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18B1 -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18B1
KR101649818B1 KR1020150039037A KR20150039037A KR101649818B1 KR 101649818 B1 KR101649818 B1 KR 101649818B1 KR 1020150039037 A KR1020150039037 A KR 1020150039037A KR 20150039037 A KR20150039037 A KR 20150039037A KR 101649818 B1 KR101649818 B1 KR 10164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attitude
quadrant
prototyp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철균
박은경
윤혜영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엔씨소프트문화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엔씨소프트문화재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디지털 서사 창작을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은 태도의 통시적 축과 공시적 축으로 구성된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캐릭터 원형들과,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예시적 캐릭터들을 연계하여 저장하는 캐릭터 DB, 사용자로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하여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캐릭터 설정 UI 및 입력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 DB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원형을 추출하고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하는 캐릭터 설정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CHARACTER RECOMMENDATION SYSTEM FOR ASSISTING NARRATIVE CRE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사 창작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사 창작 보조 기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드라마나 영화, 게임 등에 이용될 수 있는 허구적인 서사를 작가가 창출하는 작업을 보조할 수 있는 컴퓨터 어플리케이션들을 통칭한다.
서사적 글쓰기는 인간의 지적 활동 중에서도 고도로 창의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서사 창작의 전반을 디지털화하기는 어렵지만 일정 부분에서 작가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서사는 캐릭터들이 겪는 사건들에 의해 독자들에게 전달되고 캐릭터들이 작가가 내세우는 주제를 실행하므로, 캐릭터는 서사를 이끌어가고 서사에 생동감을 불어넣으며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도구이다. 따라서, 캐릭터들은 주요 사건들이나 갈등구조에 잘 어울려야 하고, 작품의 주제를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서사 창작의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들 중 하나가 캐릭터들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종래에 제안된 서사 창작 도구들에서, 대부분의 캐릭터 설정 기능은 단순히 캐릭터의 외모, 스타일, 속성, 성향 등을 설정하는 기능이거나, 캐릭터의 역할과 능력을 설정하는 기능이거나 또는 캐릭터들의 단편적인 외적 관계를 설정하는 기능에 불과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8819호는 캐릭터의 신체적 특징, 성별, 외모, 체형, 머리 스타일, 복장 등을 설정하는 기술을 설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22127호는 캐릭터를 관리하기 위해, 최초 스토리를 먼저 선택하고, 최초 스토리 내용에 따라 캐릭터를 특징지으며, 이후에 수신되는 후속 스토리 내용에 따라 캐릭터가 변화되는 구성을 예시한다. 하지만 캐릭터들의 갱신에 관하여는 캐릭터가 지닌 능력의 개발과 발전이라는 측면의 캐릭터 설정이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5811호는 컨텐츠에 포함된 캐릭터에 관한 정보를 캐릭터들 사이의 관계와 캐릭터와 사건 사이의 관계를 컨텍스트로 하는 온톨로지를 구성하고, 캐릭터들의 관계(적대/우호)와 컨텐츠의 발전 방향(갈등 증폭/해소)이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기법을 예시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설정한 캐릭터들을 사후 검증할 뿐이고, 검증된 캐릭터들을 추천하지는 못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881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2212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581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형적 캐릭터 연구 성과를 기초로 캐릭터 유형을 추천할 수 있는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추천된 캐릭터 유형에 따라 기존 작품들에서 등장하였던 캐릭터들을 예시할 수 있는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은, 태도의 통시적 축과 공시적 축으로 구성된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캐릭터 원형들과, 상기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예시적 캐릭터들을 연계하여 저장하는 캐릭터 DB; 사용자로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하여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캐릭터 설정 UI; 및 상기 입력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DB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원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하는 캐릭터 설정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태도 사분면은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와 일관하는 정도를 일직선 상에 나타낸 통시적 축과,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특정 시점에 사색적인 정도와 행동적인 정도를 상기 통시적 축에 직교하도록 일직선 상에 나타낸 공시적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 DB는 예시적 캐릭터를 MOP(Memory Organization Packet)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 DB는 예시적 캐릭터를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와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MOP 요소로 하는 MOP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에 관하여 입력되는 설정 정보는 캐릭터의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요소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 설정 분석부는 상기 캐릭터 DB를 검색하여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예시적 캐릭터들의 MOP 요소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정보 중에 포함된 설정 요소들을 비교하여, 상기 예시적 캐릭터들을 순위화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캐릭터 추천 방법은, 상기 컴퓨터가, 태도의 통시적 축과 공시적 축으로 구성된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캐릭터 원형들과, 상기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예시적 캐릭터들을 연계하여 저장하는 캐릭터 DB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하여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DB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원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태도 사분면은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와 일관하는 정도를 일직선 상에 나타낸 통시적 축과,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특정 시점에 사색적인 정도와 행동적인 정도를 상기 통시적 축에 직교하도록 일직선 상에 나타낸 공시적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 DB는 예시적 캐릭터를 MOP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 DB는 예시적 캐릭터를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와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MOP 요소로 하는 MOP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릭터에 관한 설정 정보는 캐릭터의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요소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캐릭터 DB를 검색하여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예시적 캐릭터들의 MOP 요소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정보 중에 포함된 설정 요소들을 비교하여, 상기 예시적 캐릭터들을 순위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원형적 캐릭터 연구 성과를 기초로 캐릭터 유형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추천된 캐릭터 유형에 따라 기존 유명 작품들에서 등장하였던 검증된 캐릭터들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작가가 구상하는 서사 구조에 부합할 뿐 아니라 서사의 주제를 극대화할 수 있는 캐릭터 유형들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캐릭터 태도 사분면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MOP 테이블을 예시한 표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의 캐릭터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카테고리별 설정 질문 화면들을 각각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의 캐릭터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캐릭터 추천 화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의 캐릭터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캐릭터 관계도 분석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서사 창작을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10)은 캐릭터 DB(11), 캐릭터 설정 UI(12) 및 캐릭터 설정 분석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 DB(11)는 캐릭터의 태도에 관하여 통시적 축과 공시적 축으로 구성된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캐릭터 원형들(character prototypes)을 저장하고, 또한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예시적 캐릭터들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태도 사분면은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와 일관하는 정도를 일직선 상에 나타낸 통시적 축과,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특정 시점에 사색적인 정도와 행동적인 정도를 통시적 축에 직교하도록 일직선 상에 나타낸 공시적 축으로 구성되는 평면이다.
태도 사분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캐릭터 태도 사분면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캐릭터가 서사 속에서 가지는 행동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취하는 태도를 통해, 캐릭터들의 유형들이 예시된다.
소쉬르(F. Saussure)가 언어학에서 공시태와 통시태의 개념을 정립하였는데, 어떤 시점에서 작용하는 공시적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공시태라고 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체계와 요소들의 변화를 통시태라고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공시태와 통시태의 개념을 서사 속의 캐릭터에 적용하여, 어떤 캐릭터가, 한편으로는 사회적 맥락이나 지위, 상황과 상관없이, 문제 접근 및 해결 방식이 정신적인지 또는 육체적인지, 달리 말하면 사색하는 캐릭터인지 또는 행동하는 캐릭터인지를 관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사의 흐름에 따라 목표가 변화하는지 또는 그대로인지, 달리 말하면 변화하는 캐릭터인지 또는 일관된 캐릭터인지를 관찰하였다.
예를 들어, 이반 투르게네프(Ivan Turgenev)의 논문 "햄릿과 돈키호테"에서 설명하였듯이, 셰익스피어의 햄릿은 대표적인 사색형 캐릭터이고,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는 대표적인 행동형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도 사분면의 세로축은 원점을 중심으로 원점 이하는 사색적인 정도를 의미하고 원점 이상은 행동적인 정도를 의미한다.
또한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의 저서 "고슴도치와 여우"에서 언급하였듯이, 고슴도치형 인간은 복잡한 개념을 종합하여 하나의 원리로 단순화시키는 구심적 사고를 하는 유형이고, 여우형 인간은 종종 관련성이 없고 상호 모순되는 여러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원심적 사고를 하는 유형이다. 말하자면, 고슴도치형 캐릭터가 서사 구조 내에서 유일한 목적을 추구하며 이 유일한 목적과 가치관을 일관되게 유지한다면, 여우형 캐릭터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가치관과 행동 방향이 복잡하게 변화한다.
이에 따라, 태도 사분면의 가로축은 원점을 중심으로, 원점의 좌측은 목적과 가치관이 변화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원점의 우측은 목적과 가치관이 일관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태도 사분면의 세로축과 가로축을 각각 6 등분하여, 가로축에 일관 3, 일관 2, 일관 1, 변화 1, 변화 2, 변화 3의 값들을, 세로축에 사색 3, 사색 2, 사색 1, 행동 1, 행동 2, 행동 3의 값들을 각각 부여하면, 태도 사분면에 36 개의 캐릭터 원형 위치들이 준비될 수 있다.
나아가, 작가가 각 캐릭터 원형들의 성격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는 셰익스피어의 캐릭터들이 할당될 수 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들은 인간의 본성과 등장 인물들을 지배하는 운명의 아이러니, 인류 역사를 통해 축적된 철학적 사유와 같이, 수많은 문학 예술 작품에서 꾸준히 변주되고 있는 보편적이면서 심오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어서 셰익스피어의 희곡들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본 발명의 태도 사분면을 시각화 내지 관념화하기에 적절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태도 사분면에서, 행동 1/일관 1의 캐릭터 원형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이고, 행동 1/일관 2의 캐릭터 원형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로미오이다.
예를 들어, 오델로는 사색 3/변화 3, 오필리어는 사색 3/일관 3, 헨리 5세는 행동 3/변화 3, 리처드 3세는 행동 3/ 일관 3인 극단적인 캐릭터 원형들이다.
이러한 태도 사분면의 캐릭터 원형을 활용하면, 유형별 캐릭터 특징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 정보로부터 결정된 캐릭터가 어느 위치에 자리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작가의 서사 창작 구상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캐릭터 DB(11)는 캐릭터 원형에 연계되는 복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MOP(Memory Organization Packet)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MOP는 기억 체계화 묶음이라고도 하는데, 인공 지능 연구자들에 의해 이벤트, 개념, 인물 등을 표현하기 위해 개발 및 발전된 표현 형식으로서 민스키(Minsky)가 프레임(frame)이라 명명한 표현 형식 중에 특히 특정 이벤트에 관한 기억의 저장과 이들의 일반화를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을 로저 생크(Roger Schank)가 MOP라는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각각의 MOP는 식별자, 일련의 계층적 추상화 요소들과 일련의 속성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체계적인 형식에 의해, 경험과 장면이 서로 대응될 수 있고, 새로운 경험이 있을 경우에 관련된 장면들을 검색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적 기억 이론과 구조주의 서사학을 토대로, 기존의 영화, 소설 등의 캐릭터들을 분석하고,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대해 연계할 예시적 캐릭터들을, 각각 식별자(캐릭터 이름), 계층적 추상화 요소(캐릭터), 속성들(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라는 MOP 요소들로써 구성되는 MOP 형식으로 표현한다.
이에 따라, 캐릭터 DB(11)는 예시적 캐릭터를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와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MOP 요소들로 가지는 MOP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MOP 테이블을 예시한 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행위자 설명 속성은 행위자가 주인공의 경우에 "1. 메인 캐릭터", 적대자 또는 조연의 경우에 "2. 임팩트 캐릭터"와 같이 주어질 수 있다.
목표 행위 요소는 캐릭터가 목표로 하는 행위를 대표하는 행위 동사들로 주어질 수 있다.
토도로프에 따르면 이야기는 서사 명제, 시퀀스, 텍스트라는 3 층위의 서사 단위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에서 서사 명제는 행위자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서사의 최소 단위라고 한다. 스토리를 구성하는 행위는 상응하는 명제를 지니며, 이들이 엮이면서 플롯이 구성된다고 한다. 명제의 행위자는 주어의 기능, 술어는 묘사의 기능을 하는데, 형용사는 평형 상태와 비평형 상태를 묘사하고 동사는 상황의 변화를 묘사하는 술어로 사용된다고 한다.
일반적인 작품에서 각각의 행위는, 비록 언어의 풍부한 뉘앙스와 미묘한 상황의 복잡함을 희생하여야 하지만, 몇십 개 수준의, 예를 들어 연구자들에 따라 54 개 또는 63 개 동사들로써 대표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행위를 소수의 동사로써 표현하는 것은 이러한 행위 동사를 매개로 서로 다른 데이터들을 연계함으로써 컴퓨터로 인식하고 처리하고 조합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생긴다.
이러한 행위 동사의 예를 들면, accept, agree, answer, ask, capture, command, deal, destroy, eat, find, flee from, get, give, go, greet, hide, hit, kill, make, meet, protect, search, take, tell, threaten, use, wait 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목표 행위 요소는 캐릭터의 궁극적인 행동을 가장 잘 서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행위 동사로 표현된다.
또 하나의 MOP 요소는 인물 모티프이다.
모티브(motive) 또는 모티프(motif)는 서사 체계를 구성하는 원시적 요소이고, 각자 확립된 정체성을 갖고 다양한 확장 능력이 있는 플롯의 하위 도식들로서, 이야기의 작은 형태를 이룬다. 모티프는 다양한 이야기들 내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며, 특히 강한 위반성을 가진 모티프는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면서 새로운 이야기들로 재탄생되어 왔다. 모티프들은 각자 서사적 잠재력을 지니며, 이들 모티프들을 중심으로 텍스트가 엮여 새로운 이야기 즉 스토리로 발전한다고 볼 수 있다.
모티프를 분류하고 유형화하려는 시도들이 계속 있어왔는데, 모티프는 주어진 세계와 인물의 상황 사이의 위반성(dissonance)에서 출발하며, 위반성은 위반자의 결핍과 욕망에서 표출된다.
인간의 욕망은 다양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스토리 내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일으키고 의미심장한 사건을 초래하며 캐릭터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서 욕망은 예시적으로 5 가지 욕망, 즉 돈, 사랑, 명예, 권력, 영생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 욕망에서 도출되는 모티프들은 수 백여 개의 모티프로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물 모티프 요소는 인물들이 가질 수 있는 모티프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어, 인물 모티프 요소는 205 개의 모티프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1. 강박증 환자", "2. 경계성 인격 장애자"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시적 캐릭터들에 관한 설정 정보는 예시적 캐릭터의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요소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캐릭터 설정 UI(12)는 사용자로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하여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의 캐릭터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카테고리별 설정 질문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테고리별 설정 질문 화면은, 예시적 캐릭터들을 추천할 수 있도록, 행위자를 묘사하는 기본 정보, 행위자의 역할과 목표 및 관계, 행위자의 유형과 태도, 행위자의 욕망과 모티프를 묻는 질문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사용자는 각 질문들에 대해 선택된 선택지를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 캐릭터들을 선정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질문은 행위자의 태도, 욕망과 모티프에 관한 질문들이다.
일부 질문들은 적대자 또는 보조 인물이 주인공과 어떤 관계인지 또는 적대자의 운명에 관한 것으로서, 주인공이 선택된 후에, 적대자 또는 보조 인물에 적합한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하기 위한 질문들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캐릭터 설정 분석부(13)는 입력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 DB(11)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원형을 추출하고,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할 수 있다.
이어서, 캐릭터 설정 분석부(13)는, 캐릭터 DB(11)를 검색하여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예시적 캐릭터들의 MOP 요소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정보 중에 포함된 설정 요소들을 비교하여, 예시적 캐릭터들을 순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 설정 분석부(13)는 예시적 캐릭터의 각 MOP 요소가 설정 요소에 가까울수록 또는 유사할수록 MOP 요소에 높은 배점을 부여하고, 배점들의 총합이 높은 순서로 예시적 캐릭터들을 순위화할 수 있다.
특히, 캐릭터 설정 분석부(13)는 행위자의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상응하여 캐릭터 원형을 추출하고,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예시적 캐릭터들을 순위화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의 캐릭터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캐릭터 추천 화면들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캐릭터 추천 화면은 먼저 셰익스피어의 작품의 캐릭터들로서 캐릭터 원형들을 시각화한 영역, 캐릭터 원형에 관한 설명, 주요 캐릭터들에 대한 설명,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관련된 예시적 캐릭터들의 순위 화면을 가질 수 있다.
앞의 단계에서 설정 정보 입력을 통해 선정된, 주인공 캐릭터를 위한 캐릭터 원형은, 사용자가 새로운 설정 정보 입력을 거치지 않고서 임의로 바꾸지 못하도록, 자물쇠 표시가 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캐릭터 추천 화면은 이제 적대자나 보조 인물에 관한 캐릭터 원형, 적대자나 보조 인물의 캐릭터 원형에 관한 설명,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관련된 예시적 캐릭터들의 순위 화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나열된 예시적 캐릭터들 중에서 주인공 캐릭터, 적대자 캐릭터 및 보조 인물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시스템의 캐릭터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캐릭터 관계도 분석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천된 예시적 캐릭터들 중에서 선택한 주인공 캐릭터와 적대자 캐릭터 및 보조 인물 캐릭터 사이의 관계가 제시된다. 사용자는 이렇게 추천된 캐릭터들 및 이들의 관계로부터 영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릭터 추천 시스템은, 캐릭터들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시스템이라기보다는, 기존 작품들의 유명한 캐릭터들 중에서 사용자가 생각하는 캐릭터 유형에 가까운 캐릭터들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서사 내에서 캐릭터들의 상호 작용을 미리 짐작할 수 있게 보조하는 시스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추천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터를 이용한 캐릭터 추천 방법으로서, 단계(S91)에서, 컴퓨터가, 태도의 통시적 축과 공시적 축으로 구성된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캐릭터 원형들과,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예시적 캐릭터들을 연계하여 저장하는 캐릭터 DB(11)를 제공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태도 사분면은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와 일관하는 정도를 일직선 상에 나타낸 통시적 축과,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특정 시점에 사색적인 정도와 행동적인 정도를 통시적 축에 직교하도록 일직선 상에 나타낸 공시적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릭터 DB(11)는 예시적 캐릭터를 MOP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릭터 DB(11)는 예시적 캐릭터를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와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MOP 요소로 하는 MOP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92)에서,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하여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캐릭터에 관한 설정 정보는,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뿐 아니라, 캐릭터의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요소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93)에서, 컴퓨터가 입력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캐릭터 DB(11)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원형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S94)에서, 컴퓨터가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S94)는 캐릭터 DB(11)를 검색하여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예시적 캐릭터들의 MOP 요소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정보 중에 포함된 설정 요소들을 비교하여, 예시적 캐릭터들을 순위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디지털 서사 창작을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11 캐릭터 DB
12 캐릭터 설정 UI
13 캐릭터 설정 분석부

Claims (8)

  1. 태도의 통시적 축과 공시적 축으로 구성된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캐릭터 원형들과, 상기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예시적 캐릭터들을 연계하여 저장하는 캐릭터 DB; 사용자로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하여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캐릭터 설정 UI; 및 상기 입력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DB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원형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하는 캐릭터 설정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도 사분면은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와 일관하는 정도를 일직선 상에 나타낸 통시적 축과,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특정 시점에 사색적인 정도와 행동적인 정도를 상기 통시적 축에 직교하도록 일직선 상에 나타낸 공시적 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추천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DB는 예시적 캐릭터를 MOP(Memory Organization Packet)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추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DB는 예시적 캐릭터를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와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MOP 요소로 하는 MOP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추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에 관하여 입력되는 설정 정보는 캐릭터의 행위자 설명 속성, 목표 행위 또는 인물 모티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요소로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추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설정 분석부는 상기 캐릭터 DB를 검색하여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예시적 캐릭터들의 MOP 요소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 정보 중에 포함된 설정 요소들을 비교하여, 상기 예시적 캐릭터들을 순위화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추천 시스템.
  7. 컴퓨터를 이용한 캐릭터 추천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태도의 통시적 축과 공시적 축으로 구성된 태도 사분면의 각 위치에 상응하는 캐릭터 원형들과, 상기 캐릭터 원형들의 각각에 예시적 캐릭터들을 연계하여 저장하는 캐릭터 DB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생성하고자 하는 캐릭터에 관하여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설정 정보에 포함된 태도 사분면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 DB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 원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캐릭터 원형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캐릭터들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태도 사분면은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와 일관하는 정도를 일직선 상에 나타낸 통시적 축과, 상기 캐릭터 원형의 태도가 특정 시점에 사색적인 정도와 행동적인 정도를 상기 통시적 축에 직교하도록 일직선 상에 나타낸 공시적 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추천 방법.
  8. 컴퓨터에서 청구항 7의 단계들에 따른 캐릭터 추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 컴퓨터에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39037A 2015-03-20 2015-03-20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64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37A KR101649818B1 (ko) 2015-03-20 2015-03-20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037A KR101649818B1 (ko) 2015-03-20 2015-03-20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818B1 true KR101649818B1 (ko) 2016-08-22

Family

ID=5685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037A KR101649818B1 (ko) 2015-03-20 2015-03-20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782A (ko) * 2017-05-04 2018-11-14 김선민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작 지원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127A (ko) 2005-05-25 2006-11-30 정치영 스토리전개에 따른 캐릭터매니징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KR20090099896A (ko) * 2008-03-19 2009-09-23 버츄얼삼디아시아(주) 3d캐릭터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3d 캐릭터비즈니스 방법
JP2011215709A (ja) * 2010-03-31 2011-10-27 Brother Industries Ltd 漫画作成支援装置、漫画作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5811A (ko) 2010-08-13 2012-02-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8819A (ko) 2011-03-25 2012-10-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127A (ko) 2005-05-25 2006-11-30 정치영 스토리전개에 따른 캐릭터매니징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KR20090099896A (ko) * 2008-03-19 2009-09-23 버츄얼삼디아시아(주) 3d캐릭터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3d 캐릭터비즈니스 방법
JP2011215709A (ja) * 2010-03-31 2011-10-27 Brother Industries Ltd 漫画作成支援装置、漫画作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5811A (ko) 2010-08-13 2012-02-2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8819A (ko) 2011-03-25 2012-10-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782A (ko) * 2017-05-04 2018-11-14 김선민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작 지원 방법
KR101995247B1 (ko) 2017-05-04 2019-07-02 김선민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작 지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b et al. Evaluating computational creativity: An interdisciplinary tutorial
Floridi Philosophy and computing: An introduction
US82712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tural language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Ale et al. A conceptual model and technological support for organizational knowledge management
Nishida et al. Conversational informatics
Kinsley Futures in the making: Practices to anticipate ‘ubiquitous computing’
Lenk Global technoscience and responsibility: Schemes applied to human values, technology, creativity and globalisation
Puigbo et al. Using a cognitive architecture for general purpose service robot control
US20150309974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lexical classification, grouping, and analysis of documents and/or document corpora
Lane The big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digital laboratories
Piasecki et al. WordNetLoom: a WordNet development system integrating form-based and graph-based perspectives
Cooppan World literature between history and theory
Nguyen et al. Seagull: A bird’s-eye view of the evolution of technical games research
Friese Computer-assisted grounded theory analysis with ATLAS. ti
Perez et al. A synset-based recommender method for mixed-initiative narrative world creation
KR101649818B1 (ko)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683364B1 (ko) 서사 창작을 보조하기 위한 장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322786B1 (ko) 전자문서의 관계기반 저작관리방법 및 저작관리시스템
Knickerbocker Network Science with Python: Explore the networks around us using network scienc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JP2021056829A (ja) 発想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Sunayama Knowledge Emergence using Total Environment for Text Data Mining
Gelhausen et al. Affordance extraction with an external knowledge database for text-based simulated environments
Portela Literary Fields Forever
Woods Meaning and links
Turk The reasons for the reality gap in CA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