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630B1 -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630B1
KR101653630B1 KR1020150025215A KR20150025215A KR101653630B1 KR 101653630 B1 KR101653630 B1 KR 101653630B1 KR 1020150025215 A KR1020150025215 A KR 1020150025215A KR 20150025215 A KR20150025215 A KR 20150025215A KR 101653630 B1 KR101653630 B1 KR 10165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hearing loss
recepto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597A (ko
Inventor
박상면
박정섭
정연훈
김연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09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64-Aminoquinolines; 8-Aminoquinolines, e.g. chloroquine, primaqu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를 다운 조절함으로써 와우(및 전정) 모세포 및 나선 신경절 신경원의 손상이나 변성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과 더불어 은행잎 추출물의 병용투여가 청력 보호효과가 뛰어남을 바탕으로,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및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AND GINKGO BILOBA EXTRACT FOR TREATING OR PREVEN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본 발명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각신경성 난청은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떠오르는 건강관련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전세계 인구의 5% 정도가 높은 강도의 소음 노출에 의해 발생하는 난청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에 따른 감각 신경성 난청의 발생도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소음성 난청(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은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가장 일반적인 직업병 중 하나이다. 소음으로 인한 와우 내 세포사멸의 질병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NIHL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축적된 다수의 연구들이 제시하는 바에 의하면 감각 신경성 난청의 발생에 있어 핵심적인 병인 중 대표적인 것이 청각기관인 와우 (cochlea)에서 발생하는 염증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유모세포(hair cell)의 세포사멸이다. 와우에서 염증반응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와 같은 외부 물질이 침투하거나 소음과 같은 강한 압력에 의해 구성조직에 손상이 생겼을 경우 와우의 나선인대에 존재하는 섬유세포나 코르티기의 지지세포 혹은 혈류 속에 있던 대식세포와 백혈구와 같은 면역세포들이 손상부위에 작용하여 항원을 제거하거나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여 정상상태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반응이다. 급성 염증의 경우, 단시간 내에 치유될 수 있으나 어떤 경우에 감염이나 손상이 계속 유지되면 면역세포들이 계속 머물게 되며 따라서 케모카인, 사이토카인과 같은 매개물질들이 분비되어 주위의 조직을 손상시키고 알레르기, 자가 면역, 췌장암 등의 만성 염증성 질환을 유발한다. 염증반응 매개물질은 염증반응이 시작되고 진행되는 동안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이다. 염증반응 매개물질들은 호중구,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와 혈소판에서 만들어지며 케모카인, 사이토카인, 지용성 매개물질 등이 있다.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는 세포막에서 기원하는 지용성 매개물질로서 염증반응을 촉진한다. 에이코사노이드는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합성되며, COX(cyclooxygenase) 경로는 여러 가지 PGs(prostaglandins) 및 TXs(thromboxane)을, 그리고 LOX(lipoxygenase) 경로는 LTs (leukotrienes) 및 LXs(lipoxins)를 생성한다. LTs는 시스테인기 류코트리엔(cysteinyl leukotrienes; CysLTs; LTC4, LTD4, LTE4)과 LTB4로 구분되며 CysLTs는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의 대표적인 병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퇴행성 뇌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하지만 에이코사노이드는 모두 염증성 질병을 유발하거나 지속시키는 것은 아니며 PGD2나 15d-PGJ2의 경우 항염증 효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어 광범위한 에이코사노이드의 생성 억제보다는 질환별 혹은 조직별 특성에 기반한 하위 경로 차단이 효율적인 치료법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종래 소음 노출의 경우 청력보호구 (hearing protection devices; HPD)의 착용이 유일한 예방법이지만 소음환경하에서 작업자 사이의 의사소통도 차단되는 단점으로 인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착용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다수의 연구자들이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난청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경구 투여 약물의 발굴을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 중이지만, 소음성 난청 또는 노인성 난청에 명확한 효과가 있는 경구 투여 약물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출원번호 : 1020080044810
이에, 본 발명은 현재까지 약물에 의한 예방과 치료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감각 신경성 난청의 새로운 치료 약제 개발 및 발굴을 목적으로 하며,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를 다운 조절하여 난청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몬테루카스트(montelukast)의 신규한 용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와 함께 은행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난청의 개선 효과가 유의적임을 나타냄을 바탕으로, 해당 병용투여의 신규한 용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를 다운 조절함으로써 와우(및 전정) 모세포 및 나선 신경절 신경원의 손상이나 변성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감각신경성 청력손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7568715-pat00001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작용한다. 특히,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중에서도 타입 1 수용체의 길항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소음 상해 후처리로 투여될 수 있으며, 0.8~10 mg/kg으로 4~14일 연속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3(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연-의존성 엔도펩티다제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또는 징코 빌로바( ginkgo biloba) 추출물 등의 약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각 신경성 난청에 효과적인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화학식 1 몬테루카스트의 약리 기전을 보여주는 모식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은 소음 노출에 의한 CysLT1 수용체 단독 증가효과를 관찰한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4는 소음 노출에 의한 CysLT1 수용체 단독 증가 부위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청성뇌간반응 검사를 통한 청력역치 변화를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6은 형광 표지자를 이용한 몬테루카스트의 세포사멸 감소효과를 확인한 사진(A) 및 그래프(B)이다.
도 7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몬테루카스트의 세포사멸 감소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8은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을 이용한 몬테루카스트의 CysLT1 수용체 발현의 감소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몬테루카스트의 표적발굴에 의한 약물작용 기전을 검증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몬테루카스트가 Mmp3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 감소를 유발함으로써 내이조직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A) 및 웨스턴 블랏 결과(B)이다.
도 11은 몬테루카스트 및 은행잎 (징코 빌로바, ginkgo biloba) 추출물의 병용투여시 난청의 치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몬테루카스트(montelukast)의 항염증 효과에 기초하여, 청력을 감지하는 내이기관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난청의 병태생리의 진행을 차단하여 감각신경성 난청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7568715-pat0000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몬테루카스트(montelukast) 및 은행잎 (징코 빌로바, ginkgo biloba) 추출물의 병용투여를 이용한, 감각신경성 난청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음성 난청 또는 노인성 난청을 포함한다. 상기 감각신경성 난청은 내이의 유모세포 및 그 주변조직의 손상에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작용한다.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는 정상 상태 내이의 코르티기 부분에서 발현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인 몬테루카스트의 약리 기전을 보여주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 와우에 소음 자극이 제공되면,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가 코르티기, 혈관조, 나선인대 부위에서 발현이 증가한다. 이에 상응하여 수용체뿐만 아니라 효현제인 시스테인 류코트리엔의 발현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는 수용체에 결합한 시스테인 류코트리엔에 의해 G단백의 아단위 중 하나인 alphal-q가 GTP와 결합하여 PLC를 활성화 시키면 PIP2가 IP3로 변환되면서 세포내 소기관에서 칼슘의 분비를 촉진하여 세포사멸 경로를 활성화시키게 됨으로써 결국 외유모세포의 사멸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몬테루카스트를 처리하면, 수용체의 G단백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세포사멸 경로의 활성화가 감소된다.
상기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는 타입 1 수용체(CysLT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타입 1 수용체에 결합하여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3(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청각보호 효과를 일으킨다. 상기 Mmp3 유전자로부터 만들어지는 아연-의존성 엔도펩티다제는 소음성 난청과 연관성이 있는 세포외 기질의 분해를 유도한다. 상기 화학식1의 화합물은 유전자 수준(도 10A)뿐만 아니라 단백질 수준(도 10B)에서도 발현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이며, 정제, 알약, 캡슐, 분말 및 과립과 같은 고체 약학 제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용액, 현탁액 및 에멀션, 시럽, 사용시 용해되는 약학 제제 및 엘릭시르 경구용 액체 약학 제제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0.8~10 mg/kg으로 4~14일 연속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또는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추출물 등의 약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프레드니솔론과 메틸프레드니솔론은 각각 5mg, 4mg씩 1일 2회 투약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처방의의 판단에 따라 용량을 증감할 수 있다. 기간은 1개월 미만으로 투약하는 것이 쿠싱 증후군 등의 약물 부작용 발생 방지를 위해 필요하며 당뇨환자의 경우 급격한 혈당변화를 주의해야한다. 징코 빌로바의 경우 40mg 1일 3회 또는 80mg 1일 2회의 용량으로 병용투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기존 연구에서 난청 치료를 위해 시도된 항염증약제들은 비특이적인 염증반응억제를 유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청각 기관의 유모세포에서 시스테인기 류코트리엔(cysteinyl leukotrienes; CysLTs; LTC4, LTD4, LTE4) 및 제1형 시스테인기 류코트리엔 수용체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type 1; CysLT1 receptor)가 소음 노출 환경에서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점을 활용하여 부작용 없이 항염증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유모세포의 세포사멸 (apoptosis)을 억제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도 1). 또한 본 발명은 난청 발생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후처리 (posttreatment) 방식의 효용성을 제시하며, 세포외 기질의 분해를 일으키는 아연-의존성 엔도펩티다제(zinc-dependent endopeptidase) 중 하나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3(matrix metalloproteinase-3)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내이조직 보호 효과에 의해 청각계의 정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약학 조성물이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청각 관련 질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감각신경성 난청”은 내이(inner ear)의 성분 또는 동반되는 신경 성분이 영향을 받는 경우에 발생하며, 뇌의 청신경 또는 청신경 경로가 영향을 받는 경우 신경 또는 감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감각성 난청은 유전일 수 있거나, 또는 음향성 외상(예, 폭발음과 같은 매우 큰 소음), 바이러스 감염, 약물 유도성 또는 메니에르 병이 원인일 수 있다. 신경성 난청은 뇌종양, 감염 또는 각종 뇌 및 신경 장애, 예컨대 뇌졸중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일부 유전 질환, 예컨대 레프섬 병(분지형 지방산의 결함성 축적)도 역시 난청에 영향을 주는 신경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청각 신경경로는 탈수초성 질환, 예를 들어 특발성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다발성 경화증 포함), 횡단성 척수염, 데빅 병, 진행성 다병소성 백질뇌증, 길랑-바레 증후군,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및 항-MAG 말초 신경병증에 의해 손상을 받는다.
“소음성 난청”은 장기간 동안 큰 소음, 예컨대 큰 소리의 음악, 중장비 또는 기계장치, 비행기, 포격 또는 다른 인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에 노출되어도 난청이 생길 수 있다. 난청은 내이의 유모 세포 수용체의 파괴로 인해 생긴다. 이러한 난청은 흔히 이명을 수반한다. 종종 영구적인 난청 손상을 진단받는다. 현재 소음성 난청 치료법은 없지만, 인슐린-유사 성장 인자 1(IGF-1)를 이용한 치료를 포함하여, 몇몇 치료법이 실험적으로 개발 중에 있다. 문헌 [Lee et al. Otol. Neurotol. (2007) 28:976-981]을 참조한다.
“노인성 난청”은 연령 관련 난청으로서, 정상적인 노화의 일부로서 발생하며, 내이의 코르티 나선 기관에서 수용체 세포의 변성으로 생긴다. 다른 원인은 와우의 기저막의 유연성 상실뿐 아니라, 전정와우 신경의 신경섬유수의 감소에 기인할 수 있다. 노인성 난청 또는 과도한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 손상에 대한 치료법은 현재 알려진 것이 없다.
본 발명은 귀의 질환과 관련된 약물에 관한 것으로서, 귀의 구조에 대한 용어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와우”는 청력과 관련된 내이 부분이다. 와우는 달팽이를 닮은 형상으로 감겨있는 나선형의 관 유사 구조물이다. 와우의 내부는 3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고, 전정막과 기저막의 위치에 의해 구분된다. 전정막 위의 부분은 전정계인데, 난원창으로부터 와우의 정점까지 연장되어 있고 칼륨 함량은 낮고 나트륨 함량은 높은 수성 액체인 외림프액을 함유한다. 기저막은 고실계 영역을 한정하는데, 이는 와우의 정점으로부터 정원창으로 연장되어 있고, 역시 외림프액을 함유한다. 기저막은 수 많은 강직 섬유를 함유하는데, 이는 정원창으로부터 와우의 정점까지 그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기저막의 섬유는 소리에 의해 활성화되면 진동된다. 전정계와 고실계 사이에 와우관이 위치하며, 이의 말단은 와우의 정점에서 밀폐 낭으로 되어 있다. 와우관은 내림프액을 함유하는데, 이는 뇌척수액과 유사하고 칼륨 함량이 높다.
청각 기관인 “코르티 기관”은 기저막 상에 위치하고 와우관으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코르티 기관은 자유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털같은 돌출부를 가지는 유모 세포를 함유하며, 덮개막이라고 불리는 젤라틴 표면과 접촉한다. 유모 세포가 축삭을 갖지 않지만, 이들은 전정와우 신경(뇌신경 VIII)의 와우 가지를 형성하는 감각 신경 섬유로 둘러싸여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의 화합물인 몬테루카스트의 후처리에 의한 청각기관 보호 효과 검증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현 방법으로써 이미 확립된 난청 동물모델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법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청각계가 동일한 해부 조직학적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향후 임상시험으로의 적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청 유발 시간이 짧고 (청각계 손상 2주 경과 후 영구적 청력 역치 변화) 기존의 약리 기전 확인에 사용되는 in vitro 모델 시스템의 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몬테루카스트 농도 (10mg/kg)는 독성이 없는 수준으로 증명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험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험 시간을 순서에 따라 기술하였다. 0 day를 기준으로 하여 소음 자극을 가하고, 이후 3일간 몬테루카스트 처리를 하면서, 1일, 3일, 7일, 14일에 마우스를 희생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소음자극 실험 당일 및 1일, 3일, 7일에 얻어진 조직을 이용하여 수용체 발현 양상 변화 조사를 위한 면역조직화학검사, PCR, Western blot(웨스턴 블랏) 실험을 각각 시행하였으며 14일에는 마우스를 희생하기 직전에 영구적 청력역치변동을 청성뇌간반응 검사로 확인하였고 이후 조직 손상 평가를 위한 표면준비법 및 주사전자현미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시예 1: 류코트리엔 수용체 존재여부 검증 실험
약물이 특이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표적 기관에 해당 약물이 작용할 수 있는 특이적인 수용체가 있음을 검증해야 한다. 정상 8주령 수컷 BALB/c 마우스의 와우를 채취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RNA 유전자 수준에서 수용체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도 3A).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일, 3일, 7일째에, 동물을 우레탄 복강 주사(1g/kg)로 안락사시키고, 양쪽 측두골을 즉시 제거하였다. 분리된 2개의 와우를 TRIzol용액에 넣어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을 넣어 지질을 제거한 후 아이소프로필 알코올로 RNA유전자를 추출한다. 추출된 RNA 유전자를 정량한 후 정방향 역방향 두 종류의 primer와 중합효소를 혼합하고 PCR기계를 통하여 primer별로 평균 35주기 증폭시킨 후 형광 발색 정도를 측정하여 각 유전자 별 발현량 변화를 비교 분석한다. 이 결과, 류코트리엔 수용체의 유전자로서, CysLT1(Cysltr1), CysLT2(Cysltr2), 및 BLT1(Ltb4r1)의 내인성 mRNA가 정상 와우에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도 3A).
실시예 2: 소음 노출 후 CysLT1 수용체 및 변화 관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CysLT1 수용체가 소음자극에 의해 증가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8주령 수컷 BALB/c 마우스에 소음 생성기를 이용하며 112 데시벨의 음압으로 3시간 동안 노출시킨다. 이후 마우스에서 와우 조직을 채취하여 시간대별 발현 양상 변화를 확인한다. PCR 방법 및 단백질 발현 검사법인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 WB)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RNA와 단백질 수준에서 수용체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비특이적 증가가 아님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종류의 류코트리엔 수용체 (CysLT2 수용체, BLT1 수용체, BLT2 수용체) 및 상위 단계 효소인 LOX등도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하여 모두 확인한다. 증가된 LOX에 의한 CysLTs (cysteinyl leukotrienes; LTC4, LTD4, LTE4)의 와우 내 발현량 변화를 효소 면역 검사법 (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해 확인한다 (도 3).
다음 단계로 정확한 약물의 작용부위를 확인하고자 면역조직화학염색법 (immunohistochemistry; IHC)을 사용한다. CysLT1 수용체에 대한 1차 항체를 이용하여 와우에서 해당 수용체가 발현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한다. 또한 소음 노출 시 수용체 발현 양상이 어떻게 변하는지 시간대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적정한 약물투여 기간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도 4).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PCR 실험은 실시예1 참조): 1일, 3일, 7일째에, 동물을 우레탄 복강 주사(1g/kg)로 안락사시키고, 양쪽 측두골을 즉시 제거하였다. 웨스턴 블랏 실험 시 분리된 2개의 와우를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넣은 냉각된 용해 완충액(ice-cold lysis buffer; 100mM Tris, pH 7.4, 200mM NaCl, 1 % NP-40, 10mM MgCl2) 내에서 균질화하였다. 웨스턴 블랏은 기존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즉, 균질액을 섭씨 4℃에서 1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의 단백질을 10% SDS-PAGE를 이용하여 전기영동하고, 니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전이시켰다. 막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1 (CysLT1; 1:1000 dilution; Caymen chemical, Ann Arbor, MI)에 대한 1차 항체로 밤새 항온처리하고, 밴드는 화학발광법(Ab Frontier, Seoul, Korea)에 의하여 감별하였다. 밴드의 발현 강도는 ImageJ software (NIH, Bethesda, MD)를 이용하여 정량화시켰다.
면역조직화학염색법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동물을 마취시키고 0.5% 나트륨 니트레이트 및 헤파린(10 U/ml)을 함유하는 식염수로 심장을 통하여 관류 시킨다. 그리고 조직 고정을 위하여, 0.1 M 인산 완충 용액 (pH 7.2)에 용해된 4% 파라포름알데히드 (PFA)로 처리하였다. 와우를 얻기 위하여 두개골로부터 측두골(temporal bone)을 양측에서 해부하여, 4% PFA 에서 섭씨 4 ℃에서 밤새 고정 하였다. 고정된 와우를 인산 완충 식염수(PBS)로 10분간 3회 세척하고, 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용액에 넣어 3일동안 석회질을 제거하였다. 탈석회화 후, 샘플을 파라핀으로 고정하였다. 4장의 연속된 5㎛ 두께의 절편을 슬라이딩 마이크로톰(Leica, Wetzlar, Germany)을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연속된 절편은 젤라틴 코팅된 슬라이드 위에 올리고, PBS로 3회 린스 후 5분간 3% H2O2 로 처리하고, 0.2 % 트리톤 X-100을 함유하는 PBS (PBST)로 린스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은 PBST에 용해된 1% 우혈청 알부민(BSA)로 차단하였다. 절편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1 (CysLT1; 1:100 dilution; Caymen chemical, Ann Arbor, MI)에 대한 1차 항체와 함께 4 ℃에서 밤새 항온처리하였다. PBST로 린스한 후, 절편은 바이오틴화된 2차 항체(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와 함께 1시간동안 그리고 아비딘/바이오틴 시스템(Vector Laboratories)으로 1시간동안 항온처리하고, 3,3'-디아미노벤지딘 (D5637, DAB, Sigma Aldrich) 용액(0.05% DAB and 0.003% hydrogen peroxide in 0.1 M PB)을 이용하여 발색시켰다. 세포핵은 헤마톡실린 QS (H-3404, Vector Laboratories)를 이용하여 대비염색을 하였다. 광학현미경 (light field) 이미지는 PictureFrame Application 2.3 software를 사용하여 획득하였다.
실험 결과, 소음 자극을 가한 후 7일간 시간대 별로 상기 유전자의 발현 양상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도 3B-E), 자극 후 3일째에 Cysltr1만이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 3B,G). 상위 경로에 있는 5-lipoxygenase (Alox5) 역시 유사한 시간대별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도 3F), CysLT1 수용체의 효현제인 CysLTs의 발현양 역시 증가함이 관찰됨으로써 (도 3H), 소음 자극 하에서 CysLT1 신호전달계가 활성화됨을 확인했다. 또한, 면역 조직화학염색 실험 결과 상기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양상과 동일하게 소음노출 후 3일째에 CysLT1 수용체의 발현이 나선인대 (도 4G, H) 및 코르티기 (도 4G, I)에서 정상 대조군 (도4 A-C)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함이 확인되어 이를 근거로 하기 실험에서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의 길항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청력역치 변화 측정
몬테루카스트가 와우(cochlea)의 음향성 상해 (noise-induced injury: 소음 유도된 상해)를 방지하는지를 평가하였다(도 5A, B 참조). 소음노출 1일전 초기 청력 평가 및 기록을 위하여 전기생리검사인 청성뇌간반응검사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를 시행한다 (pre-ABR). ABR 측정은 기존의 방법에 의하여 시행되는데, 청력은 Biosig 32 ABR 시스템(Tucker-Davis Technologies, Gainesville, FL)으로 평가하였다. 각 마우스를 클로랄 하이드레이트 (Sigma Aldrich-Fluka, St. Louis, MO)의 복강 주사로 마취하였다. 무균 전극 침극을 이용하여 경피적으로 뇌간반응을 기록하였다. 레퍼런스 전극은 측정되는 귀 밑에 삽입하고, 반대 귀 밑과 머리 위의 피부 밑에 활성 전극을 삽입하였다. 외부 청각 통로로 직접 위치하는 이어폰을 통하여 자극을 주입한다. 청각 주파수를 선택하여 16 또는 32 kHz를 ABF 파동이 사라질 때까지 5 단계로 75 dB에서 자동적으로 10 dB까지 완화시켰다. 각 주파수에서 1,000 자극의 평균을 수집하고, 각 결과를 기록하여 저장하였다. 청력 역치는 재생가능하고 시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파동을 추출할 수 있는 가장 낮은 강도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16 및 32 kHz 자극에 대한 ABR을 소음 노출 전 및 소음 노출 후 1일 및 14일째에 기록하였다. 즉, 급성기 청력소실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음 노출 종료 1일 후 청력역치 변화를 측정한다 (compound threshold shift; CTS). 소음 노출군과 소음 노출 및 몬테루카스트 후처리군의 역치변화를 비교 분석한다. 영구적 청력소실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음 노출 종료 14일 후 청력역치 변화를 측정한다 (permanent threshold shift; PTS). 소음 노출군과 소음노출 및 몬테루카스트 후처리군의 역치변화를 비교 분석한다(도 5).
먼저, 몬테루카스트 후처리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력 역치 변화를 각 동물의 소음 노출의 전후에서 ABR 역치 간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계산하였다. 베이스라인 ABR 역치(-1 day)는 실험 그룹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음노출 후 급성기 청력 역치 변화 (CTS)는 소음 노출 후 1 일째에 측정하고, 영구적 청력 역치 변화(PTS)는 소음 노출 후 14일째에 측정하였다. 도 5A는 소음만 노출된 군과 몬테루카스트 후처리된 군 모두에서 16 및 32 kHz에서 급성기 청력 역치 변화 (CTS)는 패턴이 유사함을 보여준다. 반면 몬테루카스트를 4일간 투약한 후 소음 노출 14일째에 PTS를 측정하면, 소음만 노출된 군과 비교하여 볼 때 역치 이동은 약 50%의 감소를 나타내어 몬테루카스트에 의한 청력 보호 효과가 확인되었다 (도 5B).
실시예 4: 몬테루카스트의 청각 유모세포 보호효과 확인
대조군, 소음 노출 단독군, 소음 노출 후 몬테루카스트 후처리 군에서 소음 노출 1주일 후 마우스에서 내이 조직을 채취하여 표면 준비법 (surface preparation; SP)으로 시료를 제작한다.
유모세포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팔로이딘 염색(phalloidin staining)을 수행하였다. 절단된 와우를 0.1 M PB 중 4% PFA로 관류하고 섭씨 4℃에서 밤새 유지하였다. 와우는 PBS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5% EDTA 용액으로 3일동안 탈석회화시켰다. 탈석회화후, otic capsule을 제거하고, 광학 현미경하에서 lateral wall, Reissner's membrane과 tectorial membrane을 제거하였다. 코르티 기관(OC)을 Texas Red VR-X 팔로이딘(T7471; 200 U/mL methanol diluted 1:100 in PBS; Invitrogen, Eugene, OR)으로 1시간동안 염색하였다. 이후, 전체 샘플을 PBS로 린스하고 절단하여 표면 처리법(microdissected into individual turns)을 수행하고, 4',6-디아미디노-2-페닐린돌 (H-1200; 1.5 μg/ml; DAPI; Vector Laboratories)을 함유하는 마운팅 용액을 사용하여 유리 슬라이드 위에 올려놓았다. 슬라이드는 최소 15분동안 항온처리하였다. OC의 유모세포를 공초점 현미경(LSM510, Carl Zeiss, Jena,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검사 영역은 와우 갈고리 (hook) 영역 상부 32kHz 해당 부위이며 실험 군 별로 4마리에서 얻어진 복수의 샘플에서 공초점 현미경 (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유모세포 구성성분 표지자인 Texas-Red phalloidin 및 세포핵 대한 표지자를 관찰하여 유모세포 사멸이 몬테루카스트에 의해 감소하였음을 비교 분석한다 (도 6).
이러한 표면 준비법을 통하여 소음 노출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모세포 표지자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으나 몬테루카스트 후처리군에서는 유모세포 표지자가 소음 노출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소음 노출에 의한 세포사멸이 몬테루카스트에 의해 감소하였음을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이용해 추가 검증하였다 (도 7). 주사현미경(SEM)은 와우의 유모세포의 형태 평가를 위하여 사용되었다. 쥐는 우레탄의 복강 주사 후 안락사시키고, 와우를 얻기 위하여 두개골로부터 측두골(temporal bone)을 양측에서 해부하여, 측두골을 조심스럽게 절단하였다. 얻어진 와우의 정원창을 날카로운 침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었다. 바깥 림프공간을 정원창에 대하여 개질된 나비형 카테터를 갖는 파스퇴르 피펫을 위치시켜 PBS 중 2% 글루타르알데히드로 관류시켰다. 각 시료를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에 밤새 두었다. 시료를 1% 오스뮴 테트록사이드로 관류시켜 15분 동안 조직 회전기에 위치시켰다. 샘플을 PBS로 3회 린스하였다. 광학현미경하에서 와우의 골부분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lateral wall을 절단 제거하여 코르티기를 노출시켰다. 조직을 50, 70, 90, 95 및 100% 아세톤으로 연속적으로 탈수시켰다. 각 시편을 헥사메틸디실라잔(HMDS)로 처리하고 공기로 건조시켰으며, 백금으로 코팅하기 위하여 스터브에 위치시켰다. 상기 조직은 JSM-6380(Jeol, Tokyo, Japan)로 사진을 찍었다. 유모세포 손상은 32 kHz에 상응하는 basal turn areas에서 분석하였다.
SEM 영상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면 소음만 노출된 군에서 OHC의 stereocilia 에서 상당한 손상을 보여주었고, 몬테루카스트 후처리군에서 OHC의 stereocilia에 대한 손상은 소음만 노출된 군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되었다(도 7). 이러한 결과는 표면처리법의 결과와 일치하므로, 몬테루카스트 후처리는 음향 과다 자극 후에 유모세포의 사멸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킴을 보여주는 것이다.
소음 노출에 의한 CysLT1 수용체 증가가 몬테루카스트에 의해 감소하였음을 중합효소 연쇄반응 (PCR) 방법을 이용해 검증한다 (도 8). PCR 실험방법은 실시예1을 참조한다.
Cysltr1 유전자 분석 결과 몬테루카스트 후처리는 소음 노출 종료 3일째에 소음 노출군에서 증가되었던 CysLT1 수용체 유전자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어 몬테루카스트에 의한 보호효과가 CysLT1 신호전달계의 하향조절(down regulation)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법을 이용한 약물표적 발굴
소음 노출 종료 72시간에 마우스 내이 조직을 채취하여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법인 RNA-seq방법을 이용하여 몬테루카스트가 작용하는 표적을 발굴함으로써 약물의 난청발생 억제 기전을 명확히 분석한다 (도 9).
소음 노출 종료 3일째에 대조군, 소음 노출군, 몬테루카스트 후처리군에서 얻어진 와우조직을 이용하여 Illumina® TruSeqTM RNA Sample Preparation Kit v2 (Illumina Inc. San Diego, CA, U.S.)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RNA 유전자 샘플(RQI > 7)을 얻은 후 Poly-T oligo가 부착된 자성 구슬을 이용하여 poly-A를 포함한 RNA를 획득하였다. 고온에서 절단된 RNA 절편들은 역전사 효소에 의해 상보적 DNA로 복사되었다. 상보적 DNA 절편들은 Sample Preparation Kit (Illumina Inc.)에 포함된 Master Mix와 Primer Cocktail을 이용하여 다음 조건에서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98 ℃에서 30초; 15주기로 98 ℃에서 10초, 60 ℃에서 30초, 72 ℃에서 30초; 72 ℃에서 5분. PCR산물들은 Ampure XP 구슬로 정제된 상보적 DNA 서고 (cDNA library)는 12 pM의 농도로 flow cell channel에 투입되어 Illumina 2000 Sequencing Platform상에서 2 × 100-bp paired-end sequencing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미가공 데이터는 TopHat (v2.0.8)을 이용하여 탐색되었다. RNA 양은 Cuffdiff (Cufflinks v 0.8.3)를 이용하여 FPKM(fragments per kilobase of exon per million reads) 수치로 비교분석하였다. FPKM수치는 log2로 변환하여 분석을 위해 분위 표준화(quantile normalized) 되었다.
차세대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소음 노출 종료 후 3일째에 소음 노출군과 몬테루카스트 후처리군을 비교 시 총 13개의 유전자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Adam28, Reg3g, Mmp3, Ighv1-73, Snora16a, Rpl17-ps5 유전자들은 염증 관련 유전자들로서 소음 노출군에서 증가한 반면 몬테루카스트 후처리군에서는 정상 대조군과 유사한 발현 양상을 나타내어 몬테루카스트 후처리에 의한 보호효과는 상기 유전자들의 하향조절을 통해 이루어짐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도 9). 또한 몬테루카스트 후처리는 열거된 유전자들 중 소음성 난청과 연관성이 보고된 세포외 기질의 분해를 일으키는 아연-의존성 엔도펩티다제(zinc-dependent endopeptidase)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3(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 감소를 유발함으로써 내이조직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
실시예 6: 몬테루카스트 및 은행잎 추출물의 병용투여 효과 확인
몬테루카스트 및 은행잎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청력역치 변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다만, 몬테루카스트의 경우, 10mg/kg를 사용하였고, EgB(Glinko Biloba Extract (타나민정))은 32.4 mg/kg로 함께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음만을 처리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몬테루카스트 단독 투여시 청각 보호 효과가 나타난 반면, EgB 단독처리시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몬테루카스트 및 은행잎 추출물의 병용 투여시, 몬테루카스트 단독처리에 비하여 더욱 높은 청각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3)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17568715-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신경성 난청은 내이의 유모세포 및 주변조직의 손상에 기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음성 난청 또는 노인성 난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의 길항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는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타입 1 수용체(CysLT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유모세포 (hair cells)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0.8~10 mg/kg으로 4~14일 연속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매트릭스 메탈로티나아제-3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아연-의존성 엔도펩티다제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및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제와 병용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3.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17568715-pat00004

KR1020150025215A 2014-02-20 2015-02-23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1653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665 2014-02-20
KR20140019665 2014-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597A KR20150098597A (ko) 2015-08-28
KR101653630B1 true KR101653630B1 (ko) 2016-09-02

Family

ID=5387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215A KR101653630B1 (ko) 2014-02-20 2015-02-23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41616B2 (ko)
KR (1) KR101653630B1 (ko)
CN (1) CN106456623A (ko)
WO (1) WO2015126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3487B (zh) * 2019-04-10 2022-12-02 成都百裕制药股份有限公司 银杏萜内酯在制备预防和/或治疗吉兰-巴雷综合征药物中的用途
KR102096204B1 (ko) * 2019-05-31 2020-04-02 최명석 국소지방 파괴 방법 및 국소지방 파괴용 저장성 용액
US11857551B1 (en) 2020-07-10 2024-01-02 Ting Therapeutics Llc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aring loss
WO2023010328A1 (zh) * 2021-08-04 2023-02-09 杭州浙大迪迅生物基因工程有限公司 一种人白三烯受体CysLTR1 mRNA RT-PCR检测用引物探针组和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7864A (en) * 1996-05-23 1999-04-27 Cohen; Alan J. Method for treating sexual dysfunction disorders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ginkgo biloba
WO2006003910A1 (ja) * 2004-06-30 2006-01-12 Ono Pharmaceutical Co., Ltd. メニエール病の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CN104491864A (zh) * 2008-04-21 2015-04-08 奥德纳米有限公司 用于治疗耳部疾病和病况的耳用调配物及方法
KR101025687B1 (ko) 2008-04-28 2011-03-30 손경수 검색엔진링크프로그램을 이용한 검색방법 및 이를 위한기록메체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Vol. 258, pp.213-219, 2001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Vol.22, pp.886-894, 2011
lndian Journal of Otolaryngology and Head and Neck Surgery Vol.52 No.3, pp.212-219, 2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5309A1 (en) 2017-06-15
WO2015126192A1 (ko) 2015-08-27
CN106456623A (zh) 2017-02-22
US10441616B2 (en) 2019-10-15
KR20150098597A (ko)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zzi et al. NGF steers microglia toward a neuroprotective phenotype
JP6773645B2 (ja) 聴覚障害の治療のための内耳毛細胞を生成するための組成物、システムおよび方法
Kinnunen et al. Molecular mechanisms of retinal pigment epithelium damage and develop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Yan et al. Interleukin‐1beta released by microglia initiates the enhanced glutamatergic activity in the spinal dorsal horn during paclitaxel‐associated acute pain syndrome
Zhang et al. WNT signaling underlies the pathogenesis of neuropathic pain in rodents
Khoutorsky et al. Control of synaptic plasticity and memory via suppression of poly (A)-binding protein
Richter et al. A molecular tweezer ameliorates motor deficits in mice overexpressing α-synuclein
Fortress et al. 17β-Estradiol regulates histone alterations associated with memory consolidation and increases Bdnf promoter acetylation in middle-aged female mice
Deng et al. Pioglitazone ameliorates neuronal damag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via the PPARγ/NF-κB/IL-6 signaling pathway
Siddiqui et al. Gallic and vanillic acid suppress inflammation and promote myelination in an in vitro mouse model of neurodegeneration
Chen et al. Role of unfolded protein response dysregulation in oxidative injury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KR101653630B1 (ko) 시스테인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JP6151013B2 (ja) 細胞成長、シナプスリモデリング及び長期記憶の固定を刺激する方法
Jeon et al. The Rho-kinase (ROCK) inhibitor Y-27632 protects against excitotoxicity-induced neuronal death in vivo and in vitro
JP2009149524A (ja) アルツハイマー病の予防・治療剤
Jiang et al. Cyanidin ameliorates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via the Sirt6/NF-κB axis in vitro and in vivo
Yang et al. Attenuation of hearing loss in DBA/2J mice by anti-apoptotic treatment
JP2016539098A (ja) 網膜の血管障害を治療又は予防する方法
Cifelli et al. Changes in the sensitivity of GABAA current rundown to drug treatments in a model of temporal lobe epilepsy
Avchalumov et al. Role of striatal NMDA receptor subunits in a model of paroxysmal dystonia
Villalpando-Vargas et al. The anticonvulsant effect of sparteine on pentylenetetrazole-induced seizures in rats: A behavioral, electroencephalographic,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tudy
Wang et al. Microglial repopulation reverses cognitive and synaptic deficits in an Alzheimer’s disease model by restoring BDNF signaling
US20160025704A1 (en) Methods for identifying neuroprotective pkc activators
Liu et al. Pomegranate peel extract attenuates D-galactos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earing loss by regulating PNUTS/PP1 activity in the mouse cochlea
Jain et al. Neuroprotection in Alzheimer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