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272B1 -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272B1
KR101655272B1 KR1020150127394A KR20150127394A KR101655272B1 KR 101655272 B1 KR101655272 B1 KR 101655272B1 KR 1020150127394 A KR1020150127394 A KR 1020150127394A KR 20150127394 A KR20150127394 A KR 20150127394A KR 101655272 B1 KR101655272 B1 KR 101655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information
network monitoring
control server
monitor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열
이성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작
Priority to KR102015012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는 단계,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제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제1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경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based on sound signal}
본 발명은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동 중인 설비가 24시간 중단 없이 항상 운행되어야 하는 산업 현장에서는 장비에서 발생하는 고장을 긴급히 복구하지 않으면, 전체 생산 공정에 치명적인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라인에서는 장비 관리자가 장비에 대한 모니터링과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항상 대기 상태에 있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업무 시간 이외에도 긴급 호출이 가능하도록 통신 라인 상에서 대기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된다.
기존의 산업 현장에서 장비 고장에 따른 복구 절차는 먼저 근무자가 장비 관리자에게 연락을 하여 호출하면, 장비 관리자는 고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조치를 통하여 장비를 복구하고, 장애 및 복구 상황에 대한 보고를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는 장비 관리자가 장비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며, 업무 시간 이외에는 근무자가 장비의 장애를 파악하고 장비 관리자에게 연락하여 호출해야 하므로 인력 낭비와 시간 손실이 많다.
이러한 공장 업무뿐만 아니라, 빌딩과 같은 일반 오피스 빌딩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 상황 및 위험 상황에 대해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고장, 오류 위험 상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KR 10-2008-0064776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경보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이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경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경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고,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제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제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제2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보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경보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객체를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이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경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경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제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제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제2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운드 신호를 통해 특정 지역, 건물에 발생한 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내부망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경보 상황에 대한 전달 및 경보 상황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내트워크에 대한 보안의 유지가 필요한 보안 요구 지역, 보안 요구 건물에서 용이하게 위험 상황, 경보 상황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할당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주기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암호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 디지털 장치 및 스마트 기기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주요 산업 시설이나 건물 등에서만 적용되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이 일정 규모가 갖추어진 빌딩뿐만 아니라 가정 주택(홈 오토메이션)까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은 컴퓨터 및 다양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들을 활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은 설비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도입되어 장기적으로 설비의 운영 감시를 위한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은 대부분 유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보안이나 설치 여건 등의 문제로 유무선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설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보안 관리가 필요한 국가의 주요한 시설물(예를 들어, 공항 설비, 공공 기관 서버 시스템 등) 및 일반 기업 등에서 많은 비용을 들여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을 설치하고도 보안 관리 등의 이유로 외부 네트워크(인터넷)과 분리된 상태로 운영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감시 제어 중인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내부 네트워크 기반으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밖에 없다. 즉, 24시간 감시 제어를 위해 시스템의 운영 인력이 상주하거나 근무하지 않는 시간 동안 원격 감시 제어 기능을 포기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각종 건물이나 산업 설비 등에 대한 원격 감시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설치 여건이나 보안 등의 이유로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될 수 없는 환경의 시스템에서 기존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지 않고 사운드 신호를 매체로 하여 각종 정보와 제어 명령 등을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과 주고받아 원격으로 설비나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와 경보 정보, 제어 정보가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하나, 사운드 신호의 다른 특성(예를 들어, 신호의 크기, 파형의 형태, 패턴, 왜도, 첨도 등)이 경보 정보 및 제어 정보와 대응될 수도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운드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감시를 수행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은 감시 대상 객체(150),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 사용자 장치(140)를 포함할 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산업 현장, 오피스 등과 같은 감지 대상 지역/감시 대상 건물에 설치된 감시 대상 객체(예를 들어, 전원 장치, 문 개폐 장치, 온도 제어 장치, 화재 발생 감지 장치 등)에 대한 제어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감지 대상 지역/감시 대상 건물에 구현된 내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치된 감시 대상 객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감시 대상 객체로부터의 이상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이상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통해 이상 정보를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 전송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이상 정보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사운드 신호를 전송해줄 것을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부터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소리 신호를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소리 신호를 분석하고(예를 들어, 소리 신호의 주파수 분석), 소리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감시 대상 객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는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로부터 특정한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요청받고, 요청받은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 신호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와 연계된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상 정보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의 생성이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로 요청될 수 있고,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는 이상 정보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부터 생성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는 수신한 제어 정보와 연계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운드 신호를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타겟 감시 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와 대응될 수 있고,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는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가 수신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타겟 감시 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계되어 감지 지역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100)의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를 통해 전송된 사운드 신호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와 연계된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는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감시 지역에 발생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만약, 감시 대상 지역/감시 대상 건물에 대한 이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는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의 생성을 위해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는 경보 정보를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140)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부터 감시 대상 영역/감시 대상 건물에 대한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자는 사용자 장치(140)를 통해 감시 대상 영역/감시 대상 건물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1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는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부터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요청받을 수 있고, 요청에 따라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의 생성이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로 요청될 수 있고,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는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 신호는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20)는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110)로부터 생성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130)는 수신한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감시 대상 객체에 발생된 이상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보 정보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제어 정보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가 테이블로 정의되고, 해당 테이블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구체적인 제어 절차가 개시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상 온도가 발생한 상황에 대해 개시하나, 다른 다양한 이상 상황에 대해서도 원격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상태 감시 센서(250)에 의해 이상 온도가 센싱되는 경우, 온도 상태 감지 센서(250)는 온도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200)는 온도 경보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주파수의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요청하는 사운드 신호 생성 요청 신호를 제1 사운드 송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송수신부(210)는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온도 경보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주파수의 사운드 신호의 생성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송수신부(220)는 제1 사운드 송수신부(210)에 의해 생성된 특정 주파수의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운드 신호를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23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230)는 수신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감시 영역 내의 온도 상태 감시 센서에 의해 온도 경보 신호를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230)는 온도 상태 감시 센서(250)에 의해 특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센싱되었음을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의 분석을 기반으로 알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230)는 경보 정보를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의 사용자 장치(240)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230)로부터 감시 영역에 대한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자는 사용자 장치(240)를 통해 감시 영역에 대한 제어 정보를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2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온도 이상이 발생한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230)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요청하는 사운드 신호 생성 요청 신호를 제2 사운드 송수신부(220)로 요청할 수 있다. 제2 사운드 송수신부(220)는 사운드 신호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사운드 송수신부(210)는 제2 사운드 송수신부(220)로부터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운드 신호를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200)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제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 정보가 온도 이상이 발생한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 제어 명령인 경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200)는 전원 상태 감시 제어부로 전원 차단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에 대한 주파수 대역의 할당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감시 객체의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위한 주파수 대역 할당 방법 및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위한 주파수 대역 할당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서는 등록된 경보 정보의 개수(300), 등록된 제어 정보의 개수(350)를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등록된 경보 정보(300)의 개수를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을 등록된 경보 정보 각각에 대한 분할 주파수 대역(310)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경보 정보의 개수(300)가 10개이고 전체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1000Hz이라면, 10개의 등록된 경보 정보 각각에 대해 100Hz의 사운드 신호의 분할 주파수 대역(310)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인접 주파수 대역은 사운드 신호에 대한 분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비워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보 정보에 대해 1~100Hz, 제2 경보 정보에 대해 101~200Hz가 할당된 경우, 90~120Hz 대역은 사운드 신호의 신호 해석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신호 갭(gap)으로 비워둘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등록된 제어 정보의 개수(350)를 기반으로 사운드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을 등록된 제어 정보 각각에 대한 분할 주파수 대역(360)으로 분할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서는 등록된 경보 정보의 개수(300), 등록된 제어 정보의 개수(350)의 증가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세분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경보 정보에서 20개의 경보 정보로 늘어난 경우, 전체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1000Hz를 다시 분할하여 50Hz의 주파수 대역 각각이 20개의 경보 정보에 대한 분할 주파수 대역(360)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는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서는 등록된 경보 정보의 개수, 등록된 제어 정보의 개수의 증가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등록된 경보 정보의 개수가 10개 이하인 경우, 1000Hz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등록된 경보 정보의 개수가 10개 초과 내지 20개 이하인 경우, 2000Hz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도 등록된 제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등록된 경보 정보 및 등록된 경보 정보에 매핑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는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서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만약 업데이트가 발생하는 경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서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등록된 제어 정보 및 등록된 제어 정보에 매핑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도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서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만약 업데이트가 발생한 경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서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경보 정보 및 복수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경보 정보/복수의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410) 및 제2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420)가 합쳐져 하나의 조합 사운드 신호(450)가 생성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조합 사운드 신호를 통해 복수의 경보 정보를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조합 사운드 신호의 분석을 기반으로 조합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경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도 복수의 주파수 대역 각각의 복수의 사운드 신호 각각을 합쳐져 생성한 하나의 조합 사운드 신호를 통해 복수의 제어 정보는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410) 및 제2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420)가 합쳐져 하나의 조합 사운드 신호(450)가 생성될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조합 사운드 신호(450)를 통해 복수의 제어 정보를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조합 사운드 신호(450)의 분석을 기반으로 조합 사운드 신호(450)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복수의 경보 정보 및 복수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조합하여 하나의 경보 정보/하나의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경보 정보/제어 정보의 조합은 하나의 경보 정보 또는 하나의 제어 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사운드 신호(510)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사운드 신호(520)가 결합된 조합 사운드 신호(550)가 제1 경보 정보 또는 제2 제어 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의 조합을 기반으로 하나의 경보 정보, 하나의 제어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경보 정보/제어 정보의 증가에도 조합의 추가 또는 변경으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확장 없이 경보 정보/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가 개별적으로 전송되되, 전송 순서의 조합이 변경되어 특정한 경보 정보/제어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530)가 계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1 경보 정보,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540)가 계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2 경보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530),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540)가 번갈아가면서 전송되는 경우, 제3 경보 정보, 제1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530) 2회,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540) 1회가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4 경보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양한 사운드 신호의 전송 순서의 조합을 기반으로 다양한 경보 정보 /제어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주기 설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시간에 따른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낮에는 외부 소음으로 인해 사운드 신호에 둔감할 수 있으나, 밤에는 외부 소음이 줄어들기 때문에 사운드 신호에 예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대 별로 서로 다른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대(AM 7:00~PM 7:00)(610), 제2 시간대(PM 7:00~AM7:00)(620)로 시간 대역을 분할하여 제1 시간 대(610)에서는 제1 주파수 대역(615), 제2 시간 대(620)에서는 제2 주파수 대역(625)을 사용하여 경보 정보/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대역에 따라 사운드 신호의 전송 주기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감시 인력이 상주하는 근무 시간 대에는 사운드 신호의 전송 주기가 제1 주기로 설정되고, 감시 인력이 상주하지 않는 시간 대에는 사운드 신호의 전송 주기가 제2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주기는 제2 주기보다 긴 값이 수 있다. 즉, 감시 인력이 상주하지 않는 경우, 신호 전송 주기를 짧게 하여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를 통한 제어 절차가 보다 빠르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단의 ACK(acknowledgement)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계속적인 전송 여부 결정할 수도 있다. 경보 정보를 전송시 수신단은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 제2 사운드 송수신부이고, 제어 정보를 전송시 수신단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 제1 사운드 송수신부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수신단이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 제2 사운드 송수신부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수신한 경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ACK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ACK 사운드 신호는 별도의 주파수 대역에서 정의된 사운드 신호이거나,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를 복제한 동일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ACK 사운드 신호의 전송을 지시하는 ACK 사운드 신호 전송 요청 신호를 제2 사운드 송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사운드 송수신부는 ACK 사운드 신호를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암호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에서는 다른 외부로부터의 보안 및 다른 사운드 신호와의 혼선을 막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한 경보 정보/제어 정보의 전송이 복수의 경보 영역, 경보 건물에서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경보 건물에서 발생한 사운드 신호로 인한 혼선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신호 간의 혼선을 막기 위해 전송단 및 수신단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사운드 신호가 경보 정보/제어 정보를 위한 사운드 신호 이전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710) 및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720)를 관리하는 상위 서버(700)가 존재하고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710) 및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720) 각각을 위한 식별 정보를 조합 사운드 신호로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4 주파수 대역의 조합 사운드 신호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710)의 식별 사운드 신호이고, 제2 주파수 대역, 제4 주파수 대역 및 제5 주파수 대역의 조합 사운드 신호가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720)의 식별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710)는 경보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또는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의 앞 단에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710)에 대응되는 식별 사운드 신호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720)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또는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의 앞 단에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 대응되는 식별 사운드 신호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상호 간에 식별 정보를 통해 자신과 관련된 서버로부터의 경보 정보/제어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710)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720) 사이에 미리 약속된 노이즈 신호가 사운드 신호에 추가될 수 있다. 노이즈 신호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의 합성 신호일 수 있다. 노이즈 신호가 포함되는 경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720)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710) 각각은 미리 약속된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만을 추출하여 제어 정보/경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다른 서버는 해당 사운드 신호에 대한 해석이 불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운드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은.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경보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객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이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경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경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고,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제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제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제2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로부터 경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도록 구현되는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되는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보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현되는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경보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제2 사운드 신호의 생성을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로 요청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1 사운드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로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감시 대상 객체를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상기 경보 정보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이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경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경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1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전체 감시 대상 객체에 대한 전체 제어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의 감시 대상 객체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전체 제어 정보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상기 제2 사운드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신호는 제1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운드 신호는 제2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망 감시 제어 서버 및 상기 내부망 감시 제어 서버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0150127394A 2015-09-09 2015-09-09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655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394A KR101655272B1 (ko) 2015-09-09 2015-09-09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394A KR101655272B1 (ko) 2015-09-09 2015-09-09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272B1 true KR101655272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394A KR101655272B1 (ko) 2015-09-09 2015-09-09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2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47A (ko) * 1997-06-19 1999-01-15 윤종용 전화회선을 이용한 비상상황 자동통보장치 및 방법
JP2000206991A (ja) * 1999-01-13 2000-07-28 Ntt Electornics Corp 音遠隔送信装置及び音遠隔受信装置
KR20080064776A (ko) 2008-05-31 2008-07-09 윤길수 내압용기와 이를 이용한 메탄 하이드레이트 인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47A (ko) * 1997-06-19 1999-01-15 윤종용 전화회선을 이용한 비상상황 자동통보장치 및 방법
JP2000206991A (ja) * 1999-01-13 2000-07-28 Ntt Electornics Corp 音遠隔送信装置及び音遠隔受信装置
KR20080064776A (ko) 2008-05-31 2008-07-09 윤길수 내압용기와 이를 이용한 메탄 하이드레이트 인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7178B2 (en)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US20090153333A1 (en) Entry and exit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US10134207B2 (en) Securing SCADA network access from a remote terminal unit
CA2706629C (en) Method, system and media for wireless process control of mobile equipment
WO2019195509A1 (en) Gated asynchronous multipoint network interface monitoring system
KR20160112048A (ko) 비콘을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US9153122B2 (en) Environmental alert for computer systems
EP3777044A1 (en) Monitoring system with serial data lane transmission network
JP2013225817A (ja) 設備操作システム、設備制御方法及び設備操作用プログラム
KR101573500B1 (ko) 무선통신 데이터 로거 및 이를 이용한 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2541518A1 (en) A method for supervising intruder alarm systems
KR101655272B1 (ko) 사운드 신호 기반의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WO2019195529A1 (en) Monitoring system with bridges for interconnecting system elements
SE1851531A1 (en) A hoist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a hoist located at a work site
JP6977237B2 (ja) 異常検出システム、異常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721237A (zh) 使用安全系统的装备和网络健康监控
KR20170123324A (ko) 중계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50136791A (ko)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인증 및 접근제어 서비스 시스템
KR20190078671A (ko)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CN104851227A (zh) 一种火灾监控方法、装置及系统
KR101803318B1 (ko) 사운드 신호를 이용한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JP2015069448A (ja) 火災受信機
WO2013167485A1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ositioning of a portable positioning unit in a mine
KR20180138507A (ko) 소방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