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672B1 -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672B1
KR101652672B1 KR1020160087412A KR20160087412A KR101652672B1 KR 101652672 B1 KR101652672 B1 KR 101652672B1 KR 1020160087412 A KR1020160087412 A KR 1020160087412A KR 20160087412 A KR20160087412 A KR 20160087412A KR 101652672 B1 KR101652672 B1 KR 10165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me
pipe
straightness
measur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승
Original Assignee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8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7/00Containers for collecting or depositing substances in boreholes or wells, e.g. bailers, baskets or buckets for collecting mud or sand; Drill bits with means for collecting substances, e.g. valve 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47/011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7/00Survey of boreholes or wells
    • E21B47/01Devices for supporting measuring instruments on drill bits, pipes, rods or wirelines; Protecting measuring instruments in boreholes against heat, shock, pressure or the like
    • E21B47/017Protecting measuring instru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6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having auxiliary platforms, e.g. for observation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4Directional drilling
    • E21B7/10Correction of deflected bore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착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굴착공의 직진도를 측정하여 천공장치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하는 측정센서가 장착되는 측정 하우징;과, 상기 측정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측정센서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진도 측정장치; 및 하단부가 제거 하우징에 결합되며,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토출관이 내주에 삽입되는 복수의 토출 가이드와, 에어 토출관을 통해 토출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슬라임을 흡수하는 슬라임 흡입관이 삽입되는 복수의 흡입 가이드로 이루어진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제거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내주에 삽입된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위치를 하향 이동시켜 슬라임의 비산 및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 클램프;로 구성된 슬라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Straighten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measurement and slime removal perforation device}
본 발명은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착공 형성시 드릴로드의 직진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드릴로드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천공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릴로드 및 굴착공의 직진도 유지 및 위치 수정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천공된 굴착공의 저부에 형성되는 슬라임을 드릴로드에 장착된 슬라임 제거장치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슬라임 처리가 가능한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은 기초 지반이 그 건물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지지력을 가져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기초 지반의 최상부 또는 심층부에서 침하가 발생되어 상부에 세워진 건물의 안정성을 저해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건물을 세우기 전에는 반드시 지질학적 조사 및 토질조사와 같은 적합한 제반조사를 통해서 지반의 지지력이 건물에 의해 지반에 작용하는 중량 또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지를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매립지, 압밀되지 않은 지반, 유기질층을 분해시키는 지반, 토탄지, 습지, 수분함량에 상당한 변화가 있는 지반, 공극이 많이 있거나 뷸균일한 지반 등의 경우에는 기초 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기초 지반에 더 큰 지지력이 요구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기초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말뚝 기초 보강법을 이용하고 있음을 주지의 사실이고, 이와 더불어 기초 지반에 유압드릴이나 각종 천공기의 로드(ROD) 및 비트(Bit)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고, 그 천공된 홀에 철근과 같은 강관을 삽입한 후, 시멘트밀크와 같은 그라우팅재를 주입하는 그라우팅 공법 등을 비롯한 다양한 공법들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JSP(Jumbo Special Pile)공법 또는 제트 그라우팅을 이용하여 시공된 경우가 많다.
일 예로, 국내 공개특허 제2011-0027429호에는 천공기의 본체에 설치되는 리드와, 상기 리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드릴 로드와 결합되는 구동축을 가진 헤드부와,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드릴로드와, 상기 연결되는 로드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비트 유니트와, 리드에 설치되어 결합된 드릴로드 또는 드릴로드와 비트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툴 클램핑 수단과, 상기 리드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드릴로드들을 지지하며, 드릴로드들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카트리지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천공장치의 경우, 천공 깊이가 깊어지면서 드릴로드의 직진도에 대한 정밀도가 저하되면서 천공되는 굴착공의 직진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천공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 굴착공의 직진도를 확인하면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 및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굴착공의 저부면에서 배출되는 슬라임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처리장치를 크레인 등에 연결하여 슬라임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슬라임 처리 공정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7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착공 형성시 드릴로드의 직진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드릴로드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천공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릴로드 및 굴착공의 직진도 유지 및 위치 수정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된 굴착공의 저부에 형성되는 슬라임을 드릴로드에 장착된 슬라임 제거장치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슬라임 처리가 가능한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는, 크레인과 연결되어 지면을 굴착하기 위하여 단부에 굴착드릴이 장착되는 드릴로드가 구성된 천공장치; 상기 드릴로드의 회전작동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굴착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굴착공의 직진도를 측정하여 천공장치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하는 측정센서가 장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측정센서가 이동하는 레일홀과, 레일홀의 외면으로 상기 측정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 보호창 및 회전 구동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안내홀이 형성된 측정 하우징;과, 상기 레일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굴착공의 내주면과, 측정센서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크레인에 구비된 천공장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천공장치의 위치를 재조정함으로써, 굴착공의 직진도를 유지하면서 천공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측정센서;와, 상기 측정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측정센서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측정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 구동부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측정센서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구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상기 측정센서를 상기 레일홀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안내기어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진도 측정장치; 및 상기 직진도 측정장치의 상부에 구성되며, 드릴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제거 하우징;과, 하단부가 상기 제거 하우징에 결합되며,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토출관이 내주에 삽입되는 복수의 토출 가이드와, 상기 토출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에어 토출관을 통해 토출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슬라임을 흡수하는 슬라임 흡입관이 삽입되는 복수의 흡입 가이드로 이루어진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패널;과, 상기 제거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내주에 삽입된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위치를 하향 이동시켜 슬라임의 비산 및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 클램프;로 구성된 슬라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클램프는 상기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을 슬라임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관; 상기 제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을 하향 이송시키는 실린더 부재; 상기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단부를 이송관에 연결하는 클램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임 흡입관에는 하단부 외주면에 비산하는 슬라임을 흡입하는 다수개의 흡입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는 굴착공 형성시 드릴로드의 직진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드릴로드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천공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드릴로드 및 굴착공의 직진도 유지 및 위치 수정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천공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는 드릴로드에 슬라임 제거장치를 장착하여 굴착공 형성이 완료된 이후, 슬라임 제거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슬라임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설치된 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임 제거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임 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설치된 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임 제거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임 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는 크레인(100)에 설치된 천공장치(120)와 연결되어 굴착공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직진도 측정장치(200)와, 직진도 측정장치(200)의 상부에 이격되게 구성되며, 굴착공의 형성이 완료되면, 굴착공 바닥에 형성된 슬라임을 제거하는 슬라임 제거장치(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천공장치(120)는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공을 형성하고, 굴착공의 내측으로 지반 내에 관입 지주로 하는 막대형상의 지지대를 말하며, 시멘트밀크 또는 콘크리트를 통해 기초 보강 공사를 수행하여 형성된 지지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파일(pile ; 130)을 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지면을 굴착하기 위하여 단부에 굴착드릴(150)이 장착되는 드릴로드(140)가 구성된다.
직진도 측정장치(200)는 드릴로드(14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드릴로드(14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며, 드릴(150)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굴착공 형성시, 이 굴착공의 직진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직진도 측정장치(200)는 드릴로드(14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고, 내부에 드릴로드(140)의 회전작동을 지지하는 베어링(260)과, 굴착드릴(150)에 의해 형성되는 굴착공의 직진도를 측정하여 크레인(100)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천공장치(120)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하는 측정센서(220)가 구성된 측정 하우징(210)이 구성된다.
측정 하우징(210)은 중앙이 관통 형성되어 드릴로드(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베어링(260)이 구성되어 드릴로드(14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정 하우징(210)에는 외주면에 측정센서(220)가 구성되어 굴착공의 직진도의 측정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측정센서(220)는 측정 하우징(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굴착공의 직진도에 대한측정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즉, 측정 하우징(21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측정센서(220)가 이동하는 레일홈(21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측정센서(220)의 후방부와 연결되어 측정센서(220)의 이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구성된다.
또한, 측정 하우징(210)에는 레일홀(212)의 외면으로 투명 보호창(214)을 장착하여 굴착공 형성시 발생하는 파쇄물들에 의해 측정센서(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정 하우징(210)에는 상부에 측정센서(220)의 이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230)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안내홀(216)을 형성하여 측정센서(220)가 레일홀(212)을 따라 이동할 때, 회전 구동부(230) 역시 안내홀(216)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측정센서(220)는 측정 하우징(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굴착공의 내주면과, 측정센서(220)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크레인(100)에 구비된 천공장치(120)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천공장치(120)의 위치를 재조정함으로써, 굴착공의 직진도를 유지하면서 천공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측정센서(220)는 레일홀(2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최초 측정된 위치로부터 360°범위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0° 간격으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측정센서(220)는 후방부에 레일홀(212)과 동일한 원주를 가지는 곡률부(222)를 구성하여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레일홀(212)을 따라 보다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부는 통상의 구동모터로 구성된 회전 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통해 측정센서(22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측정센서(220)와 연결되는 회전기어(240)와, 회전 구동부(230) 및 회전기어(240)에 연결되어 이 회전 구동부(23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회전기어(240)측으로 전달하는 구동기어(232) 및 회전기어(24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안내기어(2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기어(232), 회전기어(240) 및 안내기어(250)는 측정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슬라임 제거장치(300)는 직진도 측정장치(200)와 함께 드릴로드(140)에 장착되고, 굴착공의 하단부 일측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슬라임을 비산시키고, 비산된 슬라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임 제거장치(300)는 드릴로드(140)가 관통하며, 가이드 파이프(320)가 결합되는 제거 하우징(310)이 구성된다.
이러한 제거 하우징(310)은 슬라임을 제거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며, 그 중앙으로, 드릴로드(14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것으로, 각 분기점에 가이드 파이프(320)가 각각 삽입 및 결합되는 제1 및 제2관통홀(312, 314)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파이프(320)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토출관(410)이 내주에 삽입되는 복수의 토출 가이드(322)와, 토출 가이드(3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에어 토출관(410)을 통해 토출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슬라임을 흡수하는 슬라임 흡입관(420)이 내주에 삽입되는 복수의 흡입 가이드(3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 파이프(320)는 하단부가 제거 하우징(310)에 결합되어 에어 토출관(410) 및 슬라임 흡입관(420)이 후술할 지지 클램프(340)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단이 파일(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에어 토출관(410) 및 슬라임 흡입관(420)이 제거 하우징(310)에 삽입되어 지지 클램프(34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에어 토출관(410) 및 슬라임 흡입관(420)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가이드 파이프(320)는 굴착공의 깊이에 따라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가이드 파이프(3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패널(330)이 가이드 파이프(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구성된다.
지지 클램프(340)는 제거 하우징(310)의 하부에 구성되며, 제1 및 제2관통홀(312, 314)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가이드 파이프(320)의 내주에 삽입된 에어 토출관(410) 및 슬라임 흡입관(420)의 단부를 고정하여 고압의 에어에 의해 각각의 관들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관들의 하측 단부의 위치를 하향 이동시켜 슬라임의 비산 및 흡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지 클램프(340)는 에어 토출관(410) 및 슬라임 흡입관(420)을 슬라임과 가까운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관(346)과, 제거 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송관(346)을 하향 이송시키는 실린더 부재(342)가 구성된다.
또한, 지지 클램프(340)는 에어 토출관(410) 및 슬라임 흡입관(420)의 단부와 이송관(346)을 연결하는 클램프 부재(348)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임 제거장치(300)는 굴착공의 형성이 완료되면, 크레인(100)에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통해 실린더 부재(342)를 구동하여 이송관(346)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이송관(346)과 연결된 에어 토출관(410) 및 슬라임 흡입관(420)을 슬라임과 가까운 위치로 이송한다.
이후, 에어 콤프레셔와 같은 설비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에어 토출관(410)측으로 공급하여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라임을 비산시키고, 슬라임이 비산하게 되면, 흡입장치 등을 통해 슬라임 흡입관(420)에서 소정의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슬라임을 흡입하여 굴착공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임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슬라임 흡입관(420)은 하단부 외주면에 흡입홀(422)을 다수 형성하여 흡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크레인 120: 천공장치
130: 파일 140: 드릴로드
150: 굴착드릴 200: 직진도 측정장치
210: 측정 하우징 220: 측정센서
230: 회전 구동부 240: 회전기어
250: 안내기어 300: 슬라임 제거장치
310: 제거 하우징 320: 가이드 파이프
340: 지지 크램프 410: 에어 토출관
420: 슬라임 흡입관

Claims (3)

  1. 크레인과 연결되어 지면을 굴착하기 위하여 단부에 굴착드릴이 장착되는 드릴로드가 구성된 천공장치;
    상기 드릴로드의 회전작동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굴착드릴에 의해 형성되는 굴착공의 직진도를 측정하여 천공장치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하는 측정센서가 장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측정센서가 이동하는 레일홀과, 레일홀의 외면으로 상기 측정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 보호창 및 회전 구동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안내홀이 형성된 측정 하우징;과,
    상기 레일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굴착공의 내주면과, 측정센서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크레인에 구비된 천공장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천공장치의 위치를 재조정함으로써, 굴착공의 직진도를 유지하면서 천공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측정센서;와,
    상기 측정 하우징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측정센서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측정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회전 구동부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측정센서 및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구동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상기 측정센서를 상기 레일홀을 따라 이동시키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안내기어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진도 측정장치; 및
    상기 직진도 측정장치의 상부에 구성되며, 드릴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제거 하우징;과,
    하단부가 상기 제거 하우징에 결합되며,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토출관이 내주에 삽입되는 복수의 토출 가이드와, 상기 토출 가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에어 토출관을 통해 토출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는 슬라임을 흡수하는 슬라임 흡입관이 삽입되는 복수의 흡입 가이드로 이루어진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패널;과,
    상기 제거 하우징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내주에 삽입된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위치를 하향 이동시켜 슬라임의 비산 및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 클램프;로 구성된 슬라임 제거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램프는
    상기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을 슬라임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관;
    상기 제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을 하향 이송시키는 실린더 부재;
    상기 에어 토출관 및 슬라임 흡입관의 단부를 이송관에 연결하는 클램프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임 흡입관에는 하단부 외주면에 비산하는 슬라임을 흡입하는 다수개의 흡입홀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KR1020160087412A 2016-07-11 2016-07-11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KR10165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12A KR101652672B1 (ko) 2016-07-11 2016-07-11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412A KR101652672B1 (ko) 2016-07-11 2016-07-11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672B1 true KR101652672B1 (ko) 2016-09-09

Family

ID=5693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412A KR101652672B1 (ko) 2016-07-11 2016-07-11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594A (zh) * 2018-07-09 2018-11-30 北京中岩大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旋喷随钻定向导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789B1 (ko) 2003-07-15 2006-05-08 (주)현이앤씨 케이싱과 고무튜브형 패커를 이용한 다단그라우팅장치 및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789B1 (ko) 2003-07-15 2006-05-08 (주)현이앤씨 케이싱과 고무튜브형 패커를 이용한 다단그라우팅장치 및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594A (zh) * 2018-07-09 2018-11-30 北京中岩大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旋喷随钻定向导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6047B2 (en) Wire rope coring drilling rig and new green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replacing trench and shallow-shaft explorations
CN106545007B (zh) 在下部为硬质岩层的地层中成桩的方法
CN103266599B (zh) 土砂夹层地基旋挖钻干挖成孔桩的施工方法
US20150275583A1 (en) Drill rig and methods for directional drilling
JP2021165468A (ja) 鋼管杭の施工方法
CN104775433A (zh) 一种拔桩施工的方法
CN111691408B (zh) 一种软质岩层矩形抗滑桩施工方法
KR101549399B1 (ko) 지중공사용 지하매설물 확인기능 카메라 및 금속탐지장치가 장착된 굴삭스크류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설치상태 확인 안전진단 공법
KR101448294B1 (ko) 방향제어가 가능한 수평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652672B1 (ko) 굴착공 직진도 측정 및 슬라임 제거장치가 구비된 천공장치
CN105649010A (zh) 一种灌注桩施工工艺
CN112196494B (zh) 一种岩石与土层交接地质管道施工工艺及施工设备
CN113668512A (zh) 毗邻地铁全护筒全回转钻机桩基施工方法
KR20120109437A (ko) 시트파일용 가이드 롤러가 포함된 굴착장치
KR101139708B1 (ko) 대구경 파일 시공을 위한 지반 굴착 가이드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지반 굴착공법
CN110847809B (zh) 紧邻地下结构的桩基成孔方法
KR20110133517A (ko) 신 수직갱 굴착장치 및 확공 굴착방법
KR20090115702A (ko) 대구경 기초파일 시공을 위한 지반 굴착공법
CN114108611B (zh) 一种大直径钢管混凝土变径桩基施工方法
JP6621671B2 (ja) 排土用アダプタ、削孔装置及び排土回収システム
JP7017756B2 (ja) 掘削排土装置における埋設物探知構造、及びその埋設物探知方法
CN114198015A (zh) 一种硬质岩桩的潜孔锤-旋挖联合成孔方法
KR101615810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시트파일 시공장치
JP4428888B2 (ja) トンネル計画線上の地盤中の被圧水排水方法
KR101176515B1 (ko) 굴삭기 장착식 하향 발파 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