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281B1 -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281B1
KR101649281B1 KR1020160048074A KR20160048074A KR101649281B1 KR 101649281 B1 KR101649281 B1 KR 101649281B1 KR 1020160048074 A KR1020160048074 A KR 1020160048074A KR 20160048074 A KR20160048074 A KR 20160048074A KR 101649281 B1 KR101649281 B1 KR 10164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chamber
connection housing
air supply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조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현 filed Critical 조용현
Priority to KR102016004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형 세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안용기에 수용된 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세안효과를 증대시키고, 물이 공기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형 세안장치는, 상부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방된 상부에 물을 수용하는 세안용기와; 상기 세안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안용기를 상기 본체에 안착시키고, 내부에 공기공급실을 형성하며, 하부에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연결하우징과; 상기 세안용기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공급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기포발생판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크밸브부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시키며,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공기공급실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 FACE CLEANS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역류방지형 세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안용기에 수용된 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세안효과를 증대시키고, 물이 공기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이 담긴 세안용기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안면의 세정효과를 높이는 기술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안장치는 물을 담은 용기의 저부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판과, 기포발생판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를 구비한다.
공기펌프로부터 압송되는 공기가 기포발생판을 통해 세안용기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세안용기 내에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고, 이 기포가 피부와 접촉하여 파열되면서 피부의 오염물질이나 유지분을 박리시키는 방식으로 피부를 세정하도록 구성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115호, 등록특허 제10-1021096호 등에는 종래의 세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안장치에는 물의 역류되어 공기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세안장치는 이러한 역류방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관이 좋지 못하고 이로 인해 장치의 소형화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물이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81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10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물이 공급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체크밸브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이로 인해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세안용기에 수용된 물이 공기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역류방지형 세안장치는, 상부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방된 상부에 물을 수용하는 세안용기와; 상기 세안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안용기를 상기 본체에 안착시키고, 내부에 공기공급실을 형성하며, 하부에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연결하우징과; 상기 세안용기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공급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기포발생판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크밸브부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시키며,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공기공급실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밸브부는, 하부가 상기 공기흡입구의 둘레에서 상기 연결하우징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중공수직부재와; 상기 중공수직부재의 안쪽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시 상기 공기흡입구를 폐쇄시키고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방시키는 승강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중공수직부재의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수직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중공수직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중공수직부재에 결합되어 지지되되,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중공수직부재 사이에는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승강시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상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는 상기 연결하우징과 적어도 한 곳 이상 이격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부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넓어지면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밀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자유상태에서 상기 탄성밀폐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통공과 공기공급실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기 연통공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연통공과 공기공급실을 연통시킨다.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하면은 상기 탄성밀폐부재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배출밸브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둘레를 따라 탄성재질의 밀폐링이 장착되되, 상기 세안용기가 결합된 상기 연결하우징을 상기 본체에 안착할 때 상기 밀폐링은 압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형 세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물이 공급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부가 연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이로 인해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탄성밀폐부재, 중공수직부재, 승강개폐부재 등에 의해 세안용기에 수용된 물이 공기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공기가 공급될 때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에서 세안용기 및 연결하우징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형 세안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세안용기(20)와, 연결하우징(30)과, 기포발생판(40)과, 체크밸브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하면이 지면에 접하여 본 발명의 세안장치를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부에는 공기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토출구(12)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펌프(1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세안용기(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개방된 상부에 물을 수용한다.
상기 연결하우징(30)은 상기 세안용기(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안용기(20)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부에는 빈공간으로 형성된 공기공급실(3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공기토출구(12)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하우징(30)의 외부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하우징(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하우징(30)이 상기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기포발생판(40)은 상기 세안용기(20)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공급실(31)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기포발생판(40)에 의해 상기 세안용기(20)의 내부와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부가 상호 분할된다.
상기 기포발생판(4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분사공(41)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분사공(41)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실(31)과 상기 세안용기(20)의 내부가 상호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실(31)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분사공(41)을 통해 기포화되어 상기 세안용기(20)에 수용된 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부(50)는 상기 공기공급실(31)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하우징(30)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토출구(12)와 연통된 상기 공기흡입구(32)와 상기 공기공급실(31)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체크밸브부(50)는 상기 기포발생판(40)의 하부에서 상기 공기공급실(31)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미관상 좋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부(50)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공기흡입구(32)를 폐쇄하고, 상기 공기토출구(1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공기흡입구(32)와 상기 공기공급실(31)과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크밸브부(50)는, 중공수직부재(51)와 승강개폐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수직부재(51)는 중공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공기흡입구(3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연결하우징(30)에 결합되어 있고, 상부가 상기 기포발생판(40)이 형성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내부는 상기 공기토출구(12) 및 공기흡입구(32)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연통된다.
상기 중공수직부재(51)는 상기 연결하우징(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개폐부재(52)는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안쪽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시 상기 공기흡입구(32)를 폐쇄시키고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32)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기토출구(12)를 통해 상기 공기흡입구(32)가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승강개폐부재(52)는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공기흡입구(32)는 상기 공기공급실(31)과 연통되게 된다.
상기 체크밸브부(50)는,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53)는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53)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기포발생판(40)의 분사공(41)을 통해 낙하되는 물이 상기 중공수직부재(5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53)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도 있고, 상기 연결하우징(3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3)는 상기 승강개폐부재(5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개폐부재(5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개폐부재(52)의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32)는 상기 중공수직부재(51)와 상기 커버부재(53)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실(3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53)는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상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상기 커버부재(53)와 상기 중공수직부재(51) 사이에는 상기 승강개폐부재(52)의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32)와 상기 공기공급실(31)를 연통시키는 연통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53)에는 상기 승강개폐부재(52)의 승강시 상기 승강개폐부재(52)의 상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54)에 의해 상기 승강개폐부재(52)는 승강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53)의 하부는 상기 연결하우징(30)과 적어도 한 곳 이상 이격되어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53)의 연통공(55)과 상기 공기공급실(31)이 연통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크밸브부(5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상기 커버부재(53)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넓어지면서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밀폐부재(5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53)의 하부는 일부가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 상면과 접할 수도 있고, 전체가 이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53)의 하부는 전체가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 상면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53)의 하면에 결합된 상기 탄성밀폐부재(56)가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상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밀폐부재(56)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져, 자유상태에서 상기 탄성밀폐부재(56)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통공(55)과 공기공급실(31)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55)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연통공(55)과 공기공급실(31)을 연통시킨다.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 하면은 상기 탄성밀폐부재(56)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30)의 가장자리에는 배출밸브(3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30)의 하면과 상기 본체(10)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공기토출구(12)의 둘레를 따라 탄성재질의 밀폐링(60)이 장착되고, 상기 세안용기(20)가 결합된 상기 연결하우징(30)을 상기 본체(10)에 안착할 때 상기 밀폐링(60)은 압축되면서 상기 연결하우징(30)의 하면 및 본체(10)의 상면에 면접촉하면서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밀폐링(6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연결하우징(30)의 하면 사이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세안용기(2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밀폐링(60)에서 흡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도 3에서 공기가 공급될 때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안장치에서 세안용기(20) 및 연결하우징(3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다.
상기 공기펌프(11)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개폐부재(52)는 하강하여 상기 공기흡입구(32)를 폐쇄하고 있고, 상기 탄성밀폐부재(56)의 하부는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 상면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안용기(20)에 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분사공(41)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분사공(41)을 통해 상기 세안용기(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공기공급실(31)로 낙하되지는 않는다.
상기 공기펌프(11)가 작동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토출구(1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승강개폐부재(52)는 상승하면서 상기 공기흡입구(32)를 개방한다.
상기 공기흡입구(32)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구(3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중공수직부재(51)의 상부와 상기 커버부재(53) 사이에 형성된 연통공(55)을 통해 상기 탄성밀폐부재(56)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탄성밀폐부재(56)의 하부는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밀폐부재(56)의 안쪽에 있던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실(31)로 유입된 후, 상기 분사공(41)을 통해 기포화되면서 상기 세안용기(20)에 수용된 물로 공급되면서 혼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분사공(41)을 통해 공기가 상기 세안용기(20)로 공급될 경우 상기 세안용기(20)에 수용된 물의 일부가 상기 분사공(41)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실(31)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실(31)로 낙하된 물은 1차적으로 상기 탄성밀폐부재(56)에 의해 그 안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2차적으로 상기 중공수직부재(51)에 의해 그 안쪽으로 유입되지 못하여, 3차적으로 상기 승강개폐부재(52)에 의해 상기 공기펌프(11)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실(31)로 낙하된 물이 상기 공기펌프(11)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펌프(11)가 파손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실(31)로 낙하된 물은 상기 탄성밀폐부재(56)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측 하면을 따라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물은 상기 배출밸브(35)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안용기(20)의 내부에 물을 수용하거나 버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하우징(30)이 형성된 상기 세안용기(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들어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세안용기(20)를 경사지게 배치하여도, 상기 연결하우징(30)의 공기공급실(31)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탄성밀폐부재(56)에 의해 그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체크밸브부(50)가 상기 연결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인 역류방지형 세안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공기펌프, 12 : 공기토출구,
20 : 세안용기,
30 : 연결하우징, 31 : 공기공급실, 32 : 공기흡입구, 35 : 배출밸브,
40 : 기포발생판, 41 : 분사공,
50 : 체크밸브부, 51 : 중공수직부재, 52 : 승강개폐부재, 53 : 커버부재, 54 : 가이드부, 55 : 연통공, 56 : 탄성밀폐부재,
60 : 밀폐링.

Claims (8)

  1. 삭제
  2. 상부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방된 상부에 물을 수용하는 세안용기와;
    상기 세안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안용기를 상기 본체에 안착시키고, 내부에 공기공급실을 형성하며, 하부에 상기 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연결하우징과;
    상기 세안용기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공급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기포발생판과;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크밸브부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시키며,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공기공급실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체크밸브부는,
    하부가 상기 공기흡입구의 둘레에서 상기 연결하우징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중공수직부재와;
    상기 중공수직부재의 안쪽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시 상기 공기흡입구를 폐쇄시키고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방시키는 승강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부는,
    상기 중공수직부재의 상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수직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중공수직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중공수직부재에 결합되어 지지되되,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중공수직부재 사이에는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상승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공급실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승강시 상기 승강개폐부재의 상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는 상기 연결하우징과 적어도 한 곳 이상 이격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부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넓어지면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밀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자유상태에서 상기 탄성밀폐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통공과 공기공급실의 연통을 차단하고, 상기 연통공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연통공과 공기공급실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하면은 상기 탄성밀폐부재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배출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8.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둘레를 따라 탄성재질의 밀폐링이 장착되되,
    상기 세안용기가 결합된 상기 연결하우징을 상기 본체에 안착할 때 상기 밀폐링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KR1020160048074A 2016-04-20 2016-04-20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KR10164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74A KR101649281B1 (ko) 2016-04-20 2016-04-20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74A KR101649281B1 (ko) 2016-04-20 2016-04-20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281B1 true KR101649281B1 (ko) 2016-08-18

Family

ID=5687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74A KR101649281B1 (ko) 2016-04-20 2016-04-20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26A (ko) * 2019-10-31 2021-05-10 (주)다인케어 휴대용 초음파 버블 세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96B1 (ko) 2010-02-17 2011-03-11 장용웅 세안장치
KR101578115B1 (ko) 2015-04-22 2015-12-16 조영빈 세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96B1 (ko) 2010-02-17 2011-03-11 장용웅 세안장치
KR101578115B1 (ko) 2015-04-22 2015-12-16 조영빈 세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926A (ko) * 2019-10-31 2021-05-10 (주)다인케어 휴대용 초음파 버블 세정장치
KR102282358B1 (ko) * 2019-10-31 2021-07-27 (주)다인케어 휴대용 초음파 버블 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31241A (ja) 流体噴霧用のギヤポンプおよび交換式タンク
KR20100137407A (ko) 액체용기용 포밍펌프 어셈블리
CN109415144B (zh) 泡沫吐出容器
GB1588788A (en) Liquid sprayer usable in both erect and inverted positions
KR101951627B1 (ko) 스프레이 펌프
CN102366739B (zh) 排残留水吸气止逆机构
KR101649281B1 (ko) 역류방지형 세안장치
KR20160128302A (ko)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CN111232419A (zh) 一种泡沫泵及包装容器
CN115701917A (zh) 具有压力喷射方式的便携式化妆水喷射装置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KR101578115B1 (ko) 세안장치
CN111372689A (zh) 粉末吐出容器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CN214145835U (zh) 一种具有补气功能的微型泵
KR200423183Y1 (ko) 거품발생 디스펜서
KR20230008426A (ko) 폼 펌프 용기
US20210324620A1 (en) Anti-backflow device and bidet
JPH09220502A (ja) 樹脂製ポンプにおける逆止弁構造
KR200406686Y1 (ko)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JPH10181761A (ja) 液体噴出器
KR20160102700A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CN217355607U (zh) 一种水箱及应用有该水箱的饮水设备
KR20150111616A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JP6588384B2 (ja) トリガー式泡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