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952B1 -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 Google Patents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952B1
KR101652952B1 KR1020150156609A KR20150156609A KR101652952B1 KR 101652952 B1 KR101652952 B1 KR 101652952B1 KR 1020150156609 A KR1020150156609 A KR 1020150156609A KR 20150156609 A KR20150156609 A KR 20150156609A KR 101652952 B1 KR101652952 B1 KR 10165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duct cover
incision
tighten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택
박길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원
Priority to KR102015015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예: 전기시설)의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예: 낙수)이 전산볼트가 끼워지는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기술로서, 전산볼트가 덕트커버를 관통함으로써 전산볼트의 외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 내리는 낙수가 덕트커버의 관통공을 따라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덕트커버의 관통공에 대한 수밀을 유지하는 리크 방지캡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산볼트가 관통 연결된 덕트커버가 외력으로 흔들리는 경우에도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낙수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leak prevention cap for full thread bolt}
본 발명은 시설물(예: 전기시설)의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이물질(예: 낙수)이 전산볼트가 끼워지는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산볼트가 덕트커버를 관통함으로써 전산볼트의 외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 내리는 낙수가 덕트커버의 관통공을 따라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덕트커버의 관통공에 대한 수밀을 유지하는 리크 방지캡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건물의 전력 공급 부스나 공장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설비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력 설비들은 개별 단위의 부스(예: 전기판넬)로 마감하여 바닥면에 설치되고 전력 설비들 간에는 전선케이블을 통한 배선으로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전기판넬의 상부 공간을 통해 전선케이블의 배선이나 작업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 구조물을 전기판넬의 상부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보통은 전산볼트가 채용된다.
전산볼트는 상단부가 건물의 천정 구조물에 연결되고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작업 구조물에 연결된다. 결국 전산볼트는 전기판넬의 상부 공간에 작업 구조물이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킨다.
그런데, 전기판넬이 설치된 공간으로부터 발생한 물기가 전산볼트를 타고 하방으로 낙하되기도 하는데, 이렇게 떨어진 물기가 전기판넬의 내측으로 스며들게 되면 전기판넬의 부식이나 전기판넬의 내측에 구비된 전력 설비의 전력 다운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전기판넬의 상부 공간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수로부터 전기판넬과 전기판넬의 내측에 구비된 전력 설비를 커버링하기 위해 보통은 전기판넬의 공간에 덕트커버를 설치한다.
여기서, 덕트커버는 전기판넬의 연직 상부 공간에 위치해야 전기판넬로 떨어지는 낙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작업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덕트커버는 작업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전산볼트가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전산볼트가 통과하는 덕트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낙수가 하방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덕트커버의 관통공을 실링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었지만, 덕트커버의 관통공 실링부가 노후화로 틈이 발생하거나 작업 구조물이 외력(예: 작업)에 의해 흔들리는 경우 덕트커버의 실링된 관통공에 미세한 틈이 생겨 수밀유지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97966호 "가변형 부스덕트 연결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117510호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111221호 "반금속 가스켓을 이용한 부스 덕트 접속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22166호 "오작업 방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 체결 부재"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119547호 "부스 덕트 커버"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산볼트가 체결되는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낙수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으로부터 덕트커버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낙수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으로부터 양호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과 탈거가 간편한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재활용시 본래의 기능 구현이 양호한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력에 대해 탄성 압착력을 갖도록 일체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산볼트가 관통하는 덕트커버의 상면에 밀착되어 전산볼트가 관통하는 덕트커버의 관통공이 수밀유지되도록 하는 리크 방지캡으로서, 전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산볼트의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 압착하여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외주면이 수밀유지되도록 하는 볼트 밀착부; 볼트 밀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볼트 밀착부가 전산볼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관통공에 대응하는 덕트커버의 상면을 탄성 압착함으로써 볼트 밀착부와 협동으로 관통공이 수밀유지되도록 하는 덕트커버 밀착부; 전산볼트의 측방으로부터 전산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볼트 밀착부와 덕트커버 밀착부가 전산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 밀착부로부터 덕트커버 밀착부에 이르기까지 절개됨에 따라 상호 맞닿는 제 1 절개면과 제 2 절개면으로 이루어져 내외부 수밀을 유지하는 절개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절개 밀착부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평상시에는 제 1 절개면과 제 2 절개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절개면에는 제 2 절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단턱부가 형성되고, 제 2 절개면에는 제 1 절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걸림단턱부가 맞물려 끼워지는 함입부가 형성되며, 걸림단턱부는 제 2 절개면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지고, 함입부는 걸림단턱부의 단면에 대응하여 제 1 절개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크 방지캡은 볼트 밀착부로부터 덕트커버 밀착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절개 밀착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외향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림단턱부는 덕트커버 밀착부보다 볼트 밀착부에 인접하는 위치의 제 1 절개면에 형성되고, 함입부는 걸림단턱부에 대응하여 덕트커버 밀착부보다 볼트 밀착부에 인접하는 위치의 제 2 절개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트 밀착부, 덕트커버 밀착부, 절개 밀착부는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구성되어 외력에 대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 밀착부의 상단부는 단면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산볼트가 체결되는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낙수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전산볼트가 관통 연결된 덕트커버가 외력으로 흔들리는 경우에도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낙수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대해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력으로부터 양호한 내구성을 유지함과 아울러 장착과 탈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절개면에 형성되는 걸림단턱부의 단면과 제 2 절개면에 형성되는 함입부의 단면이 상호 반대되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력으로부터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수밀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밀착부의 상단부를 단면이 뾰족한 형태로 구성하여 낙수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덕트커버의 관통공으로 스며드는 것을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이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이 설치된 다른 각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을 전산볼트에 체결하는 과정을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이 전산볼트에 체결된 상태를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에서 절개 밀착부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에서 절개 밀착부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이 설치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이 설치된 다른 각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100)은 전산볼트(200)에 장착되어 전산볼트(200)가 관통하는 덕트커버(10)의 관통공(11)에 대한 수밀을 유지한다.
바닥면에 설치되는 전기판넬(30)은 내부에 전력 설비가 설치되고 이 전력 설비에 통전하는 전기케이블이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전기판넬(30)의 상부 공간에는 작업 구조물(20)이 설치되는데, 이 작업 구조물(20)은 전기판넬(30)을 출입하는 전기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작업 구조물(20)은 전기케이블의 배선 작업을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 구조물(20)은 전기판넬(30)의 상부 공간에 뜬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천정 구조물(40)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가 작업 구조물(20)에 고정되는 전산볼트(2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전기판넬(30)의 상부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액체(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액)가 떨어지면 전기판넬(30)이나 작업 구조물(20)의 외표면을 부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전기판넬(30)의 내측으로 낙수가 스며들면 전기판넬(30)의 내부에 설치된 전력 설비를 셧다운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작업 구조물(20)의 상부에 덕트커버(1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작업 구조물(20)은 작업 구조물(20)의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산볼트(200)에 의해 매달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구조물(20)의 상부에 덕트커버(10)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전산볼트(200)가 덕트커버(10)를 관통하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서, 덕트커버(10)는 전산볼트(200)가 관통하도록 작업 구조물(20)의 상부에 위치하지만, 덕트커버(10)는 전산볼트(200)가 관통된 상태에서 외부의 다른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덕트커버(10)의 측부 테두리가 외부 구조물 중의 하나인 지지 와이어(미도시)에 연결된 상태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공중에 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산볼트(200)가 덕트커버(10)를 관통함으로써 전산볼트(200)의 외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 내리는 낙수가 덕트커버(10)의 관통공(11)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덕트커버(10)의 관통공(11)에 대한 수밀유지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덕트커버(10)의 관통공(11)에 체결하는 실링부는 노후화됨에 따른 틈 발생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해 작업 구조물(20)의 흔들림에 따른 틈 발생으로 누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덕트커버(10)의 관통공(11)에 대해 효과적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실링부로서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을 전산볼트에 체결하는 과정을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이 전산볼트에 체결된 상태를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산볼트(200)가 관통하는 덕트커버(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전산볼트(200)가 관통하는 덕트커버(10)의 관통공(11)이 수밀유지되도록 하는 리크 방지캡(100)으로서, 볼트 밀착부(110), 덕트커버 밀착부(120), 절개 밀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트 밀착부(110)는 전산볼트(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산볼트(200)의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감싸면서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을 탄성 압착하여 전산볼트(200)의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외주면이 수밀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르는 낙수가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덕트커버(10)의 관통공(11)으로 스며드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볼트 밀착부(110)는 리크 방지캡(100)의 상부 내측벽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을 나타낸다.
한편, 볼트 밀착부(110)는 전산볼트(200)의 외주면과 맞닿는 상단부의 단면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낙수가 리크 방지캡(100)의 상단부에 액체의 특성인 점성에 의해 볼트 밀착부(110)의 상단부에 머무르지 않고 바로 리크 방지캡(1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덕트커버 밀착부(120)는 볼트 밀착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볼트 밀착부(110)가 전산볼트(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관통공(11)에 대응하는 덕트커버(10)의 상면을 탄성 압착함으로써 볼트 밀착부(110)와 협동으로 관통공(11)이 수밀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덕트커버 밀착부(120)는 덕트커버(10)와 맞닿는 최외각 선단부의 단면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리크 방지캡(10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낙수가 액체의 특성인 점성에 의해 덕트커버 밀착부(120)의 선단부에 머무르지 않고 리크 방지캡(1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힘으로 덕트커버 밀착부(120)의 선단부로부터 다른 영역의 덕트커버(10) 상면으로 흘러가도록 할 수 있다.
절개 밀착부(130)는 전산볼트(200)의 측방으로부터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볼트 밀착부(110)와 덕트커버 밀착부(120)가 전산볼트(20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 밀착부(110)로부터 덕트커버 밀착부(120)에 이르기까지 절개됨에 따라 상호 맞닿는 제 1 절개면(131)과 제 2 절개면(132)으로 이루어져 내외부 수밀을 유지한다.
이때, 절개 밀착부(130)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평상시에는 제 1 절개면(131)과 제 2 절개면(132)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절개면(131)에는 제 2 절개면(13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단턱부(131a)가 형성되고, 제 2 절개면(132)에는 제 1 절개면(13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걸림단턱부(131a)가 맞물려 끼워지는 함입부(13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단턱부(131a)는 제 2 절개면(132)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지고, 함입부(132a)는 걸림단턱부(131a)의 단면에 대응하여 제 1 절개면(131)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걸림단턱부(131a)는 외력에 대해 탄성을 갖는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걸림단턱부(131a)가 함입부(132a)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선단부의 형태가 일부 찌그러지면서 함입부(132a)에 끼워지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는 다시 복원하려는 탄성에 의해 함입부(132a)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또한, 걸림단턱부(131a)는 덕트커버 밀착부(120)보다 볼트 밀착부(110)에 인접하는 위치의 제 1 절개면(131)에 형성되고, 함입부(132a)는 걸림단턱부(131a)에 대응하여 덕트커버 밀착부(120)보다 볼트 밀착부(110)에 인접하는 위치의 제 2 절개면(13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걸림단턱부(131a)기 덕트커버 밀착부(120)보다 볼트 밀착부(110)에 인접하는 위치의 제 1 절개면(131)에 형성됨에 따라 볼트 밀착부(110)는 덕트커버 밀착부(120)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을 탄성 압착함으로써 전산볼트(2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는 낙수로부터 수밀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100)은 볼트 밀착부(110)로부터 덕트커버 밀착부(120)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절개 밀착부(130)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외향하여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리크 방지캡(10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낙수가 덕트커버 밀착부(120)의 선단부에 머무르지 않고 리크 방지캡(1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힘으로 덕트커버 밀착부(120)의 선단부로부터 다른 영역의 덕트커버(10) 상면으로 흘러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볼트 밀착부(110)는 바람직하게는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산볼트(200)가 볼트 밀착부(110)에 끼워지면 전산볼트(200)의 나사산에 맞닿는 볼트 밀착부(110)는 전산볼트(200)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밀착되면서 전산볼트(2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태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볼트 밀착부(110)와 전산볼트(200)의 외주면 간 수밀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산볼트(200)와 맞닿는 볼트 밀착부(110)는 리크 방지캡(1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미리 전산볼트(2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태로 나사산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에서 절개 밀착부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에서 절개 밀착부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크 방지캡(100)은 볼트 밀착부(110), 덕트커버 밀착부(120), 절개 밀착부(130)가 일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에 대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외력에 대해 탄성을 갖도록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리크 방지캡(100)은 작업자가 [도 7]에서와 같이 절개 밀착부(130)가 벌어지도록 당겨 전산볼트(200)의 측방으로부터 [도 3]과 같이 끼우고 다시 [도 4]에서와 같이 절개 밀착부(130)의 제 1,2 절개면(131,132)이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오므려서 전산볼트(200)에 대해 리크 방지캡(100)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때, 작업자는 [도 4]에서와 같이 리크 방지캡(100)의 제 1,2 절개면(131,132)이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오므리고 다시 하방으로 눌러 덕트커버 밀착부(130)가 덕크커버(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밀착부(110)가 현재 위치의 전산볼트(200) 외주면을 탄성 압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10 : 덕트커버
20 : 작업 구조물
30 : 전기판넬
40 : 천정 구조물
100 : 리크 방지캡
110 : 볼트 밀착부
120 : 덕트커버 밀착부
130 : 절개 밀착부
131 : 제 1 절개면
131a : 걸림단턱부
132 : 제 2 절개면
132a : 함입부
200 : 전산볼트

Claims (7)

  1. 전산볼트가 관통하는 덕트커버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전산볼트가 관통하는 상기 덕트커버의 관통공이 수밀유지되도록 하며, 상부로부터 상기 덕트커버의 상면에 대응하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외표면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는 리크 방지캡(100)으로서,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산볼트의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 압착하여 상기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외주면이 수밀유지되도록 하는 볼트 밀착부(110);
    상기 볼트 밀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볼트 밀착부가 상기 전산볼트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상기 덕트커버의 상면을 탄성 압착함으로써 상기 볼트 밀착부와 협동으로 상기 관통공이 수밀유지되도록 하는 덕트커버 밀착부(120);
    상기 전산볼트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전산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볼트 밀착부와 상기 덕트커버 밀착부가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 밀착부로부터 상기 덕트커버 밀착부에 이르기까지 절개됨에 따라 상호 맞닿는 제 1 절개면(131)과 제 2 절개면(132)으로 이루어져 내외부 수밀을 유지하고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평상시에는 상기 제 1 절개면과 상기 제 2 절개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절개 밀착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절개면(131)에는 상기 제 2 절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단턱부(131a)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절개면(132)에는 상기 제 1 절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단턱부가 맞물려 끼워지는 함입부(132a)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턱부(131a)는 상기 제 2 절개면의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입부(132a)는 상기 걸림단턱부의 단면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절개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단턱부(131a)가 상기 함입부(132a)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단턱부(131a)의 선단부 형태가 일부 찌그러지면서 상기 함입부(132a)에 끼워지고 그 끼워진 상태에서는 다시 복원하려는 탄성에 의해 상기 함입부(132a)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그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턱부(131a)는 상기 덕트커버 밀착부보다 상기 볼트 밀착부에 인접하는 위치의 상기 제 1 절개면에 형성되고,
    상기 함입부(132a)는 상기 걸림단턱부에 대응하여 상기 덕트커버 밀착부보다 상기 볼트 밀착부에 인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절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밀착부, 상기 덕트커버 밀착부, 상기 절개 밀착부는 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구성되어 외력에 대해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볼트 밀착부의 상단부는 단면이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KR1020150156609A 2015-11-09 2015-11-09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KR10165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09A KR101652952B1 (ko) 2015-11-09 2015-11-09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09A KR101652952B1 (ko) 2015-11-09 2015-11-09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952B1 true KR101652952B1 (ko) 2016-08-31

Family

ID=5687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609A KR101652952B1 (ko) 2015-11-09 2015-11-09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9998A (zh) * 2021-07-06 2021-09-1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防水护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232U (ja) * 1993-05-26 1994-12-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KR200335815Y1 (ko) * 2003-03-12 2003-12-11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 및 철근 고정용 방수형 앵커
KR20060117510A (ko) 2005-05-11 2006-11-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7966A (ko) 2008-09-16 2008-11-06 신영식 수레형 야채 수확기
KR20090022166A (ko) 2007-08-29 2009-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인쇄회로기판 실장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11221A (ko) 2008-04-21 2009-10-26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망원 렌즈 시스템
KR20110119547A (ko) 2010-04-27 2011-11-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디스플레이 보호용 적층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232U (ja) * 1993-05-26 1994-12-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KR200335815Y1 (ko) * 2003-03-12 2003-12-11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 및 철근 고정용 방수형 앵커
KR20060117510A (ko) 2005-05-11 2006-11-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2166A (ko) 2007-08-29 2009-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인쇄회로기판 실장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11221A (ko) 2008-04-21 2009-10-26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망원 렌즈 시스템
KR20080097966A (ko) 2008-09-16 2008-11-06 신영식 수레형 야채 수확기
KR20110119547A (ko) 2010-04-27 2011-11-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디스플레이 보호용 적층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9998A (zh) * 2021-07-06 2021-09-1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防水护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0629A1 (en) Structural Attachment Sealing System
US7237280B1 (en) Tub overflow assembly
US9709202B2 (en) Pipe connector fitting with elongate gasket and metal threads
EP2853294A2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US7645946B2 (en) Two-piece pipe escutcheon
RU269758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50099454A1 (en) Practical flexible connecting apparatus for ventilation duct
KR101652952B1 (ko) 전산볼트 장착용 리크 방지캡
US10044179B2 (en) Method of installing elongate bodies in a building
JP4386859B2 (ja) 管貫通部の化粧カバー及び管用ベルマウス
US10301784B2 (en) Bridge cap and fastening unit for fastening a bridge cap
JP6584314B2 (ja) トンネル構造物における漏水受樋構造
JP3630794B2 (ja) 防水床パンへの給水・給湯管の取り付け構造
CN105071113A (zh) 密封防护套装置及采用密封防护套装置的连接器
JP4279278B2 (ja) 壁貫通配管の壁貫通構造及び壁貫通配管の壁通し具
JP2005232872A (ja) ガラリ取り付け構造
KR102603099B1 (ko) 물탱크용 방수 체결구 어셈블리
KR20160107475A (ko) 볼트너트 보호캡 기구
KR100394185B1 (ko) 콘크리트수조의 폴리에틸렌시트 설치구조
CA3058220C (en) A clamp cover and method of use
JP2015179058A (ja) ガスメータ用ガス栓
JP2018031471A (ja) 外壁材用の気密角ナットとそれを備えた外壁材の防水構造
KR101847808B1 (ko) 케이블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 글랜드
KR200426809Y1 (ko) 와이어 하네스의 밀봉장치
KR200369157Y1 (ko) 유류(油類) 배관 연결부 비산 방지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