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64B1 -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64B1
KR101649864B1 KR1020160022055A KR20160022055A KR101649864B1 KR 101649864 B1 KR101649864 B1 KR 101649864B1 KR 1020160022055 A KR1020160022055 A KR 1020160022055A KR 20160022055 A KR20160022055 A KR 20160022055A KR 101649864 B1 KR101649864 B1 KR 10164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ube
polyamide
thickness
conductiv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옥
정장원
Original Assignee
부국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국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국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fou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용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류튜브 내층용 튜브는 정전기 방지 기능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연료와 직접 접촉하고, 연료를 유통시키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inner tube)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Inner layer tube of the automotive fuel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가절감, 연비향상 및 환경보호적인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자동차의 경량화 추세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구성하는 상당한 부품들이 종전의 철제에서 경량의 플라스틱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연료탱크의 경우도 플라스틱과 같은 전도성 수지재료로 대체되고 있고, 상기한 재료의 대체를 통해 상당한 정도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의 달성이 가능하고 기구적인 문제점 또한 없어 큰 문제없이 채택하여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료탱크를 비롯한 일부 유체이송관련 부재들의 플라스틱으로의 소재를 채택하게 되면, 연료공급라인 내부에서 연료가 유동하면서 유발되는 마찰전기에 의한 정전기가 축적됨으로써, 수리를 하거나 연료를 재공급할 때 발화 가능성이 높아져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중요한 결함을 가지게 된다.
연료튜브는 일반적으로 규제에 의해 다층 시스템(multilayer system)이 적용되고 있으며, 다층구조에서 가장 내층에 전기전도성 플라스틱 소재가 적용되었으나, 연료튜브 내층에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첨가된 카본블랙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거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LPI 시스템 자동차의 경우에는 액상의 LPG를 연료로 사용하므로, 연료 튜브에 내열성, 내화학성 뿐만 아니라 고압에도 견딜 수 있는 기계적 물성까지 요구된다. 그리고, 고질적인 시동꺼짐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9668호(2006.03.03)
본 발명은 종래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한 플라스틱 타입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다층 구조가 일체로 적층성형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1. 다층 구조가 일체로 적층성형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 있어서,
(A)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를 포함하는 제1층;
(B) 상기 제1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별도의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12를 포함하는 제2층;
(C) 상기 제2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접착제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12를 포함하는 제3층; 및
(D) 상기 제3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외각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를 포함하는 제4층을 포함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두께가 0.42 내지 0.48 mm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은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4층은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는 전도성 카본이 10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8.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내지 제4층의 두께 비율은 튜브 전체 두께에 대하여 8 - 14 : 60 - 70 : 8 - 14 : 8 - 14 %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내지 제4층은 공압출법(Co-extrusion)으로 일체 성형된 것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는 LPI용인 것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11. 다층 구조가 일체로 적층성형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 있어서,
(A)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1층;
(B) 상기 제1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별도의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12를 포함하고, 두께가 0.42 내지 0.48 mm인 제2층;
(C) 상기 제2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접착제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12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3층; 및
(D) 상기 제3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외각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4층을 포함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13. (1)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를 제1 압출기에 공급하고, 폴리아미드 12를 제2 압출기에 공급하며, 폴리아미드 612를 제3 압출기에 공급하고, 및 폴리아미드 6를 제4 압출기에 공급하는 제1 단계;
(2)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2 및 폴리아미드 6 각각을 다이를 통해 공압출하여, 용융 압출물을 형성하는 제2 단계;
(3) 상기 제2 단계의 용융 압출물을 튜브로 블로잉하는 제3 단계; 및
(4) 제3 단계에서 얻은 튜브를 냉각시켜 일체 성형된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얻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의 제조방법.
14. 위 1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는 용융온도가 209 - 269 ℃이고, 폴리아미드 12는 용융온도가 187 - 251 ℃이며, 폴리아미드 612는 용융온도가 214 - 274 ℃이고, 폴리아미드 6는 용융온도가 213 - 273 ℃인 것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의 제조방법.
15. 위 1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의 제조방법.
16. 위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상기 내층용 튜브 외면에 외부층이 구비된 자동차 연료튜브.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류튜브 내층용 튜브는 정전기 방지 기능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연료와 직접 접촉하고, 연료를 유통시키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inner tube)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층 구조가 일체로 적층성형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 있어서,
(A)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PA12/C)를 포함하는 제1층;
(B) 상기 제1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별도의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12(PA12)를 포함하는 제2층;
(C) 상기 제2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접착제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12(PA612)를 포함하는 제3층; 및
(D) 상기 제3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외각층으로서, 폴리아미드6(PA6)를 포함하는 제4층을 포함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제공한다.
기존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한 플라스틱 타입의 경우 튜브의 재질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가 고가의 재질로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연료투과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하이브리드 타입의 경우에는 연결부위가 많고 스틸재가 연료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료투과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연료 라인의 정비시 연결부위를 해체하였다가 다시 조립하는 경우 연료 누유의 우려가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100)는 전도성이 부여된 PA12/C를 포함하는 제1층(110), PA12를 포함하는 제2층(120)과, 상기 중간층과 외층을 접착시켜주기 위한 접착제층인 PA612를 포함하는 제3층(140), 그리고 PA6를 포함하는 제4층(130)으로 구성된다.
종래 연료 호스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서 연료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PA6를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PA6는 저가이며 내열성, 내화학성 등이 우수하나, PA6는 지나치게 경도가 높아 고압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LPI 시스템에서 더욱 문제가 된다.
또한 PA12는 유연성 및 저온충격에 대한 내성이 높으나 내구성이 불충분하여 연료 호스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소재의 4층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내열성, 내화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물성도 우수하며, 내층용 튜브 외측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시동 꺼짐 문제도 개선된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inner tube)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층용 튜브는 LPI 시스템의 내층용 튜브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연료와 직접 접촉하는 제1층을 형성하는 PA12/C 복합재는 폴리아미드 12(PA 12) 고분자 매트릭스에 전도성 카본이 분산된 구조를 나타낸다. PA 12에 전도성 카본이 분산됨으로써 전도성이 부여되어 정전기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 방지 효과는 연료 공급의 안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LPI 시스템의 경우에는 시동 꺼짐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는 전도성 카본이 10 - 20 중량%로 포함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재에 대하여 전도성 카본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전도성이 떨어져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2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내충격성을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층용 튜브는 제1층의 외면에 폴리아미드 12(PA 12)를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PA12/C층의 외면에 비전도성인 PA12를 함께 사용함에 따라, PA12/C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가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PA12/C와 PA12 적층 시, 특정한 두께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A12/C를 0.06 내지 0.1 mm의 두께 범위로 성형하고, 그 위에 상기 PA12를 0.42 내지 0.48 mm의 두께 범위로 적층 성형할 수 있다.
PA12/C의 경우에는 0.06 mm 미만의 두께로 성형하게 되면 정전기 방지 기능이 떨어지고, 0.1 mm 초과하는 두께로 성형하게 되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PA12층과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PA12의 경우에는 0.42 mm 미만의 두께로 성형하게 되면,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0.48 mm를 초과하는 두께로 성형하게 되면 층간 접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층용 튜브는 제2층의 외면에 폴리아미드 612(PA 612)를 포함하는 제3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은 성질이 다른 PA6와 PA12를 연결해주는 접착제 층으로서, PA612를 사용해야지만, PA6와 PA12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이에 따라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층의 두께가 0.06 내지 0.1 mm의 특정한 두께 범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압출 성형 후, PA6와 PA12의 접착력이 떨어짐에 따라 PA12를 포함하는 중간층과 PA6를 포함하는 외각층의 계면이 박리는 문제점이 있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층용 튜브는 제4층의 외면에 폴리아미드 6(PA6)를 포함하는 제4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4층은 PA6를 포함함에 따라, 연료 라인의 정비 작업시 각 연결부위를 해체 및 재연결시 연료 누설의 가능성이 낮추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4층은 두께가 0.06 mm 초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1 mm일 수 있다.
상기 제4층 두께가 0.06 mm 미만인 경우, 편사와 같은 외부층과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내지 제4층의 두께 비율은 튜브 전체 두께에 대하여 8 - 14 : 60 - 70 : 8 - 14 : 8 - 14 %일 수 있다.
상기 두게 비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내지 제4층은 공압출법(Co-extrusion)으로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가 일체로 적층성형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 있어서,
(A)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1층;
(B) 상기 제1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별도의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12를 포함하고, 두께가 0.42 내지 0.48 mm인 제2층;
(C) 상기 제2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접착제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12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3층; 및
(D) 상기 제3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외각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4층을 포함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제공한다.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는 적절한 물성을 가지며, 자동차 연료튜브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층 내지 제4층은 공압출법(Co-extrusion)으로 일체 성형하는 과정을 통해 각 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는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PA12/C)를 제1 압출기에 공급하고, 폴리아미드 12(PA12)를 제2 압출기에 공급하며, 폴리아미드 612(PA612)를 제3 압출기에 공급하고, 및 폴리아미드 6(PA6)를 제4 압출기에 공급하는 제1 단계;
(2)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2 및 폴리아미드 6 각각을 다이를 통해 공압출하여, 용융 압출물을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3) 상기 제2 단계의 용융 압출물을 튜브로 블로잉하는 제3 단계; 및
(4) 제3 단계에서 얻은 튜브를 냉각시켜 일체 성형된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얻는 제4 단계.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이다.
상기 공압출법은 2개 이상 서로 다른 원료를 각기 다른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용융된 수지를 다이 내부로 보내 여러 겹으로 적층하고 다층화된 원료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냉각하는 방법이다.
상기 공압출법은 향상된 효율로 일정한 두께의 수지 압출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압출 동안에 수지의 품질 저하가 적어, 결과적으로 층이 각각의 특성을 유지하여 높은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진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공압출법은 원형(circular) 다이를 이용한 인플레이션법과 평면형(flat) 다이를 이용한 T-다이법으로 구분되고,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원형 다이를 이용한 인플레이션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층을 구성하는 PA12/C는 209 - 269 ℃, 제2층을 구성하는 PA12는 187 - 251 ℃, 제3층을 구성하는 PA612는 214 - 274 ℃, 제4층을 구성하는 PA6은 213 - 273 ℃의 온도 범위로 용융시켜 튜브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탄화되어 찌꺼기가 생기거나 점도가 현저하게 상승하여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는 자동차 연료튜브로 사용하기 위해, 전술한 바의 물성뿐만 아니라, 인장강도가 400 N 이상이고, 상온 및 저온에서 적절한 내충격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상기 내층용 튜브 외면에 외부층이 구비된 자동차 연료튜브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층으로는 당분야에 공지된 구성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보강층, 외층튜브, 외면코팅층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차 연료튜브는 유연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연료 침지 후에도 전기전도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크에 의한 화재위험을 방지 내지 감소할 수 있으며, 연료시스템에 사용되는 고가의 기존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상기 보강층은 편사층일 수 있고, 상기 외층튜브 및 외면코팅층은 당분야에 공지된 고분자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공압출법을 사용하여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제조하였다. 성형 방법은 원료를 압출기에 의해 용융시켜, 다이를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 원통 튜브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PA12/C(상품명 LX9102), PA12(상품명 X7293) 및 PA612(상품명 SX8002)는 에보니크(evonik)사에서 구입하였고, PA6(상품명 ST811)는 듀퐁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PA12/C PA12 PA612 PA6
실시예 1 구성
두께(mm) 0.1 0.45 0.1 0.1
비교예 1 구성 -
두께(mm) 0.1 - 0.45 0.1
비교예 2 구성 - - -
두께(mm) - - - 0.65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접착제층으로 PA612를 사용하는 대신 QB516T(미쯔이)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튜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130 mm로 자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튜브를 U자 형태로 구부린 후, -40 ℃ 내지 140 ℃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는 열충격 시험을 300회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튜브는 150회 수행한 후에도 15분 내에 박리되거나 파열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1 내지 3은 모두 40회 수행 후, 15분 이내에 박리되면서 파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열충격 시험을 수행하되, 상기 열충격 시험 전에 진동(25G/300 시간)을 주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튜브는 150회 수행한 후에도 15분 내에 박리되거나 파열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1 내지 3은 모두 40회 수행 후, 15분 이내에 박리되면서 파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실험예 1 및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연류튜브 내층용 튜브는 정전기 방지 기능과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연료와 직접 접촉하고, 연료를 유통시키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inner tube)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0: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110: 제1층
120: 제2층
130: 제4층
140: 제3층

Claims (16)

  1. 다층 구조가 일체로 적층성형되는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에 있어서,
    (A)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1층;
    (B) 상기 제1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별도의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12를 포함하고, 두께가 0.42 내지 0.48 mm인 제2층;
    (C) 상기 제2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접착제 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12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3층; 및
    (D) 상기 제3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외각층으로서, 폴리아미드 6를 포함하고,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제4층을 포함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되는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는 전도성 카본이 10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내지 제4층의 두께 비율은 튜브 전체 두께에 대하여 8 - 14 : 60 - 70 : 8 - 14 : 8 - 14 %인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내지 제4층은 공압출법(Co-extrusion)으로 일체 성형된 것인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1)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를 제1 압출기에 공급하고, 폴리아미드 12를 제2 압출기에 공급하며, 폴리아미드 612를 제3 압출기에 공급하고, 및 폴리아미드 6를 제4 압출기에 공급하는 제1 단계;
    (2)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2 및 폴리아미드 6 각각을 다이를 통해, 내측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를 제1층, 폴리아미드 12를 제2층, 폴리아미드 612를 제3층 및 폴리아미드 6를 제4층으로 적층되도록 공압출하여, 용융 압출물을 형성하는 제2 단계;
    (3) 상기 제2 단계의 용융 압출물을 튜브로 블로잉하는 제3 단계; 및
    (4) 제3 단계에서 얻은 튜브를 냉각시켜 일체 성형된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를 얻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의 상기 제1층은 두께가 0.06 내지 0.1 mm이고; 상기 제2층은 두께가 0.42 내지 0.48 mm이며; 상기 제3층은 두께가 0.06 내지 0.1 mm이고; 상기 제4층은 두께가 0.06 내지 0.1 mm인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폴리아미드 12 복합재는 용융온도가 209 - 269 ℃이고, 폴리아미드 12는 용융온도가 187 - 251 ℃이며, 폴리아미드 612는 용융온도가 214 - 274 ℃이고, 폴리아미드 6는 용융온도가 213 - 273 ℃인 것인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카본화이버 및 흑연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 튜브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의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상기 내층용 튜브 외면에 외부층이 구비된 자동차 액상 LPG용 연료튜브.
KR1020160022055A 2016-02-24 2016-02-24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55A KR101649864B1 (ko) 2016-02-24 2016-02-24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55A KR101649864B1 (ko) 2016-02-24 2016-02-24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864B1 true KR101649864B1 (ko) 2016-08-23

Family

ID=5687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55A KR101649864B1 (ko) 2016-02-24 2016-02-24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8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482A (ja) * 1999-04-16 2001-11-09 Ube Ind Ltd 多層燃料チューブ
JP2005178076A (ja) * 2003-12-17 2005-07-07 Ube Ind Ltd 積層チュ−ブ
KR100559668B1 (ko) 1999-12-29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라스틱 연료 튜브
JP2006118670A (ja) * 2004-10-25 2006-05-11 Sanoh Industrial Co Ltd 多層樹脂チューブ
JP2012211687A (ja) * 2011-03-18 2012-11-01 Kurashiki Kako Co Ltd 燃料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482A (ja) * 1999-04-16 2001-11-09 Ube Ind Ltd 多層燃料チューブ
KR100559668B1 (ko) 1999-12-29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라스틱 연료 튜브
JP2005178076A (ja) * 2003-12-17 2005-07-07 Ube Ind Ltd 積層チュ−ブ
JP2006118670A (ja) * 2004-10-25 2006-05-11 Sanoh Industrial Co Ltd 多層樹脂チューブ
JP2012211687A (ja) * 2011-03-18 2012-11-01 Kurashiki Kako Co Ltd 燃料チュー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77B1 (ko) 압출된 중공부 형태의 다층 복합재료
EP1565681B1 (en) Tubular polymeric composites for tubing and hose constructions
EP2554887B9 (en) Fuel ho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277675B1 (en) Impact-modified polyamide hollow body
DE19507025A1 (de) Mehrschichtrohr mit elektrisch leitfähiger Innenschicht
US20220258446A1 (en) Multilayer structure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ydrogen
US2002004333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tubing
EP1582339B1 (en) Fuel tube
US20070065616A1 (en) Fuel filler hose
WO1996000657A1 (en) Composite fuel and vapor barrier tub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759109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rubber hose and a product thereof
WO2013031754A1 (ja) 樹脂製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パイプおよびその製法
KR101649864B1 (ko) 자동차 연료튜브 내층용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299854A (ja) 押出し成形された多層ポリマーホース又は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99691B2 (en) Flexible fuel tank having electrostatic charge dissipating properties
JP5604820B2 (ja) 成形体及び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JPH07299855A (ja) 押出し成形された単層又は多層ポリマーホース又は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18364A (ko) 차량 연료 수송 시스템용 다층형 성형 부재
JPH0753824A (ja) 樹脂組成物
CN112339371B (zh) 耐生物燃油的低渗透汽车加油口软管及其制作方法
WO2001094829A1 (fr) Tube multicouche en resine
US10926508B2 (en) Plastic tank
KR102281976B1 (ko) 연료튜브용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KR20180130699A (ko) 연속섬유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3890473B (zh) 树脂制燃料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