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068B1 - 피난기구 - Google Patents

피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068B1
KR101652068B1 KR1020150033104A KR20150033104A KR101652068B1 KR 101652068 B1 KR101652068 B1 KR 101652068B1 KR 1020150033104 A KR1020150033104 A KR 1020150033104A KR 20150033104 A KR20150033104 A KR 20150033104A KR 101652068 B1 KR101652068 B1 KR 10165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battery
evacuation
load sid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식
Original Assignee
조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식 filed Critical 조대식
Priority to KR102015003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이나 공공장소에서 재난 발생으로 인한 정전 또는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대피를 위해 탈출 경로를 조명시키게 하는 피난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피난기구는 벽걸이식으로 설치되는 거치대와 이 거치대에 탈착방식으로 보관되고 복원요소를 이용해 기판에 구비되는 부하 측과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전등으로 이루어 재난 발생 시 대피 탈출로의 조명을 위해 사용하는 피난기구로써, 손전등의 기판 저면에서 시소방식으로 구동되게 설치되고, 부하 측과 상기 배터리의 사이에 개재되는 작동자와, 거치대의 내벽에 캠형으로 구비되어 손전등의 보관 시 그 손전등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자를 구동시키게 하는 밀대를 포함하여서, 손전등이 보관을 위해 거치대에 장착 시 밀대에 의한 작동자의 회전작용으로 배터리를 밀어내려 상기 부하 측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Description

피난기구{Evacuation instrument}
본 발명은 일반 건물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 등에서 재난 발생으로 인한 정전 또는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대피를 위해 개별적으로 휴대하여 탈출 경로를 조명시키게 하는 피난기구에 관한 것이다.
재난으로 인한 정전 또는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비상사태 발생 시 대피를 위한 탈출 경로를 조명시키는 피난기구는 건물이나 공공장소의 비상대피로 적당한 장소에 탈착 가능하게 벽걸이식으로 비치하고 재난 발생으로 인한 정전 시 조난자들의 대피를 위한 전조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피난기구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략 대피로의 적당한 장소에서 벽걸이식으로 설치되는 거치대와, 이 거치대에 탈착식으로 보관되는 손전등으로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피난기구에서의 손전등은 점등과 소등을 위한 스위치 없이 거치대의 탈착에 따른 기구적인 결합ㆍ분리를 이용해 점등과 소등이 이루게 하여 비상시 거치대로부터 손전등이 이탈됨과 동시,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손전등이 자동적으로 점등되게 하며, 보관 시에서는 배터리가 부하 측과 이탈되어 소등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전등의 배터리를 부하(전구) 측과 복원요소를 이용해 탄력적으로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케 하고, 손전등의 보관을 위한 거치대에 장착과정에서 그 거치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손전등 내로 수평이동해 부하 측과 배터리 사이로 삽입하는 선단이 예리한 막대형상의 분리요소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밀어내려 부하 측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피난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구적인 형상결합을 이용해 손전등의 배터리를 부하 측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분리구조가 불안정한, 즉 손전등이 거치대에 보관을 위해 삽입 시 거치대의 막대형상 분리요소가 손전등 내로 삽입되면서 배터리를 부하 측으로부터 직접적이고 강제적으로 밀어내려 이탈시키고 있는데, 이때 막대형상의 분리요소가 비교적 간극이 좁은 배터리와 부하 측 사이로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하는 형합조건이 요구되어 제품의 정밀도는 물론 사용에 주위를 기울이어야 하는 불편이 따랐으며, 그리고 상기에서의 형상결합이 부정확한 경우 배터리가 부하 측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거나, 손전등이 거치대와 정합되지 못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라 제품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또 피난기구가 사용되지 못하고 장시간 그대로 보관 또는 방치 시 배터리에서의 방전 등으로 인한 자연소모에 의해 피난기구가 비상 발생시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초래되고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배터리의 방전에 대비하여 배터리의 소모 시 배터리를 보충시키는 충전회로를 구비함과 동시에, 평상시나 정전시 전원공급 또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리어주는 표시요소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표시요소는 평상시나 정전시 모두 작동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소모가 따라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국내 공개번호 20-2010-000961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02496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부하 측과의 배터리 이탈을 위한 분리가 거치대에 보관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손전등의 삽입력을 이용해 면접촉방식으로 손전등의 삽입 교차방향에서 작동하는 작동자의 시소운동으로 이루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배터리의 접속ㆍ이탈이 확고함과 동시, 손전등의 탈착이 정확하고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난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이 감지되면 피난기구의 위치를 식별시킬 수 있는 표시요소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피난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건물이나 공공장소에서 재난 발생으로 인한 정전 또는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대피를 위해 탈출 경로를 조명시키게 하는 피난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피난기구는 벽걸이식으로 설치되는 거치대와 이 거치대에 탈착방식으로 보관되고 복원요소를 이용해 기판에 구비되는 부하 측과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전등으로 이루어 재난 발생 시 대피 탈출로의 조명을 위해 사용하는 피난기구로써, 손전등의 기판 저면에서 시소방식으로 구동되게 설치되고, 부하 측과 상기 배터리의 사이에 개재되는 작동자와, 거치대의 내벽에 캠형으로 구비되어 손전등의 보관 시 그 손전등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자를 구동시키게 하는 밀대를 포함하여서, 손전등이 보관을 위해 거치대에 장착 시 밀대에 의한 작동자의 회전작용으로 배터리를 밀어내려 상기 부하 측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난기구에 의하면, 부하 측과 배터리의 사이에 개재되고 손전등의 기판 저면에서 시소운동으로 구동되게 설치되는 작동자가 거치대의 내벽에 캠형으로 구비되어 손전등의 보관 시 그 손전등 내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밀대와의 면접촉에 의해 떠밀려 일어나는 회전운동으로 배터리를 밀어내려 부하 측으로부터 이탈되게 함으로써, 종래 손전등 정착과정에서 분리요소의 직접적인 삽입에 의한 배터리 이탈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배터리의 접속ㆍ이탈이 안정되고 확고함과 아울러, 손전등의 탈착이 정확하고 제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재난으로 인해 건물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정전이 발생하면, 이 정전을 감지함과 동시 점등되어 피난기구의 위치를 식별시키기 위한 표시요소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어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피난기구에서 손전등이 거치대에 보관된 모습을 보여 주는 의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피난기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피난기구의 거치대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피난기구의 제어회로 및 표시요소 작동을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 피난기구에서 거치대로부터 손전등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 주는 측 단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피난기구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이나 공공장소에서 재난 발생으로 인한 정전 또는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대피를 위해 개별적으로 휴대하여서 탈출 경로를 조명시키게 하는 피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100은 피난기구이다. 이 피난기구(100)는 벽걸이식으로 설치되는 거치대(120)와, 이 거치대(120)에 탈착방식으로 보관되는 손전등(140)으로 구성된다.
거치대(120)는 대략 전면이 개구되어 손전등(140)이 자유로이 탈착되게 설치되는 수납부(122)와, 이 수납부(122)의 입구 측 양변에서 탄력적으로 구비되어서 보관되는 손전등(140)을 안정되게 정착시키게 하는 파지요소들(124), 그리고 수납부(122)의 하부 측에는 이후에 설명할 손전등의 충전을 위한 외부전원 공급단자(126)가 구비되어 있다.
또 손전등(140)은 선단에 조명을 위한 전구인 부하(142)가 기판(144) 상에서 구비되고, 이 부하(142)에는 복원요소(146)를 이용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148)가 접속되게 하여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분리되었던 배터리(148)가 부하(142) 측과 접속하는 것으로 점등되게 한다.
또한 손전등(140)의 하부에는 배터리(148)가 방전 시 그 방전상태를 감지함과 동시, 외부 전원공급 단자(1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148)에 충전과 이후에 설명할 표시요소(141) 작동을 위한 표시요소 회로부(30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손전등(140)의 기판(144) 저면 양측에서 구비되는 한 쌍의 축수요소들(144a)에 지지되어 시소방식으로 동작되게 설치되고, 부하(142) 측과 배터리(148)의 사이에 개재되는 작동자(200)를 갖는다.
또 거치대(120)의 내벽에는 캠형으로 구비되어 손전등(140)의 보관 시 그 손전등(14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에서의 작동자(200)를 동작시키어 도 1에서와 같이 부하(142)로부터 배터리(148)를 분시키게 하는 밀대(1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치대(120)의 수납부(122) 입구 측 양변에 탄력성의 파지요소(124)를 구비하여 손전등(140)이 수납부(122)에 보관시 정착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손전등(140)이 보관을 위해 거치대(120)에 장착 시 밀대(128)에 의한 작동자(200)의 회전작용으로 배터리(148)를 밀어내려 부하(142) 측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작동자(200)는 일 단이 부하(142)와 배터리(148)의 사이에 개재되어 부하(142) 측으로부터 배터리(148)의 분리를 위한 누름력을 가하는 가압면(210)과, 타 단은 밀대(128)와 미끄럼 접촉하는 경사면(220)으로 이룬다.
또한 손전등(140)의 전면에는 상기에서의 표시요소 회로부(300)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도 4에서와 같은 회로도에 의해 정전상태의 감지와 동시, 자동적으로 점등되어 손전등(140)의 위치를 알리게 하는 발광다이오드 등의 표시요소(14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의 표시요소(141) 작동을 설명하면, 외부전력 입력잭으로 직류전력이 입력될 경우에 입력된 직류전력이 표시요소 회로부(300)의 저항에 의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또한 외부전력 입력잭의 직류전력이 다이오드(D)를 통해 배터리(148)에 충전되고, 배터리(148)의 충전전압이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에 인가되게 한다. 여기서, 외부전력 입력잭으로 직류전력이 입력될 경우에 트랜지스터(TR)가 온되게 저항(R1,R2)의 값을 설정한다.
그러면 외부전력이 입력될 경우에 트랜지스터(TR)가 오프되고, 표시요소(141)가 점등되지 않는다.
또 외부전력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트랜지스터(TR)가 온되고, 배터리(148)의 직류전압이 트랜지스터(TR)를 통해 표시요소(141)에 인가되므로 점등된다. 이때 저항(R3)은 표시요소(141)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표시요소(141)가 과전류에 의해 손상되지 안도록 보호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피난기구(100)의 손전등(140)이 거치대(12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때 거치대(120)로부터 손전등(140)이 이탈하면 복원요소(146)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던 배터리(148)가 상승되어 부하(142) 측과 전기전인 접속을 이루고 손전등(140)의 부하(142)가 자동적으로 점등하게 되어 별도의 스위치 조작 없이 대피로를 조명시키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피난기구 120: 거치대
122: 수납부 124: 파지요소
126: 전원공급단자 128: 밀대
140: 손전등 141: 표시요소
142: 부하 144: 기판
146: 복원요소 148: 배터리
200: 작동자 210: 가압면
220: 경사면 300: 표시요소 회로부

Claims (3)

  1. 전면이 개구되는 수납부를 구비한 벽걸이식으로 설치되는 거치대와, 이 거치대의 수납부에 탈착방식으로 보관되고 복원요소를 이용해 기판에 구비되는 부하 측과 탄력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손전등으로 이루어 재난 발생으로 인한 정전 시 대피 탈출로의 조명을 위해 사용하는 피난기구로써,
    상기 손전등의 기판 저면에서 상기 부하 측과 상기 배터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시소방식으로 동작하는 작동자;
    상기 거치대의 내벽에 캠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손전등의 보관 시 그 손전등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자를 동작시키게 하는 밀대; 및
    상기 거치대의 수납부 입구 측 양변에서 구비되어 상기 손전등이 상기 수납부에 보관시 정착상태를 유지시키게 하는 파지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손전등이 보관을 위해 상기 거치대에 장착 시 상기 밀대에 의한 상기 작동자의 회전작용으로 상기 배터리를 밀어내려 상기 부하 측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는 일 단이 상기 부하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서 개재되어 상기 부하 측과의 분리를 위해 상기 배터리를 밀어 내리게 하는 가압면과, 타 단은 상기 밀대와 미끄럼 접촉하는 경사면으로 이룬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에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손전등의 위치를 알리게 하는 표시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구.
KR1020150033104A 2015-03-10 2015-03-10 피난기구 KR10165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04A KR101652068B1 (ko) 2015-03-10 2015-03-10 피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104A KR101652068B1 (ko) 2015-03-10 2015-03-10 피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068B1 true KR101652068B1 (ko) 2016-08-30

Family

ID=5688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104A KR101652068B1 (ko) 2015-03-10 2015-03-10 피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0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859A (en) * 1975-11-28 1978-12-19 Compagnie Industrielle Des Piles Electriques "Cipel" S.A. Pocket lamp
US5473521A (en) * 1994-12-20 1995-12-05 Minshall; Robert J. Flashlight with detachable battery terminals
KR200302496Y1 (ko) 2002-10-18 2003-01-30 박우순 충전식 대피용 비상후레쉬
KR200320798Y1 (ko) * 2003-04-09 2003-07-22 강우종 위치신호음 발생기능을 갖는 비상용 후레쉬
KR20100009615U (ko) 2009-03-23 2010-10-01 주식회사 화경산업 비상용 후레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859A (en) * 1975-11-28 1978-12-19 Compagnie Industrielle Des Piles Electriques "Cipel" S.A. Pocket lamp
US5473521A (en) * 1994-12-20 1995-12-05 Minshall; Robert J. Flashlight with detachable battery terminals
KR200302496Y1 (ko) 2002-10-18 2003-01-30 박우순 충전식 대피용 비상후레쉬
KR200320798Y1 (ko) * 2003-04-09 2003-07-22 강우종 위치신호음 발생기능을 갖는 비상용 후레쉬
KR20100009615U (ko) 2009-03-23 2010-10-01 주식회사 화경산업 비상용 후레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765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810499B1 (ko) 전구용 소켓에 설치되는 비상등
CA2505668A1 (en) Autoilluminating rechargeable lamp system
KR101652068B1 (ko) 피난기구
KR101761158B1 (ko) 파워 카세트 등기구
CN206918867U (zh) 一种分离式应急照明灯
WO2012175042A1 (zh) 应急照明设备
KR101212765B1 (ko) 착탈식 비상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식 비상등, 그리고 착탈식 비상등의 제어방법
TWM308560U (en) Uninterrupted power system (UPS) with lighting function
JP2007123143A (ja) 表示用照明器具
JP2007141598A (ja) 非常用懐中電灯および非常用照明装置
AU2010100520A4 (en) Light Alright
KR200285071Y1 (ko) 거치형 비상손전등
CN206846541U (zh) 一种应急灯
CN112483934A (zh) 一种易拆卸灯泡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30087133A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CN215570173U (zh) 一种多功能消防应急灯
KR20150097864A (ko) 화장지 잔량 표시기
WO2009103386A1 (en) Emergency light socket assembly
KR200472943Y1 (ko) 비상조명이 구비된 출입문 손잡이 장치
CN212677429U (zh) 一种新型Lorawan通讯的单灯控制器
CN211629355U (zh) 一种具有夜光效果的电源适配器
KR101109553B1 (ko) 충전용 비상 후레쉬
KR200397097Y1 (ko) 휴대용 비상조명장치
CN208418464U (zh) 一种新型应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