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476B1 - 조류수거펜스 - Google Patents

조류수거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476B1
KR101648476B1 KR1020160036774A KR20160036774A KR101648476B1 KR 101648476 B1 KR101648476 B1 KR 101648476B1 KR 1020160036774 A KR1020160036774 A KR 1020160036774A KR 20160036774 A KR20160036774 A KR 20160036774A KR 101648476 B1 KR101648476 B1 KR 10164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ae
filter
buoyant body
filter barri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대
Original Assignee
박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대 filed Critical 박병대
Priority to KR102016003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01B31/0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소 또는 하천에서 표층수에 부유하는 녹조 또는 적조와 같은 조류의 유출을 차단한 채 가둬 조류의 확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조류를 효율적으로 수거함을 제공하도록, 수면상에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부력을 갖는 부력체와; 상단이 상기 부력체 상에 연결하여 수중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유출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차단막과; 상기 필터차단막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필터차단막에 가해지는 수류저항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물막;을 포함하는 조류수거펜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류수거펜스 {Algae Collecting Fence}
본 발명은 조류수거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소 또는 하천에서 표층수에 부유하는 녹조 또는 적조와 같은 조류의 유출을 차단한 채 가둬 조류의 확산을 방지하는 동시에 조류를 효율적으로 수거하는 것이 가능한 조류수거펜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오염물질의 배출량 및 비료 사용량 등이 급증하여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오염이 점차 심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하천 및 호소의 부영양화로 인한 적조 및 녹조 현상이 발생하여 미관과 친수환경을 저해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적조 및 녹조는 오염된 호소나 하천 근해양식장에서 다량의 어류배설물 및 사료잔류물로 인한 발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적조 및 녹조의 증식확산은 일조량의 증가나 영양 염류가 높을 때, 수온이 섭씨 20~25℃를 유지할 때에 대량 증식되어 수질오염에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적조 및 녹조의 발생은 정수처리 과정에서의 여과지 폐색 문제를 발생시키고, 적조 및 녹조의 발생이 심할 경우 다양한 독성물질이 생성될 우려와 함께 미생물에 의한 대사과정에서의 수계 산소고갈로 어패류에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하므로 부영양화된 호소나 하천의 수질개선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호소나 하천 등에 발생한 적조 및 녹조와 같은 조류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는바, 예를 들면 조류가 발생한 영역의 수중에서 공기를 부상시키는 공기부상법과, 수면을 향해 황토 등을 살포하는 황토살포법과, 수면에 조류를 응집처리하기 위한 응집제를 투여하는 화학적 처리법 등의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조류제거를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8175호(2011.04.01.)에는 선박에 설치되며 해수면에 떠있는 부력판과, 상기 부력판의 하부에 다수로 설치되며 표층수를 바닷속 하층부로 분출하여 밀어내는 하강수단과, 상기 부력판의 하강수단으로 황토액을 공급하는 황토액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적조 및 노조를 빠른 시간 내 사멸시킬 수 있는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332921호(2002.04.03.)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적조발생 해수에 살포하여 적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원으로 부터 공급된 고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저장하는 저장조와, 이 저장조로 부터 공급된 고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를 차아염소산나트륨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해수로 희석하는 희석부와, 이 희석부에 해수공급라인을 통해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와, 차아염소산나트륨 배출라인을 통헤 상기 희석부에서 희석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공급받아 바다에 살포하는 살포대 및 해수중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농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 배출라인에는 희석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살포대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희석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적조발생 해수에 살포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적조를 제거할 수 있는 적조제거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등록특허공보 제1028175호의 경우에는 적조 및 녹조와 같은 조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황토의 투입량이 많기 때문에 황토수급의 어려움 및 작업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조류가 완전 침강히기 전에 주변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문제가 있으며, 나아가 황토에 있는 유기물들이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부영양화를 일으킴에 따라 적조 및 녹조가 다시 번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332921호의 경우에는 조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강한 부식성의 약품인 응집제를 물에 직접 투입하기 때문에 약품의 투입량을 반드시 미량으로 조절해야만 하는 부담이 있으며, 응집제 투여에 따른 2차 오염의 문제와 함께 생태 독성을 유발하여 정부에서는 응집제 사용을 제재하고 있는 실정이고, 만약 약품의 투입량을 조절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변 어폐류를 모두 폐사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작용을 가하여 조류를 제거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지만, 이미 조류가 호소나 하천에서 무방비로 확산되버린 방대한 작업영역에 대해 무분별하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이나 수중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서 수면에 부상한 조류를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28175호(2011.04.01.) KR 등록특허공보 제10-0332921호(2002.04.0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유출을 차단토록 가둬 수거가능하게 구성하므로 작업시 주변환경이나 수중생태를 보호하고 조류제거를 위한 작업영역을 최소화함은 물론 조류수거를 위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류수거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조류의 유출을 차단하면서 외부 수류저항을 조절가능하게 구성하므로 물살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하여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조류의 수거효율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는 조류수거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류수거펜스는 수면상에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부력을 갖는 부력체와; 상단이 상기 부력체 상에 연결하여 수중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유출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차단막과; 상기 필터차단막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필터차단막에 가해지는 수류저항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물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필터차단막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상기 필터차단막의 일면에 연결되고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1부력체와, 상기 제1부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하는 제2부력체로 구성한다.
상기 필터차단막은 직경 10~45㎛의 여과공을 갖는 부직포 또는 광목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필터차단막은 상/하부로 영역을 구분하여 서로 여과공의 직경을 다르게 구성하되, 상기 필터차단막의 상부영역을 이루며 여과공의 직경이 10~25㎛로 형성되는 상부차단막, 상기 필터차단막의 하부영역을 이루며 여과공의 직경이 25~45㎛로 형성되는 하부차단막으로 구성한다.
상기 그물막은 직경 10~30㎜의 통공을 갖는 망사직물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필터차단막과 상기 그물막의 경계선상에 구비되고 수류저항에 대응된 상기 필터차단막의 중량을 보강하는 복수 개의 중량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 상향 연장형성되고 조류의 오버플로우(overflow)에 따른 유출을 차단하는 보강리브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부력체의 하부에 연장형성하되 상기 필터차단막의 일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필터차단막을 거친 유출수를 정화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과층은 활성탄 또는 코스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에 의하면 작업영역 내의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가둬 외부유출을 차단한 채 한곳에 모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응집제 사용이 없는 자연친화적인 작업으로 주변환경이나 수중생태를 보호하여 자연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조류제거를 위한 작업영역을 좁혀가면서 조류확산을 방지하며 조류를 수거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중의 물살에 따른 수류저항을 조절하여 작업시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조류수거를 위한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는 수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게 필터차단막의 내외에 각각 부력체를 구비하여 전반적인 부력을 보다 증진시키면서 작업시 조류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는 부력체에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 보강리브벽을 구성하므로, 작업시 조류의 오버플로우(overflow) 현상에 따른 유출을 더욱 확실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는 필터차단막을 거친 유출수를 정화할 수 있게 여과층을 구성하므로, 조류가 여과된 물을 정화처리하여 우수한 수질환경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본 발명은 수면상에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부력을 갖는 부력체와; 상단이 상기 부력체 상에 연결하여 수중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유출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차단막과; 상기 필터차단막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필터차단막에 가해지는 수류저항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물막;을 포함하는 조류수거펜스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의 제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력체(10)와, 필터차단막(20) 및 그물막(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력체(10)는 상기 필터차단막(20)을 지지하되 소정의 부력을 갖음에 따라 수면상에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부력체(10)는 상기 필터차단막(20)을 기준으로 양쪽 면에 각각 구분하여 위치토록 구비되는 구조로서, 제1부력체(11) 및 제2부력체(13)로 구성한다.
상기 제1부력체(11)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되 상기 필터차단막(20)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제1부력체(11)는 상기 필터차단막(20)의 길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길이를 이루도록 연장형성한다.
상기 제1부력체(11)는 소정의 직경(50~150㎜)을 갖으며, 소재로는 발포수지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1부력체(11)의 직경은 작업영역의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제1부력체(11)의 길이에 비례하여 탄력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력체(13)는 상기 제2부력체(13)는 원형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차단막(20)을 기준으로 상기 제1부력체(11)의 반대쪽 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차단막(20)을 지지하며, 상기 제1부력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복수 개의 상기 제1부력체(11)는 로프 등의 연결수단을 적용하여 서로 연결하므로 하나의 부력기능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게 필터차단막(20)의 내외에 각각 부력체(10)를 구비하여 구성하게 되면, 전반적인 부력을 보다 증진시키면서 작업시 조류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차단막(20)은 조류를 포함한 해수면을 여과가능한 구조로서 조류가 유출되지 못하게 가두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필터차단막(20)은 상단이 상기 부력체(10) 상에 연결되고, 수면에서부터 수중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에서 필터차단막(20)의 수직방향을 향한 길이는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가 수중 내에 존재가능한 깊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차단막(20)은 직경 10~45㎛의 여과공을 갖는 부직포 또는 광목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필터차단막(20)의 여과공으로는 물이 통과가능하지만 미세한 입자의 조류찌꺼기는 걸리게 되는 구조로서,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유출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필터차단막(20)은 상/하부로 그 영역을 구분하여 서로 여과공의 직경을 다르게 형성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필터차단막(20)은 조류가 집중적으로 존재하는 상부영역에 하부영역보다 조밀한 직경의 여과공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 필터차단막(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터차단막(20)의 상부영역을 이루며 여과공의 직경이 10~25㎛로 형성되는 상부차단막(21), 상기 필터차단막(20)의 하부영역을 이루며 여과공의 직경이 25~45㎛로 형성되는 하부차단막(23)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차단막(21) 여과공의 직경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여과처리과정에서 조류찌꺼기의 폐색 현상으로 원만한 여과가 어려우며, 상기 상부차단막(21) 여과공의 직경이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입자의 조류찌꺼기가 유출되는 등 여과효율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반면 상기 하부차단막(23) 여과공의 직경은 25~45㎛로 형성하여 일반적인 조류찌꺼기를 걸러냄과 동시에 원활한 물의 흐름을 유도하므로, 여과작용과 함께 수류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필터차단막(20)을 상하로 구분없이 하나의 일체된 필터차단막(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차단막(21)과 동일한 여과공의 직경(10~25㎛)을 전체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물막(30)은 상기 필터차단막(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하향연장된 구조를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차단막(20)에 가해지는 수류저항을 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그물막(30)은 직경 10~30㎜의 통공을 갖는 망사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그물막(30)은 부피가 큰 이물을 가둬 수거가능하되 물의 흐름 즉 물살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하천이나 호수에서 조류를 수거할 작업영역을 지정한 후 조류수거펜스를 펼쳐 치면 수면상에 부유상태를 유지한 채 해당 작업영역을 벗어난 조류의 확산을 차단하게 되고, 조류수거펜스의 양쪽 끝단을 잡고 이동하여 조류를 모아 가두게 된다. 이후 별도의 펌핑수단을 작업영역 내에 위치하여 외부로의 유출이 차단된 채 모인 조류를 일괄적으로 수거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에 의하면, 작업영역 내의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가둬 외부유출을 차단한 채 한곳에 모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응집제 사용이 없는 자연친화적인 작업으로 주변환경이나 수중생태를 보호하여 자연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조류제거를 위한 작업영역을 좁혀가면서 조류확산을 방지하며 조류를 수거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중의 물살에 따른 수류저항을 조절하여 작업시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조류수거를 위한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터차단막(20)과 상기 그물막(30)의 경계선상에 구비되고 수류저항에 대응된 상기 필터차단막(20)의 중량을 보강하는 복수 개의 중량추(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상기 필터차단막(20)과 상기 그물막(30)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게 나타내었지만 상기 중량추(40)는 상기 필터차단막(20)의 하단에 탈착할 수 있게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중량추(40)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작업환경에 따른 상기 필터차단막(20)의 하부 모멘트 크기를 보강하기 위하여 적용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한 제2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작업시 해상을 향한 필터차단막(20) 및 그물막(30)의 원활한 투입을 전개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필터차단막(20) 및 그물막(3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의 제3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10)의 상부에 상향 연장형성되고 조류의 오버플로우(overflow)에 따른 유출을 차단하는 보강리브벽(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리브벽(50)은 상기 필터차단막(20)의 좌우 길이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되되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한 길이로 구분하여 나뉜 다수의 보강리브벽(50)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리브벽(50)은 소정의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면, 고무나 발포수지 등)을 사용하여 구성하므로, 조류를 모으기 위해 작업영역을 좁히는 과정에서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보강리브벽(50)은 작업영역을 향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하여 조류의 유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한 제3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부력체(10)에서 상향 연장되게 형성된 보강리브벽(50)을 구성하므로, 작업시 조류의 오버플로우(overflow) 현상에 따른 유출을 더욱 확실히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의 제4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10)의 하부에 연장형성하되 상기 필터차단막(20)의 일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필터차단막(20)을 거친 유출수를 정화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층(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층(60)은 상기 필터차단막(20)의 한쪽 면에 접하여 일체로 구성하므로, 상기 필터차단막(20)을 거쳐 조류가 걸러진 물이 정화처리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여과층(60)은 미세한 알갱이 형태로 적층 적용된 구조를 이루고, 활성탄 또는 코스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여과층(60)은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차단막(20)의 상부 영역에만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필터차단막(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4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필터차단막(20)을 거친 유출수를 정화할 수 있게 여과층을 구성하므로, 조류가 여과된 물을 정화처리하여 우수한 수질환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수거펜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부력체 11 : 제1부력체
13 : 제2부력체 20 : 필터차단막
21 : 상부차단막 23 : 하부차단막
30 : 그물막 40 : 중량추
50 : 보강리브벽 60 : 여과층

Claims (3)

  1. 수면상에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부력을 갖는 부력체와;
    상단이 상기 부력체 상에 연결하여 수중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해수면에 떠있는 조류의 유출을 차단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차단막과;
    상기 필터차단막의 하단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필터차단막에 가해지는 수류저항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물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력체는, 상기 필터차단막(20)의 길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길이를 이루며 상기 필터차단막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상기 필터차단막의 일면에 연결되고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의 제1부력체와, 상기 필터차단막을 기준으로 상기 제1부력체의 반대쪽 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차단막을 지지하며, 상기 제1부력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하는 원형의 구 형상의 제2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차단막은 직경 10~45㎛의 여과공을 갖는 부직포 또는 광목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상/하부로 영역을 구분하여 서로 여과공의 직경을 다르게 구성하되, 상기 필터차단막의 상부영역을 이루며 여과공의 직경이 10~25㎛로 형성되는 상부차단막, 상기 필터차단막의 하부영역을 이루며 여과공의 직경이 25~45㎛로 형성되는 하부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그물막은 직경 10~30㎜의 통공을 갖는 망사직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차단막과 상기 그물막의 경계선상에 구비되고 수류저항에 대응된 상기 필터차단막의 중량을 보강하는 복수 개의 중량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 상향 연장형성되고 조류의 오버플로우(overflow)에 따른 유출을 차단하는 보강리브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류수거펜스.




  2. 삭제
  3. 삭제
KR1020160036774A 2016-03-28 2016-03-28 조류수거펜스 KR10164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74A KR101648476B1 (ko) 2016-03-28 2016-03-28 조류수거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74A KR101648476B1 (ko) 2016-03-28 2016-03-28 조류수거펜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947 Division 2015-09-08 2015-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476B1 true KR101648476B1 (ko) 2016-08-16

Family

ID=5685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774A KR101648476B1 (ko) 2016-03-28 2016-03-28 조류수거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378A (zh) * 2018-06-17 2018-09-14 上海仪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核电冷源过滤网体串联快速布放装置
KR20190049076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모듈형 녹조제거시스템을 위한 녹조수용장치
KR20200045795A (ko) * 2018-10-23 2020-05-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기공 메쉬를 구비한 친수성 소재의 오일펜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3222A (ja) * 1995-08-10 1997-02-25 Mitsubishi Kagaku Sanshi Kk 汚濁防止装置
KR100332921B1 (ko) 1999-07-16 2002-04-20 신현준 적조제거방법 및 적조제거장치
JP2002256537A (ja) * 2001-03-01 2002-09-11 Hiroshi Ishida 汚濁防止装置
KR100834083B1 (ko) * 2007-03-16 2008-06-02 이재환 바이오 환경 식생포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8175B1 (ko) 2009-06-16 2011-04-08 한국수자원공사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KR101527361B1 (ko) * 2014-06-11 2015-06-09 (주)에코원 섬모상 메디아를 이용한 이중 녹조차단막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3222A (ja) * 1995-08-10 1997-02-25 Mitsubishi Kagaku Sanshi Kk 汚濁防止装置
KR100332921B1 (ko) 1999-07-16 2002-04-20 신현준 적조제거방법 및 적조제거장치
JP2002256537A (ja) * 2001-03-01 2002-09-11 Hiroshi Ishida 汚濁防止装置
KR100834083B1 (ko) * 2007-03-16 2008-06-02 이재환 바이오 환경 식생포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8175B1 (ko) 2009-06-16 2011-04-08 한국수자원공사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KR101527361B1 (ko) * 2014-06-11 2015-06-09 (주)에코원 섬모상 메디아를 이용한 이중 녹조차단막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076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모듈형 녹조제거시스템을 위한 녹조수용장치
KR102036249B1 (ko) * 2017-11-01 2019-10-24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모듈형 녹조제거시스템을 위한 녹조수용장치
CN108525378A (zh) * 2018-06-17 2018-09-14 上海仪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核电冷源过滤网体串联快速布放装置
KR20200045795A (ko) * 2018-10-23 2020-05-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기공 메쉬를 구비한 친수성 소재의 오일펜스
KR102202280B1 (ko) * 2018-10-23 2021-01-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기공 메쉬를 구비한 친수성 소재의 오일펜스
US10914045B2 (en) 2018-10-23 2021-02-0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ydrophilic material oil fence having double-porous me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64B1 (ko) 수상부유물 제거장치
KR101584608B1 (ko) 조류제거장치
JP2006150351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101648476B1 (ko) 조류수거펜스
JP2007319002A (ja) 藻類処理船および藻類処理システム
US10272367B2 (en) Infiltration intake system for revetment wall
KR101051611B1 (ko)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KR101526329B1 (ko) 조류수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류수거방법
CN103755085B (zh) 河道型水库支流库湾水华消除及藻源净化装置及方法
KR20140046578A (ko) 부유형 수질정화장치
JP2003340489A (ja) 閉鎖性水域の浄水装置
KR101547856B1 (ko) 침전물 부양형 수질 정화시스템
KR100899573B1 (ko) 어류산란처 및 수질정화기능이 구비된 하천의 침수방틀
KR102578413B1 (ko) 호수 정화 시스템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KR100456406B1 (ko) 호수의 수질정화시스템
KR100696604B1 (ko) 산업 시설 배출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21212A (zh) 河道污水处理系统
JPH0698246B2 (ja) ダム濁水の浄化装置
KR200283201Y1 (ko) 호수의 수질정화시스템
CN109942174B (zh) 水下施工浮泥收集装置
KR102370412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532364B1 (ko) 생물 사육 장치
KR20130036975A (ko) 슬러지의 수분 및 녹조와 부유물 처리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슬러지 수분 및 녹조와 부유물 처리방법
CN106498913B (zh) 藻类收集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