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60B1 -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60B1
KR101651760B1 KR1020147010580A KR20147010580A KR101651760B1 KR 101651760 B1 KR101651760 B1 KR 101651760B1 KR 1020147010580 A KR1020147010580 A KR 1020147010580A KR 20147010580 A KR20147010580 A KR 20147010580A KR 101651760 B1 KR101651760 B1 KR 10165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cknowledgment
short
acknowledgment frame
control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460A (ko
Inventor
레이 가오
린펑 시아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6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04L1/165Variable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및 SIG를 포함함 -; 및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CKNOWLEDGE FRAM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원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으로, 2011년 10월 31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110337667.7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반영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분야, 구체적으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본 서비스 세트(BSS)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의 기본 컴포넌트이다. 특정 커버리지 영역 내에 배치되고 소정의 연관성을 갖는 국들(STA)은 BSS를 형성한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연관성은 국들이 자체-구성 네트워크에서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이며, 이는 독립적 기본 서비스 세트(IBSS)로 지칭된다.
더 일반적인 상황에서, STA는 특히 BSS의 관리를 담당하는 중앙국과 연관되며, 중앙국은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지칭된다. AP 주위에 형성된 BSS는 기반구조를 갖는 BSS로서 지칭된다. 기반구조를 갖는 BSS들은 그들의 AP들에 의해 분산 시스템(DS)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확장 BSS(ESS)를 형성할 수 있다.
무선 매체 상에서의 송신은 에러에 취약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DATA) 송신을 위해서는, 링크 레벨에서의 저지연 재송신 메커니즘이 유리하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수신기에 의해 올바르게 복조되지 못하는 프레임들이 재송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포인트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방법은 데이터 프레임을 올바르게 수신하는 국으로 하여금 적시 확인응답(timely acknowledgement)을 확인응답 프레임(ACK)의 포맷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국이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국은 데이터 프레임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못한 것으로 가정하고, 프레임을 재송신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프레임들 간의 상호작용의 경우, 예를 들어 송신 요청(RTS) 프레임의 송신 확인(CTS) 프레임의 경우, 확인응답 프레임의 메커니즘이 또한 유사하게 채택될 수 있다.
802.11 네트워크에서, 데이터(DATA)는 서비스 품질(QoS) 제어 필드를 포함하며, 이 필드는 확인응답 정책 필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여러 확인응답 정책이 존재한다.
정책 1: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
정책 2: 미확인응답;
정책 3: PSMP(power save multi-poll, power save multi-poll) 하의 비명시적 확인응답 또는 스케줄링된 확인응답; 및
정책 4: 블록 확인응답.
제1 확인응답 정책(정책 1)에서는, 비집계 패킷 내의 QoS 데이터에 대해, ACK 프레임을 반환하기 위해 수신단이 지정된다. ACK 프레임은 즉시 반환될 필요가 있으며, ACK 프레임의 반환과 송신단이 마지막 데이터의 급송을 끝내는 시점 사이의 시간 간격은 짧은 프레임간 공간(SIFS, Short Inter-Frame Space)이다. ACK 프레임의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부분은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서비스 데이터 유닛(PSDU, PLCP service data unit) 또는 데이터 유닛으로도 지칭되며,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기간(Duration) 필드, 수신기 주소(RA) 필드, 및 복조 및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를 포함한다.
낮은 레이트, 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와 같은 저차(low-order) 변조 방식의 상황에서 또는 낮은 코딩 레이트, 예를 들어 1/2 코딩의 상황에서, MAC 계층 부분의 송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는 크다. 802.11ac를 일례로서 취하면, 6 Mbps의 레이트 및 20 M의 대역폭에서, 각각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은 3개의 바이트(byte)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CK의 MAC 계층 부분은 총 14 바이트를 가지며, 5개의 OFDM 심벌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물리 계층의 프리앰블 부분(preamble)은 총 6개의 OFDM 심벌을 갖는다. 이와 같이, MAC 계층 부분의 오버헤드는 전체 양의 45%에 이르며, 이는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을 낮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확인응답 프레임의 송신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SIG)을 포함함 -; 및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송신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단으로부터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SIG)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유닛 -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SIG)을 포함함 -; 및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송신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수신단으로부터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SIG)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법들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들이 간단히 소개된다. 명백히, 아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독창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법들이 명확하게 설명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일 뿐이다. 독창적인 노력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얻어지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1의 방법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는 당사자(예를 들어, STA 또는 AP)에 의해 실행된다.
101: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한다.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SIG)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STF는 동기화 시퀀스일 수 있고, LTF는 파일럿 주파수일 수 있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는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정보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SIG 내의 예약 비트 또는 예약 상태가 표시 정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가 표시 정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정보의 비한정적인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특정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정보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 또는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과 같은 다른 프레임 타입들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프레임은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SIG 및 PSDU으로 구성되며, 종래 기술에서의 확인응답 프레임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게다가,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은 종래 기술에서의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STF, LTF 및 SIG 부분들은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의 그것들과 동일하며,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PSDU 부분만이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의 그것과 다르다는 점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의 각각의 필드의 정의들은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또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의 그것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옵션으로서, 다른 예로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는 수신 당사자의 RA 또는 부분적 RA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또는 부분적 RA는 SIG 내의 PAID(Partial Association Identifier)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RA의 일례는 수신 당사자의 MAC 주소이다.
대안으로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는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송신 기회(TXOP)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속기간(Duration)은 일반적으로 TXOP의 기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제1 프레임 상호작용 동안 준비 상태로 설정된다. ACK 프레임이 제1 프레임 상호작용 동안 나타나지 않는 경우, 이 필드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지속기간은 SIG 내의 길이(LENGTH) 서브필드에 의해서도 표현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101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예를 들어, 정책 1 또는 정책 1의 확장/변경 버전 또는 새로 추가된 정책)의 표시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다양한 정책들은 아래에서 특정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 또는 축소된(truncated) 통상적인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 또는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PSDU 또는 SIG의 변조 및 코딩 스킴에 따라 생성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이 생성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축소된 통상적인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또는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축소된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이 생성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버전 프로토콜이 1 GHz보다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버전 프로토콜이 1 GHz보다 낮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축소된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 및/또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은 현행 802.11ac에서 정의되는 SIFS보다 짧은 반환 간격을 채택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프레임은 데이터(DATA) 프레임이고,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이다. 대안으로서, 송신 프레임은 송신 요청(RTS) 프레임이고, 확인응답 프레임은 RTS 프레임에 대한 송신 확인(CTS) 프레임이다.
102: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계 101에서 생성된 확인응답 프레임이 송신 프레임의 수신단으로 반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개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2의 방법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당사자(예로서, STA 또는 AP)에 의해 실행되며, 도 1의 방법에 대응한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된다.
201: 송신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일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프레임은 예를 들어 정책 1 또는 정책 1의 확장/변경 버전을 표시하거나 새로 추가된 정책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정책 필드를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다양한 정책들은 아래에서 특정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 또는 축소된 통상적인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축소된 통상적인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축소된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버전 프로토콜이 1 GHz보다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한다. 버전 프로토콜이 1 GHz보다 낮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축소된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한다.
202: 수신단으로부터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며,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고,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및 SIG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단계 202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에 포함된 표시 정보가 획득되며, 확인응답 프레임이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지의 여부가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 표시 정보는 SIG 내의 예약 비트 또는 예약 상태 또는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에 의해 운반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 정보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 또는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과 같은 다른 프레임 타입들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프레임은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SIG 및 PSDU으로 구성되며, 종래 기술에서의 확인응답 프레임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게다가,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은 종래 기술에서의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STF, LTF 및 SIG 부분들은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의 그것들과 동일하며,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PSDU 부분만이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의 그것과 다르다는 점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의 각각의 필드의 정의들은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또는 통상적인 확인응답 프레임)의 그것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단계 202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에 포함된 수신 당사자의 수신기 주소(RA) 또는 부분적 RA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또는 부분적 RA는 SIG 내의 PAID 필드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RA의 일례는 수신 당사자의 MAC 주소이다.
대안으로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에 포함된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송신 기회의 지속기간이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지속기간은 SIG 내의 길이(LENGTH) 필드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SIG 내에 포함된 PAID도 획득될 수 있으며, PAID가 올바른 상황에서, 표시 정보에 따라 확인응답 프레임이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인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일 때,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송신 프레임이 RTS 프레임일 때, 확인응답 프레임은 RTS 프레임에 대한 CTS 프레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확인응답 정책들은 아래에서 특정 예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확인응답 정책들의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 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될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어지는 각각의 특정 실시예는 데이터 프레임(또는 짧게 데이터로서 지칭됨) 및 그의 ACK 프레임(또는 짧게 ACK로서 지칭되며, 통상적인 ACK 또는 짧은 ACK를 포함함)의 일례를 취하여 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타입의 확인응답 프레임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호작용 시나리오는 데이터를 한 번 송신 및 수신하고, ACK를 한 번 송신 및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일 상호작용으로서 가정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에서, STA1은 TXOP 홀더(holder)이고, 데이터 송신단 및 ACK 프레임의 타겟 수신단이며, STA2는 데이터 수신단 및 ACK 송신단이고, STA3은 다른 STA이다(STA3은 하나 이상의 ST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 기회(TXOP)의 중요한 개념이 802.11e의 수정 내에 도입된다. TXOP는 국이 특정 통신 타입을 송신할 수 있는 제한된 기간을 지칭한다. 국은 경쟁을 통해 TXOP를 획득한다. TXOP를 획득하면, 국은 데이터 프레임, 제어 프레임 및 관리 프레임을 송신하고,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TXOP를 획득하는 국은 TXOP 홀더로서 지칭된다.
실시예 1
데이터 송신단(STA1)에서의 동작들은 종래 기술에서의 데이터 송신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의 QoS 제어 필드의 확인응답 정책 필드(B5, B6)는 정책 1(B5B6 = 00), 즉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으로 채워진다는 점이 특히 지적되어야 한다. 정책을 통해 짧은 ACK를 반환하기 위해, 현행 프로토콜은 아래와 같이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 1: 통상적인 수신 응답, 암시적인 블록 수신 응답 또는 축소된 통상적인 수신 응답.
데이터 수신단(STA2)에서의 동작들은 종래 기술에서의 수신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STA2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후에 STA2는 QoS 제어 필드 내의 확인응답 정책 필드를 분석하여 수신 응답 정책이 정책 1이고 패킷이 비집계 패킷이라는 것을 발견한다는 점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 ACK 또는 짧은 ACK가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로서, 통상적 ACK가 사용될지 또는 짧은 ACK가 사용될지는 PSDU 또는 SIG의 변조 및 코딩 스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그널링 SIG의 포맷이 표 1에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제어 시그널링
비트 의미
B0-B3 MCS
B4-B15 LENGTH, 데이터의 길이(바이트 단위)
B16-B24 PAID, 수신 당사자의 부분 연관성 식별자
B25-B33 다른 필드들
B34-B41 CRC
B42-B47 Tail(테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어 시그널링은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스킴을 표현하기 위해 변조 및 코딩 스킴(MCS)을 포함한다. MCS의 스케줄링된 레이트가 높은 경우, 통상적인 ACK가 선택되고 사용된다. MCS의 스케줄링된 레이트가 낮은 경우, 짧은 ACK가 선택되고 사용된다. 확실히, 일 구현 프로세스에서 다른 선택 방법들도 채택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짧은 ACK가 채택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ACK 송신단(STA2)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통상적 ACK에 비해, 짧은 ACK의 MAC 부분(또는 PSDU로서 지칭됨)이 제거되며, 짧은 ACK의 SIG 부분의 예약 상태가 패킷이 짧은 ACK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B0 내지 B3의 4개의 비트가 MCS를 형성되며, 현재 상황에 따라 0에서 9까지 단지 10 종류의 MCS가 존재한다. 따라서, 예약 상태, 예를 들어 1111이 존재한다. 따라서, MCS가 모두 1(MCS의 모든 비트들이 1)이라는 것은 패킷이 짧은 ACK임을 고유하게 표시하며, MCS가 1110일 때, 패킷이 짧은 CTS라는 것이 표시된다. 이때, LENGTH 서브필드는 본래의 정의에 따라 데이터 패킷의 길이(바이트 단위를 사용)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래의 MAC 계층 내의 지속기간 필드의 함수와 유사한 이 TXOP의 지속기간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NGTH는 이 TXOP 내의 OFDM 심벌들의 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통상적인 가드 간격을 갖는 각각의 OFDM 심벌은 40 ㎲의 지속기간을 가짐), 따라서 12 비트의 LENGTH는 (0~212-1)*40㎲의 지속기간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통상적 ACK에 비해, 짧은 ACK의 피드백 간격은 변경되지 않으며, 여전히 SIFS이다.
타겟 ACK 수신단(STA1)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데, 즉 ACK의 피드백 시간이 고정된 짧은 시간 간격 SIFS이므로, ACK 수신단은 시간 SIFS + 슬롯 시간(slot time)의 기간 내에 채널을 검출하여, 패킷이 반환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반환되는 패킷이 발견되면, 제어 시그널링이 먼저 복조되고, 순환 중복 검사(CRC)가 올바른 경우, 제어 시그널링 부분이 올바르게 수신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어서, PAID가 올바른지, 즉 반환되는 패킷의 제어 시그널링 내에서 운반되는 PAID가 ACK 수신단의 PAID와 일치하는지를 결정한다. PAID들이 일치하는 경우, PAID가 올바른 것으로 결정하며, 따라서 반환되는 패킷이 ACK 수신단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2개의 PA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PAID가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며, 따라서 반환되는 패킷이 ACK 수신단으로 송신되지 않고,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어 표시 정보에 따라 반환되는 패킷이 통상적 ACK인지 또는 짧은 ACK인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실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환 패킷 검출의 정밀도가 더 향상되어, 확인응답 프레임의 송신의 효율이 향상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 시그널링이 PAID를 갖지 않는 경우, PAID가 올바른지를 결정하는 단계가 생략되는데, 예를 들어 반환되는 패킷이 항상 ACK 수신단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시그널링 내의 B0 내지 B3이 모두 1(B0 내지 B3의 모든 비트가 1)인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 반환되는 패킷은 짧은 ACK로서 간주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반환되는 패킷은 통상적 ACK일 수 있으며, 이어지는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 검출 프로세스에 따라 복조된다. 패킷이 통상적 ACK이고, 그의 FCS가 올바른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통상적 ACK가 올바르게 수신된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ACK 수신단(STA3)에서의 동작은 타겟 ACK 수신단(STA1)에서의 동작과 동일하지만, PAID가 올바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STA3이 이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지 않은 경우, STA3은 PAID를 판단할 필요가 없다. 반환되는 패킷이 짧은 ACK인 것을 발견한 후, STA3은 반환되는 패킷이 확실히 STA3 자신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이 아닌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짧은 ACK를 올바르게 수신한 후, STA3은 짧은 ACK 내에 설정된 LENGTH 서브필드에 따라 반환 시간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의 표 1에서, B0 내지 B3의 예약 상태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통상적 ACK인지 또는 짧은 ACK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정보를 운반하도록 채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위치에서의 예약 상태도 표시 정보를 운반하도록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와 실시예 1 간의 차이는 제어 시그널링에서 프레임이 짧은 ACK임을 표시하기 위해 명시적 비트가 사용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표 2는 이 실시예에서의 제어 시그널링의 예시적인 포맷이며, 여기서 예약 비트 B25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통상적 ACK인지 또는 짧은 ACK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정보를 운반한다.
제어 시그널링
비트 의미
B0-B3 MCS
B4-B15 LENGTH
B16-B24 PAID
B25 SACK(짧은 ACK), 확인응답 프레임이 짧은 ACK인지를 표시함
B26-B33 다른 필드들
B34-B41 CRC
B42-B47 테일
이 상황에서, ACK 송신단에 대해, 짧은 ACK 내의 다른 필드들의 값들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ACK 수신단에 대해, 반환되는 패킷의 제어 시그널링의 B25가 1인 것이 발견되는 한, 프레임은 짧은 ACK인 것으로, 즉 이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부분을 갖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ACK 수신단은 여전히 LENGTH를 통해 지속기간을 설정할 수 있거나, LENGTH와 MCS를 결합하여 지속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위의 표 2에서, 예약 비트 B25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통상적 ACK인지 또는 짧은 ACK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정보를 운반하도록 채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위치에서의 예약 비트도 표시 정보를 운반하도록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과 실시예 1의 차이는 제어 시그널링에서 프레임이 짧은 ACK임을 표시하기 위해 비트가 명시적인 새로운 정의를 이용하여 재정의된다는 점이다. 이때,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의 제어 시그널링 내의 각각의 필드의 정의들이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각각의 필드의 정의들과 완전히 다른 설계가, 즉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에 대한 특수 제어 시그널링 필드를 재설계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은 이 실시예에서의 제어 시그널링의 예시적인 포맷이다.
제어 시그널링
비트 의미
B0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에 대한 식별자:
0: 통상적 데이터 프레임
1: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
B1(B0=1)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타입:
0: 짧은 ACK
1: 짧은 CTS
B2-B11(B0=1) LENGTH(지속기간)
B12-B33(B0=1) 부분 RA (Partial RA)
B34-B41(B0=1) CRC
B42-B47(B0=1) 테일
표 3은 표시 정보 B0=1일 때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제어 시그널링 내의 각각의 필드의 정의들을 나타낸다. B0=0인 경우, 완전히 상이한 정의들의 다른 세트가 표 1을 관련하여 채택될 수 있다.
ACK 수신단에 대해, 반환되는 패킷의 제어 시그널링 내의 B0이 1인 것이 발견되는 한, 프레임은 짧은 ACK인 것으로, 즉 이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부분을 갖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ACK 수신단은 여전히 LENGTH를 통해 지속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위의 표 3에서,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B0 비트는 프레임이 통상적 데이터 프레임인지 또는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정보를 운반하도록 채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위치에서의 예약 비트도 표시 정보를 운반하도록 채택될 수 있다.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는 더 많은 데이터 타입을 표시하기 위해 2개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줄어들어,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와 실시예 1의 차이는 짧은 ACK가 새로운 확인응답 정책으로서 정의된다는 점이다. 즉, 새로운 확인응답 정책(아래와 같은 정책 5)이 추가된다.
정책 1: 통상적인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
정책 2: 비-확인응답;
정책 3: PSMP 하의 비명시적 확인응답 또는 스케줄링된 확인응답;
정책 4: 블록 확인응답; 및
정책 5: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
데이터 송신단의 경우, 데이터 수신단이 짧은 ACK를 반환하도록 요청되는 경우, 데이터 송신단은 정책 5를 QoS 제어 필드 내의 확인응답 정책 필드 내에 채우는 것이 필요하다. 현행 정책 필드는 단지 2개의 비트를 가지며, 단지 4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5개의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필드는 3 비트로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데이터 수신단이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 수신단이 확인응답 정책이 정책 5인 것을 발견하는 경우, 데이터 수신단은 짧은 ACK만을 반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와 실시예 1의 차이는 짧은 ACK를 사용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능력이 데이터 송신단에 속한다는 점이다.
정책 5는 재정의된 확인응답 정책이므로, 짧은 ACK의 반환 간격은 재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래의 SIFS는 짧은 ACK의 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더 짧아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SIFS 및 OFDM 심벌 시간 사이에는 4배 관계가 존재한다. 20MHz의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현행 OFDM 심벌은 4㎲이고, SIFS는 16㎲이다. 1GHz 아래의 시스템의 경우, 대역폭이 감소할 수 있다. 2MHz의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OFDM 심벌은 40㎲이고, 이때 현행 계산 방법에 따른 SIFS는 160㎲이다. 이때, SIFS는 OFDM 심벌 시간의 2배(80㎲) 또는 하나의 OFDM 심벌 시간(40㎲) 또는 훨씬 더 짧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실시예 5
실시예 5와 실시예 1의 차이는 짧은 ACK가 통상적 ACK를 완전히 대체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정책 1과 유사하지만 다른 정책 1a는 다음과 같다.
정책 1a: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인 블록 확인응답.
데이터 수신단이 데이터 프레임의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정책 1인 것을 발견할 때, 확인응답 프레임의 송신이 필요한 경우, 짧은 ACK가 송신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짧은 ACK는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통상적 ACK를 대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책 1a의 특정 내용들은 상이한 버전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1GHz보다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버전 프로토콜 및 1GHz보다 낮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버전 프로토콜)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정책 1b: 1GHz 위에 대한 버전 프로토콜은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나타내며, 1GHz 아래에 대한 버전 프로토콜은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나타낸다.
이때, 짧은 ACK의 반환 간격이 재정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행 SIFS는 짧은 ACK의 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더 짧아질 수 있다. 현재, 현행 SIFS 및 OFDM 심벌 시간 사이에는 4배의 관계가 존재한다. 20MHz의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현행 OFDM 심벌은 4㎲이고, SIFS는 16㎲이다. 1GHz 아래의 시스템의 경우, 대역폭이 감소할 수 있다. 2MHz의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OFDM 심벌은 40㎲이고, 이때 현행 계산 방법에 따른 SIFS는 160㎲이다. 이때, SIFS는 OFDM 심벌 시간의 2배(80㎲) 또는 하나의 OFDM 심벌 시간(40㎲) 또는 훨씬 더 짧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게다가, ACK 프레임의 위의 실시예들은 다른 타입의 확인응답 프레임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TS 프레임은 RTS 프레임에 대해 특별히 사용되는 확인응답 프레임이며, CTS 프레임의 MAC 계층 프레임 구조는 ACK 프레임의 그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ACK 프레임의 축소 방법은 CTS 프레임을 유사하게 축소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으며, 이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게다가, ACK 프레임과 달리, CTS 프레임은 ACK만큼 많은 정책을 갖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즉석 확인응답이다. 따라서,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새로 도입되는 짧은 CTS는 통상적 CTS와 공존할 수 있거나, 통상적 CTS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거나, 통상적 CTS를 대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의 장치(30)는 생성 유닛(31) 및 송신 유닛(32)을 포함하는 확인응답 프레임의 송신단, 예로서 STA 또는 AP이다.
생성 유닛(31)은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한다.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및 SIG으로 구성된다. 송신 유닛(32)은 생성 유닛(31)에 의해 생성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도 3의 장치는 도 1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다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생성 유닛(31)에 의해 생성되는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는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정보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생성 유닛(31)에 의해 생성되는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는 수신 당사자의 RA 또는 부분적 RA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 또는 부분적 RA는 SIG 내의 PAID 필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생성 유닛(31)에 의해 생성되는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는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TXOP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송신 기회의 지속기간은 SIG 내의 LENGTH 필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생성 유닛(31)에 의해 생성되는 확인응답 프레임은 통상적 확인응답 프레임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SIG 및 PSDU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생성 유닛(31)은 SIG 내의 예약 비트 또는 예약 상태 또는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를 이용하여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생성 유닛(31)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의 표시(예를 들어, 위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의 정책 1, 1a, 1b 및/또는 새로 추가된 정책 5)에 따라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 또는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생성 유닛(31)은 PSDU 또는 SIG의 변조 및 코딩 스킴에 따라 통상적 확인응답 프레임 또는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생성 유닛(31)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통상적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생성 유닛(31)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또는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때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버전 프로토콜이 1GHz보다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생성 유닛(31)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버전 프로토콜이 1GHz보다 낮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생성 유닛(31)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가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 및/또는 통상적 확인응답 프레임은 현행 802.11ac에서 정의된 SIFS보다 짧은 반환 간격을 채택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의 각각의 필드의 정의들은 통상적 데이터 프레임의 정의들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이고,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이다. 대안으로서, 송신 프레임은 RTS 프레임이고, 확인응답 프레임은 RTS 프레임에 대한 CTS 프레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장치(40)는 송신 유닛(41) 및 수신 유닛(42)을 포함하는 확인응답 프레임의 수신단, 예를 들어 STA 또는 AP이다.
송신 유닛(41)은 송신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송신한다. 수신 유닛(42)은 수신단으로부터 송신 프레임에 대한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및 SIG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확인응답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하고, 확인응답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확인응답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도 4의 장치(40)는 도 2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반복을 피하기 위해 다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42)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에 포함된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표시 정보는 확인응답 프레임이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포함하는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옵션으로서, 일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42)은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에 포함된 수신 당사자의 RA 또는 부분적 RA를 획득할 수 있거나,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의 SIG 내에 포함된 TXOP의 지속기간을 획득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42)에 의해 수신되는 확인응답 프레임은 통상적 확인응답 프레임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 확인응답 프레임은 STF, LTF, SIG 및 PSDU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유닛(41)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프레임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의 표시(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5에서의 정책 1 및/또는 새로 추가된 정책 5)를 운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 또는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버전 프로토콜이 1GHz보다 높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버전 프로토콜이 1GHz보다 낮은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할 때, 확인응답 정책 필드는 축소된 통상적 확인응답 또는 암시적 블록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42)은 SIG 내의 예약 비트 또는 예약 상태 또는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에 의해 운반되는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수신 유닛은 SIG 내에 포함된 PAID를 획득할 수 있고, PAID가 올바른 상황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이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인지는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옵션으로서,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이고, 확인응답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이다. 대안으로서, 송신 프레임은 RTS 프레임이고, 확인응답 프레임은 RTS 프레임에 대한 CTS 프레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장치(30 또는 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예들과 관련하여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능들이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지는 기술적 해법들의 특정 응용들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상이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위의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를 위해,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들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되거나 설명된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일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간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전자, 기계 또는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 요소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들로서 디스플레이된 요소들은 물리적 유닛들이거나 아닐 수 있거나,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해법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내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처리 유닛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개별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들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법들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도록 (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한다.
위의 설명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일 뿐이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 쉽게 인식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34)

  1.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단으로부터의 송신 프레임을 데이터 수신단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프레임에 대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상기 데이터 수신단에서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으로 구성됨 -; 및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상기 데이터 송신단에, 상기 데이터 수신단에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의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 예약 비트, 또는 예약 상태에 의해 운반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수신 당사자의 수신기 주소 또는 부분적 수신기 주소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송신 기회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이 상기 수신 당사자의 상기 수신기 주소 또는 상기 부분적 수신기 주소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의 부분적 연관성 식별자 필드를 통해 상기 수신기 주소 또는 상기 부분적 수신기 주소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이 상기 송신 프레임의 상기 지속기간 또는 상기 송신 기회의 상기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의 길이 필드를 통해 상기 송신 프레임의 상기 지속기간 또는 상기 송신 기회의 상기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프레임에 대한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확인응답 정책 필드의 표시에 따라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장치로서,
    데이터 송신단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프레임에 대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유닛 -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으로 구성됨 -; 및
    상기 생성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상기 데이터 송신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의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 예약 비트, 또는 예약 상태를 통해 상기 표시 정보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수신 당사자의 수신기 주소 또는 부분적 수신기 주소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송신 기회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의 표시에 따라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장치로서,
    송신 프레임을 수신단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상기 송신 프레임에 대한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은 짧은 훈련 필드(STF), 긴 훈련 필드(LTF) 및 제어 시그널링으로 구성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에 포함된 표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짧은 확인응답 프레임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의 새로운 정의가 추가되는 비트, 예약 비트, 또는 예약 상태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표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에 포함된 수신 당사자의 수신기 주소 또는 부분적 수신기 주소를 획득하거나, 상기 제어 시그널링 내에 포함된 상기 송신 프레임의 지속기간 또는 송신 기회의 지속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확인응답 정책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147010580A 2011-10-31 2012-10-11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51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3376677A CN103095425A (zh) 2011-10-31 2011-10-31 无线局域网中传输确认帧的方法和装置
CN201110337667.7 2011-10-31
PCT/CN2012/082755 WO2013064007A1 (zh) 2011-10-31 2012-10-11 无线局域网中传输确认帧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460A KR20140065460A (ko) 2014-05-29
KR101651760B1 true KR101651760B1 (ko) 2016-08-26

Family

ID=4819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580A KR101651760B1 (ko) 2011-10-31 2012-10-11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96614B2 (ko)
EP (1) EP2747329B1 (ko)
JP (1) JP5819002B2 (ko)
KR (1) KR101651760B1 (ko)
CN (1) CN103095425A (ko)
AU (1) AU2012331846B2 (ko)
IN (1) IN2014CN02274A (ko)
WO (1) WO2013064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1531A1 (fr) * 2012-06-05 2013-12-06 France Telecom Trames de controle de courte duree en couche physique
US10097315B2 (en) * 2013-04-19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Group scheduling and acknowledgement for wireless transmission
WO2017061797A1 (ko) 2015-10-07 201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다중 사용자 전송에 있어서 확인응답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788910B (zh) * 2015-11-20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机会持有者变更方法及装置
CN107994976B (zh) * 2016-10-26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应答回复方法及装置
US11758513B2 (en) * 2020-04-20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with uplink message short data field
US11523301B2 (en) 2020-04-20 2022-12-06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with buffer status repor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037B2 (ja) * 2004-08-11 2010-03-2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643299B1 (ko) 2005-06-09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레거시 방식의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79041B1 (ko) * 2005-11-30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향 호환성을 제공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TWI339540B (en) 2005-06-09 2011-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with down compatibility in high throughput wireless network
JP2009508451A (ja) * 2005-09-12 2009-02-2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高速制御メッセージング機構
US20080049707A1 (en) * 2006-07-12 2008-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packet for wireless transmission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receiving using the same
JP5175633B2 (ja) * 2008-06-19 2013-04-0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の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の制御プログラム
CN101616442B (zh) * 2008-06-23 2012-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链路数据传输方法、终端装置
JP5633048B2 (ja) * 2009-08-12 2014-12-03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Sdmaマルチデバイス無線通信
KR101328213B1 (ko) 2010-02-12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158331B (zh) * 2011-05-23 2013-10-30 浙江工商大学 一种无线自组织网络的mac层可靠组播方法
US9049155B2 (en) * 2011-09-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ual interpretation of a length field of a signa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35208A (ja) 2014-12-25
US20140233553A1 (en) 2014-08-21
AU2012331846A1 (en) 2014-04-17
IN2014CN02274A (ko) 2015-06-19
CN103095425A (zh) 2013-05-08
EP2747329B1 (en) 2020-06-10
EP2747329A4 (en) 2014-07-30
EP2747329A1 (en) 2014-06-25
AU2012331846B2 (en) 2016-03-24
JP5819002B2 (ja) 2015-11-18
WO2013064007A1 (zh) 2013-05-10
KR20140065460A (ko) 2014-05-29
US9596614B2 (en)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8858B (zh) 在无线lan系统中发送和接收多用户块确认帧的方法及其设备
US101112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ver initiated protec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exchange
US93637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ecoding short control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651760B1 (ko)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확인응답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931396B2 (en) Aggregated-MPDU, method for transmitting response frame thereto,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US20140294019A1 (en) Fragmentation for long packets in a low-speed wireless network
US1153313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TW201519596A (zh) 智慧HARQ WiFi系統及方法
WO2016088957A1 (ko) 무선랜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 없이 에러를 회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68015B2 (en)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access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925514B (zh) 使用触发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US20140056223A1 (en) Fragmentation for long packets in a low-speed wireless network
AU20172051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length block acknowledgment
JP6356129B2 (ja) 低速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ロングパケットのための改良されたフラグメンテーション
US20240031853A1 (en) Station apparatus and access point apparatus
US1151009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frame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30284250A1 (en) Long inter-frame space and enhanced reverse direction protocol for low latency transmission
KR20220111151A (ko) 축약 ba 구성 및 시그널링 기법
KR20220047108A (ko) 축약 ba 구성 및 시그널링 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