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11B1 -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011B1
KR101647011B1 KR1020140183408A KR20140183408A KR101647011B1 KR 101647011 B1 KR101647011 B1 KR 101647011B1 KR 1020140183408 A KR1020140183408 A KR 1020140183408A KR 20140183408 A KR20140183408 A KR 20140183408A KR 101647011 B1 KR101647011 B1 KR 10164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signature
information
voltage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278A (ko
Inventor
정연성
Original Assignee
(주)조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아전자 filed Critical (주)조아전자
Priority to KR102014018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드를 인식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단말기; 서명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암호화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선택된 결제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인 패드; 상기 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밴사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으며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상기 결제 단말기로 송신하는 카드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System For Card Payment Using Bluetooth}
본 발명은 카드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말기 간 즉, 사인 패드와 카드결제 단말기 또는 사인 패드와 포스(POS)단말기 간을 기존의 전용선이 아닌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함으로써 한대의 단말기와 다수의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결제 인프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맹점에 구비된 결제단말기와 가맹점 방문 고객에게 신용카드를 발급한 카드사 간 결제 트랜잭션을 위한 결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밴(VAN)사에 의해 구축되며, 구축된 전자결제 인프라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밴사 기반 대리점/가맹점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있다.
즉, 신용카드 대리점/가맹점에서는 신용카드 거래가 발생하면 정보판독을 위해 카드결제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객(신용카드 사용자)이 제시한 신용카드를 스캔하고,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금액 및 할부 개월 수 등과 같은 결제정보들을 입력하며, 카드결제 단말기는 유선전화 가입자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혹은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각 신용 카드사를 연결하는 밴사 서버에 접속하고, 신용카드정보와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여 거래승인을 요청하며, 밴사서버로부터 거래 승인을 인증하는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매출전표를 출력한 후 고객으로부터 거래증빙을 위한 서명을 받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최근에는 서명의 편의성을 위해 필기구가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서명을 입력받아 이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방식이 신용카드결제 시스템에 도입 적용되면서 카드결제 단말기에는 이른바 전자서명기 즉, 사인패드(Sign Pad)가 구비되어 고객의 서명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사인패드는 매출전표 관리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이점은 있으나 단말기 즉, 카드결제 단말기 또는 포스(POS)단말기와 유선 라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단말기에서 요구되는 전용 케이블은 물론 핀배열이 상이한 컨넥터가 필하기 때문에 단말기에 교체에 따라 사인패드와 단말기 간을 연결하기 위한 유선 라인을 새로이 구축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8224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인 패드와 카드결제 단말기 또는 사인 패드와 포스(POS)단말기 간을 기존의 전용선이 아닌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은, 카드를 인식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단말기; 서명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암호화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선택된 결제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인 패드; 상기 카드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밴사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으며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상기 결제 단말기로 송신하는 카드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인 패드는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 내장되며, 상기 결제 단말기는 사인 패드와 접속하기 위한 블루투스 중계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인 패드는 결제 단말기를 선택하는 선택부; 서명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서명 정보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전환하는 인식부; 및 결제 단말기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등록 및 부여하여 결제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결제 단말기에 대하여 블루투스 접속을 요청하며 상기 인식부에서 전환된 인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선택된 결제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사인 패드는 상기 인식부로부터 인식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된 인식정보로 생성하는 암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부는 서명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 서명 가속도를 인식하는 가속도인식부, 서명압력을 인식하는 필압인식부, 서명시간을 인식하는 서명시간인식부로 구성되며, 상기 인식정보는 이미지 인식 정보, 서명 가속도 인식 정보, 서명 압력 인식 정보 및 서명시간 인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결제 단말기는 내부의 케이블 접속부, 다종의 개폐기 또는 단자 접속부의 적외선 감지를 통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열화감시부; 및 상기 열화감시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열화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은 단말기 간 블루투스 통신을 적용함으로써 각 단말기 간에 제조사 별로 요구되던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전용 통신선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호환이 가능하여 서명 패드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고 전용 통신선이 불필요하여 상기 서명 패드의 이동성과 공간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서명 패드 하나에 카드결제단말기와 POS 시스템을 동시에 연결하는 등 블루투스 특성상 동시에 최대 7대의 단말기가 접속 가능하여 통합적인 결제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인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압감지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전압검출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카드결제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결제시스템에서의 단말기 간 즉, 사인 패드(20)와 결제 단말기 또는 사인 패드(20)와 포스(POS)단말기 간을 기존의 전용선이 아닌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함으로써 한대의 단말기와 다수의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결제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결제 단말기(10)와 사인 패드(20)와 밴사서버(30) 및 카드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제 단말기는(10) 과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카드를 인식하고 결제 카드에 대한 승인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제 단말기(10)는 카드 결제를 일 예로 제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신용카드결제 단말기 및 포스(POS) 단말기는 물론 카드 결제 외 기타 결제 방식에 대한 모든 단말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방식의 결제 단말기, 모바일상품권 결제 단말기, IC카드 결제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통합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복합 결제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단말기(10)는 MS 카드 리더부를 탑재하며, 신용카드 번호 등이 기록된 MS카드가 밀착하여 유동시, 자기 헤드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로딩되는 것을 이용하여 MS카드의 MS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랙(Track)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사인 패드(20)는 서명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암호화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사인 패드(20)는 모듈의 형태로 상기 결제 단말기(10)와 근거리에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인 패드(20)는 블루투스 칩이 장착되어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상기 결제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상기 사인 패드(20)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제 단말기(10)와 동기화되어 데이터(서명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제 단말기(10)는 상기 사인 패드(20)로부터 서명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전달받아 인식정보가 포함된 결제요청 전문을 생성하고, 이러한 결제요청 전문을 거래중인 밴사(VAN)의 밴사서버(30)로 통신망을 이용해 전달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밴사서버(30)(카드사서버(40))로부터 승인결과 전문에 관한 정보를 받아 출력하도록 한다.
즉, 상기 결제 단말기(10)는 기본적으로 카드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결과로서 생성되는 결제처리 결과 정보 등을 인쇄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리 정의된 인쇄양식에 맞게 인쇄정보를 소정의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기 위한 인쇄 프로토콜 및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제 단말기(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사인 패드(20)와 접속되어 사인 패드(20)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블루투스 중계기(1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중계기(100)는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되어 결제 단말기(10)에 분리 또는 연결됨이 바람직한 바, 결제 단말기(10)를 교체 또는 타 기종의 단말기로 교체할 경우에도 상기 블루투스 중계기(100)만을 분리 또는 연결되게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단말기(10)는 상기 블루투스 중계기(100)가 장착되는 경우 블루투스 중계기(100)를 인식하여 상기 블루투스 중계기(10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인식수단이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결제 단말기(10)는 상기 블루투스 중계기(100)가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 중계기(100)가 상기 결제 단말기(10)에 일체로 내장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사인 패드(20)는 선택된 결제 단말기(10)의 블루투스 중계기(100)로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인 패드(20)는 상기 결제 단말기(1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 보안을 강화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인 패드(20) 상기 결제 단말기(10)를 선택하는 선택부(220)와, 서명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210)과, 상기 터치스크린(210)으로부터 입력된 서명 정보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전환하는 인식부(230) 및 결제 단말기(10)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등록 및 부여하여 결제 단말기(10)를 인증하고 인증된 결제 단말기(10)에 대하여 블루투스 접속을 요청하며 상기 인식부(230)에서 전환된 인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200)을 통해 선택된 결제 단말기(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단말기(10)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결제 단말기(10)는 상기 사인 패드(20)에서 부여된 식별번호를 통해 식별될 수 있으며, 선택된 결제 단말기(10)의 식별번호를 등록함으로써 결제 단말기(10)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210)은 사용자의 서명이 입력되는 것으로, 이미지화된 서명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가공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식부(23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230)는 상기 터치스크린(210)에서 처리되는 서명정보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결제 단말기(10)로 전송이 되는 것이며, 상기 결제 단말기(10)에서는 이러한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거래 중인 밴사서버(30)로 전송토록 함으로써 카드사서버(40)(밴사서버(30)에 비교인식정보가 있는 경우)에서 결제요청 전문에 포함된 인식정보를 기 저장된 비교인식정보에 비교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진위 여부 즉 카드 도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식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명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231), 서명가속도를 인식하는 가속도인식부(232), 서명압력을 인식하는 필압인식부(233), 서명시간을 인식하는 서명시간인식부(234)를 포함하고 있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 인식부(230)를 이미지인식부(231), 가속도인식부(232), 필압인식부(233) 및 서명시간인식부(234)로 구성하는 이유는 종래 카드인증의 수단으로 서명이미지에 의한 인증 정도가 제시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서명이미지는 일단 노출이 되면 용이하게 도용이 가능하게 되는 바, 그 실효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서명이미지는 물론, 사용자가 서명에 있어 특유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서명 가속도, 서명에 있어서 필압, 서명에 걸리는 시간을 각각 인증을 위한 함수로 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사인 패드(2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이미지센서, 가속도센서, 압력감지센서, 시간감지센서가 내장되도록 하여 각각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식부(20)는 기본적인 이미지 인식뿐만 아니라 사용자 고유의 서명 특성을 함께 인식하도록 하여 보안을 강화하도록 하며, 이러한 인식부(230)에 의해 인식되는 이미지 인식 정보, 서명 가속도 인식 정보, 서명 압력 인식 정보 및 서명시간 인식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인패드(20)는 암호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암호부(250)는 상기 인식부(230)에서 생성된 인식정보를 암호화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는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밀성(Confidentiality) ,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등을 포함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인증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사인패드(20) 자체에서 수행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암호부(250)는 상기 인식정보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고, 정보의 위조를 방지하는 인증자를 부가하는 등에 의해 인식정보 자체의 도용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상기 사인 패드(2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숫자 내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사인 패드(20)가 결제 과정에서 상기 인식부(230)를 통한 서명과 함께 또는 서명과는 별도로 결제에 따른 인증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키패드 형태의 사인 패드(20)로 입력되는 정보는 복수의 숫자로 구성되는 결제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으며 사인 패드(20)의 인식 정보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결제요청 전문에는 상기 전화번호가 더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숫자로 구성되는 전화번호는 적어도 4자리 이상의 숫자가 입력되도록 요청함이 바람직한 바, 예를 들면 전화번호의 뒷 4자리 또는 뒷 8자리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분식카드의 도용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인 패드(20)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전문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래중인 밴사(VAN)의 밴사서버(30)로 통신망을 이용해 전달토록 함으로써 카드사서버(40)(밴사서버(30)에 비교인식정보가 있는 경우)에서 결제요청 전문에 포함된 결제 요청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기 저장된 비교 전화번호 정보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결제 요청자 즉, 실제 사용자의 진위 여부 파악하게 되는 바, 더욱 보안을 강화하여 카드 도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인 패드(20)의 제어부(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결제 단말기(10)를 인증하도록 한다.
이러한 인증방식은 비밀번호의 입력 등 통상의 인증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40)는 인증된 결제 단말기(10)에 한하여 블루투스 접속을 요청하도록 명령하여 접속된 결제 단말기(1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이러한 접속 요청 명령은 실시간으로 또는 서명 정보가 입력되는 시점에 또는 수동 설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밴사 서버(30)는 상기 결제 단말기(10)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해당 업소에 계약 체결된 특정 밴사에 구비된 서버를 의미하며 상기 결제 단말기(10)와 카드사 서버(40) 간 카드 결제 등을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사 서버(40)는 상기 밴사 서버(30)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상기 카드사 서버(40)는 상기 밴사 서버(30)로부터 인식정보가 포함된 결제요청 전문을 수신하여, 일반적인 인증에 관한 사항(카드한도 초과 여부 등)을 인증하고, 특히 결제요청 전문에 포함된 인식정보와 기 저장된 비교 인식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생성하고, 승인결과 전문을 밴사 서버(30)로 전송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비교인식정보는 사용자가 애초 카드발급시 생성,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인 패드(20)의 인식부(230)가 적용될 경우 비교인식정보 역시도 서명이미지, 서명가속도, 서명필압, 서명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카드결제시스템은 단말기 간 블루투스 통신을 적용함으로써 각 단말기 간에 제조사 별로 요구되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호환이 가능하여 서명 패드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고 전용선이 불필요하여 상기 서명 패드의 이동성과 공간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결제 단말기(10)는 기계적 안정성과 더불어 전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보호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전기적인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결제 단말기(10)는 절연에 취약한 금속성 하우징을 포함하여 제작됨에 따라 전원부 등의 전기 시설로부터 불안정한 전압 내지 전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내부의 전자 회로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에 따라 러한 이유로 상기 결제 단말기(10)에는 외부의 전기적 영향으로부터 보호 및 차단하기 위한 보호수단이 요구되며 보호수단에 의해 결제 단말기(10)를 보호함으로써 통신 장애 등을 방지함은 물론 기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단말기(10)가 금속성 하우징을 가진 전기 시설인 경우, 각각의 금속성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금속성 하우징 내부의 내부 부분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 방전 펄스에 의해 상기 금속성 하우징에 생성되는 표면 전류에 따른 표면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송신하는 전압감지모듈(60)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압분석부(50)가 구성되어 상기 전압감지모듈(60)로부터 송신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기시설 즉, 상기 결제 단말기(10)의 안정등급을 도출하여 이를 별도의 관리자 단말(7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7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전압분석부(50)로부터 도출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로 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는 모바일 기기 또는 P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제 단말기(10)와 같은 전기시설 내에는 개폐기, 차단기와 같은 장치의 절연물 내부에서 국부적인 절연 파괴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러한 내부의 국부 절연파괴는 내부 방전 현상을 발생시킨다.
상기 내부방전은 장치의 열화를 초래하게 되며 이러한 열화가 장치(시설)의 내구연한(잔존수명)을 결정할 수 있지만, 이를 감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내부방전은 주로 금속성 하우징의 틈새나 조인트 등을 통해 방전되는데, 금속성 하우징에 걸리는 표면전압이 접지 간에 발생하면 접지 전압은 즉시 그리고 일시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 발생하는 시간이 매우 순간적이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압감지모듈(60)에 의해 금속성 하우징에 걸리는 표면전압을 검출하여 해당 전기시설의 안정등급을 도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압감지모듈(60)은 상기 결제 단말기(10)의 금속성 하우징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금속성 하우징 내부에 변압기, 개폐기, 차단기 등을 포함한 전기 회로에 구비되어 있는 절연물이 국부적으로 파괴되어 발생하는 내부 부분 방전 현상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방전 전자기파를 직접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 방전 펄스에 의해 금속성 하우징에 표면 전류가 생성되면 표면 전류에 의해 표면전압이 걸리는데, 이러한 표면전압을 감지하여 내부 부분 방전 여부를 인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압감지모듈(6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전압을 축적하여 감지하는 전압검출센서(61)와, 상기 전압검출센서(61)에 의해 감지된 표면전압을 상기 전압분석부(50)로 송신하는 송신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분석부(50)는 상기 전압감지모듈(60)에서 감지된 표면전압을 이용하여 내부 부분 방전 펄스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검출된 내부 부분방전펄스 등을 이용하여 방전 여부 및 방전 종류를 판단하는 바, 이러한 방전 여부 및 방전 종류에 따라 해당 전기시설의 열화 정도가 판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전기시설의 안정등급을 판정할 수 있고 이러한 안정등급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7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70)에서는 관련 정보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고 문제가 발생한 또는 향후 문제 소지가 될 수 있는 결제 단말기(10)를 유지보수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표면전압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시설에서 방전 여부 및 방전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공지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기시설 즉, 상기 결제 단말기(10)의 표면 전압을 감지하여 방전 여부와 방전 종류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안정등급을 파악하도록 하며 이렇게 파악된 전기시설의 안정등급을 통해 결제 단말기(10)의 전기적 안정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외부의 전기적 영향으로부터 결제 단말기(10)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압검출센서(61)의 일 실시 예를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전압검출센서(61)는 검출전극(611), 접지전극(612), 유전체(613), BNC 연결단자(6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전극(611)은 원형의 동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지전극(612)의 경우도 원형의 동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613)는 검출전극(611) 및 접지전극(612)의 사이에 삽입되며 에폭시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전체(613)의 양단에 검출전극(611) 및 접지 전극(612)이 접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BNC연결단자(614)는 검출전극(611)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613) 및 접지전극(612)을 관통하여 돌출 구성되는 검출전극(611)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압검출센서(61)의 검출신호는 BNC연결단자(614)를 통해 검출된다.
이러한 전압검출센서(61)에 의해 검출되는 표면전압은 상기 송신부(62)에 의해 전압분석부(50)로 송신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출전극(611) 및 상기 접지전극(612)의 가장자리에는 전계집중완화부(615)가 구성되는데, 전계집중완화부(615)는 상기 검출전극(611) 및 상기 접지전극(612)의 가장자리에 전계가 집중되어 전계가 왜곡되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정확한 표면전압 값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계집중완화부(615)는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산화안티몬 5 내지 10중량부, 알루미늄분말 5 내지 10중량부, 폴리부타디엔 3 내지 5중량부, 팔라듐 0.5 내지 2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산화안티몬은 주제인 에폭시수지에 첨가되어 난연제로서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주제인 에폭시수지가 온도저하에 따라 수축하는 경우 미세균열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세균열은 전계집중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 있는 바, 에폭시수지의 온도수축을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특히 알루미늄분말의 재질에 기해 방열기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계집중완화부(615)가 열에 노출되는 경우 그 형상이 왜곡되어 전계집중이 발생되는 포인트가 생성될 여지가 있는데 알루미늄분말이 배합됨으로써 전계집중완화부(615)에 누적될 수 있는 열을 외부로 전달시킴으로써 형상의 왜곡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부타디엔 및 팔라듐이 더 첨가되는데, 이는 전계집중완화부(615)에 발생될 수 있는 표면공극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계집중완화부(615)가 열에 노출되는 경우 에폭시수지와 타 조성 등이 반응을 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수소고용 능력이 과포화 되면 온도하강 과정에서 수소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전계집중완화부(615)에 미세한 표면공극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 표면공극은 전계집중의 포인트로 작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폴리부타디엔이 첨가되도록 하는 바, 이러한 폴리부타디엔은 상기 팔라듐의 존재하에 개방되는 이중결합을 가지며 이것은 개방형 이중결합에 수소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전계집중완화부(615)의 조성으로 폴리부타디엔과 팔라듐이 배합됨으로써 페이스트에서 발생되는 수소를 흡수토록 하여 표면 공극의 형성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결제 단말기 20 : 사인 패드
30 : 밴사서버 40 : 카드사서버
50 : 전압분석부 60 : 전압감지모듈
61 : 전압 검출 센서 62 : 송신부
100 : 블루투스 중계기 200 : 통신모듈
210 : 터치스크린 220 : 선택부
230 : 인식부 240 : 제어부
250 : 암호부

Claims (9)

  1. 카드를 인식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결제 단말기;
    서명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암호화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 내장되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선택된 결제 단말기와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인 패드;
    상기 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밴사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으며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상기 결제 단말기로 송신하는 카드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 단말기는,
    사인 패드와 접속하기 위한 블루투스 중계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루투스 중계기가 장착되는 경우 블루투스 중계기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결제 단말기가 금속성 하우징을 가진 전기시설인 경우,
    각각의 금속성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금속성 하우징 내부의 내부 부분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부분 방전 펄스에 의해 상기 금속성 하우징에 생성되는 표면 전류에 따른 표면전압을 감지하며 이를 송신하는 전압감지모듈; 및
    상기 전압감지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기시설의 안정등급을 도출하여 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전압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감지모듈은,
    상기 표면전압을 축적하여 감지하는 전압검출센서 및 상기 전압검출센서에 의해 감지된 표면전압을 상기 전압분석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검출센서는,
    동판으로 형성되는 검출전극과 동판으로 형성되는 접지전극과 상기 검출전극 및 상기 접지전극 사이에 삽입되는 유전체와 상기 검출전극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유전체 및 상기 접지전극을 관통하여 돌출 구성되는 검출전극 돌출부와 결합되는 BNC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전극 및 상기 접지전극의 가장 자리에는 전계집중완화부가 구성되되,
    상기 전계집중완화부는,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산화안티몬 5 내지 10중량부, 알루미늄분말 5 내지 10중량부, 폴리부타디엔 3 내지 5중량부, 팔라듐 0.5 내지 2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인 패드는
    결제 단말기를 선택하는 선택부;
    서명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서명 정보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전환하는 인식부;
    결제 단말기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등록 및 부여하여 결제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결제 단말기에 대하여 블루투스 접속을 요청하며 상기 인식부에서 전환된 인식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선택된 결제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부로부터 인식정보를 전달받아 암호화된 인식정보로 생성하는 암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서명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 서명 가속도를 인식하는 가속도인식부, 서명압력을 인식하는 필압인식부, 서명시간을 인식하는 서명시간인식부로 구성되며
    상기 인식정보는 이미지 인식 정보, 서명 가속도 인식 정보, 서명 압력 인식 정보 및 서명시간 인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83408A 2014-12-18 2014-12-18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KR10164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08A KR101647011B1 (ko) 2014-12-18 2014-12-18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08A KR101647011B1 (ko) 2014-12-18 2014-12-18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78A KR20160074278A (ko) 2016-06-28
KR101647011B1 true KR101647011B1 (ko) 2016-08-23

Family

ID=5636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408A KR101647011B1 (ko) 2014-12-18 2014-12-18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86B1 (ko) * 2013-12-26 2014-08-12 (주)조아전자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KR101456137B1 (ko) * 2014-06-03 2014-11-04 (주)한국이엔씨 과도 대지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아크와 코로나 방전을 검출하는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 제어반, 분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735B1 (ko) * 2009-08-06 2011-06-28 (주)허브로 와이브로 동글, 상기 와이브로 동글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카드 거래 시스템 및 와이브로 동글 제어 방법
KR20120082249A (ko) 2011-01-13 2012-07-23 베리폰코리아 유한회사 다기능 사인 패드 장치
KR101619840B1 (ko) * 2014-05-11 2016-05-11 (주) 듀얼아이 멀티 태그기능을 지원하는 사인패드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986B1 (ko) * 2013-12-26 2014-08-12 (주)조아전자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KR101456137B1 (ko) * 2014-06-03 2014-11-04 (주)한국이엔씨 과도 대지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아크와 코로나 방전을 검출하는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 제어반,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78A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7409B1 (en) Tamper detection system
US9892293B1 (en) Tamper detection system
WO2016171295A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인증
US10783511B2 (en) Payment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9436940B2 (en) Embedded secure element for authentication, storage and transaction within a mobile terminal
KR101111381B1 (ko) 유비쿼터스 인증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사용자 인증장치, 스마트 카드 및 사용자 인증방법
US9355277B2 (en) Installable secret functions for a peripheral
WO2018111601A1 (en) Tamper detection system
US20130254117A1 (en) Secure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N105580039B (zh) 用于利用智能设备提供卡支付服务的系统及方法
KR101647011B1 (ko)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TWI627551B (zh)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non-contact sensing tags
US10528928B1 (en) Scanning system with direct access to memory
JP5514780B2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6201654B2 (ja) 決済システム
KR101501540B1 (ko) 영상 출력이 가능한 결제시스템
KR20190004250A (ko) 지정 단말을 이용한 비대면 거래 제공 방법
JP2019050014A (ja) 口座開設システム、口座開設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03684A1 (en) Terminal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JP2004185253A (ja) 電子コインシステム
KR101809550B1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101598993B1 (ko) 인증서 운영 방법
KR100574044B1 (ko) 결제 단말장치 및 현금 거래 처리 방법
KR101471000B1 (ko) 인증서 운영 방법
KR101622073B1 (ko) 식별 카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식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