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088B1 -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088B1
KR101655088B1 KR1020160040188A KR20160040188A KR101655088B1 KR 101655088 B1 KR101655088 B1 KR 101655088B1 KR 1020160040188 A KR1020160040188 A KR 1020160040188A KR 20160040188 A KR20160040188 A KR 20160040188A KR 101655088 B1 KR101655088 B1 KR 10165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wall
plate
mounting groov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기
김동효
Original Assignee
이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기 filed Critical 이금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이 벽체에 장식판의 설치 및 교체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설치한 장식판 중 어느 한 장식판만의 교체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너트홀 또는 너트를 마련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전방에 놓이며, 상기 벽체에 대향하는 부위와 측부에 각각 관통홀을 형성한 브래킷과; 복수가 상호 연결로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테두리 영역의 내측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너트홀 또는 너트에 대응하는 볼트의 볼트머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서 그 전방으로 제 1, 2 장착홈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판 형상으로 상기 브래킷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볼트가 관통 가능한 설치창을 형성한 보강판; 및 상기 제 2 장착홈에 끼워지며 배면이 상기 보강판의 지지를 받는 장식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A ASSEMBLING STRUCTURE FOR DECOLATION BORAD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이 벽체에 장식판의 설치 및 교체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설치한 장식판 중 어느 한 장식판만의 교체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란, 건물의 층과 층 사이로 사람들을 이송시킬 수 있는 수단을 지칭한다.
예컨대, 엘리베이터는 권양기와 연결한 승강줄의 움직임을 통하여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한 승강차를 건물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때,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승강차는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박스 형상의 것이 보통이며, 대개 직육면체를 포함한 다각면체 또는 다각면체와 곡면 벽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한다.
특히, 승강차 내부는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곳으로서, 건물에 대한 이미지를 대신하기 위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감안한 다양한 인테리어가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강차의 내부 벽체에는 다양한 문양 또는 형식을 갖는 장식판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설치한 장식판은, 대체로 강화유리 또는 대리석 등 강성 재질의 것이 선택되지만, 중량 및 승강차 내부의 공간확보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대체로 얇은 판재의 것이 채택된다.
그리고, 승강차 내부에 설치되는 장식판은, 승강차의 벽체 중 한 벽면에 대응하여 단일의 판재로 설치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 부분적인 손상이나 파손이 있는 경우 장식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낭비적 요소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장식판은, 사람들의 눈높이 부위에 특정 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한 것, 물건이나 화물 등과 접촉률이 높은 하측 부위에는 스크래치 또는 손상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높은 강도의 것, 사람의 손이나 화물의 접촉 빈도가 낮은 상부는 조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 등으로 구분하여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장식판은, 비록 강성재질의 것이 채택되지만, 스크래치나 오염 등의 손상 내지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의 위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장식판의 설치는, 엘리베이터의 벽체 표면에 대하여 장식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별도의 설치장치를 마련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위의 장식판 설치장치와 관련한 기술 중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68199호(고안의 명칭:'엘리베이터 벽면 장식판재의 고정장치')(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위의 선행기술1은 접착제를 이용한 장식판 설치 및 교체작업의 곤란함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 설치한 제 1 프레임과 장식판 또는 이웃하는 베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상호 간에 엘리베이터 벽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끼우는 구조로 형성하여 접착제 사용의 문제 즉, 교체의 불편, 작업의 어려움, 작업 시간의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선행기술1의 기술적 특징은, 제1, 2 프레임의 결합과 이들 사이의 장식판 결합이 어느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끼우는 조립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장식판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그 손상이나 파손이 어느 특정된 부위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할 수밖에 없고, 부주의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이 발생한 부위가 선행기술1의 조립구조 중 처음 조립이 시작된 부위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벽면 전체에 대한 장식판의 분리가 불가피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68199호(2002.03.15.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차 벽체에 대한 장식판의 설치 및 그 교체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분할된 장식판들 중 부분적인 손상 내지 파손이 있는 것에 대하여 해당 부위만 교체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장식판 대비 전면 교체하고자 하는 장식판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도 그 적용은 물론 기존 장식판의 손상 없이 더욱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너트홀 또는 너트를 마련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전방에 놓이며, 상기 벽체에 대향하는 부위와 측부에 각각 관통홀을 형성한 브래킷과; 복수가 상호 연결로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테두리 영역의 내측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너트홀 또는 너트에 대응하는 볼트의 볼트머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서 그 전방으로 제 1, 2 장착홈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판 형상으로 상기 브래킷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볼트가 관통 가능한 설치창을 형성한 보강판; 및 상기 제 2 장착홈에 끼워지며 배면이 상기 보강판의 지지를 받는 장식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벽체의 전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벽체의 전면에 대하여 세워진 형상으로 굽은 고정부를 갖는 앵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에 형성한 관통홀은 상기 고정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제 1 장착홈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장착홈에서 상기 제 2 장착홈까지 이르는 두께로 돌출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판은 상기 보강판의 돌출부 표면과 상기 보강판의 돌출부와 동일 위상의 평면을 이루는 상기 제 2 장착홈의 표면에 부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판의 배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보강판의 돌출부 표면과 상기 제 2 장착홈의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시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장식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는, 상기 너트홀 또는 너트와 체결되는 부위의 단부에 도라이버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을 포함한 프레임들이 대응하는 장식판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조립되어 분리된 블록을 이루고, 각각의 블록은 엘리베이터 승강차 벽체에 마련한 너트홀 또는 너트에 대응하여 체결구로 체결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차 벽체에 대한 장식판의 설치 및 그 교체설치가 용이하고, 어느 하나의 장식판이 손상 또는 파손한 경우 해당 장식판을 포함하는 블록만 교체설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차 벽체에 마련한 너트홀 또는 너트들의 배열과 브래킷의 지지부에 형성한 장공을 통해 다양한 장식판 사이즈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적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볼트가 볼트머리 반대측에 형성한 도라이버홈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차 벽체의 외측으로부터 블록을 이룬 해당 장식판만을 분리토록 함으로써 기존 장식판의 손상 없이 교체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가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브래킷, 테두리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브래킷, 벽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의 설치 순서를 나타낸 설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의 설치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를 마련한 벽체(10)와; 상기 벽체(10)의 전방에 놓이며, 상기 벽체(10)에 대향 하는 부위와 측부에 각각 관통홀(20a)을 형성한 브래킷(20)과; 복수가 상호 연결로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테두리 영역의 내측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에 대응하는 볼트(15)의 볼트머리(15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홈(31)과, 상기 고정홈(31)에서 그 전방으로 제 1, 2 장착홈(32,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테두리프레임(30)과; 상기 제 1 장착홈(32)에 끼워지는 판 형상으로 상기 브래킷(20)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볼트(15)가 관통 가능한 설치창(40a)을 형성한 보강판(40); 및 상기 제 2 장착홈(33)에 끼워지며 배면이 상기 보강판(40)의 지지를 받는 장식판(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너트홀(10a)과 너트(10b)는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10)의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마련하거나, 체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벽체(10)에 형성한 너트홀(10a) 또는 벽체(10)에 설치한 너트(10b)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15)를 통하여 상기 벽체(10)와 연결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벽체(10)의 전면에 대향 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일측에서 상기 벽체(10)의 전면에 대하여 세워진 형상으로 굽은 고정부(22)를 갖는 앵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21)에 형성한 관통홀(20a)은 상기 고정부(22)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벽체(10)에 형성한 너트홀(10a) 또는 벽체(10)에 설치한 너트(10b)의 일측으로 상기 브래킷(20)의 지지부(21)를 밀착시키고, 상기 지지부(21)에 형성한 관통홀(20a)에 볼트(15)를 체결하여 상기 벽체(10)와 브래킷(20)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벽체(10)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브래킷(20)이 설치되는 벽체(10)의 위치에는 복수의 너트홀(10a)을 마련하거나 너트(10b)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앵글(20)이 절곡을 이루는 'ㄱ'자 형상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벽체(10)에 일면이 견고하게 지지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30)과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앵글(20)의 형상과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프레임(3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브래킷(20)과 볼트(15)를 통하여 결합하되, 복수 개의 테두리프레임(30)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테두리프레임(30)은 상기 벽체(10)의 전방으로 상기 브래킷(20)을 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복수 개의 테두리프레임(30)을 결합하여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테두리프레임(30)은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가 상호 연결되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테두리 영역의 내측면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에 대응하는 볼트(15)의 볼트머리(15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홈(31)과, 상기 고정홈(31)에 그 전방으로 제1장착홈(32)과 제2장착홈(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31)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20)과 결합을 이룬 볼트(15)의 볼트머리(15a)가 테두리프레임(30)의 내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홈(31)의 구성을 통하여 벽체(10)에 설치한 브래킷(20)에 테두리프레임(30)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래킷(20)과의 밀착부위를 따라 상기 테두리프레임(3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그 결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홈(32)과 제2장착홈(33)은 상기 고정홈(31)의 일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판(40) 및 장식판(50)이 결합되고,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제1장착홈(32)에는 상기 보강판(40)의 테두리 부위가 밀착되며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2장착홈(33)에는 상기 장식판(50)의 테두리 부위가 밀착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테두리프레임(30)은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가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테두리 형상을 이루기 위하여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모서리 형상을 이루기 위하여 연결하는 테두리프레임(30)의 제2장착홈(33)에 체결볼트(71)를 통하여 고정앵글(70)을 결합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앵글(70)은 결합이 이루어지는 테두리프레임(30)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테두리프레임(30)의 제1장착홈(32)에 끼워지는 보강판(40)과, 제2장착홈(33)에 끼워지는 장식판(50)의 고정을 견고하게 이루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판(40)은 상기 제 1 장착홈(32)에 끼워질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20)과 대응하는 부위에는 설치창(40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설치창(40a)은 도시한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10)에 브래킷(20)을 볼트(15)로 결합하고, 상기 브래킷(20)에 볼트(15)를 통하여 테두리프레임(3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설치창(40a)을 통하여 사용자가 볼트(15)의 체결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벽체(10)의 전방으로 브래킷(20), 테두리프레임(30)을 설치하거나, 설치가 이루어진 브래킷(20), 테두리프레임(3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벽체(10)에 설치한 브래킷(20)과 테두리프레임(30)을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상기 보강판(40)의 설치창(40a)을 통하여 용이한 설치작업과 분리작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설치창(40a)의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승강차 벽체(10)에 복수 개의 장식판(50)을 설치한 후에도 벽체(10)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브래킷(20)과 테두리프레임(30)을 용이하게 분리하며 교체를 이루고자 하는 장식판(50) 만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판(40)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제1장착홈(32)에 끼워지는 삽입부(41)와, 상기 삽입부(41)의 내측으로 상기 제1장착홈(32)에서 상기 제2장착홈(33) 까지 이르는 두께로 돌출한 돌출보(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부(41)는 도시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장착홈(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42)는 상기 장착홈(32)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장식판(50)의 일단이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장식판(50)은 상기 보강판(40)의 돌출부(42) 표면과 상기 보강판(40)의 돌출부(42)와 동일 위상의 평면을 이루는 상기 제2 장착홈(33)의 표면에 부착되게 구성한다.
즉, 상술한 보강판(40)과, 장식판(50)의 구성을 통하여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테두리프레임(30)의 제1장착홈(32)에 설치를 이룬 상기 보강판(40)의 일측으로 상기 장식판(50)의 배면이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식판(50)의 배면과 이에 대향 하는 상기 보강판(40)의 돌출부(42) 표면과 상기 제2장착홈(33)의 표면 사이에는 접착시트(60)를 더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강판(40)의 돌출부(42)에 상기 장식판(50)의 배면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더하여, 상기 볼트(15)는 도시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와 체결되는 부위의 단부에 도라이버홈(15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도라이버홈(15b)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10)의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에 체결이 이루어진 볼트(15)의 체결부위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벽체(10a)의 후방 즉, 상기 브래킷(20)의 설치가 이루어진 벽체(10)의 반대 방향에서 볼트(15)의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차 벽체(10)에 볼트(15)를 통하여 브래킷(20)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20)에 테두리프레임(30), 보강판(40), 장식판(50)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기 벽체(10)의 후방 즉, 상기 브래킷(20)의 관통홀(20a)을 관통하며 벽체(10)에 마련된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와 체결되며, 상기 브래킷(20)이 설치된 벽체(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볼트의 도라이버홈(15b)에 도라이버를 체결하여 돌림으로써, 상기 벽체(10)의 전방에서 결합을 이룬 브래킷(20), 테두리프레임(30), 보강판(40), 장식판(50)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지 않고도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일체로 벽체(10)와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브래킷(20), 테두리프레임(30), 보강판(40), 장식판(50)을 개별적으로 설치 또는 교체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술한 브래킷(20), 테두리프레임(30), 보강판(40), 장식판(50)을 조립된 불록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블록을 엘리베이터 승강차 벽체(10)에 마련한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에 대응하는 체결구로 체결하며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20), 테두리프레임(30), 보강판(40), 장식판(50)이 조립된 블록의 해당 장식판(50)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을 이룬 블록의 장식판(50) 만을 엘리베이터 승강차 벽체(10)의 외측으로부터 분리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벽체 10a: 너트홀
10b: 너트 15: 볼트
15a: 볼트머리 15b: 도라이버홈
20: 브래킷 20a: 관통홀
21: 지지부 22: 고정부
30: 테두리프레임 31: 고정홈
32: 제1장착홈 33: 제2장착홈
40: 보강판 40a: 설치창
41: 삽입부 42: 돌출부
50: 장식판 60: 접착시트
70: 고정앵글 71: 체결볼트

Claims (5)

  1. 이미 설정한 복수 부위에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를 마련한 벽체(10)와;
    상기 벽체(10)의 전방에 놓이며, 상기 벽체(10)에 대향하는 부위와 측부에 각각 관통홀(20a)을 형성한 브래킷(20)과;
    복수가 상호 연결로 테두리 형상을 이루며, 테두리 영역의 내측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에 대응하는 볼트(15)의 볼트머리(15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홈(31)과, 상기 고정홈(31)에서 그 전방으로 제 1, 2 장착홈(32,33)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테두리프레임(30)과;
    상기 제 1 장착홈(32)에 끼워지는 판 형상으로 상기 브래킷(20)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볼트(15)가 관통 가능한 설치창(40a)을 형성한 보강판(40); 및
    상기 제 2 장착홈(33)에 끼워지며 배면이 상기 보강판(40)의 지지를 받는 장식판(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벽체(10)의 전면에 대향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일측에서 상기 벽체(10)의 전면에 대하여 세워진 형상으로 굽은 고정부(22)를 갖는 앵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21)에 형성한 관통홀(20a)은 상기 고정부(22)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0)의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제 1 장착홈(32)에 끼워지는 삽입부(41)와; 상기 삽입부(41)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장착홈(32)에서 상기 제 2 장착홈(33)까지 이르는 두께로 돌출한 돌출부(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식판(50)은 상기 보강판(40)의 돌출부(42) 표면과 상기 보강판(40)의 돌출부(42)와 동일 위상의 평면을 이루는 상기 제 2 장착홈(33)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50)의 배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보강판(40)의 돌출부(42) 표면과 상기 제 2 장착홈(33)의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시트(6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장식판(50)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15)는, 상기 너트홀(10a) 또는 너트(10b)와 체결되는 부위의 단부에 도라이버홈(15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KR1020160040188A 2015-12-11 2016-04-01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KR101655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7201 2015-12-11
KR1020150177201 2015-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088B1 true KR101655088B1 (ko) 2016-09-07

Family

ID=5694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88A KR101655088B1 (ko) 2015-12-11 2016-04-01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0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199B1 (ko) 1998-04-30 2000-10-16 김춘호 무선 비동기전송모드에서 페이징 트래픽부하의 감소를 위한 동적페이징방법
KR200273598Y1 (ko) * 2002-02-08 2002-05-03 노순희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KR20050038391A (ko) * 2003-10-22 2005-04-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장식판 결합장치
KR101141786B1 (ko) * 2009-05-15 2012-05-03 (주)금영제너럴 브라켓 연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199B1 (ko) 1998-04-30 2000-10-16 김춘호 무선 비동기전송모드에서 페이징 트래픽부하의 감소를 위한 동적페이징방법
KR200273598Y1 (ko) * 2002-02-08 2002-05-03 노순희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KR20050038391A (ko) * 2003-10-22 2005-04-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의 장식판 결합장치
KR101141786B1 (ko) * 2009-05-15 2012-05-03 (주)금영제너럴 브라켓 연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499B1 (ko) 벽체 마감장치
US10323793B2 (en) Mounting bracket
KR101452968B1 (ko) 칸막이 시공용 하부 구조체
KR101655088B1 (ko) 엘리베이터용 장식판 조립구조
CA2915184C (en) Spa cabinet attachment
KR101551730B1 (ko) 다용도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180038721A (ko) 전등 장착용 브래킷
KR20180007461A (ko) 마감패널 조립구조
CN110725501A (zh) 一种可调节插入式挂件结构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CN209958669U (zh) 悬挂式装饰板材安装装置
WO2022013831A1 (en) Modular frame structure for a demountable wall system with a novel profile assembly
KR200479635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CN211114584U (zh) 一种可调节插入式挂件结构
US20110030302A1 (en) Panel backing and mounting system
TWI242175B (en) Wall-surface mounted illumination signboard device
CN105650551A (zh) 平板灯及其吸顶架
KR20190127334A (ko) 커튼월 외장 시스템의 외부 장식물 설치 구조
JP6018669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およびかご室側板の交換方法
KR102331092B1 (ko) 엘리베이터 장식판 고정장치
CN215722834U (zh) 一种便于安装的led吸顶灯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CN212427735U (zh) 一种吊顶及安装结构
JP2006104724A (ja) 間仕切りパネルの構造
JP5061586B2 (ja) ガラス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