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987B1 -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 - Google Patents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987B1
KR101651987B1 KR1020130124538A KR20130124538A KR101651987B1 KR 101651987 B1 KR101651987 B1 KR 101651987B1 KR 1020130124538 A KR1020130124538 A KR 1020130124538A KR 20130124538 A KR20130124538 A KR 20130124538A KR 101651987 B1 KR101651987 B1 KR 101651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jig
jig
secondary battery
press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179A (ko
Inventor
도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2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7Fracture or rup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은, 내부 압력의 증가에 따라 파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지그; 상기 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캔의 내부와 통하는 압력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받침 지그; 및 상기 압력 홀에 삽입되는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에 대한 벤팅 압력 측정 실험에 있어서 캔의 내부에 실제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완성품 이차전지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벤팅 압력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이차전지의 벤팅 구조의 정확한 설계를 통해 효과적인 벤팅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되므로,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Venting pressure measurement system and Insertion jig for measureing venting pressure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캔의 벤팅(venting) 압력을 측정하는 실험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를 대신하여 캔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그를 포함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며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인 건전지에 비해 경제적이며, 근래에는 작은 부피에 고용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동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로는,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하며,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및 리튬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액을 포함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해액이 누출되어 리튬 전이금속이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전지가 폭발할 수 있고, 과충전시에도 화학반응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폭발할 가능성이 있어 통상 보호회로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이에 비해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는 고분자 겔 형태의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화학적 반응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의 형태에 따라 캔형 및 파우치형으로 구분하며, 캔형은 원통형과 각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캔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장재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원통형 혹은 각기둥형이나 모서리에 곡면을 형성한 기둥형 등의 형상을 갖는다.
캔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며, 캔의 개구부를 탑 캡 조립체로 밀봉함으로써 이차 전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사용 과정에서 이상현상 발생으로 인한 전해액 부반응 등으로 인해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발화/폭발 등의 사고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분출시킬 수 있는 구조, 즉 벤팅(venting)을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벤팅을 위해, 캔에는 주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 즉 노치부가 형성되는데, 노치부가 파단되는 압력(캔 내부의 압력을 의미함)의 측정을 통해 노치부의 적절한 사이즈, 형성 위치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벤팅 실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실제 전극 조립체를 캔 내에 삽입하지 않은 채로 캔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캔의 내부에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경우와 비교하여 캔의 형상 변화의 양상이 다를 수 있고, 이로 인해 벤팅 압력의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면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차전지의 용량 증가로 인해 이차전지의 사이즈가 증가함에 따라 캔의 형상 변형 정도가 더욱 커져 캔의 내부가 빈 상태로 벤트 압력 측정 실험을 진행하는 경우 실제 이차전지에서 나타나는 벤트 압력과는 큰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이차전지용 캔에 대한 정확한 벤팅 압력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사이즈를 갖는 노치부를 형성할 수 없게 되며, 이로써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을 실험하는데 있어서, 전극 조립체가 캔의 내부에 삽입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험결과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은, 내부 압력의 증가에 따라 파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지그; 상기 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캔의 내부와 통하는 압력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받침 지그; 및 상기 압력 홀에 삽입되는 컴프레서를 포함한다.
상기 노치부는, 주변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과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은, 상기 삽입 지그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캔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 지그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지그에 의해서도 해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는, 내부 압력의 증가에 따라 파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한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과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은, 상기 삽입 지그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캔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지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상기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은, (a) 이차전지용 캔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캔의 개구부에 받침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받침 지그의 압력 홀을 통해 컴프레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은, (e) 상기 캔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캔의 벤팅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파단되는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을 준비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삽입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캔의 내부와 통하는 압력 홀을 구비하는 받침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캔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에 대한 벤팅 압력 측정 실험에 있어서 캔의 내부에 실제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완성품 이차전지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벤팅 압력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이차전지의 벤팅 구조의 정확한 설계를 통해 효과적인 벤팅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되므로,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X-X’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도 1에 도시된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삽입 지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캔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는 양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X-X’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는 도 1에 도시된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삽입 지그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10)은, 이차전지용 캔(1), 캔(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지그(2), 캔(1)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커버하는 받침 지그(3) 및 ?침 지그(3)에 형성된 압력 홀(3a)에 삽입되는 컴프레서(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캔(1)은 전극 판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전극 조립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단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캔(1)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 압력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증가되면 파단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1a)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노치부(1a)는 노치부(1a)가 형성되지 않은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더 얇은 두께를 갖는다. 즉, 상기 노치부(1a)는 캔(1)의 두께가 나머지 영역과 비교하여 더 얇게 형성된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 지그(insert jig, 2)는 캔(1)의 벤팅 압력 측정 시에, 캔(1)의 개구부를 통해 캔(1)의 내부에 삽입되어 캔(1)의 변형 형태를 가이드 한다.
즉, 상기 캔(1)의 벤팅 압력 측정은 실제 이차전지의 완성품과는 달리, 전극 조립체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빈 캔(1)을 대상을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상태와 비교할 때, 캔(1)의 형태 변형의 자유도가 높아서 벤팅 압력 측정 결과가 실제 이차전지와 크게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벤팅 압력의 측정 시에 캔(1) 내부에 적절한 형상의 삽입 지그(2)를 설치함으로써, 캔(1)의 형태 변형이 실제 이차전지와 최대한 유사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삽입 지그(2)는 벤팅 압력 측정 실험에 있어서 캔(1)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삽입 지그(2)의 기능을 고려할 때, 삽입 지그(2)의 재질은 캔(1)을 이루는 재질과 비교하여 강성이 더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삽입 지그(2)가 캔(1)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하기 위해서는 캔(1)의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캔(1)의 찌그러짐이 발생되더라도 삽입 지그(2)는 변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 지그(2)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삽입 지그(2)는, 그 넓은 면의 형상이 캔(1)과 대응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도 4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략 캔(1)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도 5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 지그(2)는, 그 넓은 면의 형상이 대략 캔(1)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도 7)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삽입 지그(2)가 이처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경우, 삽입 지그(2)의 양 측변(도 6을 중심으로 볼 때, 좌/우 변을 의미하는 것임) 사이의 거리는, 캔(1)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더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양 측변은 삽입 지그(2)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 지그(2)의 형태는,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실제 이차전지에 있어서, 내부 압력 증가 시에 캔(1)이 변형되는 형태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실제 이차전지에 있어서, 내부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캔(1)은, 대략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중 상대적으로 더 좁은 한 쌍의 면은 중심부가 캔(1)의 내측 방향(A 방향)으로 들어가고, 상대적으로 더 넓은 한 쌍의 면은 캔(1)의 외측 방향(B 방향)으로 약간 부풀어 오르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캔(1)의 변형 형태 및 내부 압력 분포 등을 고려하여 노치부(1a)의 형성 위치, 사이즈 등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캔(1)의 파단 시점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캔(1)의 변형 형태 및 압력 분포 등을 모두 고려하여 삽입 지그(2)의 형태를 결정할 필요가 있는데, 실제 전극 조립체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삽입 지그(2)의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형태였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1)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삽입 지그(2)의 중심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경우, 벤팅 압력 측정 실험을 마친 후 지그(2)를 캔(1)에서 빼내는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비어 있는 삽입 지그(2)의 중심부를 통해서 캔(1)을 오려냄으로써 삽입 지그(2)를 쉽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삽입 지그(2)를 반복적으로 실험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 지그(3)는, 캔(1)의 개구부를 통해 캔(1)의 내부와 통하는 압력 홀(3a)을 구비한다.
이러한, 받침 지그(3)는, 예를 들어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부를 커버함으로써 캔(1)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상기 컴프레서(4)는, 받침 지그(3)에 형성된 압력 홀(3a)을 통해 캔(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캔(1) 내부에 팽창 압력을 가함으로써 노치부(1a)의 파단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10)은, 이차전지용 캔(1)에 대한 벤팅 압력 측정 실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캔 내부에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실제 이차전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써 벤팅 압력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은, (a) 이차전지용 캔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캔의 개구부에 받침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받침 지그의 압력 홀을 통해 컴프레서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캔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캔의 벤팅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파단되는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을 준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b)단계는,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삽입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캔의 내부와 통하는 압력 홀을 구비하는 받침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캔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캔(1)에 대한 벤팅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 이용되는 캔(1), 지그(2,3) 및 컴프레서(4) 등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에 의하는 경우, 캔 내부에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실제 이차전지와 최대한 동일한 실험 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써 캔(1)에 대한 벤팅 압력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1: 캔
1a: 노치부 2: 삽입 지그
3: 받침 지그 3a: 압력 홀
4: 컴프레서

Claims (25)

  1. 내부 압력의 증가에 따라 파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하고, 상기 캔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 지그;
    상기 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캔의 내부와 통하는 압력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받침 지그; 및
    상기 압력 홀에 삽입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주변 영역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과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더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은,
    상기 삽입 지그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지그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13. 내부 압력의 증가에 따라 파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하고 상기 캔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용 삽입 지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과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삽입 지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삽입 지그.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삽입 지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캔의 개구부로부터 바닥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더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삽입 지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지그의 양 측변은,
    상기 삽입 지그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삽입 지그.
  19. 삭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지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삽입 지그.
  21. (a) 이차전지용 캔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캔의 개구부에 받침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받침 지그의 압력 홀을 통해 컴프레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캔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캔의 형태 변형을 가이드 할 수 있고 상기 캔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은,
    (e) 상기 캔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캔의 벤팅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파단되는 노치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캔을 준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
  24. 삭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캔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캔의 내부와 통하는 압력 홀을 구비하는 받침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캔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벤팅 압력 측정 방법.
KR1020130124538A 2013-10-18 2013-10-18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 KR101651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38A KR101651987B1 (ko) 2013-10-18 2013-10-18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38A KR101651987B1 (ko) 2013-10-18 2013-10-18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79A KR20150045179A (ko) 2015-04-28
KR101651987B1 true KR101651987B1 (ko) 2016-08-29

Family

ID=5303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538A KR101651987B1 (ko) 2013-10-18 2013-10-18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579A (ja) 2001-06-15 2003-01-08 Sony Corp 密封性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544U (ja) * 1983-12-06 1985-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チユ−ブの引張試験用芯金
JPH1090122A (ja) * 1996-09-10 1998-04-10 Mitsubishi Cable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の安全弁の破壊圧力試験用器具
KR20060027674A (ko)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안전벤트를 포함하고 있는 각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579A (ja) 2001-06-15 2003-01-08 Sony Corp 密封性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79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3333B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07080598A (ja) 密閉角形電池
EP3062367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440891B1 (ko) 이차 전지
EP2924763A1 (en) Secondary battery
US9559341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vent unit at a joint in a cap plate
EP2822056B1 (en) Secondary Battery
KR20060112742A (ko)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914115B1 (ko) 이차전지
US20140199571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011179B1 (ko) 밀폐 각형 전지
KR20160032889A (ko) 이차 전지
CN110600654B (zh) 可再充电电池和电池模块
KR20160043725A (ko) 노치를 포함하는 원형 이차전지
JP4393932B2 (ja) 非水二次電池
KR20140106326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651987B1 (ko) 벤팅 압력 측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전지 벤팅 압력 측정용 삽입 지그
KR20140091337A (ko) 이차 전지
KR20160015778A (ko) 내진동 특성이 향상된 원통형 전지
KR20160087696A (ko) 이차 전지
KR20160016597A (ko) 중공형 이차전지
KR200244258Y1 (ko) 이차전지의 안전판
KR20130027543A (ko) 이차전지
KR101867624B1 (ko) 배터리 팩
KR102326435B1 (ko) co-relation 함수를 적용한 파우치 내 알루미늄의 잔존량 예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