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003B1 - 왕복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왕복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003B1
KR101648003B1 KR1020140031513A KR20140031513A KR101648003B1 KR 101648003 B1 KR101648003 B1 KR 101648003B1 KR 1020140031513 A KR1020140031513 A KR 1020140031513A KR 20140031513 A KR20140031513 A KR 20140031513A KR 101648003 B1 KR101648003 B1 KR 10164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chamber
flange
coupled
air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568A (ko
Inventor
정중한
일라리온 엔코래비흐 텐
Original Assignee
박범훈
정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훈, 정중한 filed Critical 박범훈
Priority to KR102014003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0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00Machines or pumps with pistons coacting within one cylinder, e.g. multi-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피니언 및 제2구동피니언; 상기 제1구동피니언의 편심된 위치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2구동피니언의 편심된 위치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팅로드; 상기 제1커넥팅로드와 상기 제2커넥팅로드의 타측 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챔버를 상부에 구비되는 제1압축챔버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2압축챔버로 구획하는 구획플랜지; 상기 샤프트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1압축챔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1압축챔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1피스톤; 및 상기 샤프트의 중간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압축챔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2압축챔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2피스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왕복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피스톤을 이용한 왕복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기체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이는 기계적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압축기의 종류는 실린더 내에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공기를 압축하는 왕복식 압축기와, 실린더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자에 의해 체적을 감소시켜 공기의 압력을 높여주는 회전식 압축기로 크게 양분된다.
그리고 왕복식 압축기는 피스톤이 선형으로 움직이면서 가스를 흡입 압축하는 것으로, 이러한 왕복식 압축기는 크게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가스를 흡입 압축하는 방식과 구동모터가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켜 가스를 흡입 압축하는 방식이 있다.
왕복식 압축기는 실린더 내를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공기를 압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며, 1kgf/cm2 이하의 저압에서 1,000kgf/cm2 이상의 고압까지 응용 범위가 넓고, 특히 압력 5~10kgf/cm2, 75kW 이하의 소형 압축기는 거의 이러한 형식이다. 압축 압력으로는 7~8.5kgf/cm2의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열효율이 좋아 공기량이 많고 조정이 간단하여 효율적이다.
즉 왕복식 압축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며 소형의 용량이 필요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왕복식 압축기의 용량은 주로 실린더 내부의 체적에 의해 좌우되는데, 압축기의 용량을 키우기 위해 실린더의 체적 및 피스톤의 크기를 키우게 되면 왕복식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1931호(2007.02.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용량을 키우면서도 압축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왕복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속도 제어가 간편하고 전력이 적게 소비되는 왕복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압축챔버를 상부에 구비되는 제1압축챔버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2압축챔버로 구획하는 구획플랜지와, 상기 제1압축챔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1압축챔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1피스톤과, 상기 제2압축챔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2압축챔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2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에 동시에 결합하며 상기 실린더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팅로드 및 제2커넥팅로드와, 상기 제1커넥팅로드의 단부가 편심되게 결합되는 제1구동피니언과 및 상기 제2커넥팅로드의 단부가 편심되게 결합되는 제2구동피니언과, 상기 제1구동피니언과 상기 제2구동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는 상기 제1압축챔버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홀을 제어하는 제1흡입밸브 및 상기 제1압축챔버에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토출홀을 제어하는 제1토출밸브가 구비된 상부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홀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1토출홀 중 하나에는 압력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플랜지에는 상기 제2압축챔버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홀을 제어하는 제2흡입밸브 및 상기 제2압축챔버에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토출홀을 제어하는 제2토출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압축챔버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압축챔버와 대기와 서로 연통되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2압축챔버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압축챔버와 대기가 서로 연통되는 제2연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획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각각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샤프트가 이동할 때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헤드, 상기 구획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플랜지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와 일체화시키는 스터드 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에 의하면, 하나의 실린더 내부를 두개의 압축챔버로 나누고 각 압축챔버에 각각의 피스톤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왕복식 압축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 각 피스톤이 압축하는 용량은 예전에 비해 증가하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구동피니언을 사용하고 2개의 커넥팅로드를 구비함으로써 압축기의 속도 제어가 간편하고 전력이 적게 소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왕복식 압축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왕복식 압축기에서 압축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왕복식 압축기에서 압축챔버에서 압축된 공기가 토출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왕복식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는 몸체(10)와, 몸체(1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0)와, 몸체(10)의 상부에 지지되어 압축된 공기를 토출하는 압축부(200)를 구비한다.
몸체(10)는 바닥에 지지되는 것으로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11)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11)에는 왕복식 압축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0)가 설치된다.
구동부(100)는 몸체(1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0)와, 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피니언(120a) 및 제2구동피니언(120b)와, 제1구동피니언(120a)의 편심된 위치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팅로드(130a) 및 제2구동피니언(120b)의 편심된 위치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팅로드(130b)를 구비한다. 모터(110)의 회전축은 제1구동피니언(120a)에 결합되어 제1구동피니언(120a)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제1구동피니언(120a)과 제2구동피니언(120b)은 서로 기어 등과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맞물려 있어 제1구동피니언(120a)의 구동력이 제2구동피니언(120b)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구동피니언(120a)과 제2구동피니언(120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커넥팅로드(130a)와 제2커넥팅로드(130b)의 일측 단부가 각각 제1구동피니언(120a)와 제2구동피니언(120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로드핀(12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커넥팅로드(130a)와 제2커넥팅로드(130b)의 타측 단부는 고정바(14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커넥팅로드(130a)와 제2커넥팅로드(130b)의 타측 단부가 고정바(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로드핀(13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0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구동부(100)의 모터(110)가 회전하게 되면 제1구동피니언(120a) 및 제2구동피니언(120b)도 회전하게 된다.
제1구동피니언(120a) 및 제2구동피니언(120b)이 회전함에 따라 제1구동피니언(120a) 및 제2구동피니언(120b)의 편심된 위치에 결합된 제1커넥팅로드(130a) 및 제2커넥팅로드(130b)는 각각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커넥팅로드(130a) 및 제2커넥팅로드(130b)의 타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바(140)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구동피니언(120a)의 회전방향과 제2구동피니언(120b)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구동피니언(120a)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면 제2구동피니언(120b)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구동피니언(120a)과 제2구동피니언(120b)이 서로 대칭되도록 회전하게 함으로써 제1구동피니언(120a)과 제2구동피니언(120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커넥팅로드(130a)와 제2커넥팅로드(130b)도 서로 대칭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커넥팅로드(130a)와 제2커넥팅로드(130b)가 서로 대칭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바(140)도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압축부(200)는 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플랜지(210)와, 하부 플랜지(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챔버(221)를 형성하는 실린더(220)와, 압축챔버(221)를 상부에 구비되는 제1압축챔버(221a)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2압축챔버(221b)로 구획하는 구획플랜지(230)와, 실린더(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압축챔버(221a)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홀(241a)을 제어하는 제1흡입밸브(241) 및 제1압축챔버(221a)에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토출홀(242a)을 제어하는 제1토출밸브(242)가 구비된 상부플랜지(240)를 구비한다. 즉 상부플랜지(240)는 제1압축챔버(221a)에 대해서 실린더헤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부(100)의 고정바(140)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어 압축챔버(221) 내부로 인입되는 샤프트(250)를 구비한다.
제1압축챔버(221a)의 내부에는 샤프트(250)의 타단과 결합되며 제1압축챔버(221a)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1피스톤(260)이 구비되고, 제2압축챔버(221b)의 내부에는 샤프트(250)의 중간부분에 결합되어 제2압축챔버(221b)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2피스톤(270)이 구비된다.
한편 상부플랜지(240), 구획플랜지(230)를 관통하여 하부플랜지(210)에 일단이 결합되어 실린더(220)와 일체화시키는 스터드 핀(21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터드 핀(211)에 의해 상부플랜지(240), 구획플랜지(230), 하부플랜지(210) 및 실린더(220)는 일체화되어 내부가 밀폐된 압축챔버(221)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부플랜지(240)에 형성되는 제1토출홀(242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토출홀(242a) 중 하나에는 압력계(245)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계(245)는 압축챔버(22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어 왕복식 압축기의 이상 유무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압축챔버(221a)와 제2압축챔버(221b)를 구획하는 구획플랜지(230)에는 제2압축챔버(221b)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홀(231a)을 제어하는 제2흡입밸브(231) 및 제2압축챔버(221b)에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토출홀(232a)을 제어하는 제2토출밸브(232)가 구비된다. 즉, 구획플랜지(230)는 제2압축챔버(221b)에 대해 실린더 헤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실린더(220)는 제1압축챔버(221a)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1압축챔버(221a)와 대기와 서로 연통되는 제1연통홀(223) 및 제2압축챔버(221b)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2압축챔버(221b)와 대기가 서로 연통되는 제2연통홀(224)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연통홀(223)과 제2연통홀(224)을 형성하는 이유는 제1피스톤(260)과 제2피스톤(270)이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제1압축챔버(221a) 및 제2압축챔버(221b)에서 제1피스톤(260) 및 제2피스톤(270)의 하부 공간의 공기가 제1연통홀(223) 및 제2연통홀(224)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제1피스톤(260)과 제2피스톤(270)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제1피스톤(260)과 제2피스톤(270)이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반대로 제1피스톤(260)과 제2피스톤(270)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제1연통홀(223) 및 제2연통홀(224)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피스톤(260)과 제2피스톤(270)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제1피스톤(260)과 제2피스톤(270)이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구획플랜지(230) 및 하부플랜지(210)에는 각각 샤프트(250)가 관통하도록 관통홀(230a,210a)이 형성되고, 각 관통홀(230a,210a)에는 샤프트(250)가 이동할 때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베어링(28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샤프트(250)가 실린더(22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왕복식 압축기의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왕복식 압축기에서 압축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왕복식 압축기에서 압축챔버에서 압축된 공기가 토출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에서 실린더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과 실린더에서 압축된 공기가 토출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스톤(26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제1압축챔버(221a)에서 제1피스톤(260) 상부의 공간에는 부압이 걸리게 되어 상부플랜지(240)에 구비된 흡입밸브(241)가 개방되면서 제1흡입홀(241a)을 통해 제1압축챔버(221a)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제1압축챔버(221a)에서 제1피스톤(260) 하부의 공간에는 정압이 걸리게 되어 공기는 제1연통홀(223)을 통해 제1압축챔버(221a)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제2피스톤(27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제2압축챔버(221b)에서 제2피스톤(270) 상부의 공간에는 부압이 걸리게 되어 구획플랜지(230)에 구비된 흡입밸브(231)가 개방되면서 제2흡입홀(231a)을 통해 제2압축챔버(221b)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제2압축챔버(221b)에서 제2피스톤(270) 하부의 공간에는 정압이 걸리게 되어 공기는 제2연통홀(224)을 통해 제2압축챔버(221b)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특히 제2피스톤(270)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제1압축챔버(221a)에서 제1피스톤(260) 하부의 공간에 있는 공기 중 일부가 제2흡입홀(231a)을 통해 제2압축챔버(221b)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1흡입홀(241a), 제2흡입홀(231a), 제1연통홀(223), 제2연통홀(224)을 구비하여 제1압축챔버(221a) 및 제2압축챔버(221b)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는 압축효율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스톤(260)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제1압축챔버(221a)에서 제1피스톤(260) 상부의 공간에는 정압이 걸리게 되어 상부플랜지(240)에 구비된 토출밸브(242)가 개방되면서 제1토출홀(242a)을 통해 제1압축챔버(221a)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제1압축챔버(221a)에서 제1피스톤(260) 하부의 공간에는 부압이 걸리게 되어 공기는 제1연통홀(223)을 통해 제1압축챔버(221a) 내부로 유입된다.
제2피스톤(270)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제2압축챔버(221b)에서 제2피스톤(270) 상부의 공간에는 정압이 걸리게 되어 구획플랜지(230)에 구비된 토출밸브(232)가 개방되면서 제2토출홀(232a)을 통해 제2압축챔버(221b) 내부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제2압축챔버(221b)에서 제2피스톤(270) 하부의 공간에는 부압이 걸리게 되어 공기는 제2연통홀(224)을 통해 제2압축챔버(221b)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1토출홀(242a), 제2토출홀(232a), 제1연통홀(223), 제2연통홀(224)을 구비하여 제1압축챔버(221a) 및 제2압축챔버(221b)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는 압축효율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에 의하면, 하나의 실린더(220) 내부를 두개의 압축챔버(221a,221b)로 나누고 각 압축챔버(221a,221b)에 각각의 피스톤(260,270)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왕복식 압축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각 피스톤(260,270)이 압축하는 용량은 예전에 비해 증가하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압축챔버(221a,221b) 내부의 공기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2개의 구동피니언(120a,120b)을 사용하고 2개의 커넥팅로드(130a,130b)를 구비함으로써 압축기의 속도 제어가 간편하고 전력이 적게 소비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왕복식 압축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몸체 100: 구동부
110: 모터 120a, 120b: 구동피니언
130: 커넥팅로드 140: 고정바
200: 압축부 210: 하부플랜지
220: 실린더 230: 구획플랜지
240: 상부플랜지

Claims (7)

  1.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피니언과, 상기 제1구동피니언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구동피니언;
    상기 제1구동피니언의 편심된 위치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커넥팅로드 및 상기 제2구동피니언의 편심된 위치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커넥팅로드;
    상기 제1커넥팅로드와 상기 제2커넥팅로드의 타측 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부에 결합되어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챔버를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압축챔버를 상부에 구비되는 제1압축챔버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2압축챔버로 구획하는 구획플랜지;
    상기 샤프트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1압축챔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1압축챔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1피스톤; 및
    상기 샤프트의 중간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제2압축챔버에 내장되어 상기 제2압축챔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제2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는 상기 제1압축챔버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홀을 제어하는 제1흡입밸브 및 상기 제1압축챔버에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토출홀을 제어하는 제1토출밸브가 구비된 상부플랜지가 결합되고,
    상기 구획플랜지에는 상기 제2압축챔버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홀을 제어하는 제2흡입밸브 및 상기 제2압축챔버에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토출홀을 제어하는 제2토출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압축챔버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압축챔버와 대기와 서로 연통되는 제1연통홀 및 상기 제2압축챔버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압축챔버와 대기가 서로 연통되는 제2연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압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 상기 구획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플랜지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와 일체화시키는 스터드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압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홀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1토출홀 중 하나에는 압력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압축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랜지 및 상기 하부플랜지에는 각각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샤프트가 이동할 때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압축기.
KR1020140031513A 2014-03-18 2014-03-18 왕복식 압축기 KR10164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13A KR101648003B1 (ko) 2014-03-18 2014-03-18 왕복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13A KR101648003B1 (ko) 2014-03-18 2014-03-18 왕복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68A KR20150108568A (ko) 2015-09-30
KR101648003B1 true KR101648003B1 (ko) 2016-08-12

Family

ID=5424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513A KR101648003B1 (ko) 2014-03-18 2014-03-18 왕복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8928B (zh) * 2023-06-07 2023-08-01 沈阳海龟医疗科技有限公司 往复式真空压缩一体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486A (ja) * 2003-11-26 2005-06-16 Kobe Steel Ltd 往復動圧縮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992Y1 (ko) * 1994-10-14 1998-12-01 김종국 다단 실린더 장치
KR20070021931A (ko) 2005-08-19 2007-02-23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피스톤-왕복 가스 압축기
KR101053856B1 (ko) * 2009-04-14 2011-08-03 최우영 왕복 펌프용 피스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486A (ja) * 2003-11-26 2005-06-16 Kobe Steel Ltd 往復動圧縮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68A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7714A3 (en) Compressor
CN1221739C (zh) 涡旋式压缩机
KR101648003B1 (ko) 왕복식 압축기
JP2006125364A (ja) 往復動式圧縮機
CN104533763A (zh) 一种带有阻尼片的微型水泵
CN104033358A (zh) 双腔双作用气泵及带有该气泵的擦玻璃机器人
WO2011148775A1 (ja) 電動機一体型ブースター圧縮機
CN204402807U (zh) 一种带有阻尼片的微型水泵
CN2821227Y (zh) 具有活动平衡锤的涡旋压缩机
CN208431168U (zh) 一种立式无阻塞单级单吸离心泵
JP4343712B2 (ja) 往復動型圧縮機
KR20038372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용 펌핑장치
JP2017075576A (ja) タンク一体式流体圧縮機
CN101278125B (zh) 可变容量压缩机
KR100761277B1 (ko) 이중용량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13685Y1 (ko) 진공펌프와 압축기의 일체형구조
KR101264371B1 (ko) 고압가스 제조용 피스톤식 압축기
KR20090112245A (ko) 컴프레서용 피스톤 장치
KR100856794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110025372A (ko) 다단 실린더 구조를 갖는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
CN105604934B (zh) 变容量压缩机及包括该变容量压缩机的电器产品
KR100972174B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KR20070005326A (ko) 왕복동 압축기
KR20240003542A (ko) 고압력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
KR100565358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