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56B1 -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056B1
KR101647056B1 KR1020150035733A KR20150035733A KR101647056B1 KR 101647056 B1 KR101647056 B1 KR 101647056B1 KR 1020150035733 A KR1020150035733 A KR 1020150035733A KR 20150035733 A KR20150035733 A KR 20150035733A KR 101647056 B1 KR101647056 B1 KR 10164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le
discharge
wat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자
전종복
Original Assignee
(주)부성원심분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성원심분리기 filed Critical (주)부성원심분리기
Priority to KR1020150035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슬러지 배출공과 물 배출공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후방에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후방 회전 샤프트와 감속기를 이용하여 회전체에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회전체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기름 유입공이 형성되며,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유입공이 형성되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 상기 내부 볼커버 샤프트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기름 전달공이 형성되며,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전달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 전달공에는 유량 배출공이 구비된 물 유량 조절판이 각각 장착되며, 후방 중앙에는 배출판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볼커서 샤프트; 상기 배출판 장착홈에 장착되고 외측과 후방으로 기름 전달공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전달하는 기름 배출전달공이 형성되는 기름 배출판;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의 전방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는 기름배출커버; 상기 기름배출커버와 볼커버 샤프트를 관통하여 회전체의 내부에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투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액공급과 분리 및 탈수와 배출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원액의 배출량에 따라 물 유량 조절판의 유량 배출공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은 단축시키면서도 작업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Three-phase centrifuge for constant,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디캔터형 원심분리기는 회전체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비중이 다른 두 성분인 고형물(Sludge)과 액체(Liquid)로 이루어진 원액을 2상으로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류디캔터형 원심분리기는 원액 속에 고형물(Sludge)과 액체(Liquid)의 2상 분리에 국한되어 통상적인 상하수도 및 식품분야에는 적용 가능하나 Oil 3상, 음식물 3상, 화학적 3상 분리 등 특수한 산업분야에 적용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디캔터형 원심분리기는 비중이 다른 세 성분인 경액, 중액, 고형물로 이루어진 슬러리 형태의 원액을 3상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형물과 액체(경액과 중액이 혼합된 것)를 2상으로 분리하는 고액분리를 행한 후 초원심기 또는 세퍼레이터에 의해 경액과 중액을 분리하는 액액분리를 행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분리공정이 2단계로 되어있어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고액분리기와 별도로 액액분리기를 따로 배치해야하므로 추가적인 작업공간이 필요하며, 각각의 기기를 운영하고, 보수 관리해야 하므로 인력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69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31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액공급과 분리 및 탈수와 배출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원액 배출량에 따라 물 유량 조절판의 유량 배출공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 유량 조절판에 유량 조절 볼트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유량 배출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 볼커서 샤프트의 배출판 장착홈에는 기름 안내봉을 장착하여 강도보강과 함께 기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슬러지 배출공과 물 배출공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후방에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후방 회전 샤프트와 감속기를 이용하여 회전체에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회전체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기름 유입공이 형성되며,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유입공이 형성되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 상기 내부 볼커버 샤프트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기름 전달공이 형성되며,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전달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 전달공에는 유량 배출공이 구비된 물 유량 조절판이 각각 장착되며, 후방 중앙에는 배출판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볼커서 샤프트; 상기 배출판 장착홈에 장착되고 외측과 후방으로 기름 전달공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전달하는 기름 배출전달공이 형성되는 기름 배출판;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의 전방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는 기름배출커버; 상기 기름배출커버와 볼커버 샤프트를 관통하여 회전체의 내부에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투입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 유량 조절판의 유량 배출공의 지름은 원액투입관의 공급 후 시험 배출되는 배출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유량 조절판의 내측에는 고무판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유량 조절판은 중앙으로 유량 배출공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유량 배출공은 곡면지게 형성되면서 일 측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커지며, 반대 측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볼커서 샤프트의 배출판 장착홈에는 기름 안내봉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액공급과 분리 및 탈수와 배출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원액의 배출량에 따라 물 유량 조절판의 유량 배출공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은 단축시키면서도 작업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 유량 조절판에 유량 조절 볼트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유량 배출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비용과 함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볼커서 샤프트의 배출판 장착홈에는 기름 안내봉을 장착하여 강도보강과 함께 기름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유입공과 물 전달공의 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외부 볼커버 샤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물 유량 조절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외부 볼커버 샤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물 유량 조절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10)는 회전체(20), 스크류(30), 구동부(40), 내부 볼커버 샤프트(50), 외부 볼커버 샤프트(60), 기름 배출판(70), 기름배출커버(80), 원액투입관(9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20)는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슬러지 배출공(21)과 물 배출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회전체(20)는 원통관과 콘형상관을 결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원통관에는 슬러지 배출공(21)이 형성되고, 콘형상관에는 물 배출공(22)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20)의 내부에는 원액투입관(90)을 통해 공급되는 원액을 분리하면서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3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스크류(30)는 원액투입관(90)을 통해 공급되는 원액을 구동부(4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분리시키면서도 슬러지, 물, 기름을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체(20)의 후방에 장착되는 구동부(40)는 모터(4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42)과 후방 회전 샤프트(43) 및 감속기(44)를 이용하여 회전체(20)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부(40)는 모터(4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42)과 후방 회전 샤프트(43) 및 감속기(44)를 이용하여 회전체(20)에 전달하여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를 구성하는 모터(41), 동력전달수단(42), 후방 회전샤프트(43), 감속기(44)는 도시된 도면 이외에도 공지된 모터, 동력전달수단, 후방 회전 샤프트, 감속기를 택일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회전체(20)의 전방에 장착되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50)는 내부 내측에 간격을 두고 기름 유입공(51)이 형성되고,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유입공(52)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 장착공(54)이 형성되는 돌출부(53)가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볼커버 샤프트(50)는 구동부(40)의 회전작동에 따른 회전체(20)의 회전작동시 분리되는 기름과 물을 기름 유입공(51)과 물 유입공(52)에 전달하고, 돌출부(53)의 관 장착공(54)을 통해 원액투입관(9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내부 볼커버 샤프트(50)는 구동부(40) 및 회전체(20)의 작동시 비중에 따라 내측에 위치하는 기름을 기름 유입공(51)에 안내하고 외측에 위치하는 물을 물 유입공(52)에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름 유입공(51)과 물 유입공(52)은 수평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기름 유입공(51)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물 유입공(52)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 유입공(52)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은 물의 이동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물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부 볼커버 샤프트(50)의 전방에 장착되는 외부 볼커버 샤프트(60)는 내부 내측에 간격을 두고 기름 전달공(61)이 형성되고,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전달공(62)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 장착공(63)이 형성되고, 상기 물 전달공(62)에는 유량 배출공(65)이 구비된 물 유량 조절판(64)이 각각 장착되고, 후방 중앙에는 배출판 장착홈(67)이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60)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50)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기름 유입공(51)을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기름 배출판(70)에 공급하고, 상기 물 유입공(5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물 유입공(52)에 전달하여, 물 배출공(22)과 기름배출커버(80)의 기름 배출공에 최종적으로 물과 기름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 전달공(62)은 수평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면과 같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물 전달공(62)을 통해 전달되는 물을 원활하게 배출하면서도 물의 이동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 장착공(63)에는 배출판 장착홈(67)에 장착되는 기름 배출판(70)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기름배출커버(80)의 기름 배출공에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노즐(60a)이 장착되고, 노즐(60a)의 내측 단부는 측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확관되고 확관된 단부는 기름 배출판(70)과 기름 안내봉(10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노즐의 단부는 기름 배출판과 기름 안내봉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므로 원심분리기의 구동이 장기간 반복되어도 노즐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심분리기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 전달공(62)에 각각 장착되는 물 유량 조절판(64)은 소정의 지름과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공지된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며, 일 측에는 상기 물 전달공(62)을 통해 전달되는 물을 물 배출공(22)으로 안내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유량 배출공(6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량 배출공(65)의 크기와 개수는 물 배출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 배출공(65)은 수평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물 유량 조절판(64)에는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10)의 작동시 진동 및 충격에 의하여 물 유량 조절판(6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판(68)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고무판(68)은 물 유량 조절판(64)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고 형성된 후, 상기 물 유량 조절판(64)의 후방에 부착되어,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10)의 작동시 진동과 충격을 방지하면서도 결합부위 손상 방지와 함께 밀봉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 유량 조절판(64)은 도시된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유량 조절판(64)은 중앙에 배치되는 유량 조절 볼트(64a)와 물이 배출되는 소정구간을 가지는 유량 배출공(64b)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량 조절 볼트(64a)의 회전작동에 따라 물 전달공(62)과 대응하는 유량 배출공(64b)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유량 배출공(64b)은 곡면지게 형성되면서 일 측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커지며, 반대 측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량 조절 볼트(64a)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작동시킴에 따라 유량 배출공(64b)의 지름 크기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 볼커서 샤프트(60)의 배출판 장착홈(67)에 장착되는 기름 안내봉(10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고 형성되면서 다단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름 안내봉(100)은 외측 단부의 단면이 'ㄴ' 모양으로 형성되고 절곡되어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물 전달공(62)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이 형성되면서 다단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배출판 장착홈(67)의 홈부(67a)에 각각 장착되어, 기름 유입공(51)을 통해 유입되는 기름을 기름 배출판(70)으로 안내하면서도 물 전달공(62)의 강도가 기름에 의하여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배출판 장착홈(67)에 장착되는 기름 배출판(70)은 소정의 두께와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과 전방 내측에는 기름 유입공(51)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기름배출커버(80)의 기름 배출공에 공급하는 기름 배출전달공(7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기름 배출판(70)은 배출판 장착홈(67)에 장착되어 기름 유입공(51)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직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름 배출전달공(72)을 통해 기름 배출커버(80)의 기름 배출공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60)의 전방에 장착되는 기름배출커버(80)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는 기름을 배출할 수 있도록 기름 배출공(8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기름배출커버(80)는 외부 볼커버 샤프트(6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기름 배출판(70) 및 기름 전달공(61)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기름 배출공(82)을 통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60)와 기름 배출커버(80)의 연결부분에는 원활한 회전작동을 위하여 감속기(110)가 장착된다.
상기 기름배출커버(80)와 볼커버 샤프트(50. 60)를 관통하여 회전체(20)의 내부에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투입관(90)은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배출커버(80)의 기름 배출공(82)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기름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노즐(60a)의 외측 단부가 안착되는 단턱부(9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92)에는 더욱더 밀봉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공지된 고무패킹이 선택적으로 장착됨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슬러지 배출공(21)과 물 배출공(2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크류(30)가 장착되는 회전체(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의 후방으로 모터(4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42)과 후방 회전 샤프트(43) 및 감속기(44)를 이용하여 회전체(20)에 전달하는 구동부(4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20)의 전방으로 내부 내측에 간격을 두고 기름 유입공(51)이 형성되고,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유입공(52)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 장착공(54)이 형성되는 돌출부(53)가 형성되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5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볼커버 샤프트(50)의 전방으로 내부 내측에 간격을 두고 기름 전달공(61)이 형성되고,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전달공(62)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 장착공(63)이 형성되고, 상기 물 전달공(62)에는 유량 배출공(65)이 구비된 물 유량 조절판(64)이 각각 장착되고, 후방 중앙에는 배출판 장착홈(67)이 형성되는 외부 볼커버 샤프트(6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배출판 장착홈(67)에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다단으로 절곡형성되는 기름 안내봉(100)을 장착하고, 상기 배출판 장착홈(67)에는 소정의 두께와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과 전방 내측에는 기름 유입공(51)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기름배출커버(80)의 기름 배출공(82)에 공급하는 기름 배출전달공(72)이 형성되는 기름 배출판(7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60)의 전방으로 기름 배출공(82)이 형성되는 기름배출커버(80)를 장착한 후, 상기 기름배출커버(80)와 볼커버 샤프트(50. 60)를 관통하여 회전체(20)의 내부에 원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원액투입관(90)을 장착하면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10)를 구성하는 원액투입관(90)을 통해 회전체(20)의 내부에 원액을 공급한 후, 시험가동을 통해 원액의 배출량을 확인한 다음, 상기 물 유량 조절판(64)의 유량 배출공(65) 크기를 선택한 후 상기 물 전달공(62)에 물 유량 조절판(64)를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원액투입관(90)을 통해 원액을 회전체(20)의 내부에 공급하고, 상기 구동부(40)를 이용하여 회전체(20)를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원액에 포함된 슬러지, 기름, 물은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체(2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슬러지, 기름, 물은 무게 및 비중에 의하여 분리된다.
다음으로 슬러지는 스크류(30)를 따라 이동하여 회전체(20)에 형성되는 슬러지 배출공(21)을 통해 배출되고, 기름과 물은 비중에 따라 분리된 후, 상기 기름 유입공(51)과 물 유입공(52)에 각각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 유입공(51)에 유입된 기름은 기름 배출판(80)과 기름 전달공(61)을 통해 기름배출커버(80)의 기름 배출공(82)을 통해 배출되고, 물은 물 전달공(62) 및 물 유랑 조절판(64)의 유량 배출공(65)을 통해 물 배출공(22)으로 전달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20 : 회전체, 30 : 스크류,
40 : 구동부, 50 : 내부 볼커버 샤프트,
60 : 외부 볼커버 샤프트, 70 : 기름 배출판,
80 : 기름배출커버, 90 : 원액투입관.

Claims (5)

  1. 내부에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슬러지 배출공과 물 배출공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후방에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후방 회전 샤프트와 감속기를 이용하여 회전체에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회전체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기름 유입공이 형성되며,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유입공이 형성되는 내부 볼커버 샤프트; 상기 내부 볼커버 샤프트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기름 전달공이 형성되며, 내부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물 전달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 전달공에는 유량 배출공이 구비된 물 유량 조절판이 각각 장착되며, 후방 중앙에는 배출판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볼커버 샤프트; 상기 배출판 장착홈에 장착되고 외측과 후방으로 기름 전달공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전달하는 기름 배출전달공이 형성되는 기름 배출판;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의 전방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는 기름배출커버; 상기 기름배출커버와 볼커버 샤프트를 관통하여 회전체의 내부에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투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 유량 조절판의 내측에는 고무판이 장착되고, 상기 물 유량 조절판은 중앙으로 유량 배출공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유량 배출공은 곡면지게 형성되면서 일 측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커지며, 반대 측으로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의 배출판 장착홈에는 기름 안내봉이 장착되고, 상기 외부 볼커버 샤프트의 중앙에는 관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안내봉은 외측 단부의 단면 형상이 '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되어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물 전달공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이 형성되면서 다단 절곡형성되며, 상기 배출판 장착홈에 형성되는 홈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 유량 조절판의 유량 배출공의 지름은 원액투입관의 공급 후 시험 배출되는 배출량에 따라 결정되는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관 장착공에는 상기 배출판 장착홈에 장착되는 상기 기름 배출판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상기 기름 배출공에 공급하는 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노즐의 내측 단부는 측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확관되고 확관된 단부는 상기 기름 배출판과 상기 기름 안내봉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기름배출커버의 상기 기름 배출공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기름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의 외측 단부가 안착되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35733A 2015-03-16 2015-03-16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KR10164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33A KR101647056B1 (ko) 2015-03-16 2015-03-16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733A KR101647056B1 (ko) 2015-03-16 2015-03-16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56B1 true KR101647056B1 (ko) 2016-08-23

Family

ID=5687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733A KR101647056B1 (ko) 2015-03-16 2015-03-16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30B1 (ko) * 2018-02-20 2019-07-16 (주)부성원심분리기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원심분리기
KR20190124878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하이드텍 자동차부품 세척폐수의 유수분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589A (ko) * 2006-04-19 2007-10-24 이규동 가스 유량 제어장치
KR100853152B1 (ko) 2007-07-30 2008-08-22 (주)하이맥 원심 스크류 탈수기
KR101010056B1 (ko) * 2009-07-08 2011-01-21 박정숙 3상원심분리기
KR20120046900A (ko) 2010-11-01 2012-05-11 송윤화 내장형 감속유닛을 갖는 원심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589A (ko) * 2006-04-19 2007-10-24 이규동 가스 유량 제어장치
KR100853152B1 (ko) 2007-07-30 2008-08-22 (주)하이맥 원심 스크류 탈수기
KR101010056B1 (ko) * 2009-07-08 2011-01-21 박정숙 3상원심분리기
KR20120046900A (ko) 2010-11-01 2012-05-11 송윤화 내장형 감속유닛을 갖는 원심분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30B1 (ko) * 2018-02-20 2019-07-16 (주)부성원심분리기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원심분리기
KR20190124878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하이드텍 자동차부품 세척폐수의 유수분리장치
KR102049796B1 (ko) * 2018-04-27 2019-11-28 주식회사 하이드텍 자동차부품 세척폐수의 유수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1984B2 (ja) 遠心分離機
AU2009238052B2 (en) A centrifugal separator
SE456726B (sv) Centrifug med en tank med en ringformig bearbetningszon samt saett att beakta ett stroemningsbart material i en dylik centrifug
JP2015521542A (ja) 分離器
CA2843483A1 (en) Centrifuge and discharge port member of a centrifuge for power reduction
KR101647056B1 (ko) 상·하수 및 폐수처리용 3상원심분리기
CA2502348C (en) Centrifuge discharge port with power recovery
US20070029245A1 (en) Device for thickening or dehydrating sludges, watery sediments or the like, especially surplus sludge in sewage treatment plants
CA2505236A1 (en) Centrifuge with shaping of feed chamber to reduce wear
KR101663827B1 (ko) 멀티 스크류가 장착된 수평형 원심분리 농축 탈수기
KR890000146B1 (ko) 에너지 회수 원심분리기
KR20060095740A (ko) 편심댐 조절장치가 부착된 3상 원심분리기
KR200384169Y1 (ko) 배수 스크류가 장착된 디켄터 원심분리기
RU2004139021A (ru) Шнековая центрифуга со сплошным ротором, содержащая срезающий диск,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CN101648168B (zh) 螺旋卸料式碟片离心机
KR20160005061A (ko) 원심 분리기로부터의 고체 입자의 방출
KR101913944B1 (ko) 내구성 및 탈수효율을 증대시킨 원심농축 탈수기
KR100458327B1 (ko) 원심분리기의 차단판 유격 조절장치
CN206996877U (zh) 结晶反冲洗离心机
KR200306709Y1 (ko) 원심분리기의 차단판 유격 조절장치
US20220234053A1 (en) Solid bowl screw centrifuge
JP2017192910A (ja) 遠心脱水機および運転方法
KR101654988B1 (ko) 수직형 원심분리기
CN110613980A (zh) 多级碟式固液分离或除尘机
SU1031029A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экстрак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