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69B1 -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69B1
KR101653769B1 KR1020140128212A KR20140128212A KR101653769B1 KR 101653769 B1 KR101653769 B1 KR 101653769B1 KR 1020140128212 A KR1020140128212 A KR 1020140128212A KR 20140128212 A KR20140128212 A KR 20140128212A KR 101653769 B1 KR101653769 B1 KR 10165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oral cavity
xinjiang
domestic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251A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2014012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69B1/ko
Priority to CN201510546233.6A priority patent/CN105453861A/zh
Publication of KR2016003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9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of seeds f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활용도가 적은 국내산 생강의 구강을 이용하여 생강을 재배함으로써 생강 재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국내산 생강의 사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국내산 생강에 대한 인식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강을 종강으로 하여 상기 구강을 정식하여 생강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해만 종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강이 아닌 다수 해에 걸쳐 종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함으로써, 종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생강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성이 강한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생강을 재배할 수 있으며, 농약 사용이 줄어 친환경 생강의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국내산 생강의 구강을 사용함으로써, 국내산 생강에 대한 인식 전환을 통해 비싼 중국산 생강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국내산 생강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METHOD CULTIVATING A GINGER}
본 발명은 생강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활용도가 적은 국내산 생강의 구강을 이용하여 생강을 재배함으로써 생강 재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국내산 생강의 사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국내산 생강에 대한 인식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生薑)은 현재 우리 생활에 많이 사용되는 식물로서, 생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등 참조).
- 생강 -
생강(生薑)은 생강 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 ROSC.이다.
생강은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 각처에서 재배하는 식물로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연한 황색으로서 맵고 향기가 있다. 생강은 각 마디에서 형성된 줄기가 곧추 자라 높이 30∼50㎝에 달하고, 윗부분에는 잎이 두 줄로 배열되며,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길다.
또한, 생강은 우리 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원산지에서는 감황색 꽃이 핀다. 그 이유는 생강은 열대 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이 되면 잎이 시들고 꽃을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 우리 나라의 재배 환경에 의해 다년생이 일년생으로 바뀐 것이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는 생강은 꽃이 피지 않으니 열매가 없고, 따라서 씨앗으로 번식이 안 된다. 한편, 생강은 땅속덩이줄기로서, 덩이줄기를 조각내 심으면 싹이 돋고 성장을 한다. 우리 나라에서 생강은 오롯이 덩이줄기만으로 번식한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생강의 원산지는 인도·말레이시아 등 고온다습한 동남아시아로 추정된다. 우리 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의 문헌인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에는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어, 일찍부터 재배가 이루어졌을 것이다.
우리 나라 생강 생산량의 94%는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서 차지한다.
전라북도의 생강은 전북 완주군 봉동읍이 생강 주산지로 유명한데, 1300년 전에 신만석이라는 사람이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생강을 얻어와 봉동에 심은 것이 우리나라 생강 재배의 시작이라는 설이 있다. 그래서 재래종 품종에는 '봉동재래'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
또한, 충청남도의 생강은 충남 서산이 생강 주산지로 유명한데, 일제 강점기에 봉동의 생강을 가져와 재배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산의 생강도 일제 강점기 때부터 심어와 그 땅에 토착화한 것은 '서산재래'라고 부른다.
이러한 생강의 파종은 4월 중순에서 5월 초순 사이에 실시하는데, 우스풀룬 800배액에 1시간 침적시킨 뒤 음건시켜 파종하거나 유기수은분제를 발라서 파종한다. 생육 초기에는 반 음지에서도 잘 자라므로 보리밭 등의 이랑 사이에 간작할 수 있다.
생강은 발아하는 데 약 1개월이 소요되지만, 온상 뒷자리 등 따뜻한 곳에 쌓아 흙을 덮고 관수한 뒤, 가마니 등을 덮어 최아(催芽)를 시켜 파종하면 2주일이면 발아한다.
밭갈이는 깊게 하고, 파종 10일 전에 잘 썩은 두엄과 밭 거름을 준다. 거름의 양은 10a당 질소 24㎏, 인산 20㎏, 칼리 24㎏을 기준으로 한다. 6월 중순경 제초를 할 때 한 번 덧거름을 주고 약 1개월 뒤 다시 한 번 덧거름을 준다.
생강의 수확은 8∼11월에 걸쳐 할 수 있으나, 저장용이나 종묘용은 서리가 내리기 직전에 캐는 것이 좋다. 적온은 12∼16℃이다.
생강의 품종은 소생강·중생강·대생강으로 분류된다. 소생강은 조생종으로 줄기가 가늘고 맹아수(萌芽數)가 70∼80개 정도이다. 이에 속하는 품종으로는 곡중(谷中)·금시(金詩) 등이 있다. 중생강은 육질이 연하고, 덩이줄기 크기나 신미도가 중간이다. 황생강·근강·토생강 등이 있다. 대생강은 줄기수가 적고, 육질이 연하며, 신미도가 적고 다수성이다.
생강은 주로 양념으로 쓰이는데 생선이나 고기의 냄새를 없애주는 효과가 크다. 이 밖에 정과·생란 등의 음식을 만들며 생강차·생강주의 주재료가 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건위·산한(散寒)·진구(鎭嘔))·신진대사 기능의 항진 등에 효능이 있다 하여, 소화불량·위한(胃寒)·창만(脹滿)·감모한풍(感冒寒風)·천해(喘咳)·풍습비통(風濕痺痛)·설사·구토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민간에서는 감기에 생강을 달인 차를 마시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생강은 종자용으로 쓰이는 생강을 종강(種薑)이라 한다. 수확을 하면 이 종강이 새로 번식된 생강에 붙어 있는데, 이 종강을 이때는 다시 구강(舊薑)이라 부르고 새로 번식된 생강은 신강(新薑)이라 한다.
현재 생강은 종강에서 신강이 번식하면 신강을 다시 종강으로 사용하여 재배한다. 이러한 이유는 신강은 병충해에 강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한편 국내 생강은 병충해에 약해서, 종강으로 신강을 사용하기에 부족하는 인식이 강하며, 이로 인해 가격이 비싸더라도 중국산 신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산 신강을 사용하더라도 병충해에 노출은 여전하며, 오히려 종강 구입비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국산 신강을 종강으로 사용할 시, 호칭만 국내산으로 불릴 뿐 실질적으로는 중국산이기 때문에, 생강의 재배 구조를 모르는 소비자는 국내산 생강으로 착각하게 되고, 생강의 재배 구조를 아는 소비자는 국내산 생강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며, 결국 이러한 현상은 국내산 생강 전반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현재 생강은 종강으로써 신강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강으로서의 생강 활용도가 낮아, 생강 재배를 위한 종강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10-016008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활용도가 적은 국내산 생강의 구강을 이용하여 생강을 재배함으로써 생강 재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국내산 생강의 사용을 증가시킴으로써 국내산 생강에 대한 인식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농촌경제 연구원이 발표한 ‘중국 농산물 수급 변동의 영향’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기준, 중국산 생강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99.5%를 기록할 정도로 중국산 생강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구강을 이용해 국내산 토종 생강 재배를 활성화시켜 좋은 먹거리를 제공하고, 경제적인 농산물 생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강을 종강으로 하여 상기 구강을 정식하여 생강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식하는 구강은 생강 눈이 하얗게 보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은 생강을 수확하여 저장하기 전에 신강과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병충해에 의해 상기 신강이 상하였거나 썩었을 경우에는 신강과 분리한 후 구강을 소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의 저장은 휴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 5℃~최고 13℃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을 정식하기 전에 싹을 틔운 후에 정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해만 종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강이 아닌 다수 해에 걸쳐 종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함으로써, 종자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생강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성이 강한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생강을 재배할 수 있으며, 농약 사용이 줄어 친환경 생강의 재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국내산 생강의 구강을 사용함으로써, 국내산 생강에 대한 인식 전환을 통해 비싼 중국산 생강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국내산 생강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구강을 종강으로 하여 자라는 생강의 성장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신강을 종강으로 하여 자라는 생강의 성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및 이러한 재배 방법에 따른 기대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생강 채취 단계
기온이 3~4℃를 이루는 가을(상강기)에 당해 연도에 심은 생강을 채취한다.
상강(霜降, 10월 23일)이 지나면 노지(하우스가 아닌 농토)의 생강은 서리를 맞는다.
상강은 24절기 중의 하나로, 한로와 입동 사이에 들며, 음력 9월, 양력 10월 23·24일께가 된다. 태양의 황경이 210°되는 때이다. 이때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며 밤에는 기온이 매우 낮아지므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리는 늦가을의 계절이다.
서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면이나 물체에 접촉하여 얼어붙은 흰 가루모양의 얼음이다. 서리는 늦은 봄이나 가을의 맑고 바람이 약한 날 밤 지표면 물체의 온도가 복사냉각에 의하여 0℃ 이하로 내려갈 때 흔히 생긴다. 이 시기의 한낮에 다소 건조하더라도 기온이 많이 내려가면 공기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능력이 포화상태에 도달하게 되고, 기온이 더 내려가면 여분의 수증기가 응결하게 된다. 이때 수증기가 부착되는 물체의 온도가 빙점 이하이면 비결정형 서리가 생기게 되며, 공기 중에 부유하는 과 냉각된 물방울이 빙점보다 훨씬 낮은 물체에 접촉하여 승화되는 경우 바늘모양 또는 새털모양의 결정형 서리를 만든다.
이와 같이 서리가 내리면 생강은 냉해를 입게 되고, 이로 인해 생강은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온이 3~4℃ 이룰 시 생강을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구강 분리 및 손질 단계
상기 상강기에 채취한 생강의 신강과 구강을 분리한 후, 흙을 털어 깨끗이 손질한다.
이때 구강은 신강 사이에 깊숙이 붙어 있는 데, 생강을 면밀히 살펴 보면서 구강 및 신강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1) 생강의 구강 및 신강
생강은 종자용으로 쓰이는 생강을 종강(種薑)이라 한다. 수확을 하면 이 종강이 새로 번식된 생강에 붙어 있는데, 이 종강을 이때는 다시 구강(舊薑)이라 부르고 새로 번식된 생강은 신강(新薑)이라 한다.
2) 구강 및 생강을 분리해야 하는 이유
종래에 신강을 종강으로 사용할 시는 신강이 다칠까봐 구강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했다가 이듬해 4월에 꺼내서 신강을 분리하여 종강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구강과 신강을 이듬해 4월에 분리할 경우 구강은 종자로서의 기능이 급격히 떨어진다.
표 1은 신강을 분리한 구강(샘플 1 내지 3)과, 신강을 분리하지 않은 구강(샘플 4 내지 6) 간의 발아율을 나타낸 표로서, 표 1을 참조하여 상기 구강의 발아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강 샘플 샘플 1 샘플 2 샘플 3 샘플 4 샘플 5 샘플 6
발아율 93% 95% 93% 29% 27% 30%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신강을 분리한 구강과 신강을 분리하지 않은 구강은 발아율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구강을 신강과 분리하지 않을 시 휴면기간에 신강이 구강의 영양분을 빼앗아가 구강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병해 입은 생강의 경우, 신강은 상해거나 썩어서 사용을 할 수 없더라도 구강이 괜찮은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에는 구강을 신강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소독하여 저장을 하면 이듬해에 종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3. 구강 저장 단계
손질한 구강을 최저 5~ 최고 13℃의 온도에서 약 5개월 저장한다. 이때 구강은 땅굴이나 냉장고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게 여의치 않을 경우 사람이 자는 방에 보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큰 통에 구강을 담고 흙이나 부엽토를 섞어 보관한다.
한편, 가을에 신강과 분리한 구강은 겨울 동안 충분한 휴면에 들어가 약 5개월 동안 저장되면서 또다시 싹을 틔울 준비를 한다. 이때 구강과 신강을 붙인 상태로 저장하는 경우, 이듬해 4월에 구강을 심을 시 구강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자로서의 기능이 떨어져 싹이 나올 준비가 되지 않는다(눈이 하얗게 되질 않음).
4. 구강 소독 단계
지난해에 저장했던 구강을 이듬해 3월 말 또는 4월 초에 저장고에서 꺼내면 구강 눈은 하얗게 되어 싹이 트일 준비를 하고 있다. 이때 눈이 하얗지 않은 구강을 살충제로 소독하여 종강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에는 구강의 눈이 하얗게 보이는 것을 소독하여 종강으로 사용하는 것이 발아도 잘 되고 수확량도 증가한다.
5. 구강 보관 단계
소독한 구강은 얼지 않도록 하우스에 쌓아 놓고 보온덮개로 덮고, 보온덮개 위에 비닐을 또 덮어서 보양한다. 그러면 소독한 날로부터 5일 정도 지나면 구강 눈에 싹이 난다.
한편,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할 경우 신강을 종강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발아 시기가 약 20일 정도 빠르고 비닐 피복 시에는 약 한달정도 빠르게 싹이 난다. 이는 구강은 껍질이 단단하고 강해서 더 낮은 기온에서 저장가능한 데, 신강과 저장온도 차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이다. 구강은 저장온도가 6℃에서 저장이 가능하며 발아온도도 10℃ 이상이면 발아가 되며, 신강은 저장온도 13℃이며 발아온도도 17℃ 이상이어야 발아가 된다.
이와 같이 구강은 발아시기가 빠르기 때문에 하기 정식 날짜의 선택 폭이 넓다.
6. 구강 정식 단계
소독 후 싹이 나지 않은 구강 또는 소독 후 싹이 완전히 난 구강을 정식(定植)한다.
한편, 신강은 말 그래도 새 생강으로 별도의 세척 없이 쪽만 나누어 바로 심기 때문에 눈이 상할 염려가 없고, 껍질이 얇아서 싹이 나는 데 별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구강은 껍질이 두꺼우므로 싹이 나올 때보다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이물질이 없도록 세척을 하고 저장 시 벌레 먹거나 상한 것을 제거한 후 싹이 난 구강을 정식하는 것이 재배 성공률 향상에 이롭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장식된 구강은 장식된 신강보다 아래와 같은 장점을 보인다.
① 우수한 생장력
생강의 양은 잎의 개수에 따라 알 수 있는 데, 구강은 신강 보다 싹이 약 6~8개 정도 많고 잎 대도 튼튼하며, 신강보다 잎 대의 신장 치수가 약 20cm정도 크다. 또한, 생강 발 둘레를 재보면 신강을 종강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2mm 정도 크고, 생강발 개수가 4~7개 정도 더 많다. 이는 구강은 이미 지난 해에 생장하면서, 생장에 방해를 하는 세균이나 벌레에 대해 면역력을 갖추게 됨으로써, 상기 세균이나 벌레에 대해 면역력이 없는 신강에 비해 우수한 생장을 보이기 때문이다.
② 우수한 면역력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강은 신강 보다 면역력이 강해서 여름 장마철에 발생하는 역병에 강하다.
③ 우수한 생강 생산량 및 저장성
구강은 이미 지난해에 생장을 겪었기 때문에 껍질이 두껍고 거칠어 이를 뚫고 자라는 생강은 단단하고 질겨서 저장성이 좋고 수확량 또한 많다. 반면에 신강을 종강으로 사용할 시 신강은 구강보다 껍질이 얇아 생강 재배 시 상기 구강을 통한 재배의 특성이 미약하다.
7. 구강 재배를 통한 기대 효과
① 농가 소득 효과
생강은 쪼갤 때 그 생김새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눈이 대략 4~5개 정도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생강은 눈이 여러 개지만 1년에 1곳에서만 싹이 난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눈이 4~5개인 신강을 사용해서 눈 1개에서 수확을 하고 버렸는데, 구강을 이용할 경우 나머지 3~4개의 눈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 종강(종자) 비가 작게 든다. 다시 말해, 구강의 모든 눈에서 생강이 나오면 구강은 더 이상 종강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지만, 썩지 않는 것을 전제로 했을 때 한해 수확 후 그 눈이 다할 때까지 3~4년은 계속 심을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신강을 종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사서 쪼개는 작업이 선행되는 데 구강의 경우 별도로 쪼개는 작업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인건비가 절약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깨끗이 씻겨져 식용으로 중국에서 수입되는 생강이 종강(종자)으로 유통되는 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중국산 생강을 종강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와 같이 씻어서 들어온 생강이 뿌리 썩음 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그릇된 인식과 우리나라 신강이 병충해에 약함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강을 이용한 재배 방법은 비싼 중국산 생강을 사용하지 않아도 저렴하고 품질이 좋은 생강을 재배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구강으로 생강을 재배할 시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도 많기 때문에 굳이 중국산 신강을 비싸게 구입해서 재배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구강으로 생강을 재배할 시 고가의 국내산 신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초기 자본 비용(신강 비용)이 적게 들어 농가의 부담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신강은 한 짝에 대략 50만 원 정도이고, 구강은 25~30만 원 정도(최고 품질의 구강을 일반 생강 농가가 도매로 판매할 시는 10~15만 원 정도)로 구강이 훨씬 저렴하다.
② 생강 구강의 효율적인 활용
현재 생강의 신강은 종강으로 사용되고, 생강의 구강은 주로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재배 방법에서는 약재를 사용하는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함으로써 생강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③ 국산 생강에 대한 인식 전환
종자로서 국산 생강이 중국산 생강보다 우수하다는 인식 전환을 통해 종자로서의 국산 생강에 대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④ 국내산 생강으로 국내 시장 활성화
국내산 생강의 인식 전환을 통해 국내 생강 시장을 중국에 뺏기지 않아도 되고, 기존 국내산 생강은 수확량이 적어서 소비자가 비싸게 구입했다면 구강 재배 방법을 통해 재배 단가를 낮추고 수확량을 높임으로써 더욱 저렴하게 국내산 생강을 유통시켜 국내산 생강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다.
⑤ 국내산 생강에 대한 불신 해소
현재는 중국산 신강을 이용하여 생강을 재배하고서도 국내에서 재배했다는 이유로 국내산으로 유통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국내산 생강에 대한 불신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국내산 생강 시장의 활성화를 통해 전반적인 국내 생강의 유통을 늘림으로써 중국산 신강의 설 자리를 줄여, 국내산 생강에 대한 불신을 점차 감소시킬 수 있다.
⑥ 친환경 생강 재배
면역력이 좋은 구강을 이용하여 생강을 재배함으로써, 면역력이 약한 신강을 이용하여 생강을 재배할 때보다 농약 사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한 친환경 생강을 재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강 재배 방법을 일 실시예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강을 만들기 위해 신강을 통해 생강을 재배한다. 이때 신강을 선정함에 있어서 생강 발이 작은 걸 선택해야하는 데, 이는 크고 굵어서 눈과 눈 사이가 먼 생강은 잘 상하여 구강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발이 작고 눈 사이가 가까운 것이 구강으로 재배할 때 잘 자란다.
신강을 통해 재배된 생강은 상강기에 채취되고, 구강 및 신강이 손상되지 않도록 신강과 구강을 분리한 후, 표면에 묻은 흙을 털어 구강을 깨끗이 손질한다.
이렇게 손질한 구강을 5~13℃의 온도에서 약 5개월 동안 저장고에 저장한다.
이후 구강을 이듬해 3월 말 또는 4월 초에 저장고에서 꺼내면 구강 눈은 하얗게 되어 싹이 트일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면 구강의 눈이 하얗게 보이는 것을 소독한다. 저장한 생강을 꺼내서 종자소독 할 때 선충을 잡기 위해 스미치온 살충제를 물 20L 한 말에 스미치온 20cc, 베노람미아 벤네이트는 설명서대로 희석하여 3시간 정도 생강을 침지한다. 이때 싹이 길지 않았을 때 소독하여야 순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소독한 구강은 얼지 않도록 하우스에 쌓아 놓고 보온덮개로 덮고, 보온덮개 위에 비닐을 또 덮어서 보양한다. 그러면 소독한 날로부터 5일 정도 지나면 구강 눈에 싹이 난다.
이때 두둑 높이는 30cm 이상으로 높게 해서 배수가 잘 되도록 밭을 만들고, 5월 초(일반적으로 신강은 4월에 정식)에 25cm 간격으로 구강을 정식한다. 여기서 두둑이란 밭과 밭 사이에 경계를 만들려고 흙을 약간 불룩하게 쌓아 올린 언덕을 말한다.
또한, 생강을 재배할 시 성장과정(상순이 대략 15cm일 때, 시기적으로는 7월 초순경)에 있어서 역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산액비를 1000배로 희석 15일 간격으로 한 달에 2회 정도로 수확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살포(옆면 시비-생강 잎 위쪽으로 살포)한다. 또는 병이 의심되는 상태일 때는 현미 식초를 2배 희석(물 20L에 식초 20CC)하여 약 15일 간격으로 나을 때까지 관주(뿌리 쪽 가까이 흠뻑 주는 방식)한다.
한편, 도 1은 구강을 종강으로 하여 자라는 생강의 성장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신강을 종강으로 하여 자라는 생강의 성장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1 및 도 2는 동일한 조건에서 재배한 생강의 성장 길이를 동일한 시기에 측정한 것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구강을 종강으로 하는 생강은 잎 대가 70cm 정도이고, 신강을 종강으로 하여 자라는 생강은 50cm 정도로, 구강을 종강으로 하는 생강이 신강을 종강으로 하는 생강보다 잎 대의 크기가 20cm 정도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는 신강을 정식했을 시 생강의 생장 속도 및 수확량과, 소독 후 싹이 나지 않은 구강을 정식했을 시 생강의 생장 속도 및 수확량과, 소독 후 싹이 완전히 난 구강을 정식했을 시 생강의 생장 속도 및 수확량을 나타낸 표로서, 샘플 1은 신강을 정식했을 때의 생강을 나타내고, 샘플 2 내지 샘플 4는 소독 후 싹이 나지 않은 구강을 정식했을 때의 생강을 나타내고, 샘플 5 내지 샘플 7은 소독 후 싹이 난 구강을 정식했을 때의 생강을 나타낸다. 이때 표 2는 샘플 1의 생장 속도 및 수확량을 1로 보았을 시 샘플 2 내지 샘플 7을 비교한다.
샘플 번호 샘플 1 샘플 2 샘플 3 샘플 4 샘플 5 샘플 6 샘플 7
생장 속도 1 1.3 1.5 1.4 2.1 2.0 2.2
수확량 1 1.5 1.4 1.5 2.3 2.2 2.4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구강을 소독 후 정식하면 신강을 정식했을 때보다 생강의 생장 속도가 빠르다. 특히 싹이 난 구강을 정식 했을 때 생장 속도는 더욱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구강을 종강으로 사용할 시 신강을 종강으로 사용할 때보다 우수한 성장을 보이며 이를 통해 수확량도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생강을 수확하여 저장하기 전에 신강과 분리하여 저장한 구강을 종강으로 하여 상기 구강을 정식하여 생강을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식하는 구강은 생강 눈이 하얗게 보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의 저장은 휴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저 5~ 최고 13℃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병충해에 의해 상기 신강이 상하였거나 썩었을 경우에는 신강과 분리한 후 구강을 소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을 정식하기 전에 싹을 틔운 후에 정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6. 삭제
KR1020140128212A 2014-09-25 2014-09-25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KR10165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12A KR101653769B1 (ko) 2014-09-25 2014-09-25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CN201510546233.6A CN105453861A (zh) 2014-09-25 2015-08-31 利用老姜的生姜栽培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12A KR101653769B1 (ko) 2014-09-25 2014-09-25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251A KR20160036251A (ko) 2016-04-04
KR101653769B1 true KR101653769B1 (ko) 2016-09-02

Family

ID=5559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212A KR101653769B1 (ko) 2014-09-25 2014-09-25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3769B1 (ko)
CN (1) CN1054538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4264A (zh) * 2018-07-11 2018-11-13 金正大生态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山东生姜全程套餐药肥及其应用方法
CN113678703B (zh) * 2021-07-05 2023-05-26 彭崇敏 一种生姜脱毒与益生菌接合保护栽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4619A (ja) 2004-01-26 2005-08-04 Makoto Fukuda 新生姜の製造方法及び新生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086B1 (ko) 1995-06-21 1998-11-16 김광희 종강용 생강 인공종묘의 제조방법
CN1073790C (zh) * 1998-05-19 2001-10-31 刘德生 生姜的大棚温室种植方法
CN101283655B (zh) * 2008-02-01 2010-08-04 陈炳金 生姜的夏秋栽培方法
CN103907509A (zh) * 2013-01-05 2014-07-09 赵百华 一种生姜芽家庭沙培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4619A (ja) 2004-01-26 2005-08-04 Makoto Fukuda 新生姜の製造方法及び新生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표준영농교본(생강재배,2005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251A (ko) 2016-04-04
CN105453861A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9672B (zh) 一种无公害种植铁皮石斛的方法
CN103125243B (zh) 一种金花茶植株高位嫁接育苗的方法
Staples et al. Areca catechu (betel nut palm)
CN103535238A (zh) 一种黄桃的栽培方法
Barbera et al. The caper culture in Italy
CN104094750A (zh) 绿色食品芥蓝栽培方法
Ragone Artocarpus altilis (breadfruit)
CN103444401A (zh) 一种超大颗粒吊瓜种植方法
Kakade et al. Dragon Fruit: Wholesome and remunerative fruit crop for India
CN113115652A (zh) 蛋黄果的扦插繁育方法
KR101653769B1 (ko) 구강을 이용한 생강 재배 방법
Rawat et al. Cinnamon (Cinnamomum zeylanicum)
Whistler et al. Syzygium malaccense (Malay apple)
Nelson Morinda citrifolia (noni)
CN102668842A (zh) 采用根茎繁殖马兰的方法
CN107517691A (zh) 黄精育苗与虎杖套载的方法
CN107278564A (zh) 有机大红柑和豌豆间套种植的方法
CN103392550B (zh) 一种提高砂梨杂交种子成苗率及苗木质量的方法
CN102057831A (zh) 提高牛蒡子结实率和千粒重的栽培方法
Samadi Statu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cultivation in Afghanistan
CN105284332A (zh) 一种药效完整的天麻种植方法
CN103907474A (zh) 仙草的越冬保温育苗方法
Sudhersan et al. Ziziphus: a highly potential multipurpose woody perennial for desert environmental rehabilitation
Draghici et al. The planting period and the size of cloves influences on garlic production
Bogdan et al. Aspects of the cultivation of the species of the genus agastache gronov under the conditions of the Republic of Moldo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