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747B1 -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747B1
KR101650747B1 KR1020100041662A KR20100041662A KR101650747B1 KR 101650747 B1 KR101650747 B1 KR 101650747B1 KR 1020100041662 A KR1020100041662 A KR 1020100041662A KR 20100041662 A KR20100041662 A KR 20100041662A KR 101650747 B1 KR101650747 B1 KR 10165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local time
mobile communication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268A (ko
Inventor
오세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747B1/ko
Priority to US13/100,207 priority patent/US8504027B2/en
Publication of KR2011012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을 저장하는 로컬 타임 저장 단계,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이한 경우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는 스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므로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듀얼모드 단말기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DUAL MODE TERMINAL}
본 발명은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듀얼모드(Dual Mode) 단말기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무선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 즉,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무선 기술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서비스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듀얼모드 단말기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이 복합화 되는 추세에 의해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듀얼모드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데이터 통신 시스템인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Wibro, WiFI, HDR 등 다양한 무선 기술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HDR(High Data Rate)은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HDR은 고속의 패킷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도록 시스템을 최적화시켜 문자, 영상 등의 데이터를 1.25MHz의 협대역에서 최고 2.45MHz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듀얼모드 단말기는 선호 로밍 리스트(Preferred Roaming List, PRL)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스캔하여 획득한 후, 상기 PRL 상에서 상기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연관 태그(Association Tag)를 가지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여 획득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시간 대 경계 지점인 타임 존 경계 영역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 획득 시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지방 시간)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획득할 우려가 있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잘못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상호 동기화가 불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획득함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단말기의 동작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임 존 경계 영역에서, 로컬 타임이 일치하지 않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및 획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을 저장하는 로컬 타임 저장 단계,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이한 경우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는 스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스캔하고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부, 데이터 통신을 스캔하고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이동통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을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고,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이 동일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로컬 타임 관리부 및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이 상이한 경우,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제어하는 스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듀얼모드 단말기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시스템 스캔 방법의 전체적인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제어부(270)가 시스템 스캔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3에서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는 S305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순서도.
도 5는 도 3에서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는 S350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가 스캔 제외 리스트를 초기화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우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를 정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이란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속한 단말기에게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서비스를 비롯하여 문자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란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시로 HDR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듀얼모드 단말기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두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하이브리드(Hybrid) 단말기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 획득이란 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채널을 획득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해 슬롯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슬롯 모드란 단말기가 슬립 모드(sleep mode)와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를 반복하여 전환하도록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슬롯 모드는 각 단말기마다 고유하게 정해진 슬롯에서만 어웨이크되어 기지국의 제어 채널(특히,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며, 나머지 슬롯에서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시스템 스캔 방법의 전체적인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네트워크(110)는 제1 로컬 타임을 사용하며,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과 제1 데이터 통신 시스템(140)을 통해 듀얼모드 단말기(17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계열의 통신망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계열의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듀얼모드 단말기(170)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하였지만, 복수 개의 기지국과 그에 의한 커버리지(Coverage)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데이터 통신 시스템(140)은 고속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WLAN, Wibro, WiFI, HDR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에 의해 듀얼모드 단말기(170)에게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120)는 제1 로컬 타임과 상이한 제2 로컬 타임을 사용하며, 제2 이동통신 시스템(150)과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160)을 통해 듀얼모드 단말기(17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150) 및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160)에 대한 설명은 제1 네트워크(110)의 ,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과 제1 데이터 통신 시스템(140)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1 네트워크(110)에 위치 시, 전원이 온(on)되면 내장된 PRL을 이용하여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스캔한다. 그리고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의 제어 채널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에서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를 수신하여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획득한다.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획득한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상기 PRL 상에서, 획득된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과 동일한 연관 태그(Association Tag)를 가지는 제1 데이터 통신 시스템(140)을 스캔한다. 그리고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1 데이터 통신 시스템(140)의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획득하여 제1 데이트 통신 시스템(140)을 획득한다.
한편,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과 제1 데이터 통신 시스템(140)을 획득한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의 경계 지역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와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2 네트워크(12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16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물론,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2 이동통신 시스템(15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역시 감지한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듀얼모드 단말기(170)에게 필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스캔 대상에서 제외할 수는 없다. 즉, 제2 이동통신 시스템(15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스캔 대상에서 제외할 수는 없는 신호이다.
다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16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만약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연관 태그가 제1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관 태그와 동일하다면,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획득한 제1 이동통신 시스템의 로컬 타임과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로컬 타임은 상이하므로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호 동기화가 불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획득함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단말기의 동작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현재 획득한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의 로컬 타임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이하의 도 2 내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이동통신부(210), 데이터 통신부(220), 표시부(230), 입력부(240), 저장부(250),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250)는 스캔 제외 리스트(260)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70)는 로컬 타임 관리부(270A), 스캔 제어부(27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부(210)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이동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부(210)는 송신되는 이동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이동통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출력하고, 제어부(27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부(210)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와,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을 스캔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20)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한다. 이를 위한, 데이터 통신부(2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동통신부(210)의 구성과 유사하며,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30)는 듀얼모드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설정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240)는 듀얼모드 단말기(17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입력부(34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일측 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250)는 크게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은 듀얼모드 단말기(170)를 부팅 시키는 운영체제,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기타 옵션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외장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을 통해서 이동 또는 복제하는 컨텐츠 및 유무선 인터넷 망의 웹 서버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는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상기 외부 컨텐츠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전술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50)는 스캔 대상에서 제외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캔 제외 리스트(260)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70)는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70)는 로컬 타임 관리부(270A), 스캔 제어부(27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로컬 타임 관리부(270A)는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 저장 및 관리한다. 로컬 타임 관리부(270A)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Sync Channel Message)를 통해 로컬 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였다면, 확인한 로컬 타임을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로컬 타임 관리부(270A)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Sector Parameter Message)를 수신하여 현재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HDR 이라면, 상기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는 HDR Sector Parameter Message일 수 있다.
그리고 로컬 타임 관리부(270A)는 현재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현재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스캔 제어부(270B)에 출력한다.
스캔 제어부(270B)는 상기 로컬 타임 관리부(270A)로부터 현재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현재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의 비교 결과를 수신한다. 그리고 스캔 제어부(270B)는 비교된 로컬 타임이 상이하면,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스캔 제어부(270B)는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제외 리스트(260)에 추가한다. 반면, 비교된 로컬 타임이 일치하면, 스캔 제어부(270B)는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 포함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스캔 제어부(270B)는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제외 리스트(260)에 추가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캔 제어부(270B)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시, PRL과 스캔 제외 리스트(260)를 비교한다. 그리고 스캔 제어부(270B)는 현재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연관 태그를 가지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스캔 제외 리스트(260)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스캔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스캔 제어부(270B)는 듀얼모드 단말기가 핸드오버 하거나 또는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이동 시, 상기 스캔 제외 리스트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제어부(270)가 시스템 스캔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270)는 S305 단계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한다. 상기 S305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S310 단계에서,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중첩 커버리지에 위치하였음을 감지한다. 상기 중첩 커버리지란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 반경과,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통신 반경이 중첩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타임 존 경계 영역으로 칭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S315 단계에서, 임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70)는 S3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만약,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부(270)는 S325 단계에서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로컬 타임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현재 저장된 로컬 타임 즉,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컬 타임과, 상기 추출된 로컬 타임을 비교한다.
제어부(270)는 S335 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판단한 경우 S34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 포함한다. 이는 비록,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중첩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지만,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컬 타임과 동일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제어부(270)는 S335 단계에서, 상이하다고 판단한 경우 S34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70)는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제외 리스트에 포함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 제어부(270)는 S350 단계로 진행하여 PRL과 작성된 스캔 제외 리스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을 수행한다. 상기 스캔 과정은 도 5에서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서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는 S305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270)는 이동통신 시스템 획득을 위해, S410 단계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Sync Channel Message)의 수신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S420 단계에서, 수신한 동기 채널 메시지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S430 단계에서, 확인된 로컬 타임을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S440 단계에서 해당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한다.
도 5는 도 3에서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는 S350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270)는 S510 단계에서, 현재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연관 태그를 가지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PRL(Preferred Roaming List)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S520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들 중 스캔 제외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스캔 제외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S53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스캔 제외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70)는 S540 단계로 진행하여 모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S55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S530 단계 및 S540 단계에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캔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가 스캔 제외 리스트를 초기화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의 도면 설명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제1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제1 네트워크(110)에서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획득한 경우, 제2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160)을 스캔 및 획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고, 이의 구체적인 과정은 상기와 같다.
한편,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제1 이동통신 시스템(130)에서 제2 이동통신 시스템(150)으로 핸드오버 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듀얼모드 단말기(170)는 제2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및 획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스캔 제외 리스트에 포함되어 스캔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듀얼모드 단말기(170)의 제어부(270)가 스캔 제외 리스트를 초기화 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제어부(270)는 S610 단계에서,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이종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였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또는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한 경우일 수 있다. 이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였다면, 제어부(270)는 S630 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스캔 리스트를 초기화 한다. 그러면 제어부(270)는 현재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연관 태그를 가지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해 스캔을 수행하여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이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한 것이 아니라면, 제어부(270)는 S620 단계로 진행하여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진입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진입한 것이라면, 제어부(270)는 S630 단계로 진행하여 스캔 리스트를 초기화 한다. 그러면 제어부(270)는 PRL에 있는 모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해 스캔을 수행하고, 스캔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획득할 수 있다.
듀얼모드 단말기(170)가 이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거나 또는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진입한 것이 아니라면, 제어부(270)는 S640 단계에서 현재 작성된 스캔 제외 리스트와 PRL에 따라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캔을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과 상이한 로컬 타임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스캔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확한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듀얼모드 단말기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 획득 후,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캔 제어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그 반대로 데이터 통신 시스템 획득 후,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캔 제어 방법에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듀얼모드 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정의하였지만, 이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단말기 즉, 동기식의 CDMA 시스템과 비동기식의 GSM 시스템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역시, 동일한 원리에 따라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스캔을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110 : 제1 네트워크 120 : 제2 네트워크
130 : 제1 이동통신 시스템 140 : 제1 데이터 통신 시스템
150 : 제2 이동통신 시스템 160 : 제2 데이터 통신 시스템
170 : 듀얼모드 단말기
<듀얼모드 단말기>
210 : 이동통신부 220 : 데이터 통신부
230 : 표시부 240 : 입력부
250 : 저장부 260 : 스캔 제외 리스트
270 : 제어부 270A : 로컬 타임 관리부
270B : 스캔 제어부

Claims (11)

  1.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을 저장하는 로컬 타임 저장 단계;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이한 경우,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는 스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스캔 제외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저장하고 있는 선호 로밍 리스트에서, 상기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관 태그와 동일한 연관태그를 가지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중 상기 스캔 제외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타임 저장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핸드오버 하거나 또는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이동 시, 상기 스캔 제외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을 스캔하고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부;
    데이터 통신을 스캔하고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이동통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Local Time)을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고,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이 동일한지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로컬 타임 관리부; 및
    상기 획득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과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로컬 타임이 상이한 경우,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 대상에서 제외하여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스캔하도록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제어하는 스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스캔 제외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제어부는,
    내장된 선호 로밍 리스트에서 상기 획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관 태그와 동일한 연관태그를 가지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 중 상기 스캔 제외 리스트에 포함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스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타임 관리부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동기 채널 메시지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타임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섹터 파라미터 메시지로부터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로컬 타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제어부는,
    핸드오버 하거나 또는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이동 시, 상기 스캔 제외 리스트를 초기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장치.
KR1020100041662A 2010-05-04 2010-05-04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 KR10165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662A KR101650747B1 (ko) 2010-05-04 2010-05-04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
US13/100,207 US8504027B2 (en) 2010-05-04 2011-05-03 Data-communication system scanning method and apparatus of a dual mode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662A KR101650747B1 (ko) 2010-05-04 2010-05-04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268A KR20110122268A (ko) 2011-11-10
KR101650747B1 true KR101650747B1 (ko) 2016-08-24

Family

ID=4490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662A KR101650747B1 (ko) 2010-05-04 2010-05-04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4027B2 (ko)
KR (1) KR1016507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3150A1 (en) 2005-04-15 2006-10-19 George Cheria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 channel monitoring in a multi-carrier system
JP2010500791A (ja) 2006-08-04 2010-01-07 エイ ティ アンド ティ モビリティ セカンド エルエルシー 非3gppデバイスのためのnitz(ネットワークid−時間帯)機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1008595A (es) * 1999-02-26 2002-03-14 Qualcomm Inc Metodo y sistema para conexion entre una estacion base cdma de asincronia y una estacion base cdma de sincronia.
CN1460354A (zh) * 2000-12-20 2003-12-03 高通股份有限公司 蜂窝网装置中的时间同步
US6993336B2 (en) * 2003-12-15 2006-01-31 Motorola, Inc. Roaming indicators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3150A1 (en) 2005-04-15 2006-10-19 George Cheria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 channel monitoring in a multi-carrier system
JP2010500791A (ja) 2006-08-04 2010-01-07 エイ ティ アンド ティ モビリティ セカンド エルエルシー 非3gppデバイスのためのnitz(ネットワークid−時間帯)機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5368A1 (en) 2011-11-10
US8504027B2 (en) 2013-08-06
KR20110122268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40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IM card selection according to network environment in dual mode terminal
US8565165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2890189B1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s
CN101617547B (zh) 在移动WiMAX系统中提供更快切换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9204378B2 (en) Wireless network connectivity enhancements
JP2009100210A (ja) 中継装置、中継方法及び中継プログラム
JPWO2009016800A1 (ja) 無線lan端末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探索方法
KR20110125530A (ko) WiFi 기반의 단말기 시스템의 채널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시스템
EP3328125B1 (en) Wlan system and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therein
EP4358594A1 (en) Network camping-on method and apparatus
US873160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ual standby mode terminal
KR2012007070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692370B2 (ja) 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方法
JP2008067184A (ja) 無線通信端末
US94514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ly switching between a trunked mode operation and a direct mode operation
KR101650747B1 (ko) 듀얼모드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스캔 방법 및 장치
EP20288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 portable terminal
KR20230138009A (ko) 통신 경로의 전환 방법, 장치 및 단말
KR2014009980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849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기획득 방법
EP2073445B1 (en) Metho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a WLAN
WO2023011340A1 (zh) 移动性管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EP22910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mtocell search
JP2011019134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3029962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location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