은 상기 제2 유입관(120)과의 사이에 형성된 경사각(a)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사각(a)이 조절된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160)의 상단은 원터치 방식으로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160 may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let pipe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16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pipe 120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a can be adjusted. More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160, whose angle of incline (a) is adjusted, is positioned and fixed in a one-touch manner.

일 예로서,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16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163), 한 쌍의 스크린 유닛(161), 고정부재(1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ngle adjusting screen 160 may include a connecting frame 163, a pair of screen units 161, and a fixing member 165, as shown in FIGS. 5 and 6.

상기 연결 프레임(163)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즉,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163 may have a rectangular (i.e., rectangular) structure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한 쌍의 스크린 유닛(161)은 상기 연결 프레임(163)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각각의 스크린 유닛(16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메쉬부재(161a)와 상기 메쉬부재(161a)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사각프레임(16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스크린 유닛(161)이 좌우로 연결되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이와 다른 개수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크린 유닛(16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 of screen units 16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in the connection frame 163. Each of the screen units 161 includes a mesh member 161a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 5, And a rectangular frame 161b coupled to the rim of the mesh member 161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ir of screen units 161 are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reen units 161 connected in different numbers.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스크린 유닛(16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 프레임(163)에 다수의 고정부재(165)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The pair of screen units 161 may be fixed to one connection frame 163 us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65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는 고정부재(165)와 연결프레임(163)은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167)(예: 볼트 스크류 등)와, 상기 볼트(167)의 관통부위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68)(예: 나비너트 등) 간의 고정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165 and the connection frame 163 have bolts 167 (for example, a bolt screw or the like) passing therethrough and nuts 168 (for example, Butterfly nuts, etc.).

한편, 상기 오염물 제거조(200)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투도랑에서 오염물 제거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taminant removal tank in an infiltration tr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오염물 제거조(200)는 원지반층(270, 도 1 참조)의 상부에 설정 높이로 형성된 모래 바닥층(260, 도 1 참조), 이의 상부로 세워 설치되는 간격 형성부재(240),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의 상단에 다수 층을 이루어 결합되는 오염물 제거장치(220),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의 상부를 덮어 형성되는 그레이팅(210)을 포함한다. 2, the contaminant removal apparatus 200 includes a sand bottom layer 260 (see FIG. 1)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layer 270 (see FIG. 1) A contaminant removal device 2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ap forming member 240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and a grating 21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220.

상기 그레이팅(210)은 상기 제2 유입관(120)의 하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수평 배치될 수 있다. The grating 210 may be formed in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flow pipe 120 and horizontally disposed.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는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의 하단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며 바닥으로부터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의 하부까지 소정 높이의 빈 공간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로써,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를 통과하여 배수된 우수는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에 의해 만들어진 소정 높이의 빈 공간으로 모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의 하부에 형성된 모래 바닥층(260, 도 1 참조)을 거쳐 이와 접하는 제2 여과층(313, 도 1 참조)으로 배수될 수 있다. 즉, 모래 바닥층(260, 도 1 참조)에 비해 자갈로 구성되는 제2 여과층(313, 도 1 참조)의 공극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배수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The gap forming member 24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ollutant removing device 220 and the bottom of the gap forming member 240 and forms a hollow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llutant removing device 220. As a result,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ollutant removal device 220 is collected into the empty space of the predetermined height made by the gap-forming member 240, and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ap- Can be drained to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see FIG. 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and bottom layer 260 (see FIG. 1). That is, since the pores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see FIG. 1) made of gravel are relatively large as compared with the sand bottom layer 260 (see FIG. 1), drainage can occur.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는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의 상단에 결합되되, 전, 후, 좌, 우 및 상하로 다수 개가 조립되어 연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의 내부에는 제올라이트 또는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여재(230)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221)이 마련될 수 있다. The pollutant removing device 2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gap forming member 240,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e-, post-, left-, right-, and upper- In addition, 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220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221 in which a filter material 230 made of zeolite or fiber can be filled.

구체적으로는,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는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의 상단에서 적어도 2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2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layers are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gap-forming member 24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다수 개 중에서 전방에 연결된 오염물 제거장치(220)(즉, 도 2의 좌측에 위치한 4개의 오염물 제거장치)에는 여재(230)가 채워진 상태로 조립되며, 다수 개 중에서 후방에 연결된 오염물 제거장치(220)는 수용공간(221)에 여재(230)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ollutant removing device 220 connected to the fron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the pollutant removing devices 220 (that is, the four pollutant removing device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FIG. 2) is assembled in a state filled with the filter media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oval device 220 is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dium 230 is not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1.

이는, 제2 유입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우수의 유동방향이 전방에서 후방(즉, 도 2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인 것을 고려할 때 전방에 배치된 오염물 제거장치(220)에는 여재(230)를 채워 고농도의 오염물을 선행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후방에 배치된 오염물 제거장치(220)는 우수에 남아 있는 오염물을 후 순위로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단계로 나누어 고농도 오염물을 제거하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Considering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inflow pipe 120 i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at is, from left to right in FIG. 2), the contaminant removal device 220 disposed at the front is provided with the filter material 230 The pollutant removing device 220 disposed in the rear part serves to remove contaminants remaining in the backward order and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So that the effect of removing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can be ensu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 제거조에 이용되는 오염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염물 제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22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하우징(222)을 포함한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aminant removal apparatus used in a contaminant removal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taminant removal apparatu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decontamination apparatus 220 includes a box housing 222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receiving space inside.

상기 박스 하우징(222)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결 돌기(223a)와, 서로 이웃하는 나머지 2개의 상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돌기가 끼움 고정되는 연결 홈(22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 개의 박스 하우징(222)은 동일 높이상에서 전, 후, 좌, 우로 연결되어 넓은 면적에 대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box housing 222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protrusions 223a protruding outward from two adjacent upper rims and a connection protrusion 223b provided on the remaining two upper rims adjacent to each other, (223b).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ox housings 222 are connected to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on the same height,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a wide area.

또한, 상기 박스 하우징(222)의 내측 면에는 다수 개의 종방향 리브(22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종방향 리브(225)는 아래로 갈수록 돌출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22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x housing 222 with a gap therebetween. The longitudinal ribs 225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projecting widt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bottom.

이에 따라, 상기 박스 하우징(222)은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면서도 우수 및 고농도의 오염물이 함께 수용될 경우에도 측면이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 하우징(222)에 여재를 채울 경우에도 설치 이용 시 필요한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when the box housing 222 is made of a lightweight plastic material and the contaminants of high and high concentrations are accommodated together, the box housing 222 may not be damaged or damaged. Further, even when the box material is filled in the box housing 222,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ructural strength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use.

또한, 상기 박스 하우징(222)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원통형 홈(224)이 마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4개의 원통형 홈(224)이 박스 하우징(222)의 하부 각각의 모서리를 통해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원통형 홈(224)을 통해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 홈(224)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간격 형성부재(240)와의 결합 시 별도로 결합상의 방향성을 요구하지 않아 신속하게 체결이 가능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box housing 222 may be provided with cylindrical grooves 224 at lower corners of the box housing 222. Specifically, four cylindrical grooves 224 may be provided one by one through respective lower corners of the box housing 222 And the upper end of the gap forming member 240 can be coupled through the cylindrical groove 224. [ Here, since it is a cylindrical groove 224, it is advantageous that directionality of the coupling direction is not required separately at the time of coupling with the gap-forming member 240, so that fastening can be performed quickly.

그리고 한편, 상기 박스 하우징(222)의 바닥 면에는 다수 개의 배수 홀(227)이 형성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drain holes 227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housing 222.

만일 수용공간(221)을 통해 여재(230, 도 2 참조)가 채워진 경우라면 상기 여재(230, 도 2 참조)를 통과하며 오염물이 걸러진 우수가 상기 배수 홀(227)을 통해 아래로 배출될 것이다. If the filter material 230 (see FIG. 2) is filled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221,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material 230 (see FIG. 2) and the polluted matter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drain hole 227 .

이와 달리 만일 수용공간(221)이 비워진 상태로 이용되는 경우라면 상기 배수 홀(227)의 사이즈에 의해 오염물이 걸러지고, 오염물이 제거된 우수만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배수 홀(227)의 개수, 형상, 배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In contrast, if the receiving space 221 is used in an empty state, the contaminants may be filtered by the size of the drain hole 227, and only the contaminants may be discharged downwar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227,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한편, 상기 박스 하우징(220)의 바닥 면에는 앞서 설명한 종방향 리브(225)와 함께 구조적인 보강을 위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226, 도 4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housing 2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226 (see FIG. 4) formed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together with the longitudinal ribs 225 described above.

상기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226, 도 4 참조)는 상기 다수 개의 종방향 리브(225)의 하단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상기 박스 하우징(222)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바닥 면의 구조 강도를 강화시킨다. The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226 (see FIG. 4) may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225,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housing 222, Strengthen structural strength.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226, 도 4 참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3개가 형성되고, 이와 교차하여 가로 방향으로 3개가 형성되어 상호 교차된 부위에서 격자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ree bottom protrusions 226 (see FIG. 4)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ree lateral protrusions 226 .

이는 박스 하우징(220)의 바닥 면 중에서 상기 격자 무늬가 형성된 가운데 부위에서 무게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바닥돌출부(226)를 조밀하게 형성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is is because the bottom protrusion 226 is densely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x housing 220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weight load can be concentrat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x housing 220 where the grid pattern is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오염물 제거조(200, 도 2 참조)는 초기에 유입되는 우수에 고농도의 오염물이 포함되어 있어, 침투도랑의 여과층에 도달하기 전에 여재(230) 및 오염물 제거장치(220)를 통해 고농도의 오염물을 제거한 다음, 이후에 유입되는 우수는 침투도랑의 여과층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오염물 제거조(200, 도 2 참조)의 상단은 침전조(100, 도 1 참조)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관(120)의 하단과 동일 높이로 형성됨과 동시에, 제1 여과층(311)과 나란한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초기 우수에 포함된 고농도의 오염물이 오염물 제거조(200, 도 2 참조)에서 제거된 이후 유입되는 우수는 다수의 여과층으로 구성된 침투도랑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200 (see FIG.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contaminants of a high concentration at the initial stage, and is supplied to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220 through the filter media 230 and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220 After removing the high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the subsequent inflow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layer of the infiltration ditch. 2)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flow pipe 120 into which the rainwater flows from the settling tank 100 (see FIG. 1), and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the inflowing rainwater after the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are removed from the contaminant removal tank 200 (see FIG. 2)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filtration tren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will be.

이에 따라, 초기 우수에 고농도의 오염물이 포함되고, 이러한 우수가 침투도랑의 여과층에 곧장 유입됨에 따라 여과층이 폐색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으며, 여과층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관리 포인트를 최소화하여 시설의 관리가 탁월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iltration layer is blocked due to the high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and that the rainwate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layer of the infiltration ditch, and the cost of replacement of the filtration layer can be reduced. In addition, management points can be minimized, and facility management can be advantageou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침투도랑은 침투도랑(300)을 통해 정화된 정화수를 수집하는 정화수 수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filtration d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urified water collection unit 330 for collecting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infiltration ditch 300.

상기 정화수 수집부(330)는 강우 시 침투도랑(300)을 통과하여 정화된 물, 즉 정화수를 수두 차를 이용하여 채수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purified water collecting unit 330 collects purified water, that is, purified water, through the penetration ditch 300 during rainfall using the water head differenc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수 수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수 수집부(330)는 수직관통관(331), 유공관(333), 하향 경사관(331b), 수평 연장관(331c), 수집용기(3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7 is a view showing a purified water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ified water collecting unit 330 may include a vertical pipe 331, a pipe 333, a downward pipe 331b, a horizontal pipe 331c, and a collecting container 335 .

상기 수직관통관(331)은 상기 제1 여과층(311, 도 1 참조), 상기 제2 여과층(313, 도 1 참조) 및 상기 제3 여과층(315, 도 1 참조)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단에 개폐 가능한 커버(331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tube 331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see FIG. 1),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see FIG. 1)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315 And may have a cover 331a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upper end.

상기 유공관(333)은 상기 수직관통관(331)의 하단과 연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3 여과층(315, 도 1 참조)의 하부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정화수를 집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erforated pipe 333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331 and may be formed to be long from the bottom of the third filtration layer 315 (see FIG. 1) to collect purified water.

한편, 상기 수직관통관(33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여과층(311, 도 1 참조)의 상부로 하향 경사지게 하향 경사관(33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향 경사관(331b)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관(331c)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 downward slanting pipe 331b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vertical straightening pipe 331 and be inclined downwar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ing layer 311 And a horizontal extension pipe 331c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331b.

그리고 정화수를 채수하는 수집용기(335)는 상기 수평 연장관(331c)에 입구 측이 착탈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수평 연장관(331c)에는 수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집용기(335)의 입구 측에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서로 간의 체결에 의해 수집용기(335)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331c is provided with a male thread, and the collecting container 335 for collecting the purified wat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331c. For example, 335 may be provided with female threads to couple or separate the collection container 335 by fastening them to each other.

상기 수집용기(335)는 상기 제1 여과층(311)의 상부에 설치된 수납 케이스(334)에 밀폐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용기(335)는 상기 수평 연장관(331c)과 나란하게 가로로 누워 수평 배치될 수 있다. The collection container 335 may be hermetically stored in a storage case 334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The collection container 335 may be horizontally laid laterally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331c.

이와 같이, 수집용기(335)는 상기 수납 케이스(334)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며, 상기 수평 연장관(331c)과의 체결에 의해 밀폐가 가능하여 채수된 정화수에 대한 정확한 수질 분석, 예를 들면 BOD, SS, T-N, T-P 등의 수질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llection container 335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the storage case 334, and can be sealed by tightening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331c, so that accurate water quality analysis for purified water, for example, BOD , SS, TN, TP, and so on.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정화수는 상기 유공관(333)로 유입되되, 수두 차에 의해 수직관통관(331)을 통하여 상승하며, 상승한 정화수는 제1 여과층(311, 도 1 참조)의 상부에 이중으로 밀폐된 수집용기(335) 쪽으로 채수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oil pipe 333 and rises through the vertical pipe 331 due to the difference in water head. The purified water rises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lter layer 311 (see FIG. 1) May be collected toward the closed collection vessel 335.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침투도랑은 많은 협잡물 유입 또는 유지관리 미흡으로 인해 침투도랑(300, 도 1 참조)의 제1 여과층(311, 도 1 참조)이 폐색되어 침투도랑(300, 도 1 참조) 하부로의 우수 유입 어려울 때 우수를 강제로 상대적으로 굵은 자갈로 구성된 제2 여과층(313, 도 1 참조)으로 배수하는 강제 배수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the infiltration ditch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locked due to the inflow of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or maintenance of the infiltration ditch 300 (see FIG. 1) (See FIG. 1), and a forced drainage unit 340 for draining the stormwater to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see FIG. 1) made of relatively thick gravel when the stormwater inflow to the lower part is difficul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 배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제 배수부(340)는 몸체 프레임(341), 강제 배수관(347)을 포함한다. 8 is a view showing a forced drain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orced drainage unit 340 includes a body frame 341 and a forced drain pipe 347.

상기 몸체 프레임(34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수용몸체(342)와, 상기 수용몸체(342)의 상단에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43)를 포함한다. The body frame 341 includes a box-shaped receiving body 342 as shown in FIG. 8 and a cover 343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coupl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342.

상기 강제 배수관(347)은 상기 몸체 프레임(341)의 하단에 마련된 강제 배수 홀(346)과 일단부는 연통하여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여과층(3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여과층(311)의 깊이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rced drain pipe 347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orced drain hole 346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frame 341 and the other end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filtered layer 313. For this, the length of the first filtering layer 311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filtering layer 311.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343)의 내측에 마련된 상면부(345)는 타공이 형성된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portion 345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343 may be formed of a mesh having perforations formed therein.

그리고 상기 수용몸체(342)의 측면부(344)는 상, 하단이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portions 344 of the receiving body 342 may have different shapes.

예를 들면, 상기 측면부(344)의 하단(344a)은 타공이 없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344)의 상단(344b)는 타공이 형성된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wer end 344a of the side portion 344 may be formed as a plate without a pore, and the upper end 344b of the side portion 344 may be formed of a mesh having a perforation.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협잡물 유입 또는 유지관리 미흡으로 인해 제1 여과층(311, 도 1 참조)가 폐색되면, 상기 폐색된 제1 여과층(311, 도 1 참조)을 통과하지 못한 우수가 상기 수용몸체(342) 및 강제 배수관(347)을 통해 제2 여과층(313, 도 1 참조)을 향해 강제 배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see FIG. 1) is closed due to the inflow of impurities or insufficient maintenance, the poorness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closed first filtration layer 311 (see FIG. 1) The water can be forcedly drained towar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see FIG. 1) through the receiving body 342 and the forced drain pipe 347.

이때, 상기 메쉬에 의해 협잡물은 걸러질 수 있는데, 상기 측면부(344)의 하단(344a)을 타공이 없는 플레이트로 형성한 것은 상기 수용몸체(342)의 상단으로 우수가 유입된 후 상기 강제 배수관(347)을 통해 우수가 원활하게 빠져나가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The lower end 344a of the side portion 344 may be formed by a plate having no pore. The reason why the lower end 344a of the side portion 344 is formed by the plate is that after the pore flows into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342, 347 to smooth out the storm.

즉, 측면부(344)의 전면이 메쉬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를 경우 강제 배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in contrast to the case w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portion 344 is formed of a mesh, the forced drainage effect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침투도랑은 침투도랑의 신속한 시설상태 점검을 위하여 침투도랑의 제1, 2, 3 여과층에 포함된 잔류수의 수위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부(350, 도 9 참조)(450, 도 10 참조)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infiltration di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ing unit 350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includ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ltration layers of the infiltration ditch, (Refer to FIG. 10).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모니터링부(350)는 관측관(351), 지지부재(356), 지시부재(352), 풀리(357), 부레(354)를 포함한다. 9, the monitoring unit 350 includes an observation pipe 351, a support member 356, a pointing member 352, a pulley 357, and a bail 354.

상기 관측관(351)은 상기 제1 여과층(311), 상기 제2 여과층(313) 및 상기 제3 여과층(315)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잔류수 유입 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여과층(311) 상부로 상향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observation pipe 351 is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the second filtration layer 313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315 and has a residual water inflow hol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upwardly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filtration layer 311.

그리고 상기 관측관(351)의 하단에는 개폐 가능한 하단 커버(351a)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 커버(351a)는 상기 제3 여과층(315)의 하부와 동일 높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observation pipe 35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ower cover 351a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lower cover 351a may be formed on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filtration layer 315 .

상기 지지부재(356)는 상기 관측관(351)의 상단에 ㄱ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356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bservation pipe 351 in a shape.

그리고 상기 지시부재(352)는 상기 지지부재(356)에 회동 축(352b)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회동축의 반대 편에 케이블(353)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돌기(352a)가 마련될 수 있다. The indicating member 352 may be provided with a pivot shaft 352b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356 and a fixing protrusion 352a fixed to one end of the cable 353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ivot shaft .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케이블(35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시부재(352)는 상기 침투도랑(300, 도 1 참조)의 상부에서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pointing member 352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filtration ditch 300 (see FIG. 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able 353.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시부재(352)의 선단 부위에는 화살 형상의 방향 안내 표시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Preferably, an arrow-shaped directional guidance display may be provided on the tip end portion of the pointing member 352, and the shape thereof may be variously changed.

상기 케이블(353)은 상기 지지부재(356)의 외팔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357)에 감겨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353)의 타단부에는 상기 관측관(351) 내부의 잔류수 수위변화에 따라 승, 하강하는 부레(354)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able 353 may be wound around a pulley 357 rotatably coupled to the cantilev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356. The other end of the cable 353 may be retained in the inside of the observation tube 351 And a boom 354 which is rai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can be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 1, 2, 3 여과층(311, 313, 315)의 임의의 깊이상에 잔류수가 존재할 경우 상기 관측관(351)의 내부로 잔류수가 채워져 상기 부레(354)를 승, 하강시킬 수 있다. When the residual water is present on any dept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ltration layers 311, 313 and 315, the remaining water is filled into the inside of the observation pipe 351, , It can be lowered.

이로써, 침투도랑(300, 도 1 참조) 외부에서 상기 지시부재(356)의 변위만을 확인하여 상기 잔류수의 수위 변화를 판별해 낼 수 있다.Thus, only the displacement of the indicating member 356 can be confirmed outside the infiltration ditch 300 (see FIG. 1)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침투도랑(300, 도 1 참조)은 강우 종료 후 시설로의 우수 유입이 없을 경우, 설정 기간 이내에 여과층에 잔류수가 남아 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infiltration ditch (300, see FIG. 1) so that no residual water remains in the filtration layer within the set period when there is no inflow into the facility after the rain is over, otherwise maintenance is required.

상기 모니터링부(350)의 지시부재(352)의 회전 변위를 통해 잔류수의 수위를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유지 관리적인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grasped through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pointing member 352 of the monitoring unit 350, which can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aspect.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모니터링부(450)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관측관(451)과, 상기 관측관(451) 내부의 잔류수 수위를 검출하는 기어식 수위계(45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잔류수의 수위 판별에 기어방식이 적용되어 비교적 정확한 잔류수량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monitoring unit 450 shown in FIG. 9 includes an observation pipe 451, a gear type water level mete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residual water level inside the observation pipe 451 453).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latively accurate residual amount can be grasped by applying the gear system to the water level discrimination of the residual wa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고농도 오염물의 제거가 가능하며 시설 내의 잔류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and to have a monitoring function to check presence or absence of residual water in the facility.

또한, 침전조와 침투도랑 사이에 고농도 오염물 제거조를 형성하여, 초기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침투도랑에 도달하기 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침투도랑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 보수 작업이 쉬워질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 removal tank between the settling tank and the infiltration trench, thereby removing the high-concentration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flowing inflow before reaching the infiltration trench. As a result, And the maintenance work can be facilitated.

또한, 많은 협잡물 유입 또는 유지관리 미흡으로 인해 침투도랑의 상부 잔 골재 여과층이 폐색되어 침투도랑 하부로의 우수 유입 어려울 때 하부 굵은 골재 여과층 쪽으로 강제 배수가 가능해 질 수 있다. Also,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or insufficient maintenance, the upper water aggregate filtration layer of the infiltration trench is closed, and when the infiltration into the infiltration trench is difficult, forced drainage can be performed toward the lower coarse aggregate filtration layer.

또한, 침투도랑의 주기적인 수질 분석이 가능하여 시설의 상태 및 주변의 수질 악화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eriodic water quality of the infiltration trench, so that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and deterioration of the surrounding water quality can be accurately grasped.

또한, 침투도랑의 신속한 시설상태 점검을 위하여 침투도랑의 여과층에 포함된 잔류수의 수위를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contained in the filtration layer of the infiltration ditch can be determined to check the facility status of the infiltration ditch quickly.

지금까지 본 발명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filtration ditch having the monitoring function,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100: 침전조 110: 제1 유입관
120: 제2 유입관 130: 잔류수 배출관
140: 잔류수 배재층 150: 바이패스관
160: 각도 조절 스크린 161: 스크린 유닛
161a: 메쉬부재 161b: 사각프레임
163: 연결프레임 165: 고정부재
167: 체결 볼트 168: 체결 너트
200: 오염물 제거조 210: 그레이팅
220: 오염물 제거장치 221: 수용공간
222: 박스 하우징 223a: 연결 돌기
223b: 연결 홈 224: 원통형 홈
225: 종방향 리브 226: 바닥돌출부
227: 배수 홀 230: 여재
240: 간격 형성부재 241: 간격부
300: 침투도랑 311: 제1 여과층
312: 제1 섬유필터 313: 제2 여과층
314: 제2 섬유필터 315: 제3 여과층
316: 제3 섬유필터 330: 정화수 수집부
331: 수직관통관 331a: 커버
332: 유공관 주변층 333: 유공관
331b: 하향 경사관 331c: 수평 연장관
334: 수납 케이스 335: 수집용기
336: 연결돌기 340: 강제 배수부
341: 몸체 프레임 342: 수용몸체
343: 커버 344: 측면부
344a: 측면부 하단 344b: 측면부 상단
345: 상면부 346: 강제 배수 홀
347: 강제 배수관 350: 모니터링부
351: 관측관 351a: 하단커버
352: 지시부재 352a: 고정 돌기
352b: 회동 축 353: 케이블
355: 무게 추 354: 부레
356: 지지부재 357: 풀리
450: 모니터링부 451: 관측관
453: 기어식 수위계
1: penetration d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100: settling tank 110: first inlet pipe
120: second inlet pipe 130: residual water outlet pipe
140: Residual water distribution layer 150: Bypass pipe
160: Angle adjustment screen 161: Screen unit
161a: mesh member 161b: rectangular frame
163: connecting frame 165: fixing member
167: fastening bolt 168: fastening nut
200: Contaminant removing tank 210: Grating
220: Contaminant removal device 221: accommodation space
222: box housing 223a: connecting projection
223b: connection groove 224: cylindrical groove
225: longitudinal rib 226: bottom projection
227: Drain hole 230: Filter media
240: gap forming member 241:
300: penetration trench 311: first filtration layer
312: first fiber filter 313: second filter layer
314: second fiber filter 315: third filter layer
316: Third fiber filter 330: Purified water collecting part
331: manual tube clearance 331a: cover
332: perforated pipe surrounding layer 333:
331b: downward slanting pipe 331c: horizontal extending pipe
334: storage case 335: collection container
336: connection protrusion 340: forced drainage part
341: body frame 342: receiving body
343: cover 344:
344a: a lower portion of a side portion 344b:
345: upper surface portion 346: forced drain hole
347: forced drain pipe 350: monitoring section
351: Observation tube 351a: Lower cover
352: indicating member 352a:
352b: Pivot shaft 353: Cable
355: Weights 354: Bures
356: support member 357: pulley
450: Monitoring section 451: Observation tube
453: Gear type water gauge

Claims (10)

우수를 유입하여 저장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로부터 우수를 유입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오염물 제거조와, 다수의 여과층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물 제거조를 통과한 우수가 상기 다수의 여과층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하여 우수 내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침투도랑과, 상기 다수의 여과층에 포함된 잔류수의 수위를 판별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에 있어서,
상기 침투도랑은, 상기 오염물 제거조의 상부에 결합된 그레이팅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침투도랑의 상부 층을 형성하며 자갈로 구성되는 제1 여과층과, 상기 제1 여과층의 하부에서 상기 침투도랑의 중간 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여과층보다 입경이 큰 자갈로 구성되는 제2 여과층과, 상기 제2 여과층의 하부에서 상기 침투도랑의 하부 층을 형성하며, 모래로 구성되는 제3 여과층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물 제거조는, 원지반층의 상부에 설정 높이로 형성된 모래 바닥층으로부터 상하로 간격부를 형성하도록 세워 설치되는 간격 형성부재와, 상기 간격 형성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되, 전, 후, 좌, 우 및 상하로 다수 개가 조립되어 연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여재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오염물 제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는 상기 간격 형성부재의 상단에서 적어도 2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며, 다수 개 중 전방에 연결된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여재가 채워진 상태로 조립되고, 다수 개 중 후방에 연결된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의 수용공간은 상기 여재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오염물 제거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박스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박스 하우징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부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연결 돌기와, 서로 이웃하는 나머지 2개의 상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돌기가 끼움 고정되는 연결 홈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 하우징의 내측 면에는 다수 개의 종방향 리브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종방향 리브는 아래로 갈수록 돌출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박스 하우징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원통형 홈이 마련되며, 상기 박스 하우징의 바닥 면에는 다수 개의 배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종방향 리브의 하단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가 구비되되, 상기 다수 개의 바닥돌출부는 상기 박스 하우징의 바닥 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호 교차하는 격자 무늬를 형성하며,
상기 침투도랑을 통해 정화된 정화수를 수집하는 정화수 수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화수 수집부는, 상기 제1 여과층, 상기 제2 여과층 및 상기 제3 여과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단에 개폐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는 수직관통관과, 상기 수직관통관의 하단과 연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3 여과층의 하부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정화수를 집수하는 유공관과, 상기 수직관통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여과층의 상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 경사관과, 상기 하향 경사관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관과, 상기 수평 연장관에 입구 측이 착탈 결합되며, 상기 제1 여과층의 상부에 설치된 수납 케이스에 밀폐 보관되며 정화수를 채수하도록 상기 수평 연장관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수집용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A contaminant removing tank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introducing stormwater from the settling tank, and a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wherein the storm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in order And a monitoring unit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residual water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filtration layers, wherein the monitor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infiltration trench comprises a first filtration layer formed in parallel with a grat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minant removal trench, the first filtration layer being formed of gravel to form an upper layer of the infiltration trench, A second filtration layer formed of gravel having a larger particle diameter than the first filtration layer and forming an intermediate layer; a third filtration layer forming a lower layer of the permeation trench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 RTI >
Wherein 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comprises a gap forming member vertically installed to form an upper and a lower space from a sand bottom layer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an upper portion of a ground floor layer and a gap forming member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gap forming member, And a contaminant removing device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can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wo layers are stacked at the upper end of the space- Wherein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is assembled in a state of being filled with the filter material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minant removing devic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filters,
The contamination removing device includes a box housing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the box housing including a pair of connect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two adjacent upper rims,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x housing with a gap therebetween, wherein the longitudinal ribs have a protruding width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box housing,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ribs, And a plurality of bottom protrusions, Project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jig to form mutually intersecting grid patterns,
And a purified wate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infiltration ditch, wherein the purified water collecting part is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A porous filter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third filtration layer an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collect the purified water; A horizontal extension pip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downwardly sloping pipe; an inlet side of the horizontal expansion pip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And a collection container enclosed in the case and horizontall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horizontal extension pipe to collect purified water. The penetration ditc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층의 깊이는 상기 제2 여과층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여과층의 깊이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여과층과 상기 제2 여과층의 사이에는 제1 섬유필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여과층과 상기 제3 여과층의 사이에는 제2 섬유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여과층의 하부에는 제3 섬유필터가 형성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pth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 depth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nd a depth of the third filtration layer is formed larger than a depth of the third filtration layer,
A first fiber filt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layer and the second filter layer and a second fiber filter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ilter layer and the third filter layer, And a third fiber filter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Penetration d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외부의 우수를 상기 침전조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관;
상기 침전조 내부의 우수를 상기 오염물 제거조로 유입시키는 제2 유입관;
상기 침전조 내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잔류수 배출관; 및
상기 제1 유입관과 동일 높이상에서 상기 제1 유입관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입관은 상기 제1 유입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 유입관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잔류수 배출관은 상기 제1 유입관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침전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상향 배치되고, 상기 잔류수 배출관의 출구 측에는 잔류수의 배수를 위해 자갈로 형성된 잔류수 배재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입관의 높이는 상기 그레이팅 및 상기 제1 여과층의 상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storm outside the settling tank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settling tank;
A second inlet pipe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in the settling tank to the contaminant removing tank;
A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in the sedimentation tank; And
And a bypass pipe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inflow pipe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inflow pipe,
The second inlet pipe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inlet pipe at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inlet pipe,
Wherein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is dispos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dimentation tank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flow pipe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layer formed of gravel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is formed at the outlet side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The height of the second inflow pipe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rating and the first filtration layer
Penetration d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관의 전방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도 조절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의 하단은 상기 제2 유입관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의 상단은 상기 제2 유입관과의 사이에 형성된 경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 스크린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연결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며, 각각이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사각프레임을 포함하는 한 쌍의 스크린 유닛과,
상기 한 쌍의 스크린 유닛을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볼트 및 너트로 나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5. The method of claim 4,
An angle adjusting screen provided at an angle to the front of the second inflow pipe,
Wherein a low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inlet pipe and an upp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is rotatably formed to adjust an inclination angl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screen and the second inlet pipe,
Wherein the angle adjusting screen comprises:
A rectangular connecting frame elong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pair of screen unit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in the connection frame and each including a mesh member and a rectangular frame coupled to a rim of the mesh member;
And a fixing member for screwing the pair of screen units with bolts and nuts so as to fix the pair of screen units to the connection frame
Penetration d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층의 폐색시, 상기 제2 여과층 쪽으로 우수를 강제로 배수시키는 강제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제 배수부는,
박스 형상의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단에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몸체 프레임;및
상기 몸체 프레임의 하단에 마련된 강제 배수 홀과 일단부는 연통하여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여과층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여과층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강제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상면부는 타공이 형성된 메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몸체의 측면부는 상, 하단이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부의 하단은 타공이 없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부의 상단은 타공이 형성된 메쉬로 이루어지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orced drainage section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storm towar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when the first filtration layer is closed,
The forced drainage section
A body frame including a box-shaped receiving body and a cover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coupled at an upper end of the receiving body;
And a forced drain pip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fram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rced drain ho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rovided in the second filter layer and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filter layer,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of a mesh having a perforatio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is formed in a shape of a different shape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is in the form of a plate without punch, The upper part is made of a mesh formed with perforations
Penetration d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여과층, 상기 제2 여과층 및 상기 제3 여과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잔류수 유입 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여과층 상부로 상향 돌출된 관측관;
상기 관측관의 상단에 ㄱ형상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 축이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의 반대 편에 케이블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돌기에 인접하여 화살 형상의 방향 안내부가 마련된 지시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팔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풀리;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측관 내부의 잔류수 수위변화에 따라 승, 하강하는 부레;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침투도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unit,
An observation tube installed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the second filtration layer, and the third filtration layer, the observation tube being provided with a residual water inlet hol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A support member fixed in a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observation tube;
A pointing member having a pivoting shaft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one end of the cabl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ivoting shaft, and an arrow-shaped direction guiding portion provided adjacent to the fixing protrusion;
A pulley rotatably coupled to the cantilevere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guiding movement of the cable; And
And a boom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and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esidual water level inside the observation pipe
Penetration d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KR1020150188469A 2015-12-29 2015-12-29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KR101655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69A KR101655313B1 (en) 2015-12-29 2015-12-29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469A KR101655313B1 (en) 2015-12-29 2015-12-29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313B1 true KR101655313B1 (en) 2016-09-07

Family

ID=5695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469A KR101655313B1 (en) 2015-12-29 2015-12-29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31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7195A (en) * 2017-08-31 2018-02-13 宗德东 Rain collector in a kind of park
CN108999271A (en) * 2018-10-11 2018-12-14 深圳深恒环保产业有限公司 A kind of cover board, cover plate assembly and heap feed bin
CN109138134A (en) * 2017-06-27 2019-01-04 中科世沃生态科技江苏有限公司 A kind of PP water-storing device for urban rainwater collection
KR102089235B1 (en) * 2019-09-09 2020-03-16 (주)리드코 Multifunction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tructure
CN114635488A (en) * 2022-03-24 2022-06-17 江苏科技大学 Combined system suitable for sponge transformation of old community and rainwater treatment method
CN114809225A (en) * 2022-04-12 2022-07-29 中冶华成(武汉)工程有限公司 Road rainwater buffering facility for sponge c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23A (en) * 2003-12-09 2005-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the system of aqua plant using activated red mud
KR100901263B1 (en) * 2009-01-30 2009-06-0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The natural-type reduction equip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optionaly being used the ion-exchange tank
KR101010048B1 (en) * 2010-09-16 2011-01-21 주식회사동현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by multi-stage treatment
KR20110138050A (en) * 2010-06-18 2011-12-26 씨앤지환경기술 (주)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using module form side filtering ty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23A (en) * 2003-12-09 2005-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the system of aqua plant using activated red mud
KR100901263B1 (en) * 2009-01-30 2009-06-0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The natural-type reduction equip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optionaly being used the ion-exchange tank
KR20110138050A (en) * 2010-06-18 2011-12-26 씨앤지환경기술 (주)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using module form side filtering type
KR101010048B1 (en) * 2010-09-16 2011-01-21 주식회사동현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by multi-stage treat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134A (en) * 2017-06-27 2019-01-04 中科世沃生态科技江苏有限公司 A kind of PP water-storing device for urban rainwater collection
CN107687195A (en) * 2017-08-31 2018-02-13 宗德东 Rain collector in a kind of park
CN108999271A (en) * 2018-10-11 2018-12-14 深圳深恒环保产业有限公司 A kind of cover board, cover plate assembly and heap feed bin
KR102089235B1 (en) * 2019-09-09 2020-03-16 (주)리드코 Multifunctional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structure
CN114635488A (en) * 2022-03-24 2022-06-17 江苏科技大学 Combined system suitable for sponge transformation of old community and rainwater treatment method
CN114809225A (en) * 2022-04-12 2022-07-29 中冶华成(武汉)工程有限公司 Road rainwater buffering facility for sponge c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313B1 (en) Infiltration trench with function of monitoring
US4689145A (en) Dry well filtration system
US10640929B2 (en) Ground water filtration system
US20130186811A1 (en) Filter
KR10138200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KR101703319B1 (en) Rainwater permeate retention system
KR101252736B1 (en) Reduc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of turvulent filtration type
KR10133278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KR100546061B1 (en)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irst run-off using wide filter area then structure area
KR101023537B1 (en) Improve rainwater treatment system
KR101781178B1 (en) First rainwater treatment aparatus
KR101152978B1 (en) Management Block of Polluted Runoff Having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JP6621653B2 (en) Storage and purification system
KR100704901B1 (en) Rainwater-controlling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44122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KR101036018B1 (en) Filter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filter set using it
US20200262716A1 (en) Ground Water Filtration System
KR101582931B1 (e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101231458B1 (en) Street inlet
JP4511077B2 (en) Rainwater drainage treatment system
JPH05132993A (en) Rainwater filter and maintaining method for its device and rainwater filtering method and its controlling equipment
KR101195091B1 (en)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KR20100122373A (en)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892834B1 (en) The constructable or separatable basket system for filtering remnants and purifying water
KR101865202B1 (en) Pretreatment apparatuse of rainwater drainag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