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154B1 -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154B1
KR101654154B1 KR1020140121755A KR20140121755A KR101654154B1 KR 101654154 B1 KR101654154 B1 KR 101654154B1 KR 1020140121755 A KR1020140121755 A KR 1020140121755A KR 20140121755 A KR20140121755 A KR 20140121755A KR 101654154 B1 KR101654154 B1 KR 10165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cattering
guide
replaceab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727A (ko
Inventor
양해석
Original Assignee
덕성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성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1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향 살수 혹은, 하향 살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설치 방식에 따라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 및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로 구분되어 제공되면서 살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각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그의 비산안내단이 상기 살수부의 설치 방향에 따라 물의 비산 방향을 달리 안내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용 노즐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살수용 노즐어셈블리{sprinkler}
본 발명은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향 살수 혹은, 하향 살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농가 혹은, 축사 등에서 식물이나 나무 혹은, 주변에 물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그 적용이 이루어지는 살수 설비의 전체 구조나 배치에 따라 설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는 상향 설치식 혹은, 하향 설치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설치되면서 물을 비산 및 살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종래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그의 설치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각각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실용신안공보 실1996-0894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34445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56700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설치 방식에 서로 다른 살수용 노즐어셈블리가 사용되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어느 한 설치 방식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치한 상태에서 설치 방식이나 설치 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다른 한 설치 방식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별도로 구입한 후 해당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의 살수 방향이나 살수 범위에 맞게 전체적으로 재설치하여야만 함에 따른 비용 증가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되었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의 경우는 그의 철거후 폐기하여야만 함에 따른 낭비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공급 및 설치를 위한 부위는 동일하게 형성하면서도 상기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방향 및 범위로 비산시키는 부위는 사용 용도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에 따르면 내측 부위가 개방된 링(ring) 형상의 안착단과,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면서 하향 연장됨과 더불어 그의 하측 끝단은 서로 연결되게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각 연결플레임의 서로 연결된 하측 끝단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하단은 호스(hose)가 연결됨과 더불어 상단은 상기 각 연결프레임들 사이로 상향 돌출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각 연결프레임 중 상기 분사노즐이 연결된 부위의 측부에 위치되면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는 설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살수부; 상기 살수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상면에 장착 혹은, 분리 가능하도록 얹혀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살수부를 이루는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비산을 안내하는 비산안내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체형 비산안내부;로 구성되며,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설치 방식에 따라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 및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로 구분되어 제공되면서 상기 살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각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그의 비산안내단이 상기 살수부의 설치 방향에 따라 물의 비산 방향을 달리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살수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상부 둘레에는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를 이루는 결합단의 파지를 위한 복수의 후크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단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단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에는 상기 안착단의 위치결정돌기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후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요입된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를 이루는 비산안내단은 결합단의 저면 중앙측으로부터 살수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개방된 중앙측 부위를 관통하도록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비산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의 중앙측 부위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한 물의 분사 방향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물이 주변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상기 물의 분사 방향과는 수직인 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내부 둘레면은 상기 분산된 물의 하향 비산을 안내하기 위해 아래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구조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비산안내단이 살수부를 이루는 분사노즐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되면서 그의 끝단 부위가 물의 분사 방향을 따라 점차 외향 경사지는 원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비산안내단과 결합단은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결합리브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비산안내단과 결합리브 사이에는 비산되는 물의 통과를 위한 틈새가 제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살수 설비에 따른 설치 방향에 상관없이 상향식 혹은, 하향식으로의 모든 설치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살수 설비에의 설치 형태에 따라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 혹은,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로 교체하면 되며, 이렇게 교체된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차후 살수 설비에의 설치 형태가 변경될 경우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 처리로 인한 낭비가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각 교체형 비산안내부와 살수부 간의 결합이 복수의 후크 및 위치결정돌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살수부를 통해 분사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혹은, 물의 분사 방향으로 유동됨이 방지되어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의 원치않은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가 적용된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이러한 실시예의 설명 중 언급되는 각 구성 요소의 방향에 대한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이용한 각 설비별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크게 살수부(100)와,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살수부(100)에 교체 적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향 설치식 설비 및 하향 설치식 설비 모두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조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살수부(100)는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를 해당 살수 설비에 설치함과 더불어 물을 공급받아 분무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살수부(100)는 안착단(110)과, 복수의 연결프레임(120)과, 분사노즐(130) 및 설치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단(110)은 후술될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의 설치를 위한 부위로써, 내측 부위가 개방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안착면으로 제공됨과 더불어 저면은 각 연결프레임(120)의 돌출 형성 부위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각 연결프레임(120)은 분사노즐(130)의 설치를 위한 부위로써, 상기 안착단(110)의 저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면서 하향 연장됨과 더불어 그의 하측 끝단은 서로 연결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분사노즐(130)이 관통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30)은 상기 각 연결플레임(120)의 서로 연결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단은 호스(hose)(10)가 연결됨과 더불어 상단은 상기 각 연결프레임(120)들 사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관(140)은 살수 설비를 이루는 각 프레임(도시는 생략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혹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결합폴(20)에의 연결을 위한 부위로써, 상기 각 연결프레임(120) 중 상기 분사노즐(130)이 연결된 부위의 측부에 위치되면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폴(20)에의 설치 위치를 상기 분사노즐(130)과 최대한 인접되도록 하여 상기 분사노즐(130)을 통한 물의 분사시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분사노즐(130)에 호스(10)의 연결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는 상기 살수부(10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비산 방향 및 비산 범위를 결정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는 상기 살수부(100)를 이루는 안착단(110)의 상면에 장착 혹은, 분리 가능하도록 얹혀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단(210,310)과, 상기 결합단(210,3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살수부(100)를 이루는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비산을 안내하는 비산안내단(220,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살수부(100)를 이루는 안착단(110)의 저부 둘레에는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를 이루는 결합단(210,310)의 파지를 위한 복수의 후크(111)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단(11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단(210,310)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기(1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210,310)에는 상기 안착단(110)의 위치결정돌기(112)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위치결정홈(212,31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단(210,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후크(11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요입된 결합홈(211,3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가 설치 방식에 따라 복수의 종류로 제공되면서 상기 살수부(10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상기 각 종류별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는 그의 비산안내단(220,320)이 상기 살수부(100)의 설치 방향에 따라 물의 비산 방향을 달리 안내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는 단순히 하나의 종류로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와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가 각각 구분되어 제공되면서 살수부(100)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 및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의 결합단(210,310)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비산안내단(220,320)의 구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의 비산안내단(22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단(210)의 저면 중앙측으로부터 상기 살수부(100)를 이루는 안착단(110)의 개방된 중앙측 부위를 관통하도록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비산안내단(220)의 저면에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비산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내홈(221)의 중앙측 부위는 상기 분사노즐(130)에 의한 물의 분사 방향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물이 주변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상기 물의 분사 방향과는 수직인 지면과 나란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221)의 내부 둘레면은 상기 분산된 물의 하향 비산을 안내하기 위해 아래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구조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의 비산안내단(320)은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30)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되면서 끝단 부위가 물의 분사 방향을 따라 점차 외향 경사지는 원뿔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비산안내단(320)과 결합단(310)은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결합리브(330)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비산안내단(320)과 결합리브(330) 사이에는 비산되는 물의 통과를 위한 틈새가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에 대한 조립과 장착 및 작용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 공급관로가 지면을 따라 설치되는 구조로 살수 설비가 구축될 경우에는 살수부(100)를 이루는 안착단(110)의 상면에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는 그의 결합단(210)을 상기 안착단(1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하며, 이때 상기 안착단(110)에 형성된 각 후크(111) 및 위치결정돌기(112)는 상기 결합단(210)에 형성된 결합홈(211) 및 위치결정홈(212)에 일치되면서 정확한 방향성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살수부(100)에 상기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가 장착된다. 이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되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된 결합폴(20)의 상측 끝단에 상기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의 살수부(100)를 이루는 설치관(140)을 결합하며, 이와 함께 물(예컨대, 수돗물)을 공급하는 호스(10)는 분사노즐(130)의 하단에 결합한다. 이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호스(10)를 통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공급되는 물은 분사노즐(130)을 통과하여 상향 분사되며, 계속해서 상기 분사된 물은 분사노즐(130)의 직상방에 위치된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를 이루는 비산안내단(220)의 안내홈(221)에 부딪혀 사방으로 확산된 후 상기 안내홈(221)의 내부 둘레면이 이루는 경사를 따라 하향 비산되면서 주변으로 살수된다.
한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물 공급관로가 상부(예컨대, 비닐하우스 등의 지붕)를 따라 설치되는 구조로 살수 설비가 구축될 경우에는 살수부(100)의 안착단(110)으로부터 전술된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를 분리하여 취출한 다음 별개로 제공되는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를 상기 안착단(110)에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는 그의 결합단(310)을 도면상 상기 안착단(1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하며, 이때 상기 안착단(110)에 형성된 각 후크(111) 및 위치결정돌기(112)는 상기 결합단(310)에 형성된 결합홈(311) 및 위치결정홈(312)에 일치되면서 정확한 방향성을 유지한 상태로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살수부(100)에 상기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가 장착된다. 이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측 공간으로부터 수직하게 하향 설치된 결합폴(20)의 하측 끝단에 상기 살수용 노즐어셈블리의 살수부(100)를 이루는 설치관(140)을 결합하며, 이와 함께 물(예컨대, 수돗물)을 공급하는 호스(10)는 분사노즐(130)에 결합한다. 이는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호스(10)를 통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공급되는 물은 분사노즐(130)을 통과하여 하향 분사되며, 계속해서 상기 분사된 물은 분사노즐(130)의 직하방에 위치된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를 이루는 원뿔형 비산안내단(320)의 상측 끝단에 부딪혀 사방으로 확산된 후 상기 비산안내단(320)과 각 결합리브(3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향 비산되면서 주변으로 살수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살수 설비에 따른 설치 방향에 상관없이 상향식 혹은, 하향식으로의 모든 설치가 가능하게 된 장점을 가진다.
특히, 살수 설비에의 설치 형태에 따라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200) 혹은,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300)로 교체하면 되며, 이렇게 교체된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는 차후 살수 설비에의 설치 형태가 변경될 경우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 처리로 인한 낭비가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살수용 노즐어셈블리는 전술된 각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와 살수부(100) 간의 결합이 복수의 후크(111) 및 위치결정돌기(112)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살수부(100)를 통해 분사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혹은, 물의 분사 방향으로 유동됨이 방지되어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200,300)의 원치않은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호스 20. 결합폴
100. 살수부 110. 안착단
111. 후크 112. 위치결정돌기
120. 연결프레임 130. 분사노즐
140. 설치관 200.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
300.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 210,310. 결합단
211,311. 결합홈 212,312. 위치결정홈
220,320. 비산안내단 221. 안내홈
330. 결합리브

Claims (5)

  1. 내측 부위가 개방된 링(ring) 형상의 안착단과, 상기 안착단의 저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면서 하향 연장됨과 더불어 그의 하측 끝단은 서로 연결되게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각 연결플레임의 서로 연결된 하측 끝단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하단은 호스(hose)가 연결됨과 더불어 상단은 상기 각 연결프레임들 사이로 상향 돌출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각 연결프레임 중 상기 분사노즐이 연결된 부위의 측부에 위치되면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는 설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살수부;
    상기 살수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상면에 장착 혹은, 분리 가능하도록 얹혀 결합되는 링 형상의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살수부를 이루는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비산을 안내하는 비산안내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체형 비산안내부;로 구성되며,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설치 방식에 따라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 및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로 구분되어 제공되면서 상기 살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각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그의 비산안내단이 상기 살수부의 설치 방향에 따라 물의 비산 방향을 달리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상부 둘레에는 상기 교체형 비산안내부를 이루는 결합단의 파지를 위한 복수의 후크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단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단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에는 상기 안착단의 위치결정돌기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 후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요입된 결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를 이루는 비산안내단은
    결합단의 저면 중앙측으로부터 살수부를 이루는 안착단의 개방된 중앙측 부위를 관통하도록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비산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중앙측 부위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한 물의 분사 방향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물이 주변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상기 물의 분사 방향과는 수직인 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내부 둘레면은 상기 분산된 물의 하향 비산을 안내하기 위해 아래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구조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설치식 교체형 비산안내부는
    비산안내단이 살수부를 이루는 분사노즐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되면서 그의 끝단 부위가 물의 분사 방향을 따라 점차 외향 경사지는 원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비산안내단과 결합단은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의 결합리브를 통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비산안내단과 결합리브 사이에는 비산되는 물의 통과를 위한 틈새가 제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KR1020140121755A 2014-09-15 2014-09-15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KR10165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55A KR101654154B1 (ko) 2014-09-15 2014-09-15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55A KR101654154B1 (ko) 2014-09-15 2014-09-15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27A KR20160031727A (ko) 2016-03-23
KR101654154B1 true KR101654154B1 (ko) 2016-09-05

Family

ID=5564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755A KR101654154B1 (ko) 2014-09-15 2014-09-15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1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021A (en) 1977-02-17 1978-09-12 Werner Clements M Fire extinguishant dispensing nozzles
US7070122B2 (en) 2003-08-04 2006-07-04 Senninger Irrigation Inc. Wobbling sprinkler head
KR100642865B1 (ko) 2004-12-17 2006-11-10 정인진 후러쉬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2056B2 (ja) * 1996-04-10 2006-11-29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の巻出し配管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021A (en) 1977-02-17 1978-09-12 Werner Clements M Fire extinguishant dispensing nozzles
US7070122B2 (en) 2003-08-04 2006-07-04 Senninger Irrigation Inc. Wobbling sprinkler head
KR100642865B1 (ko) 2004-12-17 2006-11-10 정인진 후러쉬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27A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00983A1 (en) Shower Head
US8640980B2 (en) Showerhead
CN202390676U (zh) 洗衣机立体喷淋的锥形喷头
CN104368459A (zh) 一种自清洗式淋浴喷头
US20160243563A1 (en) Lawn sprinkler flow control device
US7066403B2 (en) Sprinkling system and method
CN203886692U (zh) 一种中空水花出水组件
KR101654154B1 (ko) 살수용 노즐어셈블리
US20110198420A1 (en) Irrigation water bubbler
KR102089569B1 (ko)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CN210987486U (zh) 农用微喷灌装置
KR101946427B1 (ko) 비닐하우스 분사노즐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CN205868598U (zh) 地插倒悬微喷头
US10072762B2 (en) Adapter valve assembly
CN208341049U (zh) 一种音乐喷泉喷头安装结构
CN202876481U (zh) 一种便于清洗的油漆过滤器滤芯
US20140053782A1 (en) Auto-freshening water dispenser
CN202427569U (zh) 一种淋浴花洒出水组件
JP3961998B2 (ja) 散水ノズル
KR20160120546A (ko) 노즐의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농작물용 스프링클러
CN216508271U (zh) 一种带有水压自动调节功能的清洗器
KR20160016456A (ko) 슬림 샤워 헤드
CN211463547U (zh) 一种具有辅助过滤水源功能的花洒
US10820757B2 (en) Shower systems and methods
KR101337783B1 (ko) 확산판을 구비한 샤워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