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705B1 -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 Google Patents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705B1
KR101648705B1 KR1020160040792A KR20160040792A KR101648705B1 KR 101648705 B1 KR101648705 B1 KR 101648705B1 KR 1020160040792 A KR1020160040792 A KR 1020160040792A KR 20160040792 A KR20160040792 A KR 20160040792A KR 101648705 B1 KR101648705 B1 KR 10164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us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얼리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얼리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얼리빈
Priority to KR102016004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07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 A44C9/0015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connected or interlinked to each other
    • A44C9/0023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connected or interlinked to each other in a separable w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손에 끼워지는 악세서리 반지를, 외관에 보석, 무늬 등의 장식과 색상등이 덧대어져 착용자를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갖는 외경반지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외경반지의 내주면에 편리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내경반지로 구성하여,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내경반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The ring with changeable diameter}
본 발명은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손에 끼워지는 악세서리 반지를, 외관에 보석, 무늬 등의 장식과 색상 등이 덧대어져 착용자를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갖는 외경반지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외경반지의 내주면에 편리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내경반지로 구성하여,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내경반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악세서리로 많이 사용되는 반지는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내경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에 끼워져 사용자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가락은 사용자의 체중변화 또는 기타요인들로 인하여 굵기가 변하게 되고 따라서 처음에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춰진 반지는 내경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 인하여 헐거워지게 되거나 꽉 끼여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늘어 지게 되어 반지가 헐거워지면 계속 착용하고 다닐 경우 분실될 위험이 있고, 손가락이 굵어져 꽉 끼여지게 되면 반지가 껴지지 않거나 빠지지 않게 되어 반지를 절단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굵기 변화에 맞추어 사용자가 반지를 들고 금은방과 같은 곳을 방문하여 내경을 수선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반지의 수선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매장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종래의 반지를 수선시 디자인의 훼손 없이 수선 가능한 호수 변경은 1~3단계 정도이며, 그 이상의 호수 변경을 할 경우는 원래의 디자인이 훼손될 우려가 있어 수선을 망설이게 된다.
또한, 불가피하게 반지의 치수를 큰 폭으로 수선할 경우, 수선에 따른 원재료의 수급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고, 훼손된 디자인의 복원을 위하여, 디자이너를 통한 별도의 복원 작업을 수행해야 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처럼, 금과 같은 귀금속이 주를 이루는 악세서리 반지의 특성상 비싼 가격과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수선을 하여야만 되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사람들은 반지의 착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가 변화하여도 반지의 내경의 크기를 내경반지를 교체하므로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음은 이러한 반지의 내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들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 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7550호는 '단일사이즈용 반지'에 관한 발명으로 반지 내경에 스프링을 통하여 탄성 가압을 하는 조정구를 구비하여 반지의 내경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맞게 신축되도록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0931호는 '내경 조절용 반지'에 관한 발명으로 반지의 몸체 하부를 양단하고, 몸체의 상단에는 힌지 구조가 구비되며, 양단된 몸체 하부는 별도로 구비되는 고정부에 삽입되되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반지의 내경이 조절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755호는 '치수 가변형 반지'에 관한 발명으로 내경 치수가 자유롭게 가변 될 수 있게 링 본체의 원주를 연결하는 가변식 확경면이 형성된 치수 가변형 반지와 상기 치수 가변형 반지의 외부에 결합되는 장식용 외주링이 구비되어 내경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7550호는 탄성 가압을 위한 스프링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탄성부의 변동으로 인하여 반지가 지속적으로 흔들림으로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착용에 따른 이물질이 끼여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0931호 역시 힌지구조와 고정부의 삽입되는 구조로 인하여 반지의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이물질에 의한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덧붙여,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755호는 치수 가변형 반지에 구비된 가변식 확경면의 연결부위에 이물질과 같은 불순물이 삽입되기 쉬워 관리가 어렵고, 상기 치수 가변형 반지는 내경뿐 아니라 외경도 함께 조절됨에 따라 외부에 결합되는 장식용 링의 크기는 변경되는 외경에 따라 다수 개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장식용 링이 귀금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더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의 반지들은 각각의 구조에 대하여 금과 같은 귀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세공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내경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되,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작 비용이 저감되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반지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7550호(2010.08.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0931호(2011.06.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755호(2013.07.04)
본 발명에 의한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는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기술은 반지의 내경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조들로 인하여 착용감이 불편하고, 관리가 어려우며, 내경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를 세공하기 위한 세공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본 발명은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시하고자 외경반지와, 상기 외경반지의 내주면에 위치되는 내경반지 및 상기 내경반지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를 제시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맞게 착용할 수 있고, 세공비용이 절감되는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손에 끼워지는 악세서리 반지에 있어서, 외경반지와 상기 외경반지의 내주면에 위치되는 내경반지 및 상기 내경반지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내경반지는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다수 개 구비되는 특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는 외경반지와, 상기 외경반지의 내주면에 위치되는 내경반지 및 상기 내경반지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가 변함에 따라 별도의 수선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내경반지를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맞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반지를 제작하는데 드는 비용 또한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경반지는 내경반지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종래의 반지보다 더 소량의 귀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어, 반지의 제작에 필요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외경반지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내경반지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내경반지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외경반지와 내경반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외경반지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내경반지의 사시도 및 측면도.
본 발명은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손에 끼워지는 악세서리 반지에 있어서, 외경반지(10)와, 상기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 위치되는 내경반지(20) 및 상기 내경반지(20)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내경반지(20)를 편리하게 교체하여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경반지(20)는 외경(21)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내경(22)은 크기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가 변화시 별도의 수선공정을 거치지 않고 내경반지(20)를 교체함으로 내경(22)이 변경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반지를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외경반지(10)는
심미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은, 귀금속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주로 금, 은, 백금 등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사용자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 큐빅 또는 보석 등이 장식될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의 외경반지(10)는 통상의 반지와 비슷하게 제작되되, 내주면(12)에는 내경반지(20)가 다양한 방법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경반지(10)에 내경반지(20)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방법으로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 내주면홈(13)이 형성되어 상기 내주면홈(13)에 내경반지(20)가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기의 외경반지(10)의 내경 사이즈는 외경반지(10)에 내입되는 내경반지(20)의 외경을 고려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반지의 최대 내경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 치수보다 몇 단계 이상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시중의 반지의 최대 사이즈인 30호로 제작될 경우, 사용자가 처음 사용 후 타인에게 양도시 내경반지(20)만 교체하면 되므로 별도의 수선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쓸 수 있는 반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는 손가락이 가는 사람일 경우 외경반지(10)의 크기와 손가락의 굵기가 차이가 너무 나게 되어 불편하게 될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반지 호수에 사용자의 신체적 변화를 고려하여 몇 단계 정도의 여유를 두고 내경의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경반지(20)는
상기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 위치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은, 상기 내경반지(20)는 외경반지(10)에 내입되고, 내경반지(20)의 내경(22)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반지의 실질적인 내경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경반지(20)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내경반지(2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내경반지(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외경반지(10)에 위치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 형성된 내주면홈(13)에 내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내경반지(20)의 두께가 외경반지(10)의 두께보다 얇도록 형성되고, 재질의 구성 또한, 형태가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경반지(20)의 재질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변형과 복원이 간편하도록 형성되어 외경반지(10)에 삽입시 사용자가 손으로 오므려 넣게 되면 탄성력에 의한 복원으로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 위치되어 자리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내경반지(2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은, 토르말린, 숯, 게르마늄, 자석 등과 같은 원적외 방사 재료를 첨가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시 착용감이 상승하게 되며, 손가락에 밀착되어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 모르게 빠지거나 하여 분실될 위험 또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경반지(20)는 외경(21)은 일정하게 유지되되, 내경(2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 개 구비되는 내경반지(20)의 외경(21)은 외경반지(10)의 겉내경(11)의 크기가 일정함에 따라, 삽입되어 위치되는 내경반지(20)의 외경(21)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고,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하는 내경반지(20)의 내경(22)은 각각의 반지가 다르도록 형성되어, 내경반지(20)를 교체함으로써 반지의 내경이 교체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는 내경나사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내경반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경나사홈(14)에 대응되는 외경나사홈(23)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세 설명하면은,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반지(10)와 내경반지(20)는 볼트와 너트의 형태로 결합하게 되어 체결 및 교체가 간편하게 구성된다.
즉, 내경반지(20)를 착용한 상태로 외경반지(10)를 너트처럼 돌려서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경반지(10)의 교체가 보다 간편하게 구성되고, 내경반지(20)의 재질을 외경반지(10)와 다른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외경반지(10)를 금으로 제작하고, 내경반지(20)를 백금과 같은 귀금속으로 제작하게 되면 서로 다른 재질의 외경반지(10)와 내경반지(20)의 색상구성에서 오는 심미적 효과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반지의 디자인에 대하여 선택의 폭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반지(10)의 타측 방향에는 겉내경(11)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1 결합홈(15)이 형성되고, 형성된 제1 결합홈(15)의 타측면(16)에는 겉내경(11)과 동일한 내경을 같되,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제1 단턱(17)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단턱(17)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단턱(17)의 상측에는 제1 요홈(18)이 구비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내경반지(20)는 외경(21)이 상기 외경반지(10)의 제1 결합홈(15)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되, 내경반지(20)의 일측 방향에는 내경반지(20)의 외경(21)을 기점으로 상기 외경반지(10)의 겉내경(11)과 동일한 내경을 같는 제2 결합홈(24)이 형성된다.
덧붙여, 형성된 제2 결합홈(24)의 일측면(25)에는 외경(21)과 동일한 외경을 같되 상기 제1 요홈(18)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제2 단턱(2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턱(26)이 형성됨에 따라 제2 단턱(26)의 하측에는 제1 단턱(17)과 대응되는 제2 요홈(27)이 구비된다.
즉, 상기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는 'ㄹ'자 형태의 제1 단턱(17) 및 제1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내경반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단턱(17) 및 제1 요홈에 대응되어 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제2 단턱(26) 및 제2 요홈(2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의 외경반지(10)와 내경반지(20)는, 외경반지(10)에 내경반지(20)가 측면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교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외경반지(10)와 내경반지(20)를 서로 다른 금속으로 사용하여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외경반지(10)와 내경반지(20)의 결합시 접촉부위에는 돌기 및 홈이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된 반지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는 상기에 서술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내경반지(20)를 교체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반지의 내경을 교체할 수 있어 반지의 착용이 편리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경반지(10)는 내경반지(20)가 삽입됨에 따라, 부피가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부피만큼 외경반지(10)의 제작에 사용되는 귀금속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덧붙여, 외경반지(10)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반지의 착용에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다양해지는 효과를 갖게 되며, 다양한 디자인의 반지를 구비하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외경반지(10)와 내경반지(20)를 서로 다른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반지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내경반지(20)의 소재를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의 소재로 구성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100 :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10 : 외경반지
11 : 겉내경 12 : 내주면
13 : 내주면홈 14 : 내경나사홈
15 : 제1 결합홈 16 : 타측면
17 : 제1 단턱 18 : 제1 요홈
20 : 내경반지
21 : 외경 22 : 내경
23 : 외경나사홈 24 : 제2 결합홈
25 : 일측면 26 : 제2 단턱
27 : 제2 요홈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손가락에 끼워지는 반지에 있어서,
    외경반지(10); 와
    상기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 위치되는 내경반지(20)로 구성되며,
    상기 내경반지(20)는 상기 외경반지(10)와 분리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경반지(10)와 상기 내경반지(20)는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되,
    상기 외경반지(10)의 내주면(12)에는 ‘ㄹ’자 형태의 제1단턱(17) 및 제1요홈(18)이 구비되고,
    상기 내경반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단턱(17) 및 제1요홈(18)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단턱(26) 및 제2요홈(2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KR1020160040792A 2016-04-04 2016-04-04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KR10164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792A KR101648705B1 (ko) 2016-04-04 2016-04-04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792A KR101648705B1 (ko) 2016-04-04 2016-04-04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705B1 true KR101648705B1 (ko) 2016-08-17

Family

ID=5687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792A KR101648705B1 (ko) 2016-04-04 2016-04-04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21Y1 (ko) * 2017-11-17 2018-07-03 박은숙 자석 은반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74B1 (ko) * 2007-04-10 2008-05-07 임종혁 접속분리 동시형 이중반지
KR20100087550A (ko) 2009-01-28 2010-08-05 부산정보대학산학협력단 단일 사이즈용 반지
KR20110070931A (ko) 2009-12-19 2011-06-27 김태정 내경 조절용 반지
KR101284755B1 (ko) 2013-06-18 2013-07-17 김덕진 치수 가변형 반지
JP2013529536A (ja) * 2010-06-28 2013-07-22 フヮン、ミン−ス 内径調節可能な指輪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74B1 (ko) * 2007-04-10 2008-05-07 임종혁 접속분리 동시형 이중반지
KR20100087550A (ko) 2009-01-28 2010-08-05 부산정보대학산학협력단 단일 사이즈용 반지
KR20110070931A (ko) 2009-12-19 2011-06-27 김태정 내경 조절용 반지
JP2013529536A (ja) * 2010-06-28 2013-07-22 フヮン、ミン−ス 内径調節可能な指輪
KR101284755B1 (ko) 2013-06-18 2013-07-17 김덕진 치수 가변형 반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21Y1 (ko) * 2017-11-17 2018-07-03 박은숙 자석 은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0879B2 (en) Adjustable size ring
US7409836B2 (en) Adjustable size ring
JP6602963B2 (ja) 金属プレート切り抜き品に押圧接触されたライニングを備える装飾用ファッション宝飾品
US7228716B2 (en) Ornamental ring kit
US20090122253A1 (en) Eyewear device
US11272766B2 (en) Regulating system for rings
US20180249793A1 (en) Portable decorative element comprising a lining pinned under a rigid openwork structure
KR101648705B1 (ko) 내경이 교체 가능한 반지
KR101284755B1 (ko) 치수 가변형 반지
WO2010132034A1 (en) A ring with the ability of multiple size adjustment and a method for this process
KR102014687B1 (ko) 내경 가변형 반지
US1186271A (en) Finger-ring.
US20070002271A1 (en) Glass frames
KR200280016Y1 (ko) 장식체 교체형 반지
US20170332746A1 (en) Ring sizing system
CN209436422U (zh) 饰品组合结构
CN209014924U (zh) 组合式怀表
KR102546393B1 (ko)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액세서리
JP3168526U (ja) 装飾品装着具
CN215649583U (zh) 一种可自由调节戒圈尺寸且可更换戒面装饰物的戒指
US20210361038A1 (en) Jewelry arrangement system
KR20110043915A (ko) 반지
KR20220002673U (ko) 팔찌형 액세서리
CN207784493U (zh) 一种戒指手链
KR200465691Y1 (ko) 장신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