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146B1 -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4146B1 KR101654146B1 KR1020150122238A KR20150122238A KR101654146B1 KR 101654146 B1 KR101654146 B1 KR 101654146B1 KR 1020150122238 A KR1020150122238 A KR 1020150122238A KR 20150122238 A KR20150122238 A KR 20150122238A KR 101654146 B1 KR101654146 B1 KR 1016541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 module
- sensor
- state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F16B1/0014—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물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운트부(110); 상기 마운트부(110)와 일측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케이스(12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방위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131), 가속도 및 가속도 방향 감지하는 가속도센서(132), 회전 관성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3)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13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과 연결되어 센서 모듈(130)의 감지값을 외부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기(14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 및 데이터 송출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를 포함하는 사물 부착 모듈(100)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 송출기(140)에서 송출되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0); 상기 수신기(200)에서 수신된 센서 모듈(130)의 센싱 데이터를 연산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외부로 송출하는 송수신 제어기(400)와,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와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물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 및 알림하는 어플리케이션(A)을 설치한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사용자가 감지를 원하는 사물에 사물 부착 모듈(100)을 부착하는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에서 사물 부착 모듈(100)이 부착된 사물의 어떤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할지를 결정하는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후, 설정한 동작 및 상태가 감지되면, 진동, 알림음, 문자 메시지 송출 중, 어떤 알림 동작을 수행할 지를 선택하는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및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송수신 제어기(400)로 송출하는, 선택 정보 송출단계(S400);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에서 제어부(300)로 선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이를 저장하는 제어부 선택정보 수용단계(S500); 사물이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한 동작 및 상태를 수행하는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 상기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의 동작 및 상태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센서 모듈(130)이 감지하는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 상기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에서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에 의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맞는지 확인하는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 상기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에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를 통해 알림 신호를 송출하는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상기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에서 송출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알림신호 수신단계(S11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에서 상기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한 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동작 수행단계(S1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사용자가 감지를 원하는 사물에 사물 부착 모듈(100)을 부착하는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에서 사물 부착 모듈(100)이 부착된 사물의 어떤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할지를 결정하는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후, 설정한 동작 및 상태가 감지되면, 진동, 알림음, 문자 메시지 송출 중, 어떤 알림 동작을 수행할 지를 선택하는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및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송수신 제어기(400)로 송출하는, 선택 정보 송출단계(S400);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에서 제어부(300)로 선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이를 저장하는 제어부 선택정보 수용단계(S500); 사물이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한 동작 및 상태를 수행하는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 상기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의 동작 및 상태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센서 모듈(130)이 감지하는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 상기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에서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에 의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맞는지 확인하는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 상기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에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를 통해 알림 신호를 송출하는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상기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에서 송출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알림신호 수신단계(S11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에서 상기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한 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동작 수행단계(S1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하고 싶은 사물에 마운트부를 설치하고, 상기 사물 부착 모듈의 센서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물의 상태 및 동작을 사용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하고 싶은 사물에 마운트부를 설치하고, 상기 사물 부착 모듈의 센서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물의 상태 및 동작을 사용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는 1998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Auto-ID 랩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후 2005년 ITU-T에서 `The Internet of Things`라는 연차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사물 인터넷은 미래 정보기술(IT) 산업 혁명의 모든 구조를 담는 가장 기본틀이 될 것임을 예고한 바 있다.
보고서는 사물 인터넷을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라고 정의했다.
즉, 사물 인터넷은 명실상부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볼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업체는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로 떠오를 사물 인터넷 지원용 단말과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연결을 설정하고 서비스를 시작하기위한 복잡한 절차는 서비스 확산의 장애물이 되었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 기기의 서비스를 손쉽게 시작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9축 센서, 즉, 방위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가속도 및 가속도 방향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회전 관성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사물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물이 어떤 동작을 수행 할 시, 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센서가 부착된 모든 사물의 현재 상태 및 동작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물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운트부(110); 상기 마운트부(110)와 일측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케이스(12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방위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131), 가속도 및 가속도 방향 감지하는 가속도센서(132), 회전 관성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3)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13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과 연결되어 센서 모듈(130)의 감지값을 외부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기(14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 및 데이터 송출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를 포함하는 사물 부착 모듈(100)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 송출기(140)에서 송출되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0); 상기 수신기(200)에서 수신된 센서 모듈(130)의 센싱 데이터를 연산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외부로 송출하는 송수신 제어기(400)와,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와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물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 및 알림하는 어플리케이션(A)을 설치한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사용자가 감지를 원하는 사물에 사물 부착 모듈(100)을 부착하는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에서 사물 부착 모듈(100)이 부착된 사물의 어떤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할지를 결정하는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후, 설정한 동작 및 상태가 감지되면, 진동, 알림음, 문자 메시지 송출 중, 어떤 알림 동작을 수행할 지를 선택하는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및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송수신 제어기(400)로 송출하는, 선택 정보 송출단계(S400);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에서 제어부(300)로 선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이를 저장하는 제어부 선택정보 수용단계(S500); 사물이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한 동작 및 상태를 수행하는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 상기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의 동작 및 상태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센서 모듈(130)이 감지하는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 상기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에서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에 의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맞는지 확인하는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 상기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에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를 통해 알림 신호를 송출하는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상기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에서 송출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알림신호 수신단계(S11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에서 상기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한 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동작 수행단계(S1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하고 싶은 사물에 마운트부(110)를 설치하고,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센서 모듈(130)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물의 상태 및 동작을 사용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로서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사물의 어떤 동작을 수행할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어플리케이션(A)을 설정하면, 상기 센서 모듈(130)이 이러한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여, 설정한 동작을 만족할 경우,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으므로, 다양한 동작 수행에 적용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물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운트부(110); 상기 마운트부(110)와 일측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케이스(12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방위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131), 가속도 및 가속도 방향 감지하는 가속도센서(132), 회전 관성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3)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13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과 연결되어 센서 모듈(130)의 감지값을 외부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기(14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 및 데이터 송출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를 포함하는 사물 부착 모듈(100)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 송출기(140)에서 송출되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0); 상기 수신기(200)에서 수신된 센서 모듈(130)의 센싱 데이터를 연산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외부로 송출하는 송수신 제어기(400)와,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와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물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 및 알림하는 어플리케이션(A)을 설치한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일반적인 사물의 경우, 인터넷과 상호 작용하는 기능 없이 단순한 구동기능만을 수행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네트워크상에서 제어하거나, 동작을 확인할 수 없었다.
즉, 현재는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의 걸음마 단계로써, 대부분의 사물이 인터넷과 네트워킹하는 기능이 부재할 뿐 아니라, 이러한 사물 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개발이나, 현재의 사물을 대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및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사물 인터넷 기능이 부재한 사물에 부착하여,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동작을 감지한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송출하는 센서 모듈(130)이 포함된 사물 부착 모듈(100)이 구비된다.
즉, 사물 인터넷 기능이 없는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방위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131), 가속도 및 가속도 방향 감지하는 가속도센서(132), 회전 관성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3)를 포함하는 9축 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 모듈(130)을 구비하여, 사물의 동작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으며, 물론, 상기 9축 센서 외에,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4),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135)와 같은 부가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감지를 원하는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의 추가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은, 상기 제어부(300)와 상시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닌, 감지하고자 하는 상태가 일어나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끊고 동작감지 대기상태를 유지하여 전력소비를 절약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은 사물에 부착되기 위하여 다양한 부착수단을 구비 할 수 있는데,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은 주요 부품이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스(120)와, 사물에 부착되는 마운트부(110)로 나뉘고, 이러한 상기 마운트부(110) 및 케이스(120)의 결합은, 상기 케이스(120)의 일면에 돌출형상의 결합돌기(121)를 형성하고, 상기 마운트부(110)의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121)를 수용하는 결합돌기 수용홈(11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121)가 상기 결합돌기 수용홈(111)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체결되도록 한다.
즉, 사물과 강하게 결합되는 상기 마운트부(110)와 주요 부품이 내장되는 케이스(120)의 분리형 구조로써, 주요부품의 고장이나, 센서 추가 시, 사물에서 손쉽게 탈거 되도록 하게 하여, 유지 및 보수를 원활히 한다.
이러한, 상기 마운트부(110)는, 사물과 접촉하는 면에 접착성을 가진 접착 시트 또는, 벨크로 타입의 시트 또는, 진공 압착 식의 진공흡착 패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마운트부(110)가 부착될, 사물의 포면 형상이나, 재질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식의 부착타입을 정하여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사물의 표면에 돌출부위와 같은 비 평탄성일 경우, 사물의 돌출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사물의 돌출부위를 가압 고정하는 결합 집게(112)를 상기 마운트부(110)의 일면에 형성하도록 하여, 다양한 형상의 사물에 충분히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은, 다수의 사물 부착 모듈(100)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 각 사물 부착 모듈(100)상호간의 데이터 송출기(140)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따라서, 다수의 각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상기 제어부(300) 또는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각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를 전송가능한 매쉬 네트워크(Mesh Network)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 및 송수신 제어기(400)를 생략하고 직접적으로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와 각 사물 부착 모듈(100)이 연결되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 내부의 어플리케이션(A)에서 센서 모듈(130)의 센싱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연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20)의 외면에는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121) 및 사물 부착 모듈(100)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LED(122)가 부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상기 제어버튼(121)을 한번 누르게 되면, 현재 사물의 기본 상태를 저장하고, 두번째로 상기 제어버튼(121)을 누른 후, 알림을 받고자 하는 사물의 상태를 동작하게 되면, 이러한 동작이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에 저장된다.
상기 LED(122)의 경우에는, 정상 작동 상태일 경우, 청색 또는 녹색등을 플리커링하여 정상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 불량, 배터리(150) 방전과 같은 비정상상태 시, 적색을 표출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A)의 경우, 한번 연결된 사물 부착 모듈(100)에 대하여서는 각각의 사물 부착 모듈(100)이 식별 가능한 식별신호를 송출하도록 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A)에서 이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이전에 설정하였던 감지하려는 동작 및 알람을 기억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도 이전 설정 조건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장기능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으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감지를 원하는 사물에 사물 부착 모듈(100)을 부착하는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사물 부착 모듈 고정단계(S100)에서 사물 부착 모듈(100)이 부착된 사물의 어떤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할지를 결정하는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사용자가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후, 설정한 동작 및 상태가 감지되면, 진동, 알림음, 문자 메시지 송출 중, 어떤 알림 동작을 수행할 지를 선택하는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 및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송수신 제어기(400)로 송출하는, 선택 정보 송출단계(S400);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에서 제어부(300)로 선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300)에서 이를 저장하는 제어부 선택정보 수용단계(S500); 사물이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한 동작 및 상태를 수행하는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 상기 사물 동작 및 상태 수행단계(S600)의 동작 및 상태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센서 모듈(130)이 감지하는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 상기 센서 모듈 감지단계(S700)에서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0)로 송출하는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센싱데이터 송출단계(S800)에 의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맞는지 확인하는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 상기 설정 동작 및 상태 확인단계(S900)에서 상기 감지 동작 및 상태 설정단계(S200)에서 설정된 동작 및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를 통해 알림 신호를 송출하는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서 상기 알림신호 송출단계(S1000)에서 송출된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알림신호 수신단계(S1100); 상기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에서 상기 알림 동작 선택 단계(S300)에서 설정한 알림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동작 수행단계(S1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사물 부착 모듈
110 : 마운트부
111 : 수용홈
120 : 케이스
121 : 결합돌기
122 : LED
130 : 센서 모듈
131 : 지자기센서
132 : 가속도센서
133 : 자이로센서
140 : 데이터 송출기
150 : 배터리
200 : 수신기
300 : 제어부
400 : 송수신 제어기
500 :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마운트부
111 : 수용홈
120 : 케이스
121 : 결합돌기
122 : LED
130 : 센서 모듈
131 : 지자기센서
132 : 가속도센서
133 : 자이로센서
140 : 데이터 송출기
150 : 배터리
200 : 수신기
300 : 제어부
400 : 송수신 제어기
500 :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7)
- 사물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운트부(110);
상기 마운트부(110)와 일측이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케이스(12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방위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131), 가속도 및 가속도 방향 감지하는 가속도센서(132), 회전 관성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133)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13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과 연결되어 센서 모듈(130)의 감지값을 외부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기(140);
상기 케이스(1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130) 및 데이터 송출기(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를 포함하는 사물 부착 모듈(100)과,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 송출기(140)에서 송출되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0);
상기 수신기(200)에서 수신된 센서 모듈(130)의 센싱 데이터를 연산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외부로 송출 또는 외부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송수신 제어기(400)와,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와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물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전달 및 알림하는 어플리케이션(A)을 설치한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부(110) 및 케이스(120)의 결합은, 상기 케이스(120)의 일면에 돌출형상의 결합돌기(121)를 형성하고, 상기 마운트부(110)의 일면에 상기 결합돌기(121)를 수용하는 결합돌기 수용홈(11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121)가 상기 결합돌기 수용홈(111)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체결되며,
상기 마운트부(110)는 사물과 접촉하는 면에 사물의 돌출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사물의 돌출부위를 가압 고정하는 결합 집게(112)를 형성하거나, 사물과 접촉하는 면에 접착성을 가진 접착 시트 또는, 벨크로 타입의 시트 또는, 진공 압착 식의 진공흡착 패드를 형성하여 사물과 결합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130)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4),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135)와 같은 부가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은, 다수의 사물 부착 모듈(100)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 각 사물 부착 모듈(100)상호간의 데이터 송출기(140)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다수의 각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상기 제어부(300) 또는 사용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각 사물 부착 모듈(100)의 데이터를 전송가능한 매쉬 네트워크(Mesh Network)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케이스(120)의 외면에는 상기 사물 부착 모듈(100)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버튼(121) 및 사물 부착 모듈(100)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LED(122)가 부가적으로 장착하며,
상기 LED(122)의 경우에는, 정상 작동 상태일 경우, 청색 또는 녹색등을 플리커링하여 정상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 불량, 배터리(150) 방전과 같은 비정상상태 시, 적색을 표출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A)의 경우, 한번 연결된 사물 부착 모듈(100)에 대하여서는 각각의 사물 부착 모듈(100)이 식별 가능한 식별신호를 송출하도록 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A)에서 이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이전에 설정하였던 감지하려는 동작 및 알람을 기억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도 이전 설정 조건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장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238A KR101654146B1 (ko) | 2015-08-29 | 2015-08-29 |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2238A KR101654146B1 (ko) | 2015-08-29 | 2015-08-29 |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4146B1 true KR101654146B1 (ko) | 2016-09-06 |
Family
ID=5694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2238A KR101654146B1 (ko) | 2015-08-29 | 2015-08-29 |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4146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440A (ko) * | 2004-10-12 | 2006-04-17 | 전자부품연구원 | 스마트홈 제어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
KR20110042408A (ko) * | 2009-10-19 | 2011-04-27 | 윤대웅 | 집는 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
KR20140059768A (ko) | 2014-04-21 | 2014-05-16 | 김희정 |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
KR20140112219A (ko) * | 2013-03-13 | 2014-09-23 |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전력 제어 복합 장치 |
KR20150008801A (ko) * | 2013-07-15 | 2015-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1505090B1 (ko) | 2014-05-07 | 2015-03-25 | (주)소프트기획 | 증강현실 및 사물인터넷에 기반을 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20150035971A (ko) | 2015-03-18 | 2015-04-07 | 문종섭 | 사물인터넷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센서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사이의 안전한 데이터 전달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
-
2015
- 2015-08-29 KR KR1020150122238A patent/KR1016541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440A (ko) * | 2004-10-12 | 2006-04-17 | 전자부품연구원 | 스마트홈 제어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
KR20110042408A (ko) * | 2009-10-19 | 2011-04-27 | 윤대웅 | 집는 구조를 이용한 단속장치 |
KR20140112219A (ko) * | 2013-03-13 | 2014-09-23 | 주식회사 한스크리에이티브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기반의 전력 제어 복합 장치 |
KR20150008801A (ko) * | 2013-07-15 | 2015-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40059768A (ko) | 2014-04-21 | 2014-05-16 | 김희정 |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
KR101505090B1 (ko) | 2014-05-07 | 2015-03-25 | (주)소프트기획 | 증강현실 및 사물인터넷에 기반을 둔 스마트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20150035971A (ko) | 2015-03-18 | 2015-04-07 | 문종섭 | 사물인터넷에서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 센서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사이의 안전한 데이터 전달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12330B2 (ja) | システム、発信機および管理方法 | |
US6989748B2 (en) | Battery with integrated tracking device | |
US9800082B2 (en) |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20070207772A1 (en) | Mobile phone comprising position computation means | |
US9819217B2 (en) |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in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10089846B2 (en) | Monitoring device | |
EP2669698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 |
JP6804130B2 (ja) | 撮影方向ずれ検出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 |
TW201537528A (zh) | 通信裝置及試驗裝置 | |
US11592499B2 (en) | Wireless sensor with beacon technology | |
US20200027329A1 (en) | Interfacing peripheral devices used in a hazardous environment | |
JP2017010185A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03218989A (ja) | 着信装置 | |
JP2009213036A (ja) | 物品の紛失防止及び位置検出システム | |
JP2017118233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654146B1 (ko) | 유저 설정 방식의 범위 설정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시스템 구동 방법 | |
EP2309467A2 (en) | Security device | |
CN210536729U (zh) | 一种手机距离报警器 | |
KR20210088215A (ko) | 블루투스를 활용한 스티커 센서 | |
JP2012190598A (ja) | 情報処理装置 | |
WO2019131146A1 (ja) | 装置、通信機器、及び通信方法 | |
KR101521905B1 (ko) | 물건 위치 알림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
KR100959257B1 (ko) | 재난 위치 계측을 위한 방위각 수집 시스템 및 수집 방법 | |
US1021889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JP4940165B2 (ja) | 可視光通信の受信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