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741B1 -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741B1
KR100862741B1 KR1020060061255A KR20060061255A KR100862741B1 KR 100862741 B1 KR100862741 B1 KR 100862741B1 KR 1020060061255 A KR1020060061255 A KR 1020060061255A KR 20060061255 A KR20060061255 A KR 20060061255A KR 100862741 B1 KR100862741 B1 KR 10086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ultimedia data
terminal
address information
acces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416A (ko
Inventor
박시우
유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06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7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간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한 통신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접속 주소 정보를 통신망으로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통신망은 발신 단말과 통화 요청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 접속 주소 정보를 제공함-; 및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착신 단말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발신 단말과 통화 호가 설정된 착신 단말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후, 링(r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발신자가 자신이 설정한 이미지, 플래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화 호 설정 시에 착신측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60061255
멀티미디어, 발신정보표시, 단말, 통신망

Description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ultimedia data to receiving termina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화 연결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화 연결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화 시도한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하는데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발신 단말
20 : 착신 단말
30 : 이동 통신망
50 : 데이터 망
70 : 서비스 제공 서버
40 : IMS(IP-based Multimedia Service) 망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기능 역시 종래의 단순한 통화 기능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각종 부가 기 능이 추가 되었다. 그 예로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통화 개시 전 혹은 통화 중에 착신자 단말기(착신자의 전화기 또는 표시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는 서비스인 발신 번호 표시(CID : Caller ID)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는 호 착신 시 착신자 단말기에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 번호가 표시되거나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착신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화면이 함께 표시되는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발신 번호 표시 방법에 따르면 착신자 단말기에 발신 번호만이 표시되거나 착신자 자신이 미리 설정해 놓은 화면만이 표시되므로, 착신자가 발신자의 신원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하는 데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발신자가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 발신 번호로 한정되어 있어 보다 풍부한 정보나 컨텐츠를 이용해 상대방에게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물론, 최근에는 발신자가 설정한 인사말과 같은 간단한 문자가 착신자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는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대부분의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지원하고 있는 추세에 상기한 부가 서비스에 따른 간단한 문자만을 착신측으로 제공하는 것으로는, 발신자가 자신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의 제공을 수행할 수 없으며, 착신자 측에서도 흥미를 느끼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신자가 자신이 설정한 이미지, 플래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화 호 설정 시에 착신측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단말간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한 통신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접속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통화 요청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호 설정 시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제공함-; 및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과 통화 호가 설정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후, 링(r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소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선택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단말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들 중 상기 착신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 단말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에 따른 착신 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이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신망으로 통화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상기 통신망과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 및 착신 호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횟수 또는 시간 동안 취득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에 상응하여 설정된 통화 호에 따른 링(r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주소 정보는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데이터 망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상기 링 처리와 함께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취득되어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음성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링 처리는 미리 설정된 벨 소리를 출력하지 않도록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향후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간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한 통신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접속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접속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제공하는 통신부-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통화 요청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호 설정 시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제공함-; 및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의 다 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과 통화 호가 설정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후, 링(r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 단말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에 따른 착신 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신망으로 통화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상기 통신망과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 및 착신 호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취득을 미리 지정된 횟수 또는 시간 동안 시도하는 멀티미디어 요청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 및 상기 착신 호에 상응하여 설정된 통화 호에 따른 링(ring)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 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취득되거나 취득 실패된 이후 상기 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화 연결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시스템은 발신 단말(10), 착신 단말(20), 서비스 제공 서버(70), 이동 통신망(30) 및 데이터 망(50)을 포함한다.
발신 단말(10) 및 착신 단말(20)은 휴대폰, PDA 등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 통신망(30)을 통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등의 이동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동 통신망(30)은 기지국(미도시), 발신측 교환기(32) 및 착신측 교환기(34), 가입자들의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가입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등록기(36), IP 망 등의 데이터 망(50)과의 연동을 위한 공중데이터통신망(PDSN : Packet Data Service Node,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단말(10) 및 착신 단말(10)이 하나의 교환기의 커버리지(coverage)에 속해있는 경우, 발신 단말(10) 측 교환기(32) 및 착신 단말(20) 측 교환기(34)는 하나의 교환기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위치 등록기(36)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및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등일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의 적용 표준에 따라 그 명칭은 상이할 수 있다.
데이터 망(5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망으로,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망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발신 단말(10)이 임의의 착신 단말(20)과 통화 호를 설정 할 경우, 발신 단말(10)로부터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착신 단말(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신 단말(10)로부터 착신 단말(20)과의 통화를 위한 호 요청이 이동 통신망(30)에 들어오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해당 호 요청에 따른 메시지에 발신 단말(10)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에 상응하는 접속 주소 정보(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를 포함시킨다. 즉, 이동 통신망(30)의 특정 장치(예를 들어, 교환기, 위치 등록기 등)로부터 발신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처리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미리 등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른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망(30)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10)에 상응하여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른 URL을 수신한 착신 단말(20)은 수신된 URL을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망(5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 풀링(pulling)하여 취득한다. 착신 단말(20)은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착신 단말(20) 사용자는 발신 단말(10)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되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는 오디오 신호(예를 들어, 음악 또는 음성)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착신 단말(20)은 이를 링(ring) 처리에 따른 벨 소리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미리 지정된 벨 소리 대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를 미리 지정된 볼륨 크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 단말(20) 사용자는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라 전화가 걸려옴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착신 단말(2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발신 단말(10)로부터 전화가 걸려옴을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벨 소리를 출력하거나 진동 모드인 경우 진동하여 링 처리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7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화 연결 시 착신 단말(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상세한 과정은 관련 도면(도 6 참조)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10) 및 착신 단말(20)이 IP 주소 등의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 및 영상 통신 등이 가능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망(30) 및 데이터 망(50)은 하나의 IMS(IP-based Multimedia Service) 망(40)과 같은 IP 기반의 통신망으로 통합될 수 있다. 즉, 각 단말간에는 IMS 망(40)을 통해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IMS 망(40)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제안하는 통신망 표준에 따른 통신망으로, IP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로 SIP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IMS 망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도 2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330), 제어부(350)를 포함하며, 제어부(350)는 멀티미디어 설정부(352), 접속 정보 추출부(354) 및 멀티미디어 제공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의 각 구성부는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 은 당연하다.
통신부(310)는 이동 통신망(30) 및 데이터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아이피(IP : 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한 TCP/I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0)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전화번호와 같은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각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서비스 가입 정보, 서비스 가입된 단말이 미리 설정한 멀티미디어 정보(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URL과 같은 접속 주소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한다.
제어부(350)는 이동 통신망(30)(예를 들어, 교환기)으로부터 발신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발신 단말(10)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망(30)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부(31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제어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망(30)은 발신 단말(10)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따른 착신 단말(20)로 호 설정 시 수신한 접속 주소 정보를 제공한다. 접속 주소 정보를 수신한 착신 단말(20)은 해당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망(5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드(download)를 요청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70)의 제어부(350)는 통신부(310)를 통해 착신 단말(20)로부터 멀티미디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된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착신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부(31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제어한다.
제어부(350)의 멀티미디어 설정부(352)는 이동 통신 단말 또는 컴퓨터와 같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한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발신 단말(10)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가입자는 서비스 제공 서버(70)에서 제공하는 싸이트에 접속하여 전화번호와 같은 단말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고, 자신이 원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차후 서비스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설정부(352)는 접속한 가입자 단말로 멀티미디어 등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설정부(352)는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으나, 직접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아, 가입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가입자는 서비스 제공 서버(70)가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물론, 가입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착신 단말(20) 또는 설정된 착신 단말(20) 그룹에 상응하도록 하나가 선택되도록 가입자는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그룹 또는 011-1111-2222의 전화번호를 갖는 착신 단말(20)로 전화를 걸 경우 멀티미디어1을 제공하고, B 그룹 또는 011-1212-3434의 전화번호를 갖는 착신 단말(20)로 전화를 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2가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랜덤(random) 방식 또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하나가 선택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가입자는 시간대, 요일, 날짜 별로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가 착신 단말(20)로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는 10시부터 12시 까지는 멀티미디어1이, 12시 이후부터 2시까지는 멀티미디어2가 착신 단말(20)로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착신 단말(20)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꾸러미(package) 전송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설정부(352)는 착신 단말(20)로 3개의 멀티미디어가 랜덤(random)하게 추출되어 순차적으로 전송되도록 가입된 발신 단말(10)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의 접속 정보 추출부(354)는 이동 통신망(30)으로부터 서비스에 따른 발신 단말(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도록 기능한다. 추출된 접속 주소 정보는 통신부(310)를 통해 이동 통신망(30)으로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른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른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350)의 멀티미디어 제공부(356)는 착신 단말(20)로부터 데이터 망(50)을 통해 접속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다운로딩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접속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추출하여 착신 단말(20)로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서비스 가입된 단말이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단말의 구성을 착신 단말(20)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발신 단말(1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관련 도면(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발신 단말(10)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 및 설정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등록하는데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은 통신 모듈(410), 저장 모듈(420), 입력 모듈(430), 출력 모듈(440) 및 제어 모듈(450)을 포함하되, 통신 모듈(410)은 통화 호 설정부(412), 데이터 통신부(4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450)은 멀티미디어 요청부(452), 멀티미디어 재생부(454) 및 통화 처리부(45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410)의 통화 호 설정부(412)는 이동 통신망(30)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동 통신망(30)으로부터 착신 호 등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화 호 설정부(412)는 발신 단말(10)과의 호를 설정하기 위한 착신 호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30)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30)의 교환기(32)를 통해 수신되는 착신 호에는 발신 단말(10)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 한 접속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은 접속 주소 정보가 착신 호에 포함된 경우, 해당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멀티미디어 다운로딩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410)의 데이터 통신부(414)는 데이터 망(50)을 통해 멀티미디어 다운로딩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전송한다.
단말(20)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 모듈(420)에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2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기 전까지는 링(ring)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즉, 벨 소리 출력, 진동 등의 사용자가 전화가 걸려옴을 인식할 수 있는 링 처리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모두 수신된 후 수행한다. 만일,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수신이 실패한 경우, 단말(20)은 곧바로 링 처리할 수 있다.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링 처리와 함께 재생되어 출력 모듈(44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단말(20)의 바탕화면 등으로 사용자에 의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착신 단말(20)은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신의 멀티미디어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등록하여 자신이 이후 전화 거는 타 착신 단말(20)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출력 모듈(440)은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와 같은 음원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출력 시, 전화 걸려온 해당 발신 단말(1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발신 단말(10)의 전화번호 등)를 함께 화면에 표시 할 수 있다. 만일, 해당 발신 단말(10)의 전화번호가 주소록 또는 전화번호부 등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름과 같은 상응하는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입력 모듈(430)은 예를 들어, 키 패드일 수 있으며, 키 패드 이외에도 터치 스크린 등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모든 입력 수단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입력 모듈(430)의 "통화 버튼" 등에 따른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단말(2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및 링 처리를 중단하고 발신 단말(10)과 설정된 호를 통해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 모듈(450)은 상기와 같이, 발신 단말(10)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에 따라 이동 통신망(30)으로부터 수신된 착신 호에 접속 주소 정보가 포함됨을 인식하면, 해당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고,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멀티미디어 다운로딩 요청을 전송하여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링 처리와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410), 저장 모듈(420) 및 출력 모듈(44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450)의 멀티미디어 요청부(452)는 수신된 착신 호에서 추출된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딩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전송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단말(20)은 멀티미디어 요청부(452)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를 통신 모듈(410)의 데이터 통신부(414)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요청부(452)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딩이 실패되면, 바람직하게는 미리 지정된 횟수(예를 들어, 10회) 또는 시간(예를 들어, 10초)만큼 재시도할 수 있다.
제어 모듈(450)의 멀티미디어 재생부(454)는 수신되어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기능한다. 즉, 멀티미디어 재생부(454)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여,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음성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출력 모듈(440)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450)의 통화 처리부(456)는 착신호에 따른 이동 통신망(30)으로의 응답 메시지 및 링 처리를 수행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통화 처리부(456)는 입력 모듈(430)을 통해 특정 명령(예를 들어, 통화 버튼 입력)이 입력되면 발신 단말(10)과의 통화 수행을 위해 링 처리를 중단하고, 멀티미디어 재생부(454)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 모듈(450)의 통화 처리부(456)는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딩이 완료될 때까지 링 처리를 수행하지 않으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딩이 실패된 경우 곧바로 링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단말간 통화 연결 시 착신 단말(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서 단말간 통화 연결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통화 시도한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착신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서비스 가입된 발신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20)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등록한다.
단계 51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미리 서비스 가입된 발신 단말(10)에 상응하도록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록하여 서비스 설정한다. 단계 510 및 단계 51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설정, 시간대/요일/날짜 별 멀티미디어 제공, 꾸러미 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는 발신 단말(10)이 아닌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등의 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발신 단말(10) 전화번호 등의 식별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할 수도 있으므로 단계 510 및 단계 51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520에서 발신 단말(10)은 임의의 착신 단말(20)과의 통화를 위한 통화 호를 이동 통신망(30)으로 요청하고, 기지국을 거쳐 교환기(32)가 이를 수신한다.
단계 525에서 교환기(32)는 해당 발신 단말(10)에 대한 정보를 발신 단말(10)에 상응하는 위치 등록기(36)로 문의하고, 단계 530에서 해당 위치 등록기(36)는 발신 단말(10)에 대한 부가 서비스 가입 정보(즉,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20)로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교환기(32)로 제공한다.
따라서, 교환기(32)는 발신 단말(10)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서비스에 가입된 것을 인식한 후, 단계 53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발신 단말(10)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MIN 또는 미리 등록된 아이디 등)를 제공하며 서비스 처리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측 위치 등록기(36)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접속 주소 정보를 요청 및 취득하여 교환기(32)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5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해당 발신 단말(10)에 상응하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른 URL과 같은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고, 단계 545에서 교환기(32)로 접속 주소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550에서 교환기(32)는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 수신한 접속 주소 정보와 착신 호를 착신측 교환기(34, 도 1 참조)와 연동하여 착신 단말(20)로 전송한다. 물론, 접속 주소 정보는 착신호의 헤더 중 미리 지정된 파라미터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교환기(32)는 착신 단말(20)로 착신 호를 먼저 전송한 후, 접속 주소 정보를 취득하여 착신 단말(2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물론 이동 통신망(30)의 콜 프로세스 절차에 따라, 교환기(32)는 착신 단말(20)에 상응하는 위치 등록기(36)로부터 착신 단말(20)에 대한 정보(위치 정보 등)을 취득하여 착신 단말(20) 측 교환기(34)를 통해 착신 호를 착신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55에서 착신 단말(20)은 착신 호에 대한 응답을 교환기(3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교환기(32)는 착신 단말(20)과 발신 단말(10)간의 통화 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착신 단말(20)은 착신 호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수신된 접속 주 소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접속 주소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전송하며 접속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다운로딩을 요청한다. 따라서, 단계 56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접속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발신 단말(10)이 등록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망(50)을 통해 착신 단말(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20)은 이동 통신망(30)을 통한 통화 호를 설정하며, 데이터 망(50)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딩을 위한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 또한, 착신 단말(20)은 멀티미디어 다운로딩이 성공될 때까지 미리 지정된 횟수 또는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시간만큼 다운로딩을 계속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2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될 때까지 링(ring)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570에서 착신 단말(20)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다운로드 받으면, 다운로딩(downloading)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링 처리한다.
이후, 착신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 "통화 버튼" 등 특정 신호가 입력되면, 단계 575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출력 및 링 처리를 중단하고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발신 단말(10)과 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망의 발신측 교환기(32)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접속 주소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기(32)가 착신측 교환기(34)와 연동하여 착신측 위치 등록기(미도시, 즉 착신 단말(20) 정보를 관리하는 착신 단말 측 HLR 등의 위치 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시 발신 단말(10)이 서비스 가입됨을 알리면, 착신측 위치 등록기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접속 주소 정보를 요청하여 취득 후 착신측 교환기(32)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교환기 및 위치 등록기 이외의 이동 통신망(30) 내의 별도의 장치가 서비스 제공 서버(70)와 연동하여 접속 주소 정보를 교환기(32)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서비스 제공 서버(70)에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서비스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록 받는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서비스 제공 서버(70)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는 발신 단말(10)이 아닌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등의 타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할 수도 있으므로 단계 610에서의 단말은 반드시 발신 단말(10)일 필요는 없다.
단계 6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이동 통신망(30)(예를 들어, 발신측 교환기(32), 착신측 교환기(34), 발신측 위치 등록기(36), 착신측 위치 등록기 등)으로부터 임의의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처리를 요청 받는다.
단계 6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수신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단말이 서비스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물론, 해당 단말이 서비스 가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교환기(32)가 위치 등록기를 통해 인식하므로 단계 630 은 생략될 수도 있다.
만일 서비스 가입되지 않은 경우, 단계 6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이동 통신망(30)으로 처리 불가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
판단 결과 서비스 가입된 단말인 경우, 단계 650에서 해당 단말에 상응하도록 등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른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망(30)으로 제공한다.
단계 66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데이터 망(50)을 통해 착신 단말(20)로부터 접속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다운로딩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670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착신 단말(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다운로딩 요청 및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딩이 서비스 제공 서버(70)와 착신 단말(20)간의 데이터 호가 설정된 후 수행되는 것과 같이 도시 및 설명되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착신 단말(20)이 URL과 같은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져오는(pulling) 것과 같이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하는데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발신 단말(10)은 사용자가 쉽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아이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착신 단말(20)로 전송하는 서비스명의 일 예이다. 사용자는 이미지 아이엠 기능을 선택 후 사진과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구입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 및 등록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설정은 한 장 등록, 여러 장 등록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미지 한 장으로도 하기의 표 1과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진에 나이트 효과, 페이드 아웃(fade out) 효과 등의 특정 효과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텍스트, 음악, 직접 녹음한 음성 등을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 및 서비스 제공 서버(70)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설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분 사진 사진+효과 사진+텍스트 사진+음악(MMF) 사진+음성(EVRC)
포맷 JPG AMF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가 자신이 설정한 이미지, 플래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화 호 설정 시에 착신측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호 설정하는데 따른 착신 단말 별, 시간대별 등 각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등록하여 발신 단말 사용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으며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단말간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한 통신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접속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통화 요청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호 설정 시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착신 호에 포함하여 제공함-; 및
    상기 착신 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과 통화 호가 설정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후, 링(r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선택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착신 단말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들 중 상기 착신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5. 발신 단말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에 따른 착신 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이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신망으로 통화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상기 통신망과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포함한 착신 호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호에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횟수 또는 시간 동안 취득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에 상응하여 설정된 통화 호에 따른 링(r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데이터 망을 통해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상기 링 처리와 함께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 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취득되어 출력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음성 신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링 처리는 미리 설정된 벨 소리를 출력하지 않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향후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11. 단말간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한 통신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접속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접속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제공하는 통신부-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통화 요청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호 설정 시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착신 호에 포함하여 제공함-; 및
    상기 착신 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과 통화 호가 설정된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후, 링(r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13. 발신 단말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에 따른 착신 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에 있어서,
    발신 단말로부터 통신망으로 통화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 하도록 상기 통신망과 결합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 및 착신 호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취득을 미리 지정된 횟수 또는 시간 동안 시도하는 멀티미디어 요청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 및
    상기 착신 호에 상응하여 설정된 통화 호에 따른 링(ring)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 처리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취득되거나 취득 실패된 이후 상기 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통화 호를 설정하기 위한 통화 호 설정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단말.
  15. 제 5항 또는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신 단말로부터의 통화 호 요청에 따른 착신 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이 통화 호 설정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60061255A 2006-06-30 2006-06-30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6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255A KR100862741B1 (ko) 2006-06-30 2006-06-30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255A KR100862741B1 (ko) 2006-06-30 2006-06-30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416A KR20080002416A (ko) 2008-01-04
KR100862741B1 true KR100862741B1 (ko) 2008-10-10

Family

ID=3921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255A KR100862741B1 (ko) 2006-06-30 2006-06-30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6166B (zh) * 2008-06-25 2014-08-06 上海聚力传媒技术有限公司 在互联网中用于高速下载多媒体内容的方法与装置
KR101653323B1 (ko) * 2010-03-29 2016-09-01 주식회사 케이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02410B1 (ko) * 2012-10-31 2014-06-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화통화 연결 전 수신자에 Interactive Imag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전화기
KR101437738B1 (ko) * 2012-11-21 2014-09-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발신 지원 시스템, 통화발신 지원서버, 통화발신 지원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지원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726A (ko) * 2001-10-30 2003-05-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 서비스 방법
KR20040043353A (ko) * 2002-11-18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전송이 가능한 씨아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4256A (ko) * 2002-11-20 2004-05-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KR20040076095A (ko) * 2003-02-24 2004-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망에서 발신자 설정 이미지 전송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6834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음성 및 이미지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726A (ko) * 2001-10-30 2003-05-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 서비스 방법
KR20040043353A (ko) * 2002-11-18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전송이 가능한 씨아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44256A (ko) * 2002-11-20 2004-05-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KR20040076095A (ko) * 2003-02-24 2004-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망에서 발신자 설정 이미지 전송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6834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자 음성 및 이미지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416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702B2 (en) Caller information provision
CN1801862B (zh) 在ims网络中向用户装置提供多媒体回铃服务的方法和设备
US78768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ystem
KR100415761B1 (ko) 무선단말기간에 음성에 의한 전화통화 연결 직전에상대방의 화상이미지를 제공받게 해주는 기능을 가진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KR10081025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90185665A1 (en) Method and server/module for service configurations test
JP200852939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端末の呼び出し情報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642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포탈 컨텐츠 및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183810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treaming media services
WO2010020148A1 (zh) 一种彩铃业务播放控制的方法、系统及装置
EP1742437A1 (en) Provision of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WO2007074959A1 (en) System for providing share of contents based on packet network in voice comunication based on circuit network
WO2010102535A1 (zh) 被叫终端在用户应答前动态播放振铃的系统和方法
WO2010003352A1 (zh) 一种彩铃选择方法、系统及相关装置
US200700726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calling party
KR100862741B1 (ko) 착신 단말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0486367C (zh) 一种实现彩像业务的系统和方法
WO2011006417A1 (zh) 一种彩铃定位的实现方法、系统及装置
US201002039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3g services by short message service
TW200917803A (en) Technique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in-call services
US201201903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Multimedia Ring Tone For IM
CN103188393B (zh) 远程辅助家庭通信终端和系统
WO2008001371A2 (en) User-chosen media content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KR101029195B1 (ko) 복수의 사용자 기반의 다중 영상통화 서버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