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610B1 - 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 - Google Patents

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610B1
KR101647610B1 KR1020150183030A KR20150183030A KR101647610B1 KR 101647610 B1 KR101647610 B1 KR 101647610B1 KR 1020150183030 A KR1020150183030 A KR 1020150183030A KR 20150183030 A KR20150183030 A KR 20150183030A KR 101647610 B1 KR101647610 B1 KR 10164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time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선
이향은
Original Assignee
김상선
이향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선, 이향은 filed Critical 김상선
Priority to KR102015018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H05B33/0815
    • H05B33/0842
    • H05B37/0281
    • H05B37/04
    • F21Y2101/02
    • Y02B20/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multiple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SMP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the multiple SMPSs to extend the lifetime of the multiple SMPSs by cross-driving the multiple SMPS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and to reduce inconvenience and costs for maintenance by continuously using the LED lighting device by including the multiple SMPSs, which have a relatively shorter lifetime than an LED module, without replacing the SMPSs until the LED module is not used any more.

Description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교차구동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LED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전원공급부를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LED모듈의 사용 수명까지 전원공급부의 교체가 없어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대한 번거로움과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being cross-driven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nd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by cross-dri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a set time,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having a short life span can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up to the service life of the LED module, To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intersecting driving.

일반적으로, 조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LED 조명기구에는 입력되는 전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LED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SMPS)가 구비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LED lighting apparatus used for lighting purposes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SMP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input power to supply power to the LED.

이러한 SMPS는, Switched Mode Power Supply의 준말로 전원공급장치를 의미하고,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This SMPS means a power supply device in the end of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and uses a switch control method for converting an AC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by using a transistor or the like.

그러나 위의 전원공급장치는 보통 사용수명이 3년 내지 4년으로 수명주기가 짧고,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채용되는 LED는 사용수명이 약 10년 정도로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비해 수명주기가 길다.However, the above power supply device has a short lifetime of 3 to 4 years, and the LED having the power supply device has a useful life of about 10 years, which is longer than the power supply device.

따라서, LED 조명기구를 사용하는 중 LED에 비해 수명주기가 짧은 전원공급장치를 여러 번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과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power supply having a short life cycle is required to be replaced several times as compared with the LED during the use of the LED lighting fixture,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replace and a maintenance cost is incurred.

상술된 문제점을 해소하려면, 전원공급장치의 수명을 길게 하거나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복수 개 적용하여 LED와 수명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자의 경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를 복수 개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t is desirable to extend the lifetime of the power supply unit or to apply the power supply unit to a plurality of the power supply units to match the lifetime of the LEDs.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이러한 기술에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169639호에는 엘이디 조명장치에서의 자동전환 전원공급장치가 기재되어 있다.Regarding this technique, Patent Publication No. 10-1169639 discloses an automatic switching power supply in an LED illumination device.

위에 기재된 기술은, 엘이디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SMPS를 다수 개 설치하여 메인 SMPS에 이상 발생 시에 자동적으로 메인 SMPS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메인 SMPS는 구동이 중단되고, 대신에 서브 SMPS에 전원이 공급되어 서브 SMPS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In the technology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MPSs that supply power to the LED illumination apparatus are installed, and when the main SMPS abnormality occurs,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SMPS is automatically shut off, and the main SMPS is stopped. To supply power more stably by driving the sub SMPS, and more particularly,

이의 청구항 1을 참조하면 '엘이디 조명장치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SMPS를 다수개 설치하여 메인 SMPS에 이상 발생 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메인 SMPS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이 중단되고, 대신에 서브 SMPS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도록 구성된 엘이디 조명장치에서의 자동전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메인 SMPS의 출력단자(JP1)에 제1, 제2저항(R1, R2)을 거쳐 릴레이(RY1) 내의 릴레이코일(L1)의 일측이 접속되고, 제3, 제6 저항(R3, R6)의 접속점에는 전압검출기(Q1)와 스위칭소자(Q2)를 거쳐 릴레이코일(L1)의 타측이 접속되며, 상기 릴레이(RY1)의 구동여부에 따라 단속되는 릴레이접점(3~8)들에 연결되는 릴레이 출력단자(JP2) 및 서브 SMPS의 입, 출력단자(JP3, JP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기재하는바, 엘이디 조명장치에서의 자동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을 기재하고 있다.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MPSs are installed in order to supply a stable power to the LED illumination device, and when the main SMPS abnormality occurs,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SMPS is automatically interrupted, The automatic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es first and second resistors R1 and R2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JP1 of the main SMPS, One end of the relay coil L1 in the relay RY1 is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hird and sixth resistors R3 and R6 is connected to the relay coil L1 via the voltage detector Q1 and the switching element Q2. And a relay output terminal JP2 connected to the relay contacts 3 to 8 which are interrupted according to whether the relay RY1 is driven or not and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JP3 and JP4 of the sub SMPS Quot ;, and " It describes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to enable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device.

그러나 위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은 '이상 발생 시'라는 조건을 두어 만약 통상적인 SMPS의 수명인 3~4년 동안 이상이 발생되지 않아 다른 SMP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상당의 시간을 사용하지 않는 장치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장기간 미사용되는 장치는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핵심부품인 전해콘덴서의 수명저하 및 기능상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with a condition of 'abnormal occurrence'. If the SMPS is not used for 3 to 4 years, which is the normal lifetime of the SMPS, Devices are not used, and thus the device which is not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not used, so that the life of the electrolytic capacitor, which is a core part, is degraded and the function is lost.

다음으로, 장치의 조립에 사용되는 납의 부식으로 인한 수명저하 및 기능상실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Nex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 of the lead used for assembling the device may be degraded and the function may be lost.

그 다음으로, 복수의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이 전원공급장치가 동작되기 위한 순서 결정이 명확하지 못하다.Next, in apply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apparatuses, it is not clear that the order in which these power supply apparatuses are operated is determined.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연구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술분야에서 아쉬운 점은 복수의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이룰 수 있는 부가기능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Finally, despite the above studies, one of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is that there are no additional functions that can be achieved in applying multiple power supplies.

일예로서, 전원공급장치가 복수 개 적용되더라도 해당 전원공급장치의 장애발생 시기를 확실하게 판단함으로써 다음 순서에 위치한 전원공급장치로의 동작에 대한 기능적 요소가 필요하다.As an example, even i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re applied, a function element for operation to a power supply unit positioned in the following order is required by reliably determining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power supply unit.

예를 들어, 복수 개 구비된 전원공급장치가 순차적으로 교차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이에 대한 알고리즘을 명확히 한다면, 각각의 전원공급장치에 마련된 회로상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어할 수 있어서 전원공급장치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러한 사항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For example, i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re sequentially cross-driven, and the algorithm is clarifi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 generated on the circuits provided in the respective power supply units, Despite the fact that the service life can be prolonged, there is no such provision in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등록특허공보 제10-1169639호(2012.08.03. 공고)Patent Registration No. 10-1169639 (Announcement of March 3,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교차구동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LED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전원공급부를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LED모듈의 사용 수명까지 전원공급부의 교체가 없어도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대한 번거로움과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being cross-driven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nd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by cross-dri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a set tim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use the power supply unit even if there is no replace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up to the service life of the LED module. Therefore,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And to provide an LED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being cross-driven through a supply part.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는, 사용전원을 인가받아 전원공급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On 또는 Off 동작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LED모듈의 이전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가 출력하는 전원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를 포함하되,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LED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cross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comprising: a control unit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ource and delivering the power to a power supply unit; A switch located at the next stage of the control unit and operated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being located at the next stage of the switch and located at a previous stage of the LED module to supply power to the LED module ba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an output sensing unit positioned at a next s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sensing a power supply output by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스위치 및 전원공급부는 하나의 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이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라인은 하나의 LED모듈에 복수 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타이머모듈에 설정된 시간을 기반으로, 어느 한 라인의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전달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다른 라인의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라인에 구비된 전원공급부가 교차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and the power supply unit are provided in one line, and a plurality of the lines are provided. A plurality of lines are connected to one LED module,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timer module of the control unit The power is supplied to a power supply unit of one line based on the set time, and when the set time is exceeded,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another line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lines is cross driven.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교차구동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LED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전원공급부를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LED모듈의 사용 수명까지 전원공급부의 교체가 없어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ing driv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by cross-driving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a set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having short life spans can be continuously used even if the power supply unit is not replaced until the service life of the LED module.

따라서, 본 발명은 유지보수에 대한 번거로움과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costs incur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서 리셋판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set determination module in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교차구동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LED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전원공급부를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LED모듈의 사용 수명까지 전원공급부의 교체가 없어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대한 번거로움과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being cross-driven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nd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by cross-dri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a set time,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having a short life span can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up to the service life of the LED module, To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intersecting driving.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를 설명한다.1 and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제어부(10), 스위치(20), 전원공급부(30) 및 출력감지부(40)를 주요하게 포함할 수 있다.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mainly include a control unit 10, a switch 20, a power supply unit 30, and an output sensing unit 40. [

이때 스위치(20) 및 전원공급부(30)는 일단이 1개의 제어부(10)에 복수 개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다른 일단이 1개의 LED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switches 20 and power supply units 30 are connected to one control unit 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LED module.

이하에서는 복수 개 연결되는 스위치(20) 및 전원공급부(30) 각각을 1라인, 2라인, 3라인 ... n라인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n라인에서 n은 n>1을 의미하며, 각 구분을 라인으로 지칭하고, 단으로 지칭되는 것은 라인 내에서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20 and the power supply unit 30 is divided into one line, two lines, three lines, ... n lines. In the n line, n means n > 1, each division is referred to as a line, and what is referred to as a stage means a position in the line.

즉, 단의 의미는 스위치(20)의 다음 단에 전원공급부(30)가 위치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at is, the meaning of the stage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ower supply unit 30 is located at the next stage of the switch 20. [

이때 복수 개의 스위치(20)는 전원공급부(30)의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이고, 전원공급부(30)는 3개 내지 4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witches 20 ar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power supply units 30, and the number of the power supply units 30 is preferably three to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

위에서 전원공급부(30)가 3개 내지 4개로 구성되는 이유는, LED모듈의 평균 수명이 약 10여년 정도인데 비해 전원공급부(30)의 수명이 3 내지 4년이기 때문에 LED모듈의 사용 수명동안 전원공급부(30)가 교체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reason that the power supply unit 30 is composed of three to four is because the lifetime of the power supply unit 30 is 3 to 4 years, So that the supply part 30 is not to be replaced.

제어부(10)는 사용전원을 인가받아 전원공급부(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전달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다른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for deliver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30 is set,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for a preset time period. And transmits power to the other power supply unit 30 when the set time is exceeded.

이를 위해 제어부(10)는, 타이머모듈(11), 시간설정모듈(12), 전원인가제어모듈(13), 리셋판단모듈(14) 및 비교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may include a timer module 11, a time setting module 12, a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a reset determination module 14, and a comparison module 15.

타이머모듈(11)은 시간을 카운트하고, 후술될 시간설정모듈(12)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어 전원을 인가할 라인이 넘어간 횟수를 카운트하는 기능을 한다.The timer module 11 counts the time and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module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xceeds the line to which power is to be applied.

시간설정모듈(12)은 하나의 전원공급부(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시간을 설정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시간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ime setting module 12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nd storing a time for applying power to one power supply unit 30 and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time setting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이때 시간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장치 또는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시간 설정을 조작할 수 있는 터치형, 버튼형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terface for setting the time may be provided in a touch type, a button type, or the like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but can operate the time setting through a separate device or a display means provided externally.

즉, 타이머모듈(11)은 시간설정모듈(12)에서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한다.That is, the timer module 11 counts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module 12.

전원인가제어모듈(13)은 시간설정모듈(12)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30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3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여기서 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면 1000시간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time set here may be, for example, 1000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applied.

즉, 1라인의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하다가 설정된 시간(1000 시간)이 초과되면, 2라인의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하고, 또 설정된 시간(1000 시간)이 초과되면 3라인의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of one line and the set time (1000 hours) is exceede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of the two lines. When the set time (1000 hours)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of the line.

그리고 마지막의 n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다가 설정된 시간(1000 시간)이 초과되면 다시 1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last n lines and the set time (1000 hours) is exceeded, the power can be applied again to one line.

이를 위해 전원인가제어모듈(13)은 전원을 인가할 라인의 전원공급부(30)에 구비된 스위치(20)를 On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라인의 전원공급부(30)에 구비된 스위치(20)를 Off 동작시킬 수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can turn on the switch 20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part 30 of the line to which the power is to be applied. In addition, in the power supply part 30, The switch 20 can be turned off.

이러한 스위치(20)는 제어부(10)의 다음 단에 연결되며, 이러한 스위치(20)의 다음 단에는 전원공급부(30)가 연결되고, 이 전원공급부(30)의 다음 단에 LED모듈이 연결되도록 한다.The switch 20 is connected to the next stage of the control unit 10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30 is connected to the next stage of the switch 20 and the LED module is connected to the next s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30. [ do.

또한 전원공급부(30)의 다음 단에는 출력감지부(4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출력감지부(40)는 전원공급부(3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센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output sensing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next s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30. The output sensing unit 40 performs a function of sensing a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

즉, 상기에서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다음 라인의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있는 것에 더하여, 만약 어느 특정 라인의 전원공급부(30)의 고장 등으로 인해 해당 라인에 연결된 출력감지부(40)에서 해당 전원공급부(30)가 전원을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0)의 전원인가제어모듈(13)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전원공급부(30)가 구비된 라인은 제외하고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and when the set time is exceede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of the next line.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of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30 so that when the power supply unit 30 detects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unit 30 does not output power due to a failure of the power supply unit 30, It is possible to operate except the line provid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3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일예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동작하다가, 만약 1라인에 연결된 출력감지부(40)로부터 1라인의 전원공급부(30)가 고장이라는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10)는 4라인의 전원공급부(30)에서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2라인의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power supply unit 30 of one line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e failure from the output detection unit 40 connected to one line, the control unit 10 operates according to the set tim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me set by the power supply unit 30 is exceede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of two lines.

이는 위 1라인의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라인(2, 3 ... n라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다른 일예로서 모든 라인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이를 알릴 수 있는 수단을 제어부(10)에 더 마련(예를 들어, 고장라인판단모듈, 알림모듈 등)함으로써 모든 라인의 고장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This is also true in the case of other lines (2, 3, ..., n lines), and in another example, when a failure occurs in all lines, (E.g., a fault line determination module, a notification module, etc.), so that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failure of all the lines.

또 다른 일예로서, 제어부(10)는 고장난 라인 측으로 미량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전원인가제어모듈(13)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구성을 더 마련(예를 들어 제2 전원인가제어모듈, 보조전원인가제어모듈 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0 may control to apply a small amount of power to the faulty line side, which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or a separate configuration (not shown) A second power supply control module, an auxiliary power supply control module, etc.).

상술된 바와 같이 고장난 라인 측으로 미량의 전원을 인가하는 이유는, 전원공급부(30) 등의 고장이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것일 수 있는데, 만약 일시적인 오류라면, 한번 고장으로 판단되었다고 해서 해당 라인을 계속 사용하지 않는 것은 유지보수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a small amount of power is applied to the broken line side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failure of the power supply unit 30 or the like may be temporary rather than permanent. If the fault is a temporary error, Not doing so is because of maintenance problems.

따라서, 고장난 라인 측으로 미량의 전원을 인가하고 해당 라인에 연결된 출력감지부(40)에서 전원공급부(30)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0)는 고장라인판단모듈 또는 전원인가제어모듈(13) 등의 구성에 의해 해당 라인이 동작함을 인식하고, 해당 라인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동작되는 순서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small amount of power is supplied to the failed line and it is sensed that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in the output sensing unit 40 connected to the line,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failure line determination module or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The control unit 13 recognizes that the corresponding line is operated and controls the line to be included in the operat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set time.

이는 고장난 라인이 복수 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한 미량의 전원은 전원공급부(30)가 전원을 인가받아 전원을 출력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임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This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ev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broken lin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mall amount of power is the minimum amount of power that the power supply unit 30 can supply and output power.

물론 상술된 미량의 전원은, 반드시 최소한의 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원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전원이 인가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Of course, the small amount of power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minimum amount, but it may be desirable to apply a minimum amount of power to prevent unnecessary consumption of power.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는, 어느 하나의 전원공급부(30)가 사용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사용 중 발생되는 회로상의 열을 조절할 수 있어서, 열의 과다에 의한 내구성 감소를 줄일 수 있고, 결론적으로는 전원공급부(3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ly, the LED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crossing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until the life of one of the power supply units 30 is reached, bu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 on the circuit that is generated during use so that the reduction in durability due to excessive heat can be reduced and consequently the service life of the power supply unit 30 can be prolonged.

따라서, 상술된 설정된 시간은 발생되는 열이 과다하게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시간으로 채택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set time described above is adopted at such a time that the generated heat is not excessively generated.

한편, 사용자의 조작 또는 사용전원의 차단에 의해 LED모듈이 Off 동작 될 수 있는데, 이때 라인의 사용에 대한 시간이 초기화되어 LED모듈의 재 On 동작시 설정된 시간을 다시 사용하게 된다면, 전원공급부(30)에 무리를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time for the use of the line is initialized and the set time is again used in the re-On operation of the LED module, the power supply unit 30 ).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리셋판단모듈(14)은 LED모듈의 Off 동작 후 다시 On 동작되는 것을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리셋판단모듈(14)은 최종동작라인 판단유닛 및 최종동작라인 시간검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et determination module 14 determines whether the LED module is turned on again after the LED module is turned off. The reset determination module 14 may include a last operating line determination unit and a last operating line time detection unit.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살펴본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서 리셋판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set determination module in a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최종동작라인 판단유닛은, LED모듈이 다시 On 동작되는 경우 Off 동작 되기 이전까지 최종동작했던 라인을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The final operation line determination unit functions to determine a line that was last operated before the operation is turned off when the LED module is turned On again.

예를 들어, 타이머모듈(11)의 동작을 기반하는 것으로 타이머모듈(11)에 의해 카운팅되었던 횟수에 따라 최종동작라인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st operating lin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timer module 11 has been count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timer module 11.

최종동작라인 시간검출유닛(12)은 상기 최종동작라인 판단유닛에 의해 최종동작라인이 판단되면, 해당 최종동작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었던 시간을 검출하는 기능을 한다.The last operation line time detection unit 12 detects the time when the last operation line is judged by the last operation line judgment unit and the power was applied to the last operation line.

이는 시간설정모듈(12)에 의해 설정된 시간과 타이머모듈(11)에 의해 카운팅된 시간을 판단함으로써, 해당 최종동작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었던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This can detect the time at which the power was applied to the last operating line by determining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module 12 and the time counted by the timer module 11. [

비교모듈(15)은 상기 리셋판단모듈(14)의 최종동작라인 시간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최종동작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었던 시간과 시간설정모듈(12)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는 기능을 한다.The comparison module 15 compares the time when the power was applied to the last operation line detected by the last operation line time detection unit of the reset determination module 14 and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module 12 .

그리고, 전원인가제어모듈(13)은 비교모듈(15)에 의해 비교된 시간의 차이 만큼만 해당 최종동작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can control to a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final operation line only by the time difference compared by the comparison module 15. [

설계 조건에 따라서 비교모듈(15)은, 비교 결과 시간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비교한 시간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소실한 뒤, 전원인가제어모듈(13)에 비교된 정보가 없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comparison module 15, when the time difference of the comparison resul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alue, loses information on the difference of the compared time and then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compared to the power application control module 13 .

이 경우 전원인가제어모듈(13)은, 판단된 최종동작라인의 다음 라인에 위치한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치(20)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application control module 13 can control the switch 20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 located on the next line of the determined final operation line.

이때 설정된 값은, 시간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시간에 대한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간에 대해 10%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 게이지는 반드시 1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value set at this time means a value with respect to the time set in the time setting module, and may be 10% with respect to the time. However, the% gauge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10%, and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다만, 상기한 10%는 본 발명의 쉬운 이해를 위해 예시한 것으로서, 이를 근거로 설명하면, 만약 1000시간으로 설정된 시간에서, 최종동작라인 시간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시간이 950시간으로 상기 시간의 차이가 100시간인 경우, 설정된 시간에 대해 5%에 해당한다.However, if the time is set to 1000 hours, the time detected by the last operating line time detecting unit is set to 950 hours, If the difference is 100 hours, it corresponds to 5% for the set time.

즉, 설정된 값이 10%인 경우 5%는 10% 이하이므로, 비교모듈(15)은 상기한 차이에 대한 정보를 소실시킨다. 이후 전원인가제어모듈(13)에 비교된 정보가 없다는 신호를 보내면, 전원인가제어모듈(13)은 다음 라인에 위치한 전원공급부(30)로 전원을 인가한다.That is, when the set value is 10%, 5% is less than 10%, and the comparison module 15 loses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 Then,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sends a signal to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to be compared,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3 applies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30 located on the next lin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된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교차구동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LED모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전원공급부를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LED모듈의 사용 수명까지 전원공급부의 교체가 없어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ED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intersecting driv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described above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by cross-driving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ccording to the set time And a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having a relatively short life span as compared with the LED module are provid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 of the LED module can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유지보수에 대한 번거로움과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costs incurred.

한편, 상기에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및 도 2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1 and 2 are mere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and 2 It is self-evident.

10 : 제어부
11 : 타이머모듈
12 : 시간설정모듈
13 : 전원인가제어모듈
14 : 리셋판단모듈
15 : 비교모듈
20 : 스위치
30 : 전원공급부
40 : 출력감지부
10:
11: Timer module
12: Time setting module
13: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4: Reset decision module
15: Comparison module
20: Switch
30: Power supply
40:

Claims (7)

사용전원을 인가받아 전원공급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On 또는 Off 동작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다음 단에 위치되고 LED모듈의 이전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다음 단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가 출력하는 전원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 및 전원공급부는 하나의 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이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의 라인은 하나의 LED모듈에 복수 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타이머모듈에 설정된 시간을 기반으로, 어느 한 라인의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전달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다른 라인의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라인에 구비된 전원공급부가 교차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used power and delivering it to the power supply unit;
A switch located at the next stage of the control unit and operated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being located at the next stage of the switch and located at a previous stage of the LED module to supply power to the LED module based o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trol module; And
And an output sensing unit that is positioned at a next s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senses a power supply output by the power supply unit,
Wherein the switch and the power supply unit are provided in one line, the plurality of lines are provided,
Each of the LED modules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ED modules,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a power supply unit of one of the lines based on the time set in the timer module of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re alternately driven by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s of the other lines so that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are alternately driv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과 상기 시간이 초과되어 전원을 인가할 라인이 넘어간 횟수를 카운트하는 타이머모듈;
상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시간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간설정모듈; 및
상기 시간설정모듈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공급부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원인가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imer module for counting a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time exceeds the line to which power is to be applied,
A time setting module capable of setting the time and providing an interface for time setting; And
And a power supply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time setting modu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가제어모듈은,
전원을 인가할 전원공급부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On 동작시키고,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전원공급부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Off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comprises:
Wherei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unit that does not apply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모듈의 Off 동작 후 다시 On 동작되는 경우 Off 동작 되기 이전까지 최종동작했던 라인을 판단하는 최종동작라인 판단유닛; 및
상기 최종동작라인 판단유닛에 의해 판단된 최종동작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했던 시간을 검출하는 최종동작라인 시간검출유닛;으로 구성되는 리셋판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inal operating lin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last operating line before the LED module is turned off when the LED module is turned on again after being turned on; And
And a final operation line time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time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last operation line determined by the last operation line determination unit.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 driv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동작라인 시간검출유닛에 의해 검출된 최종동작라인으로 전원이 인가되었던 시간과 시간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시간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비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comparison module for comparing the time at which the power was applied to the last operating line detected by the last operating line time detecting unit and the time set by the time setting module to compare the time difference,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driving through the power supply pa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교모듈은,
상기 시간 간의 차이가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시간 간의 차이에 대한정보를 소실하고, 전원인가제어모듈로 하여금 다음 라인에 위치한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parison module comprises:
Wherei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formation on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is lost,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causes the power supply unit to apply power to a power supply unit located on the next line LED lighting device capable of cross dri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감지부에 의해 고장난 라인을 판단할 수 있으며,
고장난 라인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고장난 라인을 제외하고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교차구동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detection unit may determine a line that has fail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be applied except for the faulty line when the faulty line is determined.
KR1020150183030A 2015-12-21 2015-12-21 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 KR101647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30A KR101647610B1 (en) 2015-12-21 2015-12-21 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30A KR101647610B1 (en) 2015-12-21 2015-12-21 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10B1 true KR101647610B1 (en) 2016-08-10

Family

ID=5671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030A KR101647610B1 (en) 2015-12-21 2015-12-21 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914B1 (en) 2020-06-09 2021-01-14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Uninterrupted Parallel Pow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2312619A (en) * 2019-07-25 2021-02-02 中山市誉球照明有限公司 System for alternately using driving power supply of lamp deco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744A (en) * 2010-12-01 2012-06-11 엠씨테크놀로지 (주) Led lighting system
KR101164631B1 (en) * 2012-04-05 2012-07-11 엠넥스텍 주식회사 Le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69639B1 (en) 2012-01-02 2012-08-03 주식회사 유환 Automatic change power supply circuit i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JP2013225449A (en) * 2012-04-23 2013-10-31 Sharp Corp Lighting apparatus
KR20140147309A (en)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케이비텍 Power supply for LED lighting un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744A (en) * 2010-12-01 2012-06-11 엠씨테크놀로지 (주) Led lighting system
KR101169639B1 (en) 2012-01-02 2012-08-03 주식회사 유환 Automatic change power supply circuit i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KR101164631B1 (en) * 2012-04-05 2012-07-11 엠넥스텍 주식회사 Le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25449A (en) * 2012-04-23 2013-10-31 Sharp Corp Lighting apparatus
KR20140147309A (en)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케이비텍 Power supply for LED lighting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2619A (en) * 2019-07-25 2021-02-02 中山市誉球照明有限公司 System for alternately using driving power supply of lamp decoration
KR102202914B1 (en) 2020-06-09 2021-01-14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Uninterrupted Parallel Pow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22B1 (en) Led driver circuit for life extension
US10757780B2 (en) Operating device having a test switch and status indicator
JP2016162598A (en) Lighting device, headlight device and vehicle
JP2008251276A (en) Failure detecting device of light emitting diode circuit
JP2009010100A (en) Power supply and lighting device
KR101928829B1 (en) Light system hav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101794581B1 (en) Emergency lighting apparatus with sensor lighting
KR101647610B1 (en) Led lighting device capable to cross driving by multiple smps
KR1020069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JP6468593B2 (en) Power storage system
KR101771852B1 (en) Lighting device having a smps, that capable to cross driving by switch's on/off motion
US8890439B2 (en) Light-emitting diode circuit and light-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200028617A (en) Power separation type led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626262B1 (en) Led lighting device having multiple smps
JP2010205453A (en) Led lighting device
KR1012513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led light
US8872433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a street lamp
JP5615198B2 (en) Elevator car interior lighting equipment
KR101810426B1 (en) Dual mode power supply
KR101587646B1 (en) Illumina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1427439A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for operating a light source, in particular an LED
JP2018207732A (en) Electrical power system and power supply unit
KR102495137B1 (en) actuator control device
KR101587634B1 (en) Illumina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0231298A1 (en) Traffic light signall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