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29B1 - 보행 보조 장비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29B1
KR101647629B1 KR1020150060275A KR20150060275A KR101647629B1 KR 101647629 B1 KR101647629 B1 KR 101647629B1 KR 1020150060275 A KR1020150060275 A KR 1020150060275A KR 20150060275 A KR20150060275 A KR 20150060275A KR 101647629 B1 KR101647629 B1 KR 10164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pattern
display device
wearer
patter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희
지평기
Original Assignee
김원희
지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희, 지평기 filed Critical 김원희
Priority to KR102015006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43B3/00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Abstract

보행 보조 장비는 좌측 신발에 부착되고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 및 우측 신발에 부착되고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보행 보조 장비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시 보행 동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 보조 장비{WALKING ASSISTANT GEARS}
본 발명은 보행 보조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 등)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장비에 관한 것이다.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뇌 안의 운동 회로에서 도파민이라는 운동 조절 신경 전달 물질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파킨슨병이 진행됨에 따라 자세 불안정이 점차 심해지기 때문에, 파킨슨병을 앓는 환자(이하, 파킨슨병 환자)는 보행 장애를 겪게 된다. 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는 허리가 앞으로 숙여진 엉거주춤한 자세로 발을 끌면서 걷는 경우가 많은데, 보행 시에 보폭이 짧고 팔을 흔들지 않거나 몸에 붙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진행된 파킨슨병 환자는 보행을 시작하려고 할 때 발이 땅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증상(예를 들어, 보행 동결 증상 또는 보행 시동 장애로 명명됨)을 갖는데, 이러한 증상은 진행된 파킨슨병 환자의 일상적인 보행 시에 나타난다. 특히, 파킨슨병 환자가 승강기를 타려고 하거나, 좁은 골목길을 직면하거나, 문 안으로 들어가려고 할 때 상기 보행 동결 증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보행 동결 증상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넘어설 장애물, 밟을 수 있는 라인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신체에 일정 자극(예를 들어, 구호와 같은 청각적 자극, 진동과 같은 촉각적 자극 등)을 부여하는 방법을 통해 보행을 유도하면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 등)가 보행을 시작하려고 할 때 발이 땅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증상(이하, 보행 동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행 보조 장비(예를 들어, 보행 보조 신발, 보행 보조 밴드 등)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는 좌측 신발에 부착되고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 및 우측 신발에 부착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좌측 신발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우측 신발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light)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보행 지점 패턴들은 도트 패턴, 라인 패턴 또는 그래픽 패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가 보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계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비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비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보행 도로가 커브(curve)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보행 도로가 상기 커브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상기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상기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좌측 신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 및 착용자의 우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우측 신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좌측 신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우측 신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보행 지점 패턴들은 도트 패턴, 라인 패턴 또는 그래픽 패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가 보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계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비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비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보행 도로가 커브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보행 도로가 상기 커브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상기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상기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예를 들어, 보행 보조 신발, 보행 보조 밴드 등)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 등)가 발을 내디디려 할 때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보행 지점 패턴(예를 들어, 도트(dot) 패턴, 라인(line) 패턴, 그래픽(graphic) 패턴 등)을 표시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동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지점 패턴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표시하는 보행 지점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표시하는 보행 지점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표시하는 보행 지점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에 구비된 패턴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의 패턴 표시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도로의 커브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변경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지점 패턴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표시하는 보행 지점 패턴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보행 보조 장비(100)는 좌측 신발(140-1)에 부착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 및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c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좌측 신발(140-1)의 발등 부분과 우측 신발(140-2)의 발등 부분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좌측 신발(140-1)과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되는 위치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좌측 신발(140-1)과 우측 신발(140-2)의 밑창 부분, 앞꿈치 부분, 바닥 부분 등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좌측 신발(140-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좌측 신발(140-1)에 접착제, 스티치(stitch)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좌측 신발(140-1)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이하,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은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에서 출력되는 광(예를 들어, 레이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은 도트(dot)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은 라인(line)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이 착용자의 전방에서 좌우로 길게 표시되기 때문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용이하게 인식하게 하기 위해,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라인 패턴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고,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이 2개 이상의 라인 패턴들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b에서는 라인 패턴에 해당하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이 직선 패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라인 패턴에 해당하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은 곡선 패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은 그래픽(graphic)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은 착용자에게 우측 발을 내디딜 위치를 비교적 자세하게 보여줄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발 형상, 원 형상 등을 표시),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보행 보조 효과를 줄 수 있다.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우측 신발(140-2)에 접착제, 스티치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우측 신발(140-2)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에서 출력되는 광(예를 들어, 레이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은 도트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은 라인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이 착용자의 전방에서 좌우로 길게 표시되기 때문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용이하게 인식하게 하기 위해,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라인 패턴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고,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이 2개 이상의 라인 패턴들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b에서는 라인 패턴에 해당하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이 직선 패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라인 패턴에 해당하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은 곡선 패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은 그래픽 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은 착용자에게 우측 발을 내디딜 위치를 비교적 자세하게 보여줄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발 형상, 원 형상 등을 표시),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보행 보조 효과를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는 보행을 시작하려고 할 때 발이 땅에 붙어서 떨어지지 않는 보행 동결 증상을 갖는데, 파킨슨병 환자에게 넘어설 장애물, 밟을 수 있는 라인 등을 보여주거나 구호에 맞춰 보행을 유도하는 경우 상기 보행 동결 증상이 완화된다. 이에,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시에 보행 동결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환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동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보행을 하는 경우 대부분의 신체 부위가 움직일 수밖에 없다. 즉, 사람이 보행을 함으로써 앞으로 나가가는 경우, 머리, 몸통, 팔, 다리가 모두 움직이고, 그에 따라, 상기 신체 부위에 있는 대부분의 관절들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보행 보조 장비(100)는 사람이 보행을 하는 경우에도 움직이지 않는 신체 부위를 이용하는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보행 보조 장비(100)에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좌측 신발(140-1)에 부착되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된다. 즉,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기 때문에,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는 동안은 좌측 신발(140-1)은 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기 때문에,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는 동안은 우측 신발(140-2)은 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보조 장비(100)는 사람이 보행을 하는 경우에도 고정된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행 보조 장비(100)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잡한 보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좌측 신발(140-1)에 부착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킨슨병 환자는 허리가 앞으로 숙여진 엉거주춤한 자세로 발을 끌면서 걷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행 시에 신발의 밑창 전체가 동시에 지면에 닿거나 떼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비교적 경미한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경우에는 보행 시에 좌측(또는, 우측) 신발이 지면에 닿기 전에 우측(또는, 좌측) 신발의 밑창 뒷부분이 지면에서 떼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뒤쪽으로 좌측 신발(140-1)에 부착되거나 또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뒤쪽으로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되는 경우, 보행 시에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에 의해 표시되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이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비교적 경미한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경우에도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에 의해 표시되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이 흔들리지 않도록, 보행 보조 장비(100)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좌측 신발(140-1)에 부착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 및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된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 및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각각 시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장치 또는 촉각적 신호(예를 들어, 진동 신호 등)를 출력하는 진동 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착용자의 우측 발이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에 디뎌지면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도 착용자의 좌측 발이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에 디뎌지면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는 자신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WRP)에 정확하게 내디뎌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착용자의 좌측 발이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하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착용자의 우측 발이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는 보행 지점 패턴(WRP)에 내디뎌야 할 발을 인지할 수 있다.
보행 보조 장비(100)는 상시 패턴 표시 모드 또는 교번 패턴 표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행 보조 장비(100)의 패턴 표시 모드가 상시 패턴 표시 모드인 경우, 착용자가 보행하는 동안,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면에 닿아 있는 신발의 패턴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보행 지점 패턴이 지면에 닿지 않은 신발(즉,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내디뎌지는 신발)의 패턴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보행 지점 패턴에 비해 가깝기 때문에, 착용자는 가까이에 표시되는 보행 지점 패턴 즉, 지면에 닿아 있는 신발의 패턴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보행 지점 패턴을 따라 보행할 수 있다. 반면에, 보행 보조 장비(100)의 패턴 표시 모드가 교번 패턴 표시 모드인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교번하여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보행 보조 장비(100)의 패턴 표시 모드가 교번 패턴 표시 모드일 때,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과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의 교번 동작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가 충격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에 충격이 가해지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에 충격이 가해지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움직이지 않으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움직이지 않으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과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의 교번 동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보행 보조 장비(10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타블렛PC, 리모트 컨트롤러, 컴퓨터, 노트북 등)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예를 들어, 착용자, 착용자의 보호자, 착용자의 주치의 등)는 외부 장치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장치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100)를 동작(즉,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고,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 형상, 광 색상, 광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장치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장치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걸음 횟수, 보행 시간, 보행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행 보조 장비(100)는 건강 관리 서버(예를 들어, 병원 서버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행 보조 장비(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정보가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착용자의 건강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 보조 장비(100)는 좌측 신발(140-1)에 부착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 및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를 포함하기 때문에 보행 보조 신발(예를 들어, 의료용 단화, 슬리퍼, 운동화, 구두 등)로 명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동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에 구비된 패턴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턴 표시 장치(120)는 프로세서(121), 통신 장치(122), 카메라 장치(123), 메모리 장치(124), 파워 공급 장치(125), 센싱 장치(126), 신호 출력 장치(127) 및 광 출력 장치(12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100)에 포함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각각 좌측 신발(140-1)과 우측 신발(140-2)에 부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구조 및 동작 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패턴 표시 장치(120)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 또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일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패턴 표시 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1)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일 수 있다. 통신 장치(122)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타블렛PC, 리모트 컨트롤러, 컴퓨터, 노트북 등), 건강 관리 서버(예를 들어, 병원 서버 등)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22)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RF(radio frequency)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표시 장치(120)는 통신 장치(122)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및/또는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의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고, 착용자의 보행 정보(예를 들어, 착용자의 걸음 횟수, 보행 시간, 보행 장소 등)를 외부 장치 및/또는 건강 관리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23)는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 표시 장치(120)는 카메라 장치(123)를 이용하여 보행 도로가 커브 도로인지 여부, 보행 도로가 경사져 있는지 여부를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24)는 패턴 표시 장치(120)의 데이터들(예를 들어, 착용자의 보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24)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장치,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피램(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장치, 알램(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RRAM) 장치, 엔에프지엠(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장치, 폴리머램(Polymer Random Access Memory; PoRAM) 장치, 엠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에프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 모바일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공급 장치(125)는 패턴 표시 장치(120)가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공급 장치(125)는 배터리(battery)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장치(126)는 패턴 표시 장치(120)가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센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126)는 충격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기울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출력 장치(127)는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보행 성공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보행 개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 출력 장치(127)는 사운드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 등), 표시 장치(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발광 다이오드 장치 등), 진동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장치는 패턴 표시 장치(12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청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보행 성공 신호에 상응하는 청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보행 개시 신호에 상응하는 청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운드 장치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구호와 같은 청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패턴 표시 장치(12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시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보행 성공 신호에 상응하는 시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보행 개시 신호에 상응하는 시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장치는 패턴 표시 장치(12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촉각적 신호(예를 들어, 진동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장치는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보행 성공 신호에 상응하는 촉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의 발이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보행 개시 신호에 상응하는 촉각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광 출력 장치(128)는 보행 지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출력 장치(128)는 레이저 출력 장치일 수 있으나 광 출력 장치(128)가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4에는 패턴 표시 장치(120)가 프로세서(121), 통신 장치(122), 카메라 장치(123), 메모리 장치(124), 파워 공급 장치(125), 센싱 장치(126), 신호 출력 장치(127) 및 광 출력 장치(12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패턴 표시 장치(120)는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상기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의 패턴 표시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행 보조 장비(100)는 상시 패턴 표시 모드(220) 또는 교번 패턴 표시 모드(240)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는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시 패턴 표시 모드(220)와 교번 패턴 표시 모드(240) 사이에서 패턴 표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다만, 보행 보조 장비(100)의 상시 패턴 표시 모드(220)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계속적으로 표시하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계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도 6에서는 보행 보조 장비(100)의 교번 패턴 표시 모드(240)를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보행 보조 장비(100)가 교번 패턴 표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과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교번하여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우선, 착용자가 좌측 발을 내디뎌 좌측 신발(140-1)이 지면에 닿으면(S110),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S120)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비표시(S130)할 수 있다. 이후, 착용자가 우측 발을 내디뎌 우측 신발(140-2)이 지면에 닿으면(S140),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비표시(S150)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S160)할 수 있다. 다음, 착용자가 좌측 발을 내디뎌 좌측 신발(140-1)이 지면에 닿으면(S110),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S120)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비표시(S130)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행 보조 장비(100)가 교번 패턴 표시 모드로 동작할 때,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교번하여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비표시하며,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고,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비표시함으로써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이 동시에 표시됨에 따라 발생하는 혼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가 충격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에 충격이 가해지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에 충격이 가해지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움직이지 않으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가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움직이지 않으면(즉, 지면에 닿으면),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가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할 수 있고,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과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의 교번 동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발을 내디뎌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S210),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가 경사져 있는지 여부(즉, 보행 도로의 경사도)를 확인(S2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보조 장비(100) 내에 구비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보행 도로가 경사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고, 보행 보조 장비(100) 내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보행 도로가 경사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행 도로가 경사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가 평지 도로인지 여부를 판단(S2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의 경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평지 도로가 아니라고 판단(즉, 경사 도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의 경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평지 도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평지 도로인 경우,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비조절(S240)할 수 있다. 반면에,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평지 도로가 아닌 경우,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S25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내리막 도로인 경우, 상기 환자의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기 설정된 디폴트(default) 위치보다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는 보행 지점 패턴(WRP)을 따라 좁은 보폭으로 보행할 수 있다. 반면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오르막 도로인 경우, 상기 환자의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기 설정된 디폴트 위치보다 멀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는 보행 지점 패턴(WRP)을 따라 넓은 보폭으로 보행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 조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보행 보조 장비(100)는 좌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하고, 우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 등)의 보행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가 보행 도로의 커브(curve)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의 커브에 기초하여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발을 내디뎌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S310),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가 휘어져 있는지 여부(즉, 보행 도로의 커브)를 확인(S3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보조 장비(100) 내에 구비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보행 도로가 휘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고, 보행 보조 장비(100) 내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예를 들어, 장애물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보행 도로가 휘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행 도로가 휘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가 직선 도로인지 여부를 확인(S3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의 커브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직선 도로가 아니라고 판단(즉, 커브 도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도로의 커브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직선 도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직선 도로인 경우,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비조절(S340)할 수 있다. 반면에, 착용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직선 도로가 아닌 경우,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S35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걷고 있는 보행 도로가 커브 도로인 경우, 상기 환자의 낙상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보행 보조 장비(100)는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좌우로 및/또는 앞뒤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는 보행 지점 패턴(WRP)을 따라 보행 방향을 바꿔 보행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 조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보행 보조 장비(100)는 좌측 발이 디뎌졌을 때 보행 도로의 커브에 기초하여 제 1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하고, 우측 발이 디뎌졌을 때 제 2 보행 지점 패턴(WRP)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 등)의 보행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보행 보조 장비(300)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좌측 신발(320-1) 상에 위치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 및 착용자의 우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우측 신발(320-2) 상에 위치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가 좌측 신발(340-1)의 발등 부분과 우측 신발(340-2)의 발등 부분 상에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가 좌측 신발(340-1)과 우측 신발(340-2) 상에 놓여지는 위치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이하,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는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보행 지점 패턴은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에서 출력되는 광(예를 들어, 레이저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에서 출력되는 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보행 지점 패턴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도트 패턴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보행 지점 패턴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라인 패턴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보행 지점 패턴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그래픽 패턴들일 수 있다. 보행 보조 장비(300)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시에 보행 동결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환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동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보행을 하는 경우 대부분의 신체 부위가 움직일 수밖에 없다. 즉, 사람이 보행을 함으로써 앞으로 나가가는 경우, 머리, 몸통, 팔, 다리가 모두 움직이고, 그에 따라, 상기 신체 부위에 있는 대부분의 관절들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보행 보조 장비(300)는 사람이 보행을 하는 경우에도 움직이지 않는 신체 부위를 이용하는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보행 보조 장비(300)에서,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좌측 신발(340-1)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는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우측 신발(340-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 보조 장비(300)는 사람이 보행을 하는 경우에도 고정된 제 1 보행 지점 패턴과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행 보조 장비(300)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잡한 보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보행 보조 장비(300)에 포함된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는 각각 도 1의 보행 보조 장비(100)에 포함된 제 1 패턴 표시 장치(120-1)와 제 2 패턴 표시 장치(120-2)와 구동적인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보행 보조 장비(300)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320-1)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환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320-2)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동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의료 관리 시스템(500)은 보행 보조 장비(520), 휴대용 기기(540) 및 건강 관리 서버(5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행 보조 장비들(100, 30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행 보조 장비(520)는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 등)가 발을 내디디려 할 때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보행 지점 패턴(예를 들어, 도트 패턴, 라인 패턴, 그래픽 패턴 등)을 표시함으로써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 동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행 보조 장비(520)는 좌측 신발에 부착되고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 및 우측 신발에 부착되고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행 보조 장비(520)는 보행 보조 신발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좌측 신발에 부착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우측 신발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행 보조 장비(520)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좌측 신발 상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 및 착용자의 우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우측 신발 상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행 보조 장비(520)는 보행 보조 밴드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좌측 신발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우측 신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행 보조 장비(520)는 상시 패턴 표시 모드 또는 교번 패턴 표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행 보조 장비(520)는 보행 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행 보조 장비(520)는 보행 도로의 커브에 따라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보행 보조 장비(540)는 휴대용 기기(5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예를 들어, 착용자, 착용자의 보호자, 착용자의 주치의 등)는 휴대용 기기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5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540)는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타블렛PC, 리모트 컨트롤러, 컴퓨터,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540)를 동작시킬 수 있고,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 형상, 광 색상, 광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540)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520)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540)를 통해 보행 보조 장비(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걸음 횟수, 보행 시간, 보행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보조 장비(540)는 건강 관리 서버(56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서버(560)는 병원 서버, 정보 수집 기관 서버 등일 수 있다. 즉, 보행 보조 장비(520)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정보가 건강 관리 서버(560)로 전송되어 착용자의 건강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서버는 보행 보조 장비(520)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수집하여 의사가 착용자를 치료하는 데에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기관 서버(예를 들어, 국민건강보험공단 등)는 보행 보조 장비(520)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수집하여 보험료 등을 지급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보행 보조 장비(520)는 건강 관리 서버(560)에 직접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휴대용 기기(560)를 거쳐 건강 관리 서버(560)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보행 보조 장비(520)는 CDMA 모듈, LTE 모듈, RF 모듈, UWB 모듈, WLAN 모듈, WIMAX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건강 관리 시스템(500)이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 등)를 위한 의료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가 보행 시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신발, 보행 보조 밴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보행 보조 장비 120-1: 제 1 패턴 표시 장치
120-2: 제 2 패턴 표시 장치 140-1: 좌측 신발
140-2: 우측 신발 300: 보행 보조 장비
320-1: 제 1 패턴 표시 장치 320-2: 제 2 패턴 표시 장치
340-1: 좌측 신발 340-2: 우측 신발
500: 의료 관리 시스템 520: 보행 보조 장비
540: 휴대용 기기 560: 건강 관리 서버

Claims (12)

  1. 좌측 신발에 부착되고,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 및
    우측 신발에 부착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light)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으로 형성되며,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좌측 신발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우측 신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행 지점 패턴들은 도트 패턴, 라인 패턴 또는 그래픽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가 보행하는 동안,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계속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계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비표시하며,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비표시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보행 도로가 커브(curve)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보행 도로가 상기 커브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에 디뎌지면 상기 보행 성공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또는 촉각적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으로 내디뎌져야 할 때 상기 보행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10. 착용자의 좌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좌측 신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착용자의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우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1 패턴 표시 장치; 및
    착용자의 우측 발목 부근에 고정되어 우측 신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내디뎌질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보행 지점 패턴을 표시하는 제 2 패턴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light)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은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으로 형성되며,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지면의 경사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좌측 신발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목보다 앞쪽으로 상기 우측 신발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상기 좌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패턴 표시 장치는 보행 도로가 커브(curve)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착용자의 상기 우측 발이 디뎌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패턴 표시 장치는 상기 보행 도로가 상기 커브 도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보행 지점 패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비.
KR1020150060275A 2015-04-29 2015-04-29 보행 보조 장비 KR10164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75A KR101647629B1 (ko) 2015-04-29 2015-04-29 보행 보조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75A KR101647629B1 (ko) 2015-04-29 2015-04-29 보행 보조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29B1 true KR101647629B1 (ko) 2016-08-11

Family

ID=5671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75A KR101647629B1 (ko) 2015-04-29 2015-04-29 보행 보조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0855A (zh) * 2018-12-27 2019-03-19 重庆医科大学附属第三医院(捷尔医院) 病人行走练习智能鞋
JP2020537587A (ja) * 2017-10-05 2020-12-24 ニコロ サーラ 歩行補助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IT201900014640A1 (it) * 2019-08-12 2021-02-12 Quicklypro Srl Dispositivo per il supporto alla deambulazione con misura della posizione e supporto remot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084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경사로 및 굴곡로 연동 헤드램프 조절장치
JP2003164544A (ja) * 2001-11-30 2003-06-10 Kochi Univ Of Technology パーキンソン症候群患者用歩行支援機及びパーキンソン症候群患者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効果確認方法
JP2004046783A (ja) * 2001-12-20 2004-02-12 Valeo Vision 自動車の運転補助装置
JP2004073436A (ja) * 2002-08-16 2004-03-11 Noriaki Ando 発光装置付き歩行訓練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084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경사로 및 굴곡로 연동 헤드램프 조절장치
JP2003164544A (ja) * 2001-11-30 2003-06-10 Kochi Univ Of Technology パーキンソン症候群患者用歩行支援機及びパーキンソン症候群患者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効果確認方法
JP2004046783A (ja) * 2001-12-20 2004-02-12 Valeo Vision 自動車の運転補助装置
JP2004073436A (ja) * 2002-08-16 2004-03-11 Noriaki Ando 発光装置付き歩行訓練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37587A (ja) * 2017-10-05 2020-12-24 ニコロ サーラ 歩行補助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JP7412339B2 (ja) 2017-10-05 2024-01-12 ニコロ サーラ 歩行補助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CN109480855A (zh) * 2018-12-27 2019-03-19 重庆医科大学附属第三医院(捷尔医院) 病人行走练习智能鞋
CN109480855B (zh) * 2018-12-27 2021-09-03 重庆医科大学附属第三医院(捷尔医院) 病人行走练习智能鞋
IT201900014640A1 (it) * 2019-08-12 2021-02-12 Quicklypro Srl Dispositivo per il supporto alla deambulazione con misura della posizione e supporto remoto
WO2021028829A1 (en) * 2019-08-12 2021-02-18 Quicklypro Srl Device for assisting the ambulation with measuring of the position and remote as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4499B1 (en) Mobility aid
CN105935289B (zh) 可穿戴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A2926709C (en) Pressure ulcer detection methods, devices and techniques
US20160146848A1 (en) Subject monitor
EP3606490B1 (en) Smart foot position sensor for power wheelchair user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647629B1 (ko) 보행 보조 장비
GB2538445A (en) System for aiding a user to move
JP2021007507A (ja) 処理システム、歩行訓練システム、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23676B2 (en) Rehabilitation-assisting apparatus
US20180228437A1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system
Manna et al. Optimal locations and computational frameworks of FSR and IMU sensors for measuring gait abnormalities
CA3019931A1 (en) Pressure ulcer detection methods, devices and techniques
KR102039946B1 (ko) 평발 보행을 경고하는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7158909A (ja) 歩行評価補助具及び、その端末とシステム
US20230354952A1 (en) Insole and systems including same
JP6786137B2 (ja) 歩行教示システム、歩行教示方法
US20240082004A1 (en) Sensory modulation systems for improving gait function and/or balance control and related methods
BE1028189B1 (nl) Werkwijze en apparaat voor het detecteren en verminderen van symptomen van een gangpatroonstoornis
KR102274822B1 (ko) 스마트 수제화를 이용한 치매환자 실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Heg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ole based wearable system for gait and activity monitoring
WO20212162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person's position to encourage pr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