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41B1 -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 - Google Patents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41B1
KR101650341B1 KR1020140161400A KR20140161400A KR101650341B1 KR 101650341 B1 KR101650341 B1 KR 101650341B1 KR 1020140161400 A KR1020140161400 A KR 1020140161400A KR 20140161400 A KR20140161400 A KR 20140161400A KR 101650341 B1 KR101650341 B1 KR 10165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way
railway vehicle
transmitter
distan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654A (ko
Inventor
임춘택
구범우
이은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6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3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indicating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or trains by the transmission of signals therebetwe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의 송신기와 수신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간 자기유도에 의해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의 송신기와 수신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 간 자기유도에 의해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철도차량 내에서 중앙 관리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다른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철도차량 간의 추돌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Distance sensing system between trains using magnetic induction and trains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간 자기유도에 의해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의 송신기와 수신센서 및 이들 송신기와 수신센서를 구비한 철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과 같은 철도차량은 중앙 관리실에서만 각 철도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관실에서는 다른 철도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철도차량 간의 추돌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철도차량 내의 기관사가 다른 철도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381043 B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철도차량 간 자기유도에 의해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철도차량 내에서 중앙 관리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다른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철도차량 간의 추돌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의 송신기와 수신센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선로를 구비하는 철도 상에서 인접하여 주행하는 2개의 철도 차량 간의 거리를 자기유도에 의하여 감지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철도 위를 주행하는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송신기; 및, 상기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철도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철도 위를 주행하는 제2 철도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신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철도, 상기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바퀴와 이를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제2 철도차량의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바퀴와 이를 연결하는 샤프트에 의하여 전기적 폐루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송신기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폐루프에 전류가 흐르고,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2 철도차량의 후방에 배치된 수신센서에 유도된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철도차량과 상기 제2 철도차량 간의 거리가 감지되는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에서 이용되기 위한 철도 차량으로서, 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의 수신센서와 연동하기 위한 송신기가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방에서 주행하는 또다른 차량의 송신기와 연동하기 위한 수신센서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철도 차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 간 자기유도에 의해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철도차량 내에서 중앙 관리실을 거치지 않고 직접 다른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철도차량 간의 추돌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두 열차 사이에 형성된 폐루프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두 열차 사이에 형성된 폐루프에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05
가 형성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서 송신기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06
와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07
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송신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08
에 의한 직접 자기결합에 의해 수신센서에서의 전압 발생을 제거하기 위한 수신센서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은 크게 제1 철도차량(10)과, 제2 철도차량(20)과, 철도(30)를 포함한다.
제1 철도차량(10)의 전면 하부면에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09
을 발생시키는 송신기(11)가 부착된다. 송신기(11)는 'E' 자형 코어와, 'E' 자형 코어의 양측 홈에 각각 송신코일이 감겨지는 구조를 갖는다.
제2 철도차량(20)의 후면 하부면에는 수신센서(21)가 부착된다. 수신센서(21)는 한 쌍의 'ㄷ' 자형 코어와, 한 쌍의 'ㄷ' 자형 코어에 각각 수신코일이 감겨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송신기(11)에서 발생된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0
의 변화에 의해 철도(30)와, 제1 및 제2 철도차량(10,20)의 바퀴(12,22)와, 제1 및 제2 철도차량(10,20)의 샤프트(13,23)가 연결되어 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1
가 흐르는 폐루프가 형성된다.
즉, 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2
는 제1 철도차량(10)의 바퀴(12)와 제1 철도차량(10)의 바퀴(12)를 연결시키는 제1 철도차량(10)의 샤프트(13) 및 제2 철도차량(20)의 바퀴(22)와 제2 철도차량(20)의 바퀴(22)를 연결시키는 제2 철도차량(20)의 샤프트(23) 및 제1 철도차량(10)의 바퀴(12)와 제2 철도차량(20)의 바퀴(22) 사이에 위치한 철도(30)에 의해 형성되는 폐루프에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철도차량(10)과 제2 철도차량(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폐루프에 제1 철도차량(10)의 송신기(11)에서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3
을 가하고, 제2 철도차량(20)의 수신센서(21)에서 폐루프에 형성된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4
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감지한다.
도 2는 도 1에서 두 열차 사이에 형성된 폐루프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두 열차 사이에 형성된 폐루프에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5
가 형성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서 송신기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6
와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7
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송신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8
에 의한 직접 자기결합에 의해 수신센서에서의 전압 발생을 제거하기 위한 수신센서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 사이 거리 감지 원리에 대해 살펴보면, 제1 철도차량(10)의 전면 하부면에 부착된 송신기(11)의 송신코일에 송신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19
가 흐르게 되면 송신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0
에 의한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1
가 발생되어 송신기(11)의 주변에 형성되고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가해져 전압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2
가 유기된다. 이와 같이 유기된 전압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3
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4
여기서,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5
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6
가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쇄교하는 면적을 나타낸다.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7
은 송신기(11)의 송신코일에 흐르는 송신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8
의 주파수로서, 도 2에서 두 열차 사이 철도의 유도성 리액턴스 jωsL0와 두 열차 사이 철로의 내부저항
Figure 112014111338589-pat00029
을 비교해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0
을 무시할 수 있을 만큼의 큰 jωsL0값을 가져야 하며, 동시에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1
의 크기가 수신센서(21)가 감지하기에는 충분해야 하므로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2
는 20㎑ ~ 200㎑ 대역으로 선정된다. 또한, DC 전류(대전류)에 의한 노이즈(noise)를 피할 수 있도록 대역통과필터(BPF)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된 전압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3
에 의해 폐루프에 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4
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폐루프에 흐르는 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5
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6
여기서,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7
는 두 열차 사이 철로의 인덕턴스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8
에 반비례하고, 두 열차 사이 철로의 인덕턴스
Figure 112014111338589-pat00039
는 두 열차 사이 철로의 길이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0
에 비례한다.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1
은 비례계수이다.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2
가 흐름에 따라 암페어의 법칙에 의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열차 사이 철로의 길이가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3
이고, 철로의 폭이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4
인 폐루프에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5
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6
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7
여기서,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8
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는 상수이며, 두 열차간의 거리에만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49
가 반비례한다.
즉,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0
의 크기를 측정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송신기(11)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1
는 도 4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철도차량(10)의 전면 하부면에 부착된 송신기(11)의 송신코일에 송신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2
가 흐르는 경우 발생되어 송신기(11)의 주변에 형성된다.
그리고,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3
는 도 4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4
가 흐름에 따라 암페어의 법칙에 의해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5
가 형성되면 제2 철도차량(20)의 수신센서(21)의 수신코일에 전압이 유도됨으로써 수신코일에 유도된 전압을 측정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6
에 의해 수신센서(21)의 수신코일에 유도된 전압을 측정하여 두 열차간의 거리를 계산함에 있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신기(11)의 송신코일에 송신전류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7
가 흘러 송신기(11)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8
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59
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수신센서(21)를 배치한다. 이러한 수신센서(21)의 배치에 의해, 송신기(11)에서 전달되는 수평 방향의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60
이 두 열차 사이의 폐루프에 형성되는 자기장
Figure 112014111338589-pat00061
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됨으로써 송신기(11)와 수신센서(21) 간의 직접적인 자기 결합에 의한 전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제1 철도차량
11 : 송신기
12,22 : 바퀴
20 : 제2 철도차량
21 : 수신센서
30 : 철도

Claims (5)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선로를 구비하는 철도 상에서 인접하여 주행하는 2개의 철도 차량 간의 거리를 자기유도에 의하여 감지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철도 위를 주행하는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송신기; 및,
    상기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제1 철도차량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철도 위를 주행하는 제2 철도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신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철도, 상기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바퀴와 이를 연결하는 샤프트, 및 상기 제2 철도차량의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바퀴와 이를 연결하는 샤프트에 의하여 전기적 폐루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철도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송신기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폐루프에 전류가 흐르고, 상기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2 철도차량의 후방에 배치된 수신센서에 유도된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철도차량과 상기 제2 철도차량 간의 거리가 감지되는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E자형 코어와, 상기 E자형 코어에 감겨지는 송신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센서는 한 쌍의 ㄷ자형 코어와, 상기 한 쌍의 ㄷ자형 코어에 각각 감겨지는 수신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센서는 상기 송신기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자기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센서 간의 직접적인 자기 결합에 의한 전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기재된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에서 이용되기 위한 철도 차량으로서,
    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의 수신센서와 연동하기 위한 송신기가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방에서 주행하는 또다른 차량의 송신기와 연동하기 위한 수신센서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철도 차량.
KR1020140161400A 2014-11-19 2014-11-19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 KR101650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00A KR101650341B1 (ko) 2014-11-19 2014-11-19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00A KR101650341B1 (ko) 2014-11-19 2014-11-19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654A KR20160059654A (ko) 2016-05-27
KR101650341B1 true KR101650341B1 (ko) 2016-08-23

Family

ID=5610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400A KR101650341B1 (ko) 2014-11-19 2014-11-19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293A (ko) 2019-04-26 2020-11-04 (주)인피니어 내구성이 우수한 근접 센서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4023C1 (ru) * 2017-05-24 2018-08-14 ООО "Научно-коммерческ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мета-Б"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RU2722780C1 (ru) * 2019-10-22 2020-06-0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информатизации,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 связ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транспорте" Способ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331A (ja) 2005-05-30 2006-12-07 Pioneer Electronic Corp 有軌道台車、搬送装置及び有軌道台車の制御方法
KR101172592B1 (ko) 2010-06-01 2012-08-08 김차현 비접촉 전원 공급 장치의 수전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043B1 (ko) 1999-11-23 2003-04-18 김봉택 열차자동정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046496B2 (en) * 2003-05-05 2006-05-16 Nikon Corporation Adaptive gain adjustment for electromagnet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1331A (ja) 2005-05-30 2006-12-07 Pioneer Electronic Corp 有軌道台車、搬送装置及び有軌道台車の制御方法
KR101172592B1 (ko) 2010-06-01 2012-08-08 김차현 비접촉 전원 공급 장치의 수전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293A (ko) 2019-04-26 2020-11-04 (주)인피니어 내구성이 우수한 근접 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654A (ko) 2016-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01256B (zh) 一种中低速磁悬浮列车组合测速定位装置
US9102341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extent of clear, intact track near a railway vehicle
KR101151201B1 (ko) 3선식 궤도 회로용 열차 검지 장치
CA2910776C (en) Train direction detection via track circuits
US9505420B2 (en) Train control system
KR101650341B1 (ko) 자기유도에 의한 철도 차량간 거리 감지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철도 차량
US8590845B2 (en) Wheel sensor
US20130119978A1 (en) Inductive sensor device and inductive proximity sensor with an inductive sensor device
CA2998290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and/or orientation between a primary and a secondary winding structure
CN104002834A (zh) 基于环线感应的有轨电车正线道岔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90308649A1 (en) Railway road crossing warning system with sensing system electrically-decoupled from railroad track
EP2112045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track bound traffic
US92901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a transportation track is occupied
WO2009153526A3 (fr) Procede et systeme et vehicule pour determiner l'usure d'un fil catenaire
CN109263684B (zh) 车载装置、地面装置以及信息传输系统
JP2007015665A (ja) 鉄道車両位置検知装置
WO2013156424A3 (de) Vorrichtung zur zustandsüberwachung eines gehäuses
JP6896250B2 (ja) オープン形コイルの渦電流形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レール変位測定方法
JP6448233B2 (ja) センサ
KR101192456B1 (ko)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철도 레일의 횡변위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센서
JP4398052B2 (ja) 車輪検知装置
KR102136947B1 (ko) 인덕턴스 특성을 이용한 횡변위 검출 방법
CN103884269B (zh) 一种基于电磁涡流激励采集的道岔尖轨密贴形变装置
KR20190072182A (ko) 열차 탈선 검지 장치 및 방법
CN107067886B (zh) 一种基于汽车电子标识的直角转弯考核系统及其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