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323B1 -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323B1
KR101653323B1 KR1020100027873A KR20100027873A KR101653323B1 KR 101653323 B1 KR101653323 B1 KR 101653323B1 KR 1020100027873 A KR1020100027873 A KR 1020100027873A KR 20100027873 A KR20100027873 A KR 20100027873A KR 101653323 B1 KR101653323 B1 KR 10165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ed
service type
subscriber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597A (ko
Inventor
황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2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3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Abstract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호 처리 시스템은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면 호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과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고,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 및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호 처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망으로써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과 같은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기반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기반의 통신망이 존재하며, 특히 I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이 사용되고 있다.
가입자는 IMS 망을 통해 기존의 음성, 영상 등의 실시간 서비스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이메일, 단문 메시지 등의 비 실시간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MS 망에서 가입자는 서비스 별로 가입자 번호를 다르게 가질 수 있다.
발신자가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가지는 착신자로 착신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자는 착신자의 서비스 별 가입자 번호를 모두 기억하고 해당 서비스의 가입자 번호를 선별하여 발신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발신자가 복수의 착신자의 가입자 번호 중 임의의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을 시도하는 경우, 착신을 시도한 가입자 번호가 해당 서비스에 부적합하여 착신이 실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IMS 망에서 발신자가 서비스 별 가입자 번호를 가지는 착신자로 착신을 시도하는 경우, 착신자의 가입자 번호 중 임의의 가입자 번호로 착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호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은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면 상기 호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과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상기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호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시스템은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면 상기 호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과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타입과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호 세션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 단말로부터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는 경우, 호 세션 제어 기능이 호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은 상기 호를 통해 상기 호의 서비스 타입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가입자 식별자별로 서비스 타입을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호의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 단말로부터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는 경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호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은 상기 호의 서비스 타입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호 세션 제어 기능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호 세션 제어 기능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IMS 망에서 발신자가 착신자의 서비스 별 가입자 번호에 상관없이 착신자의 가입자 번호 중 임의의 가입자 번호로 착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IMS 망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호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인바이트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호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호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10).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20) 및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Subscriber Information DateBase; 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이다. 사용자 단말(10)은 발신 단말로,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예를 들어, 음성, 영상 등의 통화 요청 신호)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예를 들어, 이메일, 문자 메시지, 파일 등의 전송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착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착신 단말의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입력받아 이를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착신 단말은 IMS 망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복수의 가입자 식별자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 식별자는 일반 이동전화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또는 데이터 전송용 가입자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일반 이동전화번호는 tel: 01030101111의 형식을 가지고, 데이터 전송용 가입자 식별자는 sip: penile@kt.com의 형식을 가지는 이메일 주소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단말(10)은 일반 이동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단말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용 가입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착신단말로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식별자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메신저 아이디와 같은 아이디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외에 IMS 망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상응하는 아이디 정보가 될 수 있다.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IMS 망에서 호 처리를 수행한다.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I-CSCF(Interrogate-CSCF), 프록시-CSCF(Proxy-CSCF : P-CSCF), 서빙-CSCF(Serving-CSCF : S-CSCF)로 구성된다. I-CSCF는 IMS 망 내에서 호 요청 메시지가 적절한 서버로 전달되도록 라우팅 정보를 제공한다. P-CSCF은 사용자 단말(10)이 액세스 망을 통해 IMS 망에 접속할 때 만나는 지점으로,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SIP 등록 요청(Register Request)을 I-CSCF로 전달한다. S-CSCF은 호 세션을 설정하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달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를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발신 호를 요청받아 이를 처리한다. 이때,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로의 호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요청된 호의 서비스 타입(예를 들어, 통화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등)을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해당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호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해당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가입자에 대하여 가입자 식별자 별로 지원되는 서비스 타입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부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 단말의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추출하여 이를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착신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 및 서비스 타입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가입자 식별자 별로 지원되는 서비스 타입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서버이나,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로 전달하여 착신번호에 대한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 확인 요청을 받은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요청된 호의 서비스 타입을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해당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호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해당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추출하여 이를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추출된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수신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호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해당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있는지의 판단을 호 세션 제어 기능(20)에서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착신 단말이 일반 이동전화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및 데이터 전송용 가입자 식별자 (이메일 주소)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착신 단말의 일반 이동전화번호(이하, 착신번호)로 입력받고, 이메일을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2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바이트 메시지는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사용자가 이메일로써 작성한 문장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이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에 전송하는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인바이트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바이트 메시지는 헤더(310) 및 바디(320)로 구분된다. 헤더(310)는 착신번호 및 서비스 타입(312)을 포함하고, 바디(320)는 사용자가 이메일로 작성한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부호 312에 기재된 "Content-Type: application/E-MAIL"에서 보여지듯이, 서비스 타입(312)은 이메일이 된다.
S215 단계에서,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을 확인한다. 즉,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인바이트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이 발신한 호의 서비스 타입이 이메일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서비스 타입이 이메일인 것으로 인식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착신번호)로 이메일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이메일 서비스 타입의 호를 착신번호로 착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25 단계에서, 착신번호로 이메일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착신번호 및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S230 단계에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착신번호 및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한다.
S235 단계에서,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추출한다. 즉,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이메일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의 이메일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응답 메시지를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 전송한다. 즉,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착신 단말의 이메일 주소를 호 세션 제어 기능(20)로 전달할 수 있다.
S245 단계에서, 가입자 식별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착신 단말의 이메일 주소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S250 단계에서, 이메일 주소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은 이를 이용하여 이메일 서버(미도시)와 연동을 위하여 게이트웨이(40)에 직접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을 구성한다.
S255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TCP 세션을 통해 이메일을 전송한다.
도 4는 호 처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해당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있는지의 판단을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서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착신 단말이 일반 이동전화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및 데이터 전송용 가입자 식별자(이메일 주소)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착신 단말의 일반 이동전화번호(이하, 착신번호)로 입력받고, 이메일을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4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바이트 메시지는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헤더(Header)와 사용자가 이메일로써 작성한 문장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된다.
S420 단계에서,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인바이트 메시지에서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착신번호) 및 서비스 타입을 추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확인 요청 메시지를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한다. 또는, 구현하기에 따라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확인 요청 메시지(또는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을 확인한다. 즉,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확인 요청 메시지(또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이 발신한 호의 서비스 타입이 이메일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S440 단계에서, 서비스 타입이 이메일인 것으로 인식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착신번호)로 이메일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이메일 서비스 타입의 호를 착신번호로 착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50 단계에서, 착신번호로 이메일 서비스 타입의 호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추출한다. 즉,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착신 단말의 이메일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S460 단계에서, 이메일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이메일 주소를 추출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이를 포함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호 세션 제어 기능(20)으로 전송한다. 즉,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착신단말의 이메일 주소를 호 세션 제어 기능(20)을 전달할 수 있다.
S470 단계에서,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호 세션 제어 기능(20)은 이메일 주소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S470 단계에서, 이메일 주소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은 이를 이용하여 이메일 서버(미도시)와 연동을 위하여 게이트웨이(40)에 직접 TCP 세션을 구성한다.
S48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TCP 세션을 통해 이메일을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호 세션 제어 기능
30: 가입자정보 DB

Claims (13)

  1.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면 상기 호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과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상기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Subscriber Information Database)를 포함하는 호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세션 제어 기능은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상기 서비스 타입의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
  3.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면 상기 호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과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제공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서비스 타입과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하는 호 세션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호 처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는 발신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호를 재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는 이동전화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또는 이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에 대하여 가입자 식별자별로 서비스 타입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
  7. 발신 단말로부터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는 경우, 호 세션 제어 기능이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를 통해 상기 호의 서비스 타입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가입자 식별자별로 서비스 타입을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호의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서비스 타입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상기 서비스 타입의 호의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상기 서비스 타입의 호의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가입자 식별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는 이동전화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또는 이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로 호를 재요청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호 처리 방법.
  11. 발신 단말로부터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를 가지는 착신 단말로 호가 요청되는 경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가입자 식별자별로 서비스 타입을 저장함-,
    상기 호의 서비스 타입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1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호 세션 제어 기능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타입에 상응하는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호 세션 제어 기능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타입별 가입자 식별자는 이동전화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또는 이메일 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상기 호 세션 제어 기능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제2 착신가입자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호를 재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방법.
KR1020100027873A 2010-03-29 2010-03-29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73A KR101653323B1 (ko) 2010-03-29 2010-03-29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73A KR101653323B1 (ko) 2010-03-29 2010-03-29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97A KR20110108597A (ko) 2011-10-06
KR101653323B1 true KR101653323B1 (ko) 2016-09-01

Family

ID=4532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873A KR101653323B1 (ko) 2010-03-29 2010-03-29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3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722B1 (ko) 1998-02-18 2002-04-17 이계철 개인번호서비스2차착신연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41B1 (ko) * 2006-06-30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941710B1 (ko) * 2007-09-13 2010-02-1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ip 비디오폰의 호 착신 통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722B1 (ko) 1998-02-18 2002-04-17 이계철 개인번호서비스2차착신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597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611B2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alerting icon
CN101094442B (zh) 一种电路交换域终呼锚定方法
CN103975566B (zh) 服务域选择服务指示符
CN103703737A (zh) 用于支持ims服务连续性的实现的方法和设备
US10154146B2 (en) Method of managing a communication to a user, and an application server
US93138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ging call
EP29380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on in multi-device scenario
CN106941669B (zh) 无线通信方法和p-cscf设备
KR20120002244A (ko) 착신 호를 설정하는 방법
US9055083B2 (en) Interworking method and interworking control unit,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imulation services
CN102752879B (zh) 会话接入方法及装置
CN101227728B (zh) 一种多媒体会话连续性业务的会话合并方法
JPWO2016104622A1 (ja) 網間接続制御装置、及び接続制御方法
EP21191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 change request in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WO2009096116A1 (ja) 情報通信システム、端末、アクセス装置、加入者情報収容装置、サービスプロファイル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96520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および発信地域導出方法
KR101653323B1 (ko)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1222776B (zh) 一种ims集中业务终呼的实现方法及其系统
KR101385842B1 (ko) 조합 서비스를 단일 엔드포인트로 라우팅하기 위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CN107852577A (zh) 一种补充业务实现方法、终端设备和ims服务器
CN101304551A (zh) 一种在ims网络中通信的方法、通信系统及装置
KR100949912B1 (ko) 멀티착신 영상통화 시스템 및 방법
RU2465651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полей сигнализации ims в системы обработки вызовов
KR101617776B1 (ko) 부가 서비스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CN100521715C (zh) 一种回叫业务中定位主叫终端的方法、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