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665B1 -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 Google Patents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665B1
KR101653665B1 KR1020160011986A KR20160011986A KR101653665B1 KR 101653665 B1 KR101653665 B1 KR 101653665B1 KR 1020160011986 A KR1020160011986 A KR 1020160011986A KR 20160011986 A KR20160011986 A KR 20160011986A KR 101653665 B1 KR101653665 B1 KR 10165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ortion
bolt
distribution line
manhole
undergroun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Priority to KR102016001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관로구의 원통부가 맨홀의 벽체에 매설됨과 아울러 관로구의 원통부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의 내측면에 에폭시를 코팅하여 맨홀을 타설하였을 때 맨홀의 벽체와 원통부의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의 내측면 사이에 에폭시가 충전된 상태로 되도록 하여 맨홀의 벽체와 관로구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관로구의 원통부의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폭시를 주입되어 관로구의 원통부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의 외주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맨홀과 지중배전선 매설구역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누수에 따른 누전, 감전 및 단락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중배전관로는 상, 하반 연결구와 연결구 볼트 및 연결구 너트로 구성되는 연결구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연결구는 결합볼트와 결합너트에 의하여 관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지중배전관로에 삽입되는 지중배전선과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접속부위에 진동이 전달되어 접속불량에 따른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Fixing bracket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중배전선 매설구역과 맨홀 사이의 누수와 지중배전관로와 관로구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여 누수로 인한 누전 또는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관로와 관로구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서 지중배전선과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대한 접속불량이 방지되어 접속불량에 따른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주에 전력선을 설치하거나 또는 지중에 매설하게 되는데 지상 및 공중가설 방식은 시공성이나 소요되는 공사비 및 공사기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보다는 훨씬 경제적이면서도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심지와 같이 건물이 매우 인접하게 밀집된 지역에서는 그 설치가 상당히 곤란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 도심지나 고압의 전류 배전선로의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력발전소나 수력발전소 또는 원자력발전소 등이 포함되는 발전소에서 약 20kV의 전압으로 발전된 전기는 1차 변전소에서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154kV 또는 345kV)로 승압되며, 이 승압된 전기를 초고압송전선로를 통하여 2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2차 변전소에서는 특고압인 22.9kV로 강압하고 특고압의 전기는 특고압 송전선로를 통하여 대용량의 수용가 근처로 송전된다.
수용가 근처로 송전된 특고압 전기는 지상변압기 또는 주상변압기 등의 최종 변압기에 의하여 상용전기인 230V 또는 380V로 강압되며, 지중배전선로 또는 가공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 배전된다.
종래 지중배전선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의 양단에 맨홀(20)을 설치(도면에서는 일단부에 설치되는 맨홀만 도시함)하고,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에 매설된 지중배전관로(30)의 양단을 맨홀(20)의 벽체(21)에 삽입되는 관로구(40)에 어댑터(50)를 통하여 연결하며, 지중배전관로(30)에 지중배전선(60)을 삽입하여 맨홀(20) 내에서 최종 변압기 또는 개폐기(도시생략)에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전력회사(한전)의 지중배전선로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맨홀(20) 사이에 백호우에 의하여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에 대한 터파기를 하는 단계; 터파기한 바닥에 쇄석 또는 잡석 등의 석재층(70)을 깔고 다지는 단계; 석재층 위에 1차 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단계; 1차 콘크리트(12) 상에 파형관으로 된 지중배전관로(30)를 포설하는 단계; 코어드릴을 사용(부득이 한 경우는 맨홀의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헤머드릴 사용)하여 맨홀(20)의 벽체(21)에 구멍(22)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22)에 직관으로 된 관로구(40)를 삽입하는 단계; 파형관인 지중배전관로(30)에 대응하는 파형관부와 직관인 관로구(40)에 대응하는 직관부를 가지는 어댑터(50)를 사용하여 지중배전관로(30)와 관로구(40)를 연결하는 단계; 관로구(40)와 어댑터(50) 및 지중배전관로(30)의 연결부위에 2차 콘크리트 동체(13)를 타설하는 단계; 1차 콘크리트(12) 상에 2차 콘크리트 동체(13)의 높이로 1차 토사다짐층(14)을 되메우고 다지는 단계; 1차 토사다짐층(14) 상에 최종적으로 2차 토사다짐층(15)을 되메우고 다지는 단계; 포장도로에 시공하는 경우 다시 포장하는 단계; 순으로 시공하도록 하고 있다.
도 7에서 23은 맨홀(20)의 벽체(21)의 외벽면에 시공된 방수층이고, 24는 방수보호층을 보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중배전선로는 맨홀(20)의 벽체(21)를 천공하여 관로구(40)를 삽입하는 것이므로 벽체(21)의 천공부와 관로구(40)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과 맨홀(2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학 되어 누수로 인한 누전과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며, 파형관으로 형성된 지중배전관로(30)와 직관으로 형성된 관로구(40)를 연결하기 위하여 지중배전관로(30)에 대응하는 파형관부와 관로구(40)에 대응하는 직관부를 가지는 어댑터(50)를 사용하여 어댑터(50)의 파형관부에 지중배전관로(30)를 삽입하고, 어댑터(50)의 직관부에 관로구(40)를 삽입하는 것이므로 지중배전관로(30)와 관로구(40) 및 어댑터(50) 사이의 틈새를 통한 누수가 발생하게 되어 누수로 인한 누전과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관로구(40)가 맨홀(20)의 벽체(21)로부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어댑터(50)를 통해 지중배전관로(30)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이 연결부위가 견고하지 못하고 느슨하게 될 염려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맨홀(20) 내에서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연결된 지중배전선(60)의 접속부위에 진동이 전달되어 접속불량에 따른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과 맨홀(20) 사이의 누수와 지중배전관로(30)와 관로구(40) 및 어댑터(50)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여 누수로 인한 누전 또는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관로(30)와 관로구(40)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서 지중배전선(60)과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대한 접속불량과 접속불량에 따른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배전선 매설구역과 맨홀 사이의 누수와 지중배전관로와 관로구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여 누수로 인한 누전 또는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중배전관로와 관로구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서 지중배전선과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대한 접속불량이 방지되어 접속불량에 따른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과,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맨홀(200)과,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에 매설되는 지중배전관로(300)와,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되어 상기 지중배전관로(300)가 연결되는 관로구(400)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와 관로구(400)를 연결하는 연결구(500) 및,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와 관로구(400)에 삽입되는 지중배전선(6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중배전관로(300)는 원통부(310)와, 상기 원통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320)를 가지는 합성수지 파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로구(400)는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되는 원통부(410)와, 상기 원통부(4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내측 플랜지(420) 및, 상기 원통부(4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외측 플랜지(430)로 구성되며, 상기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에 에폭시(E1)가 코팅되고, 상기 연결구(500)는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양단과 하면이 개방된 상반원통부(511)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상반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512)와,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좌우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며 볼트관통공(514)이 형성되는 연장편(513)과,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구(400)의 외측 플랜지(430)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6)이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515) 및,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8)이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517)가 구비된 상반 연결구(510)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양단과 상면이 개방된 하반원통부(521)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하반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522)와,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좌우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4)이 형성되는 연장편(523)과,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구(400)의 외측 플랜지(430)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6)이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525) 및,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8)이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527)가 구비된 하반 연결구(520)와, 상기 연장편(513, 523)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4, 524)에 관통되어 연장편(523)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연결구 볼트(B2) 및, 상기 볼트(B2)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구 너트(N2)로 구성되며, 상기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폭시(E2)가 주입되고, 상기 연결구(500)는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220)과 관로구(400)의 내측 플랜지(420)와 외측 플랜지(43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440, 450)과 상기 연결구(500)의 볼트관통공(516, 518, 526, 528)을 관통하는 결합볼트(B1)와, 상기 결합볼트(B1)에 체결되는 결합너트(N1)에 의하여 상기 관로구(400) 및 맨홀(200)의 벽체(21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에 의하면 관로구의 원통부가 맨홀의 벽체에 매설됨과 아울러 관로구의 원통부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의 내측면에 에폭시를 코팅하여 맨홀을 타설하였을 때 맨홀의 벽체와 원통부의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의 내측면 사이에 에폭시가 충전된 상태로 되도록 하여 맨홀의 벽체와 관로구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관로구의 원통부의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폭시를 주입되어 관로구의 원통부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의 외주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맨홀과 지중배전선 매설구역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누수에 따른 누전, 감전 및 단락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중배전관로는 상, 하반 연결구와 연결구 볼트 및 연결구 너트로 구성되는 연결구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연결구는 결합볼트와 결합너트에 의하여 관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지중배전관로에 삽입되는 지중배전선과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접속부위에 진동이 전달되어 접속불량에 따른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부분 사시도,
도 2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단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도 3의 "C"부 확대도,
도 7은 종래 지중배전선로의 일예를 보인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맨홀 안쪽을 내측으로, 지중배전선 매설구역을 외측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은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과,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맨홀(200)과,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에 매설되는 지중배전관로(300)와,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되어 상기 지중배전관로(300)가 연결되는 관로구(400)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와 관로구(400)를 연결하는 연결구(500) 및,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와 관로구(400)에 삽입되는 지중배전선(6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은 백호우 등에 의하여 터파기하여 지중배전관로(300)를 매설할 수 있도록 한 부분이다.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은 양측 맨홀(200) 사이에 설치된다. 반대로 말하면,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의 양단에 맨홀(2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맨홀(200)은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타설식으로 구성하거나 공장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블럭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는 관로구(400)가 매설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시예에서는 관로구(400)가 상하 2단으로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지중배전관로(300)의 개수에 따라 1단 또는 3단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각 단에는 측방으로 복수개의 관로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는 후술하는 연결구(500)를 관로구(400)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B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볼트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관통공(220)은 콘크리트에 의하여 맨홀(2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내, 외측 거푸집 사이에 볼트관통공 형성용 환봉을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함으로써 거푸집을 제거하였을 때 볼트관통공(220)이 형성된 상태의 맨홀(2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중배전관로(300)는 지중배전선(600)이 삽입되는 원통부(310)와, 상기 원통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320)를 가지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로구(400)는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되는 원통부(410)와, 상기 원통부(4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내측 플랜지(420) 및, 상기 원통부(4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외측 플랜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 플랜지(420)와 외측 플랜지(430)에는 후술하는 연결구(50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B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볼트관통공(440, 450)이 형성된다.
상기 관로구(400)를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함에 있어서는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에 에폭시(E1)를 코팅하여 맨홀(200)을 타설하였을 때 맨홀(200)의 벽체와 원통부(410)의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 사이에 에폭시(E1)가 충전된 상태로 되도록 하여 맨홀(200)의 벽체(210)와 관로구(40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500)는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양단과 하면이 개방된 상반원통부(511)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상반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512)와,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좌우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며 볼트관통공(514)이 형성되는 연장편(513)과,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구(400)의 외측 플랜지(430)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6)이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515) 및,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8)이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517)가 구비된 상반 연결구(510)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양단과 상면이 개방된 하반원통부(521)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하반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522)와,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좌우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4)이 형성되는 연장편(523)과,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구(400)의 외측 플랜지(430)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6)이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525) 및,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8)이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527)가 구비된 하반 연결구(520)와, 상기 연장편(513, 523)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4, 524)에 관통되어 연장편(523)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연결구 볼트(B2) 및, 상기 볼트(B2)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구 너트(N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폭시(E2)를 주입하여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랜지(515, 525)와 외측 플랜지(517, 527) 사이에는 슬리브형 보강 스페이서(519, 529)를 설치하여 연결구(50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의 시공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이 적용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시공은, 맨홀(200)을 설치하는 단계; 맨홀(200) 사이에 백호우에 의하여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에 대한 터파기를 하고, 터파기한 바닥에 쇄석 또는 잡석 등의 석재층(110)을 깔고 다지는 단계; 석재층(110) 위에 1차 콘크리트(120)를 타설하는 단계; 1차 콘크리트(120) 상에 지중배전관로(300)를 포설하는 단계;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에 연결구(500)를 연결하는 단계; 연결구(500)에 연결된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를 관로구(400)에 삽입하여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가 맨홀(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연결구(500)를 관로구(400)에 고정 결합하는 단계;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 에폭시(E2)를 주입하는 단계; 관로구(400)와 연결구(500)의 지중배전관로(300)의 연결 부위에 2차 콘크리트 동체(130)를 타설하는 단계; 1차 콘크리트(120) 상에 2차 콘크리트 동체(130)의 높이로 1차 토사다짐층(140)을 되메우고 다지는 단계; 1차 토사다짐층(140) 상에 최종적으로 2차 토사다짐층(150)을 되메우고 다지는 단계; 포장도로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다시 포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석재층(110)을 깔고 다지는 단계; 1차 콘크리트(120)를 타설하는 단계; 2차 콘크리트 동체(130)를 타설하는 단계; 1차 토사다짐층(140)을 되메우고 다지는 단계; 및 2차 토사다짐층(150)을 되메우고 다지는 단계; 및 포장도로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다시 포장하는 단계 ;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맨홀(20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에 관로구(4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맨홀(200)이 관로구(400)가 벽체(210)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에 에폭시(E1)를 코팅하여 맨홀(200)을 타설하였을 때 맨홀(200)의 벽체와 원통부(410)의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 사이에 에폭시(E1)가 충전된 상태로 되도록 하여 맨홀(200)의 벽체(210)와 관로구(40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상기 관로구(400)의 내, 외측 플랜지(420, 43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440, 450)과 맨홀(200)의 벽체(210)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220)이 막히거나 콘크리트 또는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 외측 거푸집 사이에 볼트관통공 형성용 환봉을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맨홀(200)을 타설하고, 맨홀(200)의 시공이 완료된 후 볼트관통공 형성용 환봉을 제거할 수 있다.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에 연결구(500)를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상반 연결구(510)의 나선형 돌기(512)를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상반부에 맞물리도록 하고 하반 연결구(520)의 나선형 돌기(522)를 지중배전관로(300)가 나선형 돌기(320)의 하반부에 맞물리도록 함과 아울러 상반 연결구(510)의 연장편(513)과 하반 연결구(510)의 연장편(523)이 서로 맞닿도록 하고, 연장편(513, 523)에 형성된 볼트관통공(514, 524)에 연결구 볼트(B2)를 관통시키며, 연결구 볼트(B2)의 돌출단부에 연결구 너트(N2)를 체결하여 연장편(513, 523)이 서로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나선형 돌기(512, 522)가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에 연결구(500)가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는 상, 하반 연결구(510, 520)의 내측 플랜지(515, 525)에서 돌출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연결구(500)에 연결된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를 관로구(400)에 삽입하여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가 맨홀(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에서는 지중배전관로(300)의 양단부를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에 삽입하면 된다.
연결구(500)를 관로구(400)에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관로구(400)의 내측 플랜지(42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440)과 맨홀(200)의 벽체(21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220)과 관로구(400)의 외측 플랜지(43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450)과 상, 하반 연결구(510, 520)의 내측 플랜지(515, 525)에 형성된 볼트관통공(516, 526)과 상, 하반 연결구(510, 520)의 외측 플랜지(517, 527)에 형성된 볼트관통공(518, 528)에 결합볼트(B1)를 관통시켜 외측 플랜지(517, 527)에서 돌출되도록 한 다음, 결합볼트(B1)의 돌출단부에 결합너트(N1)를 체결하여 조이는 것에 의하여 연결구(500)와 지중배전관로(300)를 관로구(40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플랜지(515, 525)와 외측 플랜지(517, 527) 사이에는 슬리브형 보강 스페이서(519, 529)가 설치되는 경우 결합볼트(B1)을 슬리브형 보강 스페이서(519, 529)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 경우 연결구(50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 에폭시(E2)를 주입하는 단계에서는 맨홀(200)의 내부에서 또는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 측에서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에폭시(E2)를 주입하며, 주입되는 에폭시(E2)는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를 수밀하게 함과 아울러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와 상, 하반 연결구(510, 520)의 나선형 돌기(512, 522) 사이의 틈새에도 주입되어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와 상, 하반 연결구(510, 520)의 나선형 돌기(512, 522) 사이도 수밀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은 관로구(400)의 원통부(410)가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됨과 아울러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에 에폭시(E1)를 코팅하여 맨홀(200)을 타설하였을 때 맨홀(200)의 벽체와 원통부(410)의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 사이에 에폭시(E1)가 충전된 상태로 되도록 하여 맨홀(200)의 벽체(210)와 관로구(40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관로구(400)의 원통부(410)의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폭시(E2)를 주입되어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맨홀(200)과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누수에 따른 누전, 감전 및 단락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중배전관로(300)는 상, 하반 연결구(510, 520)와 연결구 볼트(B2) 및 연결구 너트(N2)로 구성되는 연결구(500)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연결구(500)는 결합볼트(B1)와 결합너트(N1)에 의하여 관로구(400)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지중배전관로(300)에 삽입되는 지중배전선(600)과 변압기 또는 개폐기의 접속부위에 진동이 전달되어 접속불량에 따른 누전 또는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지중배전선 매설구역 200 : 맨홀
210 : 벽체 300 : 지중배전관로
400 : 관로구 410 : 원통부
420 : 내측 플랜지 430 : 외측 플랜지
500 : 연결구 510 : 상반 연결구
511 : 상반원통부 512 : 나선형 돌기
513 : 연장편 515 : 내측 플랜지
516 : 외측 플랜지 520 : 하반 연결구
521 : 하반원통부 522 : 나선형 돌기
523 : 연장편 525 : 내측 플랜지
526 : 외측 플랜지 600 : 지중배전선
B1 : 결합볼트 N1 : 결합너트
B2 : 연결구 볼트 N2 : 연결구 너트

Claims (1)

  1.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과,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맨홀(200)과, 상기 지중배전선 매설구역(100)에 매설되는 지중배전관로(300)와,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되어 상기 지중배전관로(300)가 연결되는 관로구(400)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와 관로구(400)를 연결하는 연결구(500) 및,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와 관로구(400)에 삽입되는 지중배전선(6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중배전관로(300)는 원통부(310)와, 상기 원통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320)를 가지는 합성수지 파형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로구(400)는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매설되는 원통부(410)와, 상기 원통부(4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내측 플랜지(420) 및, 상기 원통부(410)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외측 플랜지(430)로 구성되며,
    상기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외주면과 내, 외측 플랜지(420, 430)의 내측면에 에폭시(E1)가 코팅되고,
    상기 연결구(500)는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양단과 하면이 개방된 상반원통부(511)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상반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512)와,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좌우측에 수평으로 연장되며 볼트관통공(514)이 형성되는 연장편(513)과,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구(400)의 외측 플랜지(430)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6)이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515) 및, 상기 상반원통부(511)의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8)이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517)가 구비된 상반 연결구(510)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양단과 상면이 개방된 하반원통부(521)와, 상기 지중배전관로(300)의 나선형 돌기(320)의 하반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522)와,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좌우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4)이 형성되는 연장편(523)과,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로구(400)의 외측 플랜지(430)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6)이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525) 및, 상기 하반원통부(521)의 타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28)이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527)가 구비된 하반 연결구(520)와, 상기 연장편(513, 523)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514, 524)에 관통되어 연장편(523)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연결구 볼트(B2) 및, 상기 볼트(B2)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구 너트(N2)로 구성되며,
    상기 관로구(400)의 원통부(410) 내주면과 지중배전관로(3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에폭시(E2)가 주입되고,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맨홀(2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내, 외측 거푸집 사이에 볼트관통공 형성용 환봉을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타설함으로써 거푸집을 제거하였을 때 형성되는 볼트관통공(2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500)는 상기 맨홀(200)의 벽체(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220)과 관로구(400)의 내측 플랜지(420)와 외측 플랜지(43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관통공(440, 450)과 상기 연결구(500)의 볼트관통공(516, 518, 526, 528)을 관통하는 결합볼트(B1)와, 상기 결합볼트(B1)에 체결되는 결합너트(N1)에 의하여 상기 관로구(400) 및 맨홀(200)의 벽체(21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KR1020160011986A 2016-01-29 2016-01-29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KR10165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986A KR101653665B1 (ko) 2016-01-29 2016-01-29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986A KR101653665B1 (ko) 2016-01-29 2016-01-29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665B1 true KR101653665B1 (ko) 2016-09-02

Family

ID=5694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986A KR101653665B1 (ko) 2016-01-29 2016-01-29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66B1 (ko) * 2016-11-04 2017-01-23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815685B1 (ko) 2017-09-29 2018-01-05 주식회사 우인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KR101874555B1 (ko) 2017-03-27 2018-07-04 (주)선주엔지니어링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4742A (ja) * 1996-11-29 1998-06-19 Tigers Polymer Corp 波形管用直管継手
KR101052745B1 (ko) * 2010-10-11 2011-07-29 주식회사 영일하이테크 지중구조물에 마련된 관로구의 밀폐장치
KR101497335B1 (ko) * 2014-11-26 2015-03-03 이윤정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4742A (ja) * 1996-11-29 1998-06-19 Tigers Polymer Corp 波形管用直管継手
KR101052745B1 (ko) * 2010-10-11 2011-07-29 주식회사 영일하이테크 지중구조물에 마련된 관로구의 밀폐장치
KR101497335B1 (ko) * 2014-11-26 2015-03-03 이윤정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66B1 (ko) * 2016-11-04 2017-01-23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874555B1 (ko) 2017-03-27 2018-07-04 (주)선주엔지니어링 지상인출용 지중전선의 위치고정대
KR101815685B1 (ko) 2017-09-29 2018-01-05 주식회사 우인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KR101653665B1 (ko)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고정 브래킷
KR101732669B1 (ko) 보강부재,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관로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보강공법
WO2005017290A1 (en) Street light foundation
KR10149733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682541B1 (ko) 암거 횡단 관로 매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매설방법
KR102083378B1 (ko) 콘크리트 관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공법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200152285Y1 (ko) 관로구 장치
KR100968600B1 (ko)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JP4530935B2 (ja) マンホールの防水管補修工法及びマンホールの防水工法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784282B1 (ko) 지중관로용 프리캐스트 모듈과 이를 이용한 지중관로 형성방법
KR20040091241A (ko) 합성수지관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배관매설공법
KR101741022B1 (ko) 재활용 복합수지를 이용한 고·저압 접속함 및 이의 무정전 시공방법
KR102118064B1 (ko) 재활용 복합수지를 이용한 고·저압 무정전 접속함의 무정전 시공방법
CN218586794U (zh) 一种电缆套管缆线保护结构
KR102635163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의 보호관 연결 시스템
JP7380282B2 (ja) 地中埋設管路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980601B1 (ko) 방수용 지중(地中)송전 전력관로 이음장치
KR102298267B1 (ko) 지중 전력구용 프리캐스트 암거블록
CN212107451U (zh) 一种大型箱涵不断水封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