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045B1 - 인테리어 몰딩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045B1
KR101654045B1 KR1020150136894A KR20150136894A KR101654045B1 KR 101654045 B1 KR101654045 B1 KR 101654045B1 KR 1020150136894 A KR1020150136894 A KR 1020150136894A KR 20150136894 A KR20150136894 A KR 20150136894A KR 101654045 B1 KR101654045 B1 KR 10165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rum
light
illumination
base panel
m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애드
Priority to KR102015013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F21K9/52
    • F21K9/5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21Y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 인테리어 몰딩은 투광성 재질의 몰딩부재(101)와 상기 몰딩부재(1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고정대(111, 141)와 제2 고정대(112, 142)의 사이에 결합된 회전기어(113, 143), 상기 제1 고정대(111, 141)에 상기 회전기어(113, 143)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113, 143)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모터(114, 144)로 이루어진 회전부재(110, 140)와, 상기 회전기어(113, 143)의 상부에 원호 형태의 구동톱니부(121, 151)가 맞물려 결합하고 상기 구동톱니부(121, 151)가 일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반사하우징(122, 152),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LED 모듈(124, 154)이 설치되며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상부면에 오목 형태의 오목반사판(123, 153)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상부면 중에서 각각의 LED 모듈(124, 15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형 반사렌즈(125, 155)가 형성된 조명부재(120, 150)로 이루어진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 및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된 판 형태의 베이스패널(134)과, 상기 베이스패널(134)의 후면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되 측면에 상기 LED 모듈(124, 154)로부터 발생한 빛이 통과하여 내부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38a, 138b)의 단부에 조사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관통구(139)가 형성된 스크린드럼(131)과, 상기 스크린드럼(131)의 외면을 커버하고 빛이 통과하면서 다양한 색깔을 표출하도록 상기 스크린드럼(131)의 외면에 탈부착하는 컬러드 필름(132a)으로 이루어진 조명확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테리어 몰딩{Molding for Interior}
본 발명은 인테리어 몰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 조명 장치와 인테리어 몰딩 마감재가 융합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건축 몰딩 마감재를 구현한 인테리어 몰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몰딩은 건축물의 천정과 벽면 등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기 위한 건축용 마감재이다. 이러한 인테리어 몰딩은 일정한 단면을 갖는 긴 막대 형상으로 제조되며 장식 효과를 주기 위해 상면에 굴곡 또는 문양을 새기기도 한다. 종래의 인테리어 몰딩은 마감 기능 이외에 다른 인테리어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종래의 인테리어 몰딩은 마감 기능과 그 재료 또는 형상에 따른 심미감을 제외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다른 기능의 일례로 건축 마감 몰딩의 마감재 자체에 여러 가지 빛이 나는 발광 기능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발광 기능은 인테리어 기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고 야간에 사람을 안내하는 유도 사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 기술로 인테리어 몰딩의 발광 기능을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광 조명 장치와 인테리어 몰딩 마감재가 융합되고 발광 조명 장치에서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색의 조명으로 표출되도록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건축 몰딩 마감재를 구현한 인테리어 몰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인테리어 몰딩은 투광성 재질의 몰딩부재(101)와 상기 몰딩부재(1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고정대(111, 141)와 제2 고정대(112, 142)의 사이에 결합된 회전기어(113, 143), 상기 제1 고정대(111, 141)에 상기 회전기어(113, 143)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113, 143)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모터(114, 144)로 이루어진 회전부재(110, 140)와, 상기 회전기어(113, 143)의 상부에 원호 형태의 구동톱니부(121, 151)가 맞물려 결합하고 상기 구동톱니부(121, 151)가 일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반사하우징(122, 152),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LED 모듈(124, 154)이 설치되며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상부면에 오목 형태의 오목반사판(123, 153)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상부면 중에서 각각의 LED 모듈(124, 15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형 반사렌즈(125, 155)가 형성된 조명부재(120, 150)로 이루어진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 및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된 판 형태의 베이스패널(134)과, 상기 베이스패널(134)의 후면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되 측면에 상기 LED 모듈(124, 154)로부터 발생한 빛이 통과하여 내부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38a, 138b)의 단부에 조사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관통구(139)가 형성된 스크린드럼(131)과, 상기 스크린드럼(131)의 외면을 커버하고 빛이 통과하면서 다양한 색깔을 표출하도록 상기 스크린드럼(131)의 외면에 탈부착하는 컬러드 필름(132a)으로 이루어진 조명확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발광 조명 장치와 인테리어 몰딩 마감재가 융합되고 발광 조명 장치에서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색의 조명으로 표출되도록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광섬유와 컬러드 필름을 이용하여 색의 유형을 간편하게 변화시켜 다양한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드 필름과 스크린드럼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에서 조명부재의 각도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에서 각도 조절된 조명부재의 광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인테리어 몰딩을 도 1 내지 도 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드 필름과 스크린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100)은 몰딩부재(101), 몰딩부재(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 및 몰딩부재(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을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조명확산부(13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와 조명확산부(130)의 배치 구조는 홀수번째와 짝수번째로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몰딩부재(101)는 건축용 마감재로 사용되는 인테리어 몰딩으로 막대 형상이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이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는 투광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몰딩부재(101)의 내측면에는 도광판(10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광판(102)의 후면에는 일측 단면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내부에서 반사 및 굴절되면서 타측 단면을 통해 발광하는 다수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광섬유 번들(103)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는 조명확산부(130)를 기준으로 양쪽에 설치되고, 회전부재(110, 140) 및 조명부재(120, 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110, 140)는 회전기어(113, 143)가 제1 고정대(111, 141)와 제2 고정대(112, 142)의 사이에 결합되며, 제1 고정대(111, 141)에는 회전기어(113, 143)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모터(114, 14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120, 150)는 회전기어(113, 143)의 상부에 원호 형태의 구동톱니부(121, 151)가 맞물려 결합하고 구동톱니부(121, 151)가 일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반사하우징(122, 15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반사하우징(122, 152)은 하부면에 회전기어(113, 143)가 일부 삽입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된 평탄한 구조이고 상부면이 오목 형태의 오목반사판(123, 153)이 형성된 구조로 내부에 LED 모듈(124, 154)이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반사하우징(122, 152)의 상부면 중에서 각각의 LED 모듈(124, 15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형 반사렌즈(125, 155)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원형 반사렌즈(125, 155)는 LED 모듈(124, 154)로부터 발산된 고휘도 광이 광감쇄 없이 다단계의 확산 작용을 통해 눈부심 없이 확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조명확산부(130)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된 판 형태의 베이스패널(134)과 이에 부착된 스크린드럼(131)을 포함한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드럼(131)은 내부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03)을 커버하는 상태로 회전하면서 측면에 관통구(139)가 형성되고 스크린드럼(131)의 측면을 커버하는 컬러드 필름(13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134)은 내부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38a, 138b)의 일측 단부와 스크린드럼(131)을 고정하고, LED 모듈(124, 154)로부터 표출되는 빛을 도광판(102) 후면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03)의 타측 단부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크린드럼(131)에 내부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38a, 138b)은 전방으로 광을 보내기 위한 다수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지는데, 각 광섬유의 일측 단부는 브래킷(137a, 137b)에 의해 결속된 상태로 베이스패널(134)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광섬유는 일측 단면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내부에서 반사 및 굴절되면서 타측 단면을 통해 발광되는 것으로서, 여러 개의 광섬유를 이용하면 한 곳에서 발생한 빛을 여러 방향으로 보내거나 전방에 다양한 문자나 무늬로 표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광섬유 번들(103)은 각 광섬유의 타측 단부가 후방으로부터 끼워지도록 하고, 각 광섬유의 타측 단부를 통해 표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전방에 문자 또는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도광판(1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광판(102)은 다수개의 광섬유를 고정하면서 각 광섬유를 이용하여 전면에 다양한 문자나 무늬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광판(102)은 각 광섬유가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금속 판재나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지며 한편, 각 광섬유는 도광판(102)에 끼운 상태에서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드럼(131)은 광섬유 번들(138a, 138b)의 일측 단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베이스패널(134)의 후면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되 측면에 LED 모듈(124, 154)로부터 발생한 빛이 통과하여 광섬유 번들(138a, 138b)의 단부에 조사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관통구(139)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스크린드럼(131)은 관통구(139)가 형성된 측면이 LED 모듈(124, 154)과 광섬유 번들(138a, 138b)의 일측 단부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형성 및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드럼(131)은 실시 예로서 베이스패널(134)에 지지되는 상태로 구동하는 정역 모터(135) 및 정역 모터(135)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컨트롤 박스(136)는 정역 모터(135)의 정역 회전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정역 모터(13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역 모터(135)는 별도의 브래킷(137a, 137b)을 이용하여 베이스패널(134)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컬러드 필름(132a)은 스크린드럼(131)의 측면을 커버하고, 빛이 통과하면서 다양한 색깔을 표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컬러드 필름(132a)은 투명한 필름 재질에 색이 입혀진 것으로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드럼(131)의 외면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컬러드 필름(132a)은 스크린드럼(131)에 탈부착시 컴퓨터에서 입력한 컬러디자인을 프린터로 직접출력되거나 출력물에 의해 출력하여 결합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LED 모듈(124, 154)로부터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색의 조명이 도광판(102)을 통해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비용을 줄이면서 조명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컬러드 필름(132a)의 교체를 통해 변화하는 색의 유형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에서 조명부재의 각도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몰딩에서 각도 조절된 조명부재의 광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미도시)은 구동모터(114, 144)의 제어에 의해 회전기어(113, 143)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기어(113, 143)에 맞물려 결합된 구동톱니부(121, 151)가 회전하며 구동톱니부(121, 151)의 회전에 따라 반사하우징(122, 152)이 조명확산부(130)의 스크린드럼(131) 쪽으로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를 조명확산부(130) 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LED 모듈(124, 154)의 빛이 스크린드럼(131)을 통과하여 도광판(102)의 후면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03)을 통과하여 외부로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모듈은 복수개의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를 각각 제어하여 방향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인테리어 몰딩, 101: 몰딩부재,
102: 도광판, 103: 광섬유 번들,
110, 140: 회전부재, 111, 141: 제1 고정대,
112, 142: 제2 고정대, 113, 143: 회전기어,
114, 144: 구동모터, 120, 150: 조명부재,
121, 151: 구동톱니부, 122, 152: 반사하우징,
123, 153: 오목반사판, 124, 154: LED 모듈,
125, 155: 반사렌즈, 130: 조명확산부,
131: 스크린드럼, 132a: 컬러드필름,
134: 베이스패널, 135: 정역 모터,
136: 컨트롤 박스, 137a, 137b: 브래킷,
138a, 138b: 광섬유 번들, 139: 관통구

Claims (4)

  1. 투광성 재질의 몰딩부재(101);
    상기 몰딩부재(1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고정대(111, 141)와 제2 고정대(112, 142)의 사이에 결합된 회전기어(113, 143), 상기 제1 고정대(111, 141)에 상기 회전기어(113, 143)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113, 143)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모터(114, 144)로 이루어진 회전부재(110, 140)와, 상기 회전기어(113, 143)의 상부에 원호 형태의 구동톱니부(121, 151)가 맞물려 결합하고 상기 구동톱니부(121, 151)가 일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반사하우징(122, 152),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LED 모듈(124, 154)이 설치되며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상부면에 오목 형태의 오목반사판(123, 153)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의 상부면 중에서 각각의 LED 모듈(124, 15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반원형 반사렌즈(125, 155)가 형성된 조명부재(120, 150)로 이루어진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
    및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구가 형성된 판 형태의 베이스패널(134)과, 상기 베이스패널(134)의 후면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되 측면에 상기 LED 모듈(124, 154)로부터 발생한 빛이 통과하여 내부에 설치된 광섬유 번들(103)의 단부에 조사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관통구(139)가 형성된 스크린드럼(131)과, 상기 스크린드럼(131)의 외면을 커버하고 빛이 통과하면서 다양한 색깔을 표출하도록 상기 스크린드럼(131)의 외면에 탈부착하는 컬러드 필름(132a)으로 이루어진 조명확산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몰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101)의 내부에는 상기 조명조절부(110, 120, 140, 150)와 상기 조명확산부(130)가 순차적으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14, 144)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113, 14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기어(113, 143)에 맞물려 결합된 구동톱니부(121, 151)가 회전하며 상기 구동톱니부(121, 1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반사하우징(122, 152)이 상기 조명확산부(130)의 스크린드럼(131) 쪽으로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몰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101)의 내측면에 도광판(102)이 설치되고, 일측 단면을 통해 조사되는 빛이 내부에서 반사 및 굴절되면서 타측 단면을 통해 발광하는 다수개의 광섬유로 이루어진 광섬유 번들(103)이 상기 도광판(102)의 후면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몰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드럼(131)은,
    상기 베이스패널(134)에 지지된 상태로 구동하는 정역 모터(135);
    및 상기 정역 모터(135)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몰딩.
KR1020150136894A 2015-09-25 2015-09-25 인테리어 몰딩 KR10165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94A KR101654045B1 (ko) 2015-09-25 2015-09-25 인테리어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894A KR101654045B1 (ko) 2015-09-25 2015-09-25 인테리어 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045B1 true KR101654045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894A KR101654045B1 (ko) 2015-09-25 2015-09-25 인테리어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0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033A (ko) * 2013-05-13 2014-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033A (ko) * 2013-05-13 2014-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391C2 (ru) Модуль системы освещения свободной формы
US7063449B2 (en) Light emitting diode (LED) picture element
US4972305A (en) Light image generating system
JP5315046B2 (ja) 昼光遮蔽装置
JP5608752B2 (ja) 発光装置
JP2018010755A (ja) 照明装置
CN108692224B (zh) 照明装置及照明系统
CN103069475A (zh) 光板和该光板的制造方法
JP4966146B2 (ja) 面発光装置
JP2005521993A (ja) 均一照度型の両面照明パネル
JP2011100701A5 (ko)
KR101654045B1 (ko) 인테리어 몰딩
KR102131312B1 (ko) 조명 기능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90112178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평판조명장치
GB2409323A (en) Display simulating a flame effect
KR101400796B1 (ko) 차량용 무드등
UA62380A (en) Device for production of light image
EP4080112A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light source emulation effect
KR200380978Y1 (ko) 멀티 컬러 발광보드
KR102606831B1 (ko)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JP2020087501A (ja) 照明装置
CN213207686U (zh) 一种产生变幻效果的娱乐灯具
KR102249859B1 (ko) 차량의 실내 장식용 조명패널
KR20090085380A (ko) 광도관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84643A (ko) 멀티 컬러 발광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