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68B1 - 휠 분리기구 - Google Patents

휠 분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68B1
KR101647668B1 KR1020150077269A KR20150077269A KR101647668B1 KR 101647668 B1 KR101647668 B1 KR 101647668B1 KR 1020150077269 A KR1020150077269 A KR 1020150077269A KR 20150077269 A KR20150077269 A KR 20150077269A KR 101647668 B1 KR101647668 B1 KR 101647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wheel
adapter
link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중식
Original Assignee
강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중식 filed Critical 강중식
Priority to KR102015007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1/00Apparatus or 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wheels
    • B60B31/06Apparatus or 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wheels for removing or attaching cover discs, hub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휠 분리기구는 휠의 탈거 시 휠을 파지하는 암부재에 크기가 다른 복수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큰 직경을 갖는 휠에 대응되도록 휠 가압용 어댑터가 구비되어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휠의 탈거가 용이한 분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휠 분리기구{A Wheel Remover}
본 발명은 휠 분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되어 부식되거나 오염물질이 응고되어 차량에 고착된 휠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휠 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휠은 타이어가 장착되어 구동된다. 상기의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시간이 지나거나 장기간의 주행을 하게되면 자연스럽게 마모되거나 탄력을 잃어 재성능을 잃게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 안전을 위하여 차량의 타이어 및 휠 교체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휠은 그 특성상 먼지 및 외부의 오염 물질에 항상 노출된다. 따라서 장기간 운행을 한 차량들에 설치된 휠과 상기 휠이 고정되는 차량의 구동축 사이에는 각종 이물질 및 윤활유가 섞여 굳어지거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휠과 구동축 사이에서 부식이 발생하여 녹이 슬면서 휠이 구동축에 고착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타이어 교체를 위하여 휠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시 작업자는 큰 힘을 필요하게 되며, 상기의 고착현상이 심각할 경우 별도의 휠 분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차량용 휠 분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휠 분리장치는 이송안내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이송안내부(100)에 장착되어 너트의 고정력이 해제된 타이어 휠(H)을 차축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안내부(100)에는 수평으로 대응하는 한 쌍의 레일(110)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이송안내부(100)의 한 쌍의 레일(110)에 로울러(311)가 각각 장착되어 이송하는 지지고정부재(310)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지지고정부재(310)에 고정되고, 휠이 분리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34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320)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300)에는 상기 가압부재(340)가 구동축의 단부를 가압하는 힘을 당기는 힘으로 바꾸어 전달해주는 연결부재(3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지지부재(3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링크(331)가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링크(331)에 연결되고, 타단이 휠 홀에 걸리어 고정되는 제2링크(33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지지부재(320)와 제1링크(331)를 연결하고, 상기 제1링크(331)와 제2링크(332)를 각각 연결 고정하는 고정부재(3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332)의 일단부에는 제2링크(332)의 일단부가 차량 휠 홀에 걸리어 고정되도록 걸림고리(332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332)에는 상기 제1링크(331)와 상기 걸림고리(332a)의 사이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복수의 고정공(332')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40)의 가압시, 차축에 장착되는 캡(35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340)는 에어실린더 및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회전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송안내부(100) 하부에 장착되는 승하강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휠 분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차량의 타이어 휠(H)을 차축으로부터 이탈시기 위해서는 차축의 볼트에서 너트를 이탈시켜 타이어 휠(H)의 고정력을 해제시킨 후, 차량의 차축에 에어쟈키를 이용하여 타이어가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작동부(300)를 승하강부(400)의 이동에 따라 타이어 휠(H)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400)의 작동으로 작동부(300)를 상승시켜 타이어 휠(H)과 수평선상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상기 승하강부(400)는 통상의 에어리프트이다.
상기 타이어 휠(H)과 수평선상으로 작동부(3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300)의 지지고정부재(310)의 로울러(311)가 회전하면서 이송안내부(100)의 한 쌍의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데, 상기 지지고정부재(310)에 가압부재(34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320)에 고정된 연결부재(330)의 제2링크(332)가 타이어 휠(H)의 구멍에 위치하면 지지부재(320)의 이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2링크(332)(332')를 이동시켜 제2링크(332)의 걸림고리(332a)가 타이어 휠(H) 내부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제2링크(332)의 걸림고리(332a)가 타이어 휠(H) 내부에 걸린 상태에서 캡(350)을 차축에 밀착시킨후,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작동부(300)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340)가 캡(350)을 가압하면, 상기 캡(350)은 차축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재(34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320)에 연결된 연결부재(330)를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20)에 고정부재(333)로 연결된 연결부재(330)의 제1링크(331)는 고정부재(333)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1링크(331)에 고정부재(333)로 연결된 제2링크(332)는 고정부재(333)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링크(332)의 걸림고리(332a)에 걸린 타이어 휠(H)을 차축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타이어 휠(H)은 연결부재(330)의 고정부재(333)를 중심으로 제1링크(33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최대한 이동할 수 있으나, 상기 타이어 휠(H)이 차축으로부터 분리되면 타이어 휠(H)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축으로부터 타이어 휠(H)이 분리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가압부재(340)를 복원시키면서 차축에서 캡(350)을 이탈시킨 후, 타이어의 수리가 필요한 곳으로 승하강부(400)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331)와 연결되도록 고정부재(333)가 장착되는 제2링크(332)의 다수의 고정공(3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휠 분리장치는 제2링크(332)에 구비된 걸림고리(332a)가 단일 형상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형상의 휠 홀이 형성되는 휠의 특성상 모든 종류의 휠에 적용될 수 없었으며, 트럭 등의 대형 차량에 설치되는 큰 사이즈의 휠에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1593호(2010.06.08)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휠의 탈거 시 휠을 파지하는 암부재에 크기가 다른 복수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큰 차축을 갖는 휠에 대응되도록 휠 가압용 어댑터가 구비되어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휠의 탈거가 용이한 분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결합되어 휠을 파지하여 차량으로부터 탈거하는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전방 및 상향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이 구비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회전부재와, 제1 링크와, 설치부재와, 제2 링크와, 수나사와, 암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되고, 폭 방향 양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절곡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는 제1 힌지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제1 링크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제4 힌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설치부재는 길이 방향 일측이 제2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 타측이 제3 힌지에 의하여 제1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제5 힌지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절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제6 힌지에 의하여 상기 암나사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수나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가 체결되며;
상기 수나사가 회전되어 상기 암나사가 전방으로 움직일 시 상기 암나사에 연결된 제2 링크가 상기 제5 힌지부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5 힌지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기 제1 힌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향 회전되고; 상기 상향 회전된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힌지부에 연결된 상기 설치부재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1 힌지와 제5 힌지의 사이에 구비된 제4 힌지에 연결된 제1 링크가 상기 제2 힌지보다 전방으로 구비된 상기 제3 힌지를 하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설치부재의 수평이 유지되며;
상기 수나사가 회전되어 상기 암나사가 후방으로 움직일 시 상기 암나사에 연결된 제2 링크가 상기 제5 힌지부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 힌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하향 회전되고; 상기 하향 회전된 회전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 힌지부에 연결된 상기 설치부재가 하강하게 되며, 상기 제4 힌지에 연결된 제1 링크가 상기 제3 힌지를 상향으로 밀면서 상기 설치부재의 수평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가압수단은 실린더와, 지지부재와, 암 지지부재와,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와, 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실린더 홀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암부재 홀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설치부에 결합 구비되고;
상기 암 지지부재는 원형의 판상으로 구비되며, 반경 방향 중심에 실린더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 지지홀에 삽입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암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타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지지홀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연결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암부재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되고, 양단부 사이의 일측이 암 힌지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 단부에는 제1 걸림돌기가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와 크기가 다른 제2 걸림돌기가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크기가 다른 휠에 대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실린더의 반경 방향 중심에는 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로드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드홈에는 가압팁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압팁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길이 방향 일측에는 가압돌기가 상기 가압팁에 대하여 반경 방향 중심에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로드홈에는 어댑터 연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 휠가압용 어댑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휠가압용 어댑터는 어댑터판과 어댑터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판은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측에 어댑터 연결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 몸체는 양 단부가 개구된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이 상기 어댑터 연결부에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암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암부재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 걸림돌기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제1 걸림턱이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제2 걸림턱이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턱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 분리기구는 다양한 크기의 걸림돌기가 구비된 암부재와 휠 가압용 어댑터가 구비되어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휠의 탈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휠 분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휠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휠을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휠 분리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휠 분리기구의 본체와 승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휠 분리기구의 승강수단에 결합 구비되는 가압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휠 분리기구의 가압수단의 지지부재와 암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휠 분리기구를 이루는 지지부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휠 분리기구를 이루는 지지부의 암 지지부재와 암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가압부재에 구비되는 암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휠 분리기구에 의하여 휠이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휠가압용 어댑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휠가압용 어댑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휠 분리기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휠 분리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휠 분리기구의 본체와 승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휠 분리기구의 승강수단에 구비되는 가압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휠 분리기구의 가압수단의 지지부재와 암 지지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휠 분리기구를 이루는 지지부의 지지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휠 분리기구를 이루는 지지부의 암 지지부재와 암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가압부재에 구비되는 암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휠 분리기구에 의하여 휠이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휠가압용 어댑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가압부재에 설치되는 휠가압용 어댑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의 가로 방향을“길이 방향”으로 하고, 승강핸들(129)로부터 설치부재(123)를 향하는 방향을“전방”으로 하며, 상기 설치부재(123)로부터 승강핸들(129)을 향하는 방향을“후방”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폭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 분리기구(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수단(120)과, 상기 승강수단(120)에 결합되는 가압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는 박스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부가 개구된다. 상기 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전방부가 개구된다. 상기 상부 개구부와 전방 개구부는 연통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승강수단(120)이 구비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에는 일측에 손잡이(111)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10)의 폭 방향 일측에는 상기 가압수단(130)을 작동 시키기 위한 펌프(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폭 방향 단부의 하부에는 바퀴(112)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112)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11)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11)는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연장부(도시되지 않음)와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연장부의 폭 방향 양 단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부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1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110)의 폭 방향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111)가 본체(110)에 설치된다.
상기 펌프(134)에는 펌프레버(1341)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레버(1341)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가압수단(130)을 작동 시킬수 있다. 상기 펌프(134)의 일측에는 펌프라인(1343)의 일단이 연결 구비된다. 상기 펌프(134)는 공압펌프 또는 유압펌프를 예로 들수 있다.
상기 펌프라인(1343)의 타단은 상기 가압수단(130)의 실린더(131)에 연결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레버(1341)에 의하여 형성된 유압은 상기 펌프라인(1343)을 따라 상기 실린더(131)에 전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120)은 회전부재(121)와, 제1 링크(122)와, 설치부재(123)와, 제2 링크(124)와, 수나사(125)와, 암나사(126)로 이루어지어 진다.
상기 회전부재(1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21)는 폭 방향 양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절곡부(121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절곡부(1211)의 길이 방향 후방측이 상기 본체(110)의 폭 방향 단면에 제1 힌지(121a)에 의하여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제1 힌지(121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링크(122)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링크(122)는 길이 방향 후방 단부가 상기 본체(110)의 폭 방향 단면에 제4 힌지(122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1 링크(122)는 상기 제4 힌지(122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4 힌지(122a)는 상기 제1 힌지(121a)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23)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재(123)는 폭 방향 양 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설치절곡부(1231)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23)는 길이 방향 후방부가 상기 회전부재(121)의 길이방향 전방부에 제2 힌지(121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상기 설치절곡부(1231)의 길이 방향 후방측이 상기 제2 힌지(121b)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1211)의 길이 방향 전방측에 연결된다. 상기 설치부재(123)는 길이 방향 전방부가 상기 제1 링크(122)의 길이 방향 전방 단부에 제3 힌지(122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1211)와 본체(110)를 연결하는 제1 힌지(121a)와 제4 힌지(121b)가 길이 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구비된 것으로 가정할시, 상기 제1 힌지(121a)와 제2 힌지(121b)의 길이 방향 사이거리는 상기 제3 힌지(122b)와 제4 힌지(122a)의 길이 방향 사이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링크(124)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링크(124)는 길이 방향 후방측이 제5 힌지(124a)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121)의 절곡부(12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 링크(124)는 길이 방향 전방 단부에 제6 힌지(124b)에 의하여 상기 암나사(126)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상기 암나사(126)는 상기 수나사(125)에 체결되고, 상기 수나사(125)의 회전으로 인하여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수나사(12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수나사(125)는 본체(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나사(125)는 길이 방향 양 단부가 나사지지부(1251)에 의하여 지지 구비된다. 상기 수나사(125)에는 상기 암나사(126)에 체결된다.
상기 나사지지부(1251)는 링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나사지지부(1251)는 별도의 지지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나사지지부(1251)는 상기 본체(110) 내부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나사지지부(1251)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나사지지부(1251)에는 나사지지홀(도시되지 않음)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나사(125)는 상기 나사지지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길이 방향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나사지지홀에는 상기 수나사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승강수단(12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나사(125)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에는 전동 기구를 사용하여 자동화 하거나 사람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승강핸들을 이용하여 사람이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수나사(125)의 길이 방향 후방 단부에는 제1 스프라켓(12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라켓(127)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제2 스프라켓(128)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스프라켓(128)은 핸들축(1281)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의 길이 방향 후방 단면에 구비된다.
상기 핸들축(1281)은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핸들축(1281)의 타단에는 승강핸들(129)이 연결 구비된다. 상기 핸들축(1281)은 상기 본체(110)의 후방 단면 일측에 형성된 핸들축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핸들축홀은 상기 본체(110)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기 핸들축홀은 상기 수나사(125)의 길이 방향 후방 단부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승강핸들(129)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핸들(129)의 일측에는 핸들 손잡이(12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핸들(129)을 사용자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핸들축(1281)은 상기 승강핸들(129)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스프라켓(128)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1 스프라켓(127)과 제2 스프라켓(128)은 체인(127a)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스프라켓(128)이 회전될 시 상기 체인(127a)에 의하여 제1 스프라켓(127)에 동력이 전달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상기에 기재된 승강수단(120)의 작동 과정을 설면하면, 상기 수나사(125)가 회전되어 상기 암나사(126)가 전방으로 움직일 시 상기 암나사(126)에 연결된 제2 링크(124)가 상기 제5 힌지(124a)부를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제5 힌지(124a)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기 제1 힌지(121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향 회전되고, 상기 상향 회전된 회전부재(121)에 의하여 상기 제2 힌지부(121b)에 연결된 상기 설치부재(123)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힌지(121a)와 제5 힌지(124a)의 사이에 구비된 제4 힌지(122a)에 연결된 제1 링크(122)가 상기 제2 힌지(121b)보다 전방으로 구비된 상기 제3 힌지(122b)를 하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설치부재(123)의 수평이 유지된다.
상기 수나사(125)가 회전되어 상기 암나사(126)가 후방으로 움직일 시에는, 상기 암나사(126)에 연결된 제2 링크(124)가 상기 제5 힌지(124a)부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서,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제1 힌지(121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하향 회전된다. 이때 상기 하향 회전된 회전부재(121)에 의하여 상기 제2 힌지부(121b)에 연결된 상기 설치부재(123)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4 힌지(122a)에 연결된 제1 링크(122)가 상기 제3 힌지(122b)를 상향으로 밀면서 상기 설치부재(123)의 수평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부재(123)가 상승 또는 하강될 시, 수평이 유지되어 상기 설치부재(123)에 설치되는 가압부재(130) 또한 휠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휠 탈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130)은 실린더(131)와, 지지부재(132)와, 암 지지부재(133)와, 제1 연결부재(135)와, 제2 연결부재(137)와, 암부재(1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32)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32)에는 상단에 환원부(132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32)는 하부에 암부재 홀(132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32)의 하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판(1323)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32)는 상기 설치부재(123)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환원부(1321)는 원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환원부(1321)의 반경 방향 중심에는 실린더 홀(1321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환원부(1321)에는 암 지지부재(133)가 설치된다. 상기 환원부(1321)에는 암 지지부재(133)의 설치를 위한 결합공(1321b)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321b)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323)은 상기 설치부재(123)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암 지지부재(133)는 원형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암 지지부재(133)의 반경 방향 중심에는 지지연장부(133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암 지지부재(133)는 반경 방향 중심에 실린더 지지홀(133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암 지지부재(133)에는 지지부재 결합공(133b)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연장부(1331)는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 지지홀(133a)에는 상기 실린더(131)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 결합공(133b)은 상기 지지부재(132)의 결합공(1321b)에 맞추어 볼트 체결되어, 상기 암 지지부재(133)가 상기 지지부재(132)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131)는 길이 방향 단부에 펌프라인(1343)의 타단이 연결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131)에는 반경 방향 중심에 로드(1311)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드(1311)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로드(13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로드(1311)의 길이 방향 전방 단부에는 로드홈(1311a)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1311)는 상기 펌프라인(1343)으로 전달된 동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작동된다.
상기 로드홈(1311a)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홈(1311a)에는 가압팁(1313)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드홈(1311a)에는 상기 가압팁(1313)을 대신하여 어댑터 연결부재(131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팁(1313)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압팁(131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가압팁(1313)의 길이 방향 일측 단면에는 팁돌기(1313b)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가압팁(1313)의 길이 방향 타측 단면에는 가압돌기(1313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압팁(1313)은 상기 로드홈(1311a)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팁(1313)이 상기 로드(1311)에 설치 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돌기(1313a)는 상기 가압팁(1313)의 반경 방향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1313a)는 상기 로드(1311)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압팁(1313)이 차량의 구동축 단부에 접촉될 시, 상기 로드(1311)의 가압지점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연결부재(135)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135)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연장부(1331)의 반경 방향 외경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135)는 길이 방향 후방 단면이 상기 암 지지부재(133)의 길이 방향 전방 단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135)는 상기 지지연장부(1331)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지지연장부(1331)에 대한 상기 제1 연결부재(135)의 원주 방향 이격 각도는 실시예로 12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135)는 타단부에 연결홀(135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137)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137)는 양 단부에 연결부재 홀(137c)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 홀(137c)의 사이에는 여분의 연결부재 홀(137c)이 복수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홀(137c)은 상기 제1 연결부재(135)의 연결홀(135a)과 연결힌지(137a)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결부재(137)는 상기 제1 연결부재(135)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137)는 상기 제1 연결부재(135)의 상 하면 양측에 연결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암부재(139)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암부재(139)가 상기 제2 연결부재(137)에 결합된 상태를 가정하여 암부재(139)의 방향성을 기재한다.
상기 암부재(139)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암부재(139)는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상기 암부재(139)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폭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암부재(139)는 일측 단부에 제1 걸림돌기(1391)가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암부재(139)는 타측 단부에 제2 걸림돌기(1393)가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제1 걸림돌기(1391)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제1 걸림턱(1391a)이 상기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턱(1391a)은 차량의 휠에 형성된 휠 홀에 걸리어 암부재가 휠을 파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걸림돌기(1393)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제2 걸림턱(1393a)이 상기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턱(1393a)은 차량의 휠에 형성된 휠 홀에 걸리어 암부재가 휠을 파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걸림턱(1393a)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부(1393b)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1393b)에 의하여 상기 암부재(139)가 큰 두깨를 갖는 대형 휠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 분리기구의 사용자는 탈거하려는 휠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암부재(139)의 방향을 바꾸어 제1 걸림돌기(1391) 또는 제2 걸림돌기(1393)를 선택하여 이용하므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휠에 대응하여 작업이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휠분리기구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탈거할 휠과 마주하도록 휠 분리기구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수단(120)을 이용하여 사전에 리프트 되어 상승된 휠의 높이에 맞추어 가압수단(130)과 휠이 높이가 평행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작업자는 승강핸들(129)을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승강수단(120)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킬수 있다. 상기의 동작으로 가압수단(130)의 높이가 휠의 높이와 수평이 되면, 휠 분리기구를 휠측으로 전진시키고, 암부재(139)의 제1 걸림돌기(1391)를 휠의 휠 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한다. 그 후에 암부재의 단부를 휠에 밀착 시켜 상기 암부재에 형성된 걸림턱(1391a)에 휠이 접촉되어 걸리도록 준비한다.
대형 차량의 휠을 탈거할 경우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두꺼운 휠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제2 걸림돌기(1293) 측이 휠을 파지하도록 상기 암부재(139)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휠이 암부재(139)에 의하여 파지되면 작업자는 상기 펌프레버(1341)를 상하로 작동하여 펌프(134)로 부터 공압 또는 유압을 가압수단(130)의 실린더(131)에 전달한다. 상기의 펌프(134)에 의하여 실린더(131)의 로드(1311)는 휠이 장착된 구동축의 단부로 슬라이딩 되어 접촉된다. 이때 지속된 펌프 작동에 의하여 로드(1311) 단부에 설치된 가압팁(1313)이 구동축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암부재(139)의 제1 걸림턱(1391a)에 지지된 휠이 상기 로드(1311)가 가압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동시에 제2 연결부재(137)는 연결힌지(137a)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 후방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암부재(139) 또한 암힌지(137b)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 후방으로 후진되며 상기 휠이 탈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탈거된 휠은 암부재(139)에 파지된 상태로 가압부재(130)에 고정된다.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바퀴(112)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운반하기 힘든 무거운 휠을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위치 시킬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 분리기구는 큰 직경의 구동축에 설치된 휠을 안정적으로 탈거할 수 있도록 별도의 휠가압용 어댑터(15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휠가압용 어댑터(150)는 어댑터판(151)과 어댑터 몸체(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댑터판(151)은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댑터판(151)은 길이 방향 일측에 어댑터 연결부(151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어댑터판(151)은 반경 방향 중심에 어댑터홀(151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1511)의 반경 방향 외경면에는 나사산(1511a)이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 몸체(153)는 길이 방향 단부가 개구된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어댑터 몸체(153)는 길이 방향 일측 내경면에 나사산(153a)이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 몸체(153)에 형성된 나사산(153a)과 상기 어댑터 연결부(1511)의 나사산(1511a)이 결합되어 상기 어댑터판(151)과 어댑터 몸체(153)는 결합된다.
상기의 휠가압용 어댑터(150)가 상기 로드(1311)에 설되기 위하여 어댑터 연결부재(1315)가 구비된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재(1315)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재(1315)는 일측 단부에 로드결합 돌기(1315b)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어댑터 연결부재(1315)는 타측 단부에 어댑터결합 돌기(1315a)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로드결합 돌기(1315b)는 로드홈(1311a)에 삽입된다.
상기 어댑터결합 돌기(1315a)는 어댑터홀(151a)에 삽입된다. 상기 어댑터결합 돌기(1315a)와 어댑터홀(151a)은 나사산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휠가압용 어댑터(150)는 상기 로드(1311)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휠 탈거 작업을 시행할 시, 상기 어댑터 몸체(153)의 내부로 휠의 구동축이 삽입 고정되어 큰 구동축을 갖는 차량의 휠의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휠 분리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휠 분리기구
110: 본체 120: 승강수단
130: 가압수단 132: 지지부재
133: 암 지지부재 139: 암부재
150: 휠 가압용 어댑터

Claims (7)

  1.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수단(120)과, 상기 승강수단(120)에 결합되어 휠을 파지하여 차량으로부터 탈거하는 가압수단(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0)는 전방 및 상향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120)이 구비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수단(120)은 회전부재(121)와, 제1 링크(122)와, 설치부재(123)와, 제2 링크(124)와, 수나사(125)와, 암나사(126)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부재(1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형성되고, 폭 방향 양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절곡부(1211)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부(1211)는 제1 힌지(121a)에 의하여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제1 링크(122)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에 제4 힌지(122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설치부재(123)는 길이 방향 일측이 제2 힌지(121b)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1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 방향 타측이 제3 힌지(122b)에 의하여 제1 링크(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링크(124)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단이 제5 힌지(124a)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121)의 절곡부(1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제6 힌지(124b)에 의하여 상기 암나사(126)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수나사(12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본체(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암나사(126)가 체결되며;
    상기 수나사(125)가 회전되어 상기 암나사(126)가 전방으로 움직일 시 상기 암나사(126)에 연결된 제2 링크(124)가 상기 제5 힌지(124a)부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서,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제5 힌지(124a)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기 제1 힌지(121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향 회전되고; 상기 상향 회전된 회전부재(121)에 의하여 상기 제2 힌지부(121b)에 연결된 상기 설치부재(123)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1 힌지(121a)와 제5 힌지(124a)의 사이에 구비된 제4 힌지(122a)에 연결된 제1 링크(122)가 상기 제2 힌지(121b)보다 전방으로 구비된 상기 제3 힌지(122b)를 하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설치부재(123)의 수평이 유지되며;
    상기 수나사(125)가 회전되어 상기 암나사(126)가 후방으로 움직일 시 상기 암나사(126)에 연결된 제2 링크(124)가 상기 제5 힌지(124a)부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서, 상기 회전부재(121)는 상기 제1 힌지(121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하향 회전되고; 상기 하향 회전된 회전부재(121)에 의하여 상기 제2 힌지부(121b)에 연결된 상기 설치부재(123)가 하강하게 되며, 상기 제4 힌지(122a)에 연결된 제1 링크(122)가 상기 제3 힌지(122b)를 상향으로 밀면서 상기 설치부재(123)의 수평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30)은 실린더(131)와, 지지부재(132)와, 암 지지부재(133)와, 제1 연결부재(135)와, 제2 연결부재(137)와, 암부재(139)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132)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실린더 홀(1321a)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암부재 홀(132a)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설치부재(123)에 결합 구비되고;
    상기 암 지지부재(133)는 원형의 판상으로 구비되며, 반경 방향 중심에 실린더 지지홀(133a)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31)는 상기 실린더 지지홀(133a)에 삽입 결합되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13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암 지지부재(133)에 결합되어, 타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지지홀(133a)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137)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연결힌지(137a)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135)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되며;
    상기 암부재(139)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되고, 양단부 사이의 일측이 암 힌지(137b)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부재(137)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측 단부에는 제1 걸림돌기(1391)가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1391)와 크기가 다른 제2 걸림돌기(1393)가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크기가 다른 휠에 대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31)의 반경 방향 중심에는 로드(1311)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1311)의 단부에는 로드홈(1311a)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로드홈(1311a)에는 가압팁(1313)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팁(1313)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길이 방향 일측에는 가압돌기(1313a)가 상기 가압팁(1313)에 대하여 반경 방향 중심에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홈(1311a)에는 어댑터 연결부재(1315)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 연결부재(1315)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 휠가압용 어댑터(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휠가압용 어댑터(150)는 어댑터판(151)과 어댑터 몸체(153)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판(151)은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측에 어댑터 연결부(151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 몸체(153)는 양 단부가 개구된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 일측이 상기 어댑터 연결부(1511)에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139)는 양 단부가 상기 암부재(139)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 구비된 제1 걸림돌기(1391)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제1 걸림턱(1391a)이 상기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돌기(1393)의 길이 방향 내측에는 제2 걸림턱(1393a)이 상기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턱(1393a)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실린더(13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부(1393b)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분리기구.
KR1020150077269A 2015-06-01 2015-06-01 휠 분리기구 KR101647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69A KR101647668B1 (ko) 2015-06-01 2015-06-01 휠 분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69A KR101647668B1 (ko) 2015-06-01 2015-06-01 휠 분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68B1 true KR101647668B1 (ko) 2016-08-24

Family

ID=5688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269A KR101647668B1 (ko) 2015-06-01 2015-06-01 휠 분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258A (en) * 1974-12-06 1975-09-30 Thomas Barty Hydraulic puller
KR100534736B1 (ko) * 2003-11-04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드럼 탈거장치
KR200447249Y1 (ko) * 2009-07-17 2010-01-12 이기효 브레이크 드럼 분리장치의 파지부재 지지구조
KR20100061593A (ko) 2008-11-29 2010-06-08 이기효 차량의 타이어 휠 및 브레이크 드럼 분리장치
KR101199535B1 (ko) * 2012-05-22 2012-11-12 (주)대륜종합정비 브레이크 드럼 탈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258A (en) * 1974-12-06 1975-09-30 Thomas Barty Hydraulic puller
KR100534736B1 (ko) * 2003-11-04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드럼 탈거장치
KR20100061593A (ko) 2008-11-29 2010-06-08 이기효 차량의 타이어 휠 및 브레이크 드럼 분리장치
KR200447249Y1 (ko) * 2009-07-17 2010-01-12 이기효 브레이크 드럼 분리장치의 파지부재 지지구조
KR101199535B1 (ko) * 2012-05-22 2012-11-12 (주)대륜종합정비 브레이크 드럼 탈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247B2 (ja) タイヤ取り外し機
US8291958B2 (en) Machine for fitting and removing the tires of vehicles
AU2005244608B2 (en) Tire removal tool
JP2002087034A (ja) 自動タイヤ取外し及び取付装置とその装置を備えたタイヤ取外し機
EP2524819B1 (en) Bead breaking unit for tyre changing machines
US7866365B2 (en) Portable tire demounting tool
CN101439650B (zh) 用于安装和拆卸车辆用车轮轮胎的机械
EP2995478A2 (en) Machine for removing and fitting wheel tyres for vehicles
KR101647668B1 (ko) 휠 분리기구
US7861760B2 (en) Portable tire demounting tool
CN104191412A (zh) 检修用螺套安装工具
EP2756969B1 (en) Machine for removing/ fitting a tyre from/ on the rim of a vehicle vehicles
CN110340254B (zh) 一种钢丝绳顶压校直装置
US20080010804A1 (en) Method and machine for removing a tyre fitted with a rigid inner run-flat ring
US8225473B2 (en) Industrial tire ring tool
JP2010260500A (ja) ツールの取付け構造及びタイヤ着脱装置
CN210173296U (zh) 一种可旋转的磨床用运输装置
CN112372580B (zh) 一种用于孔内轴承的拆卸装置
CN212366971U (zh) 一种防掉落的建筑电机用底座
CN203973490U (zh) 检修用螺套安装工具
JP2006021583A (ja) タイヤ脱着補助具
CN209902161U (zh) 一种曲轴毛坯锻造模具
KR20100061593A (ko) 차량의 타이어 휠 및 브레이크 드럼 분리장치
US9610812B2 (en) Tire bead extraction device for tire-changing machines
US9610804B2 (en) Automatic anti-slipping system and automatic anti-slipp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