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825B1 -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 Google Patents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825B1
KR101653825B1 KR1020140187583A KR20140187583A KR101653825B1 KR 101653825 B1 KR101653825 B1 KR 101653825B1 KR 1020140187583 A KR1020140187583 A KR 1020140187583A KR 20140187583 A KR20140187583 A KR 20140187583A KR 101653825 B1 KR101653825 B1 KR 10165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553A (ko
Inventor
오형래
박성근
권양진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전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전선
Priority to KR102014018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8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A1)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 Phenylene Oxide), (A2) 충격보강제 및 (A3) 폴리올레핀(Polyolefin)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B) 난연제 25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 및 (C) 가공오일 1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보강제(A2)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B)는 표면 처리된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SULATER PREPARED USING THE SAME, AND ELECTRICAL WIRE AND CAB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및 자동차의 내부배선으로 많이 사용되는 원료는 낮은 가격의 경제성과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할로겐 계열의 원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는 안정된 물성과 난연성 및 인장특성 등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및 전자기기용 내부배선 등의 베이스 수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VC 수지를 포함하는 전선 제조시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PVC는 환경 호르몬 등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소각 시 염산(HCl) 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인체 및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기관과 고객의 친환경에 대한 요구로 인해 PVC의 사용이 점차 감소 및 금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PVC 수지의 물성에 대응할 수 있는 수지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PVC는 난연보조제로 삼산화 안티몬(Sb2O3)을 함께 사용하여 전선 등을 제조하고 있으나, 이러한 삼산화 안티몬을 포함하는 전선의 경우, 연소시 발암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8307호에서는 PVC 수지, 인계 난연성 가소제, 브롬계 난연성 가소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삼산화 안티몬 및 무기 수산화물 등을 포함하여 열안정성, 난연성이 우수한 시스 및 케이블을 형성하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시스 및 케이블의 연소시 조성물에 포함된 PVC 수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삼산화 안티몬 등에서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할로겐 계열의 원료는 환경 및 인체에 대한 유해성으로 인해 최근 친환경 제품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소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PVC에 준하는 기계적 강도를 갖는 베이스 수지를 선택하고, 난연제의 다량첨가로 인한 기계적 강도의 저하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PVC는 폴리올레핀 계열 또는 할로겐프리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으로 대체를 하고 브롬계 난연제 또한 할로겐 원소가 들어있지 않는 무기계 난연제 또는 인계난연제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자체소화성이 있는 PVC와 난연효율이 뛰어난 Br계 난연제의 동등한 난연특성을 맞추기 위하여 다량의 난연제가 투입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수지의 경도상승을 유발하여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논할로겐 난연제로는 무기계난연제(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와 인계난연제가 사용되고 있다. 무기계 난연제는 값이 저렴하여 많은 논할로겐 난연수지에 사용되고 있다. 금속 수산화물 난연제는 친환경적임에도 불구하고 UL-V0와 같이 높은 등급의 난연을 얻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양을 사용해야만 하는데 이럴 경우 최종제품에서 고충격강도, 특히 전선에서 전기적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 배선의 경우 난연 테스트 중 가장 가혹한 조건 시험 중 하나인 UL 758 기준 VW-1 테스트 합격 등 고난연 성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만족하기 위해 베이스 수지에 난연제 함량이 30 중량% 이상, 많게는 50 중량% 이상 다량 첨가되어, 이로 인해 전선의 유연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PVC에는 자체 소화성이 있으며, 난연보조제인 삼산화 안티몬(Sb2O3)의 첨가로 난연성을 부여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없었다. 하지만 PVC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올레핀(Poly Olefin) 또는 열가소성 계열의 수지를 사용하게 되면, 난연성을 부여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저가인 PVC를 대체하는 소재는 대부분 가격이 높은 편이어서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성, 경제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절연체를 포함하는 전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A1)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 Phenylene Oxide), (A2) 충격보강제 및 (A3) 폴리올레핀(Polyolefin)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B) 난연제 25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 및 (C) 가공오일 1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보강제(A2)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B)는 표면 처리된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는 유리전이온도(Tg)가 180℃~230℃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충격보강제(A2)는 상기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1:0.5~1: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A3)은, (A31) 용융지수(Melting index, MI) 0.6~1.5 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 인장강도 2.4~3.9 kgf/㎟, 및 용융점(Tm)이 120℃ 이상인 폴리에틸렌; 및 (A32) 용융지수 1.0~4.5 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 인장강도 4.0~6.5 kgf/㎟, 및 용융점(Tm)이 16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A)는 (A4) 상용화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용화제(A4)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및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중에서 하나 이상이 그라프트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A)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 15 중량%~45 중량%, 충격보강제(A2) 15 중량%~70 중량% 및 폴리올레핀(A3) 4 중량%~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처리는, 실리콘계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고급 지방산, 금속수화물, 아민 및 아민의 금속염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상기 난연제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오일(C)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 및 화이트 오일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산화방지제 0.1~10 중량부 및 (E) 활제 0.05~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방지제(D)는 폐놀계, 인계, 황계, 아민계 및 금속계 산화방지제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활제(E)는 불소계, 탄화수소계, 실리콘계, 금속계, 지방산계 및 아미드계 활제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보조제(F) 0.05~5 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난연보조제(F)는 실리콘검(silicone gum), 징크 옥사이드(ZnO), 틴 옥사이드(SnO), 징크 보레이트(zinc borate) 및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전술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절연체를 포함하는 전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절연체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는 내열성,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공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며, 경도, 인장강도 신장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할로겐 및 기타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경제성 및 생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베이스 수지, (B) 난연제 및 (C) 가공오일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수지(A)는 (A1)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 Phenylene Oxide, PPO), (A2) 충격보강제 및 (A3) 폴리올레핀(Polyolefin)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보강제(A2)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SEBS)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성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 베이스 수지
상기 베이스 수지(A)는 (A1)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 Phenylene Oxide), (A2) 충격보강제 및 (A3) 폴리올레핀(Polyolefin)을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A)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 15 중량%~45 중량%, 충격보강제(A2) 15 중량%~70 중량% 및 폴리올레핀(A3) 4 중량%~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A1)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는 본 발명의 열안정성,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는 할로겐 등 환경에 유해한 성분을 미 포함하며, 자체 소화성이 있어 난연성을 확보하기 용이하며, 내열성,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는 유리전이온도(Tg)가 180℃~23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안정성, 난연성 및 물리적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0℃~220℃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의 비중은 1.0 g/㎤ 이상이고, 체적밀도(bulk density)가 0.30g/㎤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난연성, 내열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는 상기 베이스 수지(A) 전체중량에 대하여 15 중량%~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조성물 구성성분 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열안정성,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 중량%~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2) 충격보강제
상기 충격보강제(A2)는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의 가공성 및 충격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포함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충격보강제(A2)로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은 유동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와 상용성이 우수하며, 가공특성 및 충격강도를 개선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은 용융지수(Melting index, MI)가 7.0~9.0 g/10min(ASTM D1238, 230℃, 3.8kg 측정기준) 및 로크웰(Rockwell) 경도가 90~110(R 스케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와 상용성과, 가공특성 및 충격강도 개선효과가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엔은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와 상용성이 우수하며,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와 혼합하여 가공성 및 충격강도를 개선하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엔은 용융지수(Melting index, MI)가 1.0~3.5 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 및 경도(Shore A)가 45~7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와 상용성과, 내열성, 내화학성, 가공특성 및 충격강도 개선효과가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충격보강제(A2)는 상기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1:0.5~1: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내화학성, 가공특성 및 충격강도 개선효과가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8~1: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충격보강제(A2)는 상기 베이스 수지(A) 전체중량에 대하여 15 중량%~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조성물 구성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내열성, 내화학성, 가공특성 및 충격강도 개선효과가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 중량%~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3) 폴리올레핀
상기 폴리올레핀(A3)은 본 발명의 가공성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A3)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Methacrylate, EMA),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및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레핀(A3)으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A31) 용융지수(Melting index, MI) 0.6~1.5 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 인장강도 2.4~3.9kgf/㎟, 및 용융점(Tm)이 120℃ 이상인 폴리에틸렌, 및 (A32) 용융지수 1.0~4.5 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 인장강도 4.0~6.5kgf/㎟, 및 용융점(Tm)이 16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의 폴리올레핀(A3)을 적용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인장특성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A3)은 상기 베이스 수지(A) 전체중량에 대하여 4 중량%~4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조성물 구성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인장특성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예를 들면 10 중량%~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A4) 상용화제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베이스 수지(A)는 (A4) 상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A4)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및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중에서 하나 이상이 그라프트(graft)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SEBS)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A4)의 그라프트율은 0.5%~15%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본 발명의 다른 성분과의 결합성이 향상되어 가공성 및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용화제(A4)로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그라프트율 0.5%~15%의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A)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 25 중량%~45 중량%, 충격보강제(A2) 25 중량%~65 중량%, 폴리올레핀(A3) 5 중량%~30 중량% 및 상용화제(A4) 4 중량%~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구성 성분들 사이의 결합성이 향상되어 가공성과, 인장강도 및 신장률 등의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 30 중량%~40 중량%, 충격보강제(A2) 35 중량%~65 중량%, 폴리올레핀(A3) 10 중량%~25 중량% 및 상용화제(A4) 8 중량%~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 33 중량%~40 중량%, 충격보강제(A2) 35 중량%~60 중량%, 폴리올레핀(A3) 10 중량%~18 중량% 및 상용화제(A4) 8 중량%~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B) 난연제
상기 난연제(B)는 내열성, 난연성 및 내수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제(B)는 표면 처리된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인계 난연제는, 첨가량 대비 난연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가열시 팽창 차르(char)를 형성하며, 부풀어올라 산소 차단시켜 소화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난연제(B)로는 인계 또는 인-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계 난연제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트리알킬페닐포스페이트(trialkylphenyl phosphate),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ricrecylphosphate), 프로필레이티드트리페닐포스페이트(propylated triphenylphosphate), 부틸레이티드트리페닐포스페이트(butylated triphenyl phosphate), 트리에틸포스페이트(triethylphosphate), 트리부틸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 레소시놀디포스페이트(resorcinoldiphosphate), 비스페놀디포스페이트(bisphenoldiphosphate), 디메틸메틸포스포네이트(dimethyl methyl phosphonate), 폴리포스페이트에스터(polyphosphate ester), 올리고머릭오가노포스페이트(oligomeric organophosphate), 에틸피로카데콜포스페이트, 디피로카데콜바이포스페이트, 폴에틸에틸렌옥시포스페이트(polyethylene ethyleneoxy phosphate), 메틸네오펜틸포스페이트(methylneopentylphosphate), 펜타에리스리톨디에틸포스페이트(pentaeritritoldiethylphosphate), 펜타에리스리톨 디페닐포스페이트(pentaeritritoldiphenylphosphate), 메틸네오펜틸포스포네이트(methylneopentylphosphonate), 디사이크로펜틸디포스페이트 (dicyclopentyldiphosphate) 및 디네오펜틸바이포스페이트(dineopentylbiphosphate)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로는 멜라민 포스페이트(melamine phosphate),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melamine pyrophosphate),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알킬 아민 포스페이트(alkylamine phosphate) 및 피퍼라진 산 폴리포스페이트(piperazine acid polyphosphate)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 처리는, 상기 난연제의 내수성 및 수지 성분과의 상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포함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표면처리는 실리콘계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고급 지방산, 금속수화물(금속 수산화물), 아민 및 아민의 금속염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상기 난연제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팔미트산 및 베헨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B)를 적용시 비교적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난연성 및 고온내수성이 우수하면서, 안티몬 및 할로겐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연소시 유해한 성분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 효과가 우수하여, 컴파운드 및 전선의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제(B)는 상기 베이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용성,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B)가 2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난연성 및 내열성의 확보가 어려우며, 6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특히 전선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고, 본 발명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5 중량부 내지 5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C) 가공오일
상기 가공오일(C)은 상기 충격보강제(A2) 성분 등의 흐름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 구성성분의 혼합시 연화성 및 유동성을 향상시켜 배합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특히,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의 높은 유리전이온도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절연체 제조시 높은 작업온도(270℃ 이상)가 요구되는데, 이때 상기 가공오일(C)을 포함하여 다른 구성 성분의 분해 및 변성과 압출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오일(C)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 및 화이트 오일(white oil)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오일(C)의 비중은 0.7 이상, 동점도 120 cSt(40℃ 측정기준) 이상, 인화점은 20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의 가공오일(C)을 포함시 본 발명의 연화성 및 유동성을 향상시켜 배합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가공시 변색을 방지하고, 높은 온도로 가공시 발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중 0.7~0.9, 동점도 130~160 cSt(40℃ 측정기준) 및 인화점 200℃~3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공오일(C) 중에서 상기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은, 각각 파라핀 사슬, 나프텐 고리 및 방향족 고리 세 가지가 조합된 혼합물로서, 전체 탄소수 중에서 파라핀 사슬의 탄소수가 5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파라핀계 오일인 것으로 정의하고, 나프텐 고리의 탄소수가 30%∼45% 인 경우에는 나프텐계 오일로 정의하고, 그리고 방향족 탄소수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방향족계 오일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화이트 오일은 원유(석유) 정제시 생기는 부산물인 것으로, 미네랄오일(mineral oil)으로도 불린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오일(C)은 상기 베이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5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성분들의 분해 또는 변성을 방지하고, 가공성, 성형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의 표면 끈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공오일(C)이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본 발명 구성 성분들의 성형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본 발명의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3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D) 산화방지제 및 (E)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제(D)는 폐놀계, 인계, 황계, 아민계 및 금속계 산화방지제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입체적으로 방해받는 페놀계 안정화제(sterically hinclered phenolic stabi1izer)로서, 예를 들면 알킬화 모노페놀 화합물, 알킬티오메틸페놀 화합물, 히드로퀴논 화합물, 알킬화 히드로퀴논 화합물, 토코페롤 화합물,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티르 화합물 및 알킬리덴 비스페놀 화합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로는 인계 에스테르 화합물 및 방향족 포스핀 화합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로는 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폰아미도)디페닐아민 및 N,N′디메틸-N,N′디-이차부틸-p-페닐렌디아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로는 다이라우릴 3,3-싸이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다이미리스틸3,3′싸이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다이스테아릴3,3-싸이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라우릴스테아릴3,3-싸이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β라우릴-싸이오-프로피오네이트) 및 3,9-비스(2-도데실싸이오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파이로[5,5]운데케인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계 산화방지제로는 구리계 산화방지제, 몰리브덴계 산화방지제, 염화납, 염화마그네슘 및 염화아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방지제(D)로 폐놀계, 인계, 아민계 및 금속계 산화방지제를 1:0.1~1.5:0.1~1.5:0.1~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조성물과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시너지 효과가 발현되어 압출 또는 사출 시 작업이 용이하고 노화, 열화 및 중합체의 분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1~1:0.1~1:0.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방지제(D)는 상기 베이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노화 및 열화 현상의 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5~3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E) 활제
상기 활제(E)는 불소계, 탄화수소계, 실리콘계, 금속계, 지방산계 및 아미드계 활제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활제로는, 불소화 올레핀계 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활제로는 유동 파라핀(liquid paraffin),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천연 파라핀 및 합성 파라핀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 파라핀은 탄소수 16개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활제로는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계 활제로는 스테아린산 아연(zinc stearate),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및 스테아린산 알루미늄(aluminium stearat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계 활제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동물성고급지방산 및 식물성고급지방산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틸 스테아레이트(ButylStearate),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Glycerol Mono Stearate), 글리세린 모노 올레이트(Glycerine Mono Oleate) 및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Stearyl Stearat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드계 활제로는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Ethylene-bis-stearamide), 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Ethylenebis(oleamide)) 및 에루카아미드(erucamid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활제(E)는 상기 베이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공성, 외관성 및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3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F) 난연보조제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F) 난연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보조제(F)는 실리콘검(silicone gum), 징크 옥사이드(ZnO), 틴 옥사이드(SnO), 징크 보레이트(zinc borate) 및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보조제(F)는 상기 베이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3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절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절연체는 내열성,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공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며, 경도, 인장강도 신장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할로겐 및 기타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경제성 및 생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체의 두께는 내부 도체선의 굵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체의 두께는 0.05mm~10mm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절연체를 이용한 전선 및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전선(또는 절연전선)”은 전술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절연체층을 갖는 것이며, 도체 상에 절연체층이 직접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 층은 통상적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선”의 표면에 쉴드층 및 외부 시스(sheath)층 등의 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 표면에 형성되는 절연체 층; 상기 절연체층 표면에 형성되는 종첨부; 상기 종첨부 표면에 형성되는 외부도체; 및 상기 외부도체 표면에 형성되는 자켓;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도체는 동선, 주석 도금선 및 알루미늄선 등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종첨부는 도전성 금속 테이프로 권취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외부도체는 복수 개의 도체 소선을 그물코 모양으로 짜서 만든 도체 편조(編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에 이용되는 도체 소선으로는 연동선, 구리선이나 구리합금이 이용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편조 구성 이외에 테이프 형상의 도체를 나선감기, 2중 감기 등을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선 및 케이블은 내열특성 및 난연특성이 우수하여 UL94 기준 V-0 특성을 만족하고, UL 758 기준 수직난연 시험인 VW-1을 만족하고, 가공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며, 경도, 인장강도 신장률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할로겐 및 기타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성이 우수하며, 경제성 및 생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전선 및 케이블은 자동차 및 전자기기배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내열, 고내화학성, 고난연성 등이 요하는 차량의 엔진, 헤드램프, 연료탱크, 트랜스 미션, ABS 센서와, 고난연 및 고굴곡 특성을 요하는 TV, 세탁기, 냉장고 및 복사기 등의 전자기기내부의 전선 및 케이블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선 및 케이블의 전체 외경은 각각 1.0mm~40mm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5
하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5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하기와 같다.
(A) 베이스 수지
(A1)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비중 1.05g/㎤ 이상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210℃이고, 체적밀도(bulk density)가 0.30g/㎤ 이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A2) 충격보강제: (A21) 용융지수가 8.0g/10min(ASTM D1238, 230℃, 3.8kg 측정기준)이고, 로크웰(Rockwell) 경도가 100(R 스케일) 이하인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다. (A22) 용융지수가 1.5g/10min이고, 쇼어경도(A)가 70 이하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하였다. (A23) 용융지수가 0.1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이고, 쇼어경도(A)가 60 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하였다.
(A3) 폴리올레핀: (A31) 용융지수 0.6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이상이고, 인장강도 2.40kgf/㎟ 이상이고, 신장률 500% 이상, 용융점(Tm)이 125℃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 (A32) 용융지수 1.0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이상, 인장강도 4.0kgf/㎟ 이상이고, 신장률 500% 이상, 용융점(Tm)이 160℃ 이상인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A4) 상용화제: (A41)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율이 5%~15%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하였다. (A42) 말레산 무수물의 그래프트율이 5%~15%인 말레산 무수물 그래프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하였다. (A43) 말레산 무수물의 그래프트율이 5%~15%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를 사용하였다.
(B) 난연제
(B1)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인-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하였다.
(B2)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포스페이트계(폴리포스페이트) 난연제를 사용하였다.
(B3)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멜라민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난연제를 사용하였다.
(B4) 금속수화물로 표면 처리된 인계 난연제(트리페닐포스페이트)를 사용하였다.
(B5) 상기 (B2)보다 입자 사이즈가 작은(Fine)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폴리포스페이트를 사용하였다.
(B6) 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인계 난연제(bis phosphate Ester)를 사용하였다.
(B7) 표면처리되지 않은 인계 난연제(bis phosphate Ester)를 사용하였다.
(C) 가공오일: 비중 0.800, 인화점 260℃ 및 동점도 137 cSt(40℃ 측정기준) 인 화이트 오일을 사용하였다.
(D) 산화방지제: (D1) 페놀계 산화방지제로 ADEKA사의 AO-60(펜타에트리톨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였다. (D2) 인계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D3) SONGWON사의 금속계 산화방지제(1024 FG)를 사용하였다.
(E) 활제: 스테아린산 아연(zinc stearate)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5 에 대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270℃에서 가공하여 냉각 후 1차 압출물을 제조하고 펠렛화 하였다. 상기 펠렛화된 1차 압출물을 전선 압출기를 이용하여 240℃에서 2차 압출하여 상기 펠렛을 절연두께 0.44mm의 두께로 2차 압출하여, 3.6mm의 외경을 갖는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125294327-pat00001
Figure 112014125294327-pat00002
상기 제조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5의 절연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경도: ASTM D2240 기준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쇼어(Shore) A값을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kgf/㎟) 및 신장률(%):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5의 시편을 150mm로 각 5개씩 취하고, 20mm 표점을 찍는다. 그 다음에, 속도 500mm/min으로 재료시험기(인장 및 신장률 측정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체를 수직으로 늘린다. 상기 표점을 기준으로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여, 표점 20mm 대비 %로 변환하여, 신장률을 측정하고, 상기 절연체가 끊어진 지점의 인장하중을 절연체의 단면적으로 나누어,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3) 난연성: UL758 규격에 의거하여 규정된 VW-1 수직 난연성 보유 여부를 기준으로 PASS/FAIL을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5의 절연체를 수직으로 배열한 후 하부에서 수직 방향의 정해진 화염으로 15초 간격으로 15초씩 5번 불꽃을 인가했다. 총 연소시간이 60초 이내이고, 설치된 Flag가 25%이하로 연소되어야 하며 바닥에 설치된 Cotton에 불이 붙지 않아야 한다.
Figure 112014125294327-pat00003
Figure 112014125294327-pat00004
상기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1~4의 경우, UL 758 기준의 수직난연성 VW-1 기준을 확보하였으며, 유연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경도 값이 비교예에 비해 낮았고, 인장강도 및 신장률 등의 물리적 강도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성분을 미포함하거나, 함량범위를 벗어나 포함되는 비교예 1~15의 경우, 가공중 분해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난연성이 저하되었거나, 인장강도, 신장률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A) (A1)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 Phenylene Oxide), (A2) 충격보강제 및 (A3) 폴리올레핀(Polyolefin)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
    (B) 난연제 25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 및
    (C) 가공오일 1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보강제(A2)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레핀(A3)은 (A31) 용융지수(Melting index, MI) 0.6~1.5 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 인장강도 2.4~3.9kgf/㎟, 및 용융점(Tm)이 120℃ 이상인 폴리에틸렌; 및
    (A32) 용융지수 1.0~4.5 g/10min(ASTM D1238, 230℃, 2.16kg 측정기준), 인장강도 4.0~6.5kgf/㎟, 및 용융점(Tm)이 16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B)는 표면처리된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는 유리전이온도(Tg)가 180℃~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A2)는 상기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을 1:0.5~1:2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A)는 (A4) 상용화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용화제(A4)는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및 프탈산 무수물(phthalic anhydride) 중에서 하나 이상이 그라프트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A)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페닐렌옥사이드(A1) 15 중량%~45 중량%, 충격보강제(A2) 15 중량%~70 중량% 및 폴리올레핀(A3) 4 중량%~4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실리콘계 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고급 지방산, 금속수화물, 아민 및 아민의 금속염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상기 난연제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인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오일(C)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 및 화이트 오일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D) 산화방지제 0.1 중량부~10 중량부 및 (E) 활제 0.05 중량부~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D)는 폐놀계, 인계, 황계, 아민계 및 금속계 산화방지제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E)는 불소계, 탄화수소계, 실리콘계, 금속계, 지방산계 및 아미드계 활제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보조제(F) 0.05 중량부~5 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난연보조제(F)는 실리콘검(silicone gum), 징크 옥사이드(ZnO), 틴 옥사이드(SnO), 징크 보레이트 및 징크 스테아레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절연체.
  14. 제13항의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15. 제13항의 절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20140187583A 2014-12-23 2014-12-23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KR10165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83A KR101653825B1 (ko) 2014-12-23 2014-12-23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83A KR101653825B1 (ko) 2014-12-23 2014-12-23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53A KR20160077553A (ko) 2016-07-04
KR101653825B1 true KR101653825B1 (ko) 2016-10-25

Family

ID=5650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583A KR101653825B1 (ko) 2014-12-23 2014-12-23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001B1 (ko) * 2016-09-20 2019-09-20 주식회사 경신전선 절연 재료
KR101872019B1 (ko) 2017-09-26 2018-06-27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2257969B1 (ko) 2018-04-06 2021-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40002492A (ko) * 2022-06-29 2024-01-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50687A (ko) * 2022-10-12 2024-04-19 한국전기연구원 열가소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절연체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talin Bocz et.al., Polymer Degradation (2013.1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53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110B1 (ko) 압출용 고온내수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KR101653825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JP5594330B2 (ja) 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樹脂組成物、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US8129619B2 (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ed wire, insulated shielded wire, insulated cable and insulation tube using the same
KR101625034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JP5821827B2 (ja) ノンハロゲン架橋樹脂組成物を用いた鉄道車両用絶縁電線、鉄道車両用ケーブル
JP6229942B2 (ja) 鉄道車両用絶縁電線及び鉄道車両用ケーブル
KR101938006B1 (ko) 유연성, 내마모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용 수지 조성물
KR101644791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케이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22688B (zh) 阻燃性树脂组合物、使用该阻燃性树脂组合物的金属缆线、光纤缆线和成型品
KR101723677B1 (ko) 난연 피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및 케이블
JP5907015B2 (ja) 鉄道車両用電線および鉄道車両用ケーブル
EP3104372B1 (en) Halogen-free flame-retardant insulated wire and halogen-free flame-retardant cable
JP5641497B2 (ja) 耐熱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チューブ
CN108026339B (zh) 阻燃性树脂组合物、使用该阻燃性树脂组合物的金属缆线、光纤缆线和成型品
JP2015130348A (ja) ハロゲンフリー難燃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鉄道車両用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
JP5648985B2 (ja) 耐熱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チューブ
JP6178934B1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メタル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並びに成形品
CN111138746B (zh) 阻燃性绝缘电线和阻燃性电缆
JP2015004025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ケーブル
CN109642061B (zh) 阻燃性树脂组合物、使用其的绝缘电线、金属线缆、光纤线缆和成型品
JP2013245335A (ja) 難燃性非架橋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JP7159913B2 (ja) 絶縁電線およびケーブル
KR101778803B1 (ko)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JP6860833B2 (ja) 難燃性絶縁電線および難燃性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