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71B1 -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71B1
KR101654771B1 KR1020140003488A KR20140003488A KR101654771B1 KR 101654771 B1 KR101654771 B1 KR 101654771B1 KR 1020140003488 A KR1020140003488 A KR 1020140003488A KR 20140003488 A KR20140003488 A KR 20140003488A KR 101654771 B1 KR101654771 B1 KR 101654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ultural
user
source
distribu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954A (ko
Inventor
허성삼
Original Assignee
어니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니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니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사용자단말의 메인페이지 제공 요청에 따라, 메인페이지에 포함될 콘텐트를 하나 이상의 소스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콘텐트수집부; 메인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소스 콘텐트에 기초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트를 생성하도록, 콘텐트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고,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콘텐트편집부; 문화 콘텐트를 생성한 사용자의 인맥관계를 기반으로,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에 게시하여 배포되도록 하는 콘텐트배포부; 배포된 문화 콘텐트의 공유횟수나 배포된 문화 콘텐트에 대해 입력된 평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문화 콘텐트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콘텐트평가부; 그리고 상기 콘텐트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콘텐트 및 산출된 평가지수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문화 콘텐트를 포함하는 상기 소스 콘텐트를 상기 메인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열람 가능하게 제공하는 콘텐트제공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문화 콘텐트를 생산하기 위한 유용한 소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배포하고 평가함으로써, 양질의 문화 콘텐트를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LATFORM OF CULTURAL CONTENT BASED ON SOCIAL NETWORK}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화 콘텐트의 수집 및 편집, 평가, 배포를 용이하게 하여 양질의 한국문화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인터넷의 발달과 문화 시장 개방에 따라 외국 문화의 국내 유입이 수월해졌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의 해외 수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한류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중문화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음악, 영화, 공연, 여행 등과 관련한 문화 콘텐츠는 온라인에서 소비되거나 거래되기 용이하기 때문에, 문화 콘텐츠의 홍보와 관련 정보의 공유 또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해외 시장에 대해 문화 콘텐츠를 홍보하는데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광고, 홍보의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한국 시장을 비롯한 전세계 시장에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양질의 문화 콘텐츠를 생성하고, 더불어 생성된 문화 콘텐츠를 널리 전파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여러 분야의 문화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생성하고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가 없어, 개개의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콘텐츠 배포를 통해 우리나라의 문화를 소극적으로 홍보하여 왔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10-1048644호는, 사용자가 제작한 멀티미디어 문화 콘텐츠에 대한 QR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개인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이나 시스템에 의하더라도 개객의 문화 콘텐츠의 배포가 인맥을 통해서만 전파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전파와 배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소스(Source)로부터 제공되는 문화 전반에 걸친 콘텐트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새로운 문화 콘텐트를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각각 생성한 문화 콘텐트를 다수의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되, 사용자들이 생성한 문화 콘텐트에 대하여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평가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양질의 콘텐트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콘텐트와,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문화 콘텐트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하고 배열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다양한 한국 문화에 대한 소스 콘텐트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한국에 대한 새로운 문화 콘텐트를 재생산하도록 함으로써, 전세계에 걸쳐 한국 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배포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서로 다른 복수의 소스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소스 콘텐트들을 수집하는 콘텐트수집부; 수집된 소스 콘텐트를 이용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콘텐트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트편집부; 편집 완료되어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저장하고, 문화 콘텐트를 생성한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생성된 문화 콘텐트가 배포되도록 하는 콘텐트배포부; 배포된 문화 콘텐트의 공유횟수나 평가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문화 콘텐트를 평가하는 콘텐트평가부; 그리고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평가된 문화 콘텐트를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열람 가능하게 제공하는 콘텐트제공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양한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문화 전반에 걸친 콘텐트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문화 콘텐트를 공유하거나 새로운 문화 콘텐트로 가공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데 필요한 자료의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양한 사용자들이 여러 소스를 활용하여 서로 다른 새로운 문화 콘텐트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중 양질의 콘텐트를 다수에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문화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소스를 선택하고 페이지 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배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뿐 아니라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다양한 한국 문화에 대한 콘텐트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다양한 양질의 새로운 콘텐트가 지속적으로 생산되도록 함으로써 전세계 사용자에게 한국 문화를 홍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트제공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트제공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시스템은 네트워크(N)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복수의 사용자단말(10)과 콘텐트배포서버(20), 그리고 하나 이상의 소스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에는 웹브라우저나 그 외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은 이와 같은 웹브라우저나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후술할 콘텐트배포서버(2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새로운 콘텐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콘텐트를 배포할 수 있다.
한편 콘텐트배포서버(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단말(10)이나 원격의 다른 서버,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소스서버(30)와 통신하고 이를 통해 콘텐트 배포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이다.
콘텐트배포서버(2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10)과 각각 통신하여 사용자단말(10)에서 새로운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생성된 콘텐트를 사용자의 인맥을 통해 배포하고, 특히 일부 콘텐트는 모든 사용자에게 배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콘텐트배포서버(20)는 후술할 소스서버(30)의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소스서버(30)가 제공하는 문화 관련 콘텐트들이 콘텐트배포서버(20)를 통해 사용자단말(1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서버(30)는 콘텐트배포서버(20)의 운영자와는 다른 운영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드파티 관계의 콘텐트 제공자로서, 음악, 미술, 영화, 문학, 공연, 여행 등 각종 문화 관광 분야와 관련된 소스 콘텐트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콘텐트배포서버(20)의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트배포서버(20)는 콘텐트수집부(21)를 포함한다. 콘텐트수집부(21)는 콘텐트배포서버(20) 측에 저장된 소스 콘텐트나, 상술한 소스서버(30)에 저장된 소스 콘텐트 중 사용자단말(10)에서 요청된 콘텐트를 수집하여 사용자단말(10)로 제공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콘텐트수집부(21)는 콘텐트배포서버(20) 측에 마련된 콘텐트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근하거나, 소스서버(30) 측에 마련된 콘텐트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근하여 사용자단말(10)에 제공될 콘텐트를 수집한다. 이때 콘텐트수집부(21)가 소스서버(30)에 접근하기 위해서 소스서버(30) 측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서버(30)는 서로 다른 문화 분야의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일 수 있는데, 콘텐트수집부(21)는 각각의 콘텐트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서로 다른 분야의 문화 관련 콘텐트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단말(10)에서 음악과 영화에 대한 콘텐트를 요청한 경우, 콘텐트수집부(21)는 소스서버(30)에서 제공하는 음악과 영화 관련 소스 콘텐트 중 일부를 추출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용자단말(10)은 자신이 원하는 분야를 따로 설정하여 해당 분야의 소스 콘텐트만을 콘텐트배포서버(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레이아웃설정부(26)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소스 콘텐트는 소스 콘텐트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콘텐트가 새로운 콘텐트 작성에 활용되거나 참조될 수 있는 단위 콘텐트로서, 문화 상품과 관련한 텍스트 정보나, 이미지, 동영상, 그 외 관련 링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콘텐트제공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제공부(22)는 상술한 콘텐트수집부(21)가 수집한 콘텐트들을 복수의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메인페이지와 개인페이지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메인페이지는 작성자나 배포자가 누구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콘텐트들을 제공하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소스서버(30)에서 수집된 복수의 소스 콘텐트를 나열하여 작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페이지에 포함되는 소스 콘텐트들의 분야는 개개의 사용자들에 대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에 대한 개인페이지는, 해당 사용자가 작성하거나 공유하거나 관심을 표한 콘텐트, 또는 해당 사용자의 친구가 작성하거나 공유하거나 관심을 표한 콘텐트 등과 같이, 개인페이지에 접근한 사용자와 콘텐트의 작성자 또는 배포자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선택된 콘텐트들만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이때 메인페이지와 개인페이지는, 콘텐트제공서버(20)에서 따로 작성되되, 사용자단말(10)에서는 한 화면에 동시에, 또는 다른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콘텐트제공부(22)는 콘텐트수집부(21)에서 수집한 소스 콘텐트들을 메인페이지에 나열하여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소스 콘텐트는 인맥을 고려하지 않고 복수의 사용자 모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콘텐트로서, 각각의 사용자가 인맥과 관계없이 접근할 수 있는 콘텐트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콘텐트수집부(21)가 수집하여 메인페이지에 제공하는 소스 콘텐트들은 저작권 해제(Copyright Free)상태로 설정된 콘텐트, 즉 공공 영역(Public domain)에 속하는 콘텐트로 제한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콘텐트편집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편집부(23)는 사용자단말(10)에서 새로운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콘텐트 생성 도구를 제공하고, 콘텐트 생성 도구를 통해 작성된 새로운 콘텐트를 사용자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콘텐트 생성 도구는 사용자단말(1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되는 웹저작도구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단말(10)에 미리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저작도구일 수도 있다.
콘텐트편집부(23)는 사용자단말(10)에서 새로운 콘텐트가 생성됨에 있어서, 새로 생성되는 콘텐트의 소스로서 상술한 콘텐트수집부(21)가 수집한 소스 콘텐트들 중 일부가 활용되거나 참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콘텐트제공부(22)가 메인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소스 콘텐트들은 복사 및 다른 매체로의 배포가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콘텐트편집부(23)는 제공된 소스 콘텐트를 수정하거나, 소스 콘텐트에 포함된 콘텐트를 포함하는 새로운 콘텐트를 작성함으로써, 새로운 문화 콘텐트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이렇게 새로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콘텐트배포서버(20)로 수신되도록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문화 콘텐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트배포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서 새로 생성되는 콘텐트로서, 상술한 개인 페이지를 통해 배포되는 콘텐트를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문화 콘텐트가 메인 페이지에 게시되는 경우에는 이를 다시 소스 콘텐트로 표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콘텐트배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배포부(24)는 상술한 콘텐트편집부(23)에서 생성한 문화 콘텐트를 복수의 사용자단말(10)로 배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콘텐트배포부(24)는 임의의 사용자단말(10)에 의해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해당 사용자단말(1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인맥에 기초하여 배포한다. 즉, 콘텐트배포부(24)는 생성된 문화 콘텐트의 작성자와, 작성자와 일정 범위 내의 인맥관계,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친구 또는 지인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 각각의 개인페이지에,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게시함으로써 새로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인맥 관계에 기초하여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작성자와 작성자의 친구의 개인페이지에 게시된 문화 콘텐트를, 다시 이를 열람한 사용자가 평가하거나, 다른 페이지로 복사 또는 공유하는 경우, 평가자나 공유자의 인맥관계에 따라 문화 콘텐트의 배포 범위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콘텐트배포부(24)는 콘텐트배포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에서 새로운 문화 콘텐트가 생성된 경우, 이를 각각의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배포할 수 있다.
나아가 콘텐트배포부(24)는 생성 및 배포된 문화 콘텐트를 다시 서드파티 서비스로 배포되도록 함으로써, 문화 콘텐트의 배포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콘텐트평가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평가부(25)는 콘텐트배포부(24)에 의하여 배포된 각각의 문화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나, 공유횟수 등을 합산하여, 각각의 문화 콘텐트에 대한 평가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에 게시되는 각각의 문화 콘텐트들은, 문화 콘텐트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문화 콘텐트를 다른 개인페이지나 다른 서비스 등 다른 매체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문화 콘텐트에 대해 별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좋아요’, ‘싫어요’, ‘공감해요’ 등과 같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평가정보 중 일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트평가부(25)는 동일한 문화 콘텐트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평가정보나 공유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평가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콘텐트제공부(22)는 콘텐트평가부(25)에서 산출된 평가 지수가 미리 설정된 일정 수준 이상이거나, 또는 복수의 문화 콘텐트 중에서 평가지수가 일정 순위 이상인 일부의 문화 콘텐트를 추출하여, 다시 소스 콘텐트로서 메인페이지에 게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페이지에는 개인페이지에서 보다 더 신뢰성 있고 질적 수준이 높은 콘텐트들이 게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양질의 콘텐트들을 다시 새로 생성될 문화 콘텐트들의 소스로 제공함으로써, 2차, 3차 가공되는 콘텐트들에 대해서는 그에 포함된 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즉, 콘텐트제공부(22)가 메인페이지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소스 콘텐트를 제공하고, 이를 가공한 문화 콘텐트는 개인페이지를 통해 일부의 사용자들에게만 배포되며, 이 중 좋은 평가를 받은 일부의 문화 콘텐트는 다시 소스 콘텐트로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어, 양질의, 신뢰성 높은 콘텐트를 생성하는 선순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콘텐트수집부(21)가 수집한 소스 콘텐트를 메인페이지를 통해 콘텐트제공부(22)로 제공함에 있어서, 메인페이지에 포함될 소스 콘텐트가 속하는 카테고리와, 소스 콘텐트의 배열 구조를 사용자 개개로부터 설정받는 레이아웃설정부(26)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제공될 메인페이지의 구조와 배열, 그리고 메인페이지에 포함될 소스 콘텐트들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콘텐트는, 음악, 미술, 문학, 영화, 공연, 여행 등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들 모두를 또는 이들 중 자신이 원하는 일부의 카테고리의 소스 콘텐트만을 메인페이지에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스 콘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나 위치 등을 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페이지에는 소스 콘텐트 또는 그들의 목록이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스 콘텐트들이 속하는 영역은 서로 구획되어 구분될 수 있고, 이들의 크기와 위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아웃설정부(26)는 각각의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받은 메인페이지에 대한 레이아웃 설정정보를 저장하고, 각 사용자단말(10)로 메인페이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레이아웃 설정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트수집부(21)도 메인 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단말(1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레이아웃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스 콘텐트만 수집하여 메인 페이지가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트제공부(22)는 콘텐트평가부(25)에 의하여 높은 평가를 받은 일부 문화 콘텐트만을 추출하여 소스 콘텐트로서 다시 메인 페이지에 포함시키고, 이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메인 페이지는 소스서버(30)로부터 수집된 콘텐트들 뿐 아니라, 콘텐트배포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편집된 문화 콘텐트들 중 높은 평가를 받은 일부 콘텐트를 다시 소스 콘텐트로서 메인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나아가 콘텐트제공부(22)는 높은 평가를 받아 메인 페이지에 게시되도록 선택된 문화 콘텐트를 작성한 사용자, 또는 이들 중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평가를 받거나, 또는 자신이 작성한 문화 콘텐트 중 상대적으로 다수의 문화 콘텐트를 소스 콘텐트로 선택 받은 사용자들의 목록을 메인 페이지 일측에 함께 제공하고 이들에게 인맥 관계 형성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사용자들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인맥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이들의 개인페이지 또는 이들이 작성한 문화 콘텐트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 높은 문화 콘텐트를 메인 페이지에 게시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평가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인맥관리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맥관리부(27)는 상술한 콘텐트배포부(24)가 문화 콘텐트를 배포함에 있어서, 배포 대상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인맥관계정보를 제공한다.
인맥관리부(27)는 임의의 사용자에 대해 서로의 합의 관계에 의해 친구관계를 형성한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거나, 임의의 사용자에 대해 일방적으로 친구관계를 요청한 사용자 목록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사용자가 새로운 문화 콘텐트를 생성하였을 때, 이를 각각 상술한 사용자 목록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들의 개인페이지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맥관리부(27)는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서드파티 관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맥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인맥관계를 정의하고 그에 따라 콘텐트가 배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문화 콘텐트 배포 방법은, 콘텐트배포서버(20)가 소스 콘텐트를 수집하는 단계(S1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S11단계에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사용자단말(10)의 메인 페이지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설정정보를 확인하여 메인 페이지에 포함되어야 할 소스 콘텐트의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선택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스 콘텐트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콘텐트배포서버(20)는 신뢰성 있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서드파티 관계의 소스서버(30)로부터 소스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S12단계에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레이아웃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수집된 소스 콘텐트를 배열함으로써 사용자단말(10)로 제공될 메인 페이지를 작성한 후, 작성된 메인 페이지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10)로부터, 제공된 소스 콘텐트에 기초한 새로운 문화 콘텐트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콘텐트배포서버(20)는 사용자단말(10)에서 콘텐트 생성 도구를 이용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트를 생성하도록 하고,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저장한다(S13).
이어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개인페이지를 통해 배포한다(S14). 예를 들어, 생성된 문화 콘텐트가 제1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경우, 제1사용자의 개인페이지에 새로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게시하여 제1사용자와, 제1사용자의 개인페이지를 방문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문화 콘텐트가 열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14단계에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생성된 문화 콘텐트가 제1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경우, 제1사용자에 대한 인맥관계정보를 확인하여, 제1사용자와 친구관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사용자 각각의 개인페이지에 해당 문화 콘텐트가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사용자와, 제2사용자의 개인페이지를 방문하는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문화 콘텐트가 열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14단계에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문화 콘텐트를 열람할 수 있는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배포된 문화 콘텐트가 재배포, 즉 또 다른 사용자의 개인페이지로 공유되도록 하거나 다른 서비스로 배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S14단계에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문화 콘텐트를 열람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단말(10)을 통한 입력에 따라, 문화 콘텐트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 받거나, 공유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트배포서버(2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배포되고 공유된 하나의 동일한 문화 콘텐트에 대한 평가정보를 통합하고 공유횟수를 카운트하여 각각의 문화 콘텐트에 대한 평가지수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상위의 문화 콘텐트를 추출할 수 있다(S15). 이를 위하여 콘텐트배포서버(20)는 특정 문화 콘텐트가 각각 다른 사용자의 개인 페이지에 배포되고, 공유되더라도 해당 문화 콘텐트에 대해 동일한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정확한 평가지수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콘텐트배포서버(20)는 S15단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상위의 문화 콘텐트로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문화 콘텐트를 다시 소스 콘텐트로서 메인 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S16).
즉, 메인 페이지에는 소스서버(30)로부터 수집된 소스 콘텐트뿐 아니라, 문화 콘텐트 중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콘텐트들도 모두 소스 콘텐트로서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때 높은 평가지수를 받아 소스 콘텐트로 선정될 수 있는 문화 콘텐트는 모든 사용자가 열람 가능하게 설정된, 즉 예를 들어 ‘전체공개’로 설정된 문화 콘텐트로 제한될 수 있고, 문화 콘텐트를 작성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트를 ‘친구공개’로 설정하는 등 일정 범위 내의 사용자만 열람 가능하게 설정한 경우에는, 평가지수를 높게 인정받더라도 상술한 소스 콘텐트로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일반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배포용 콘텐트들도 신뢰성을 인정받는 경우, 소스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전문가 집단에 의하여 작성된 소스 콘텐트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문화 상품에 대한 일반정보, 리뷰, 광고 등 보다 다양한 콘텐트를 여러 다른 관점에서 더욱 풍부하게 생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배포 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콘텐트배포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콘텐트배포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배포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트 배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배포서버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단말의 메인페이지 제공 요청에 따라, 메인페이지에 소스 콘텐트로서 포함될 콘텐트를 하나 이상의 소스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콘텐트수집부;
    메인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소스 콘텐트를 편집하여 소스 콘텐트와는 다른 문화 콘텐트를 생성하도록, 콘텐트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고,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저장하는 콘텐트편집부;
    문화 콘텐트를 생성한 사용자 및 문화 콘텐트를 생성한 사용자와 일정한 인맥관계에 속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만 노출되는 개인페이지에, 생성된 문화 콘텐트를 게시하여 배포되도록 하는 콘텐트배포부;
    배포된 문화 콘텐트의 공유횟수나 배포된 문화 콘텐트에 대해 입력된 평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문화 콘텐트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콘텐트평가부;
    상기 콘텐트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콘텐트 및 상기 배포된 문화 콘텐트 중 상기 콘텐트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평가지수가 일정 수준 또는 일정 순위 이상인 하나 이상의 문화 콘텐트를 추출하고, 추출한 하나 이상의 문화 콘텐트를, 소스 콘텐트로서 상기 메인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열람 가능하게 제공하는 콘텐트제공부;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와 인맥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맥관계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맥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트제공부는,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문화 콘텐트를 작성한 하나 이상의 제1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메인페이지의 일측에 제공하고
    상기 인맥관리부는,
    상기 제1사용자의 정보를 통해, 임의의 제2사용자부터 상기 제1사용자에 대한 인맥관계 형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사용자의 인맥관계정보에 상기 제2사용자의 정보를 추가하는, 콘텐트배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콘텐트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고,
    상기 콘텐트배포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메인페이지에 포함될 소스 콘텐트가 속하는 카테고리 정보와,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스 콘텐트가 배열되는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이아웃 설정정보를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레이아웃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트배포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제공부는,
    상기 임의의 사용자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기 레이아웃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메인페이지에 포함되는 소스 콘텐트의 카테고리를 한정하는, 콘텐트배포서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페이지에 포함되는 소스 콘텐트는,
    각각의 사용자들 사이의 인맥관계와 무관하게 복수의 사용자에게 열람 가능하게 제공되는 콘텐트인, 콘텐트배포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배포부는,
    임의의 문화 콘텐트를, 해당 문화 콘텐트를 생성한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와, 해당 문화 콘텐트를 생성한 사용자와 일정한 범위 내의 인맥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에 게시하여 배포되도록 하는, 콘텐트배포서버.
  8.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배포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임의의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작성된 문화 콘텐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저장된 상기 문화 콘텐트를 상기 문화 콘텐트를 작성한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상기 작성한 사용자와 일정 범위 내의 인맥관계를 갖는 다른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배포된 상기 문화 콘텐트에 대한 공유횟수 또는 상기 문화 콘텐트에 대해 입력된 평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문화 콘텐트의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평가지수가 산출된 복수의 문화 콘텐트 중에서 일정 수준 또는 일정 순위 이상의 평가지수를 받은 하나 이상의 문화 콘텐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추출된 문화 콘텐트를 포함하는 소스 콘텐트를 메인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상기 메인페이지를 요청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페이지를 요청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상기 추출된 문화 콘텐트를 작성한 제1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메인페이지를 요청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사용자의 정보를 통해, 임의의 제2사용자부터 상기 제1사용자에 대한 인맥관계 형성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의 인맥관계정보에 상기 제2사용자의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배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배포서버가, 저장된 상기 문화 콘텐트를 상기 문화 콘텐트를 작성한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와 함께, 상기 작성한 사용자와 일정 범위 내의 인맥관계를 갖는 다른 사용자의 개인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배포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페이지를 요청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스 콘텐트는,
    상기 추출된 문화 콘텐트와 함께, 상기 콘텐트배포서버와 서드파티 관계인 하나 이상의 소스서버로부터 수집한 콘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콘텐트를 작성한 사용자의 인맥관계와 무관하게 상기 메인페이지를 요청한 복수의 사용자단말로 열람 가능하게 제공되는, 콘텐트배포방법.
  11. 삭제
KR1020140003488A 2014-01-10 2014-01-10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654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88A KR101654771B1 (ko) 2014-01-10 2014-01-10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488A KR101654771B1 (ko) 2014-01-10 2014-01-10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54A KR20150083954A (ko) 2015-07-21
KR101654771B1 true KR101654771B1 (ko) 2016-09-06

Family

ID=5387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488A KR101654771B1 (ko) 2014-01-10 2014-01-10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73B1 (ko) * 2018-02-13 2019-08-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셜 커머스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선물 추천 방법
CN113298365B (zh) * 2021-05-12 2023-12-01 北京信息科技大学 一种基于lstm的文化附加值评估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437B1 (ko) 2008-06-27 2010-06-09 엔에이치엔(주)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152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의 템플릿 기반 컨텐츠 제작 서비스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적용한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437B1 (ko) 2008-06-27 2010-06-09 엔에이치엔(주) 개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54A (ko)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98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US9203793B2 (en) Ad-hoc micro-blogging groups
CN102549557B (zh) 针对在线内容的媒体指南的特定化、集中式、自动化创建
US8892648B1 (en) Media player social network integration
US20120005216A1 (en) Providing Content by Using a Social Network
US201301414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ng user interactions through user generated content
US20190090007A1 (en) Conditional display of hyperlinks in a video
Vukanovic New media business models in social and web media
US20140229289A1 (en) Enhanced shared screen experiences for concurrent users
US20180189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WO2018125356A1 (en) Video playlist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electronic messaging communications
WO2012126307A1 (zh) 一种基于位置服务的信息聚合展示方法及装置
Cattaneo et al. Deploying cpu-intensive applications on mec in nfv systems: The immersive video use case
US10225293B1 (en) Decorating embedded graphic representations on social shares with metadata
WO2014085496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derived from a social network
KR101654771B1 (ko)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문화 콘텐트 배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8463819B (zh) 使用智能终端的基于数字串的实时信息分发系统以及信息分发方法
US11810158B2 (en) Weighted pseudo—random digital content selection
US98322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content
Shen et al. Application of social media among chinese outbound tourists: Platforms and behaviors
CN103841121A (zh) 一种基于本地文件的评论和互动系统及方法
US105476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content sharing
CN105407076A (zh) 一种媒体桥实现方法及系统
KR101483554B1 (ko)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연관 콘텐츠 추천 방법 및 장치
Yim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D Databas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