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986B1 -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986B1
KR101428986B1 KR1020130163694A KR20130163694A KR101428986B1 KR 101428986 B1 KR101428986 B1 KR 101428986B1 KR 1020130163694 A KR1020130163694 A KR 1020130163694A KR 20130163694 A KR20130163694 A KR 20130163694A KR 101428986 B1 KR101428986 B1 KR 10142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information
card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성
Original Assignee
(주)조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아전자 filed Critical (주)조아전자
Priority to KR102013016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문과 결제 기능을 겸비한 주문결제 단말기가 메인결제 단말기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주문결제 단말기의 착탈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드를 인식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며,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사인패드를 포함하는 메인결제 단말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선택된 메뉴 정보와 서명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메뉴 정보와 그에 따른 과금 정보 및 상기 과금에 대한 카드 결제 요청 시 결제 카드 정보와 서명 정보를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로 송신하고 그에 따른 승인결과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결제 단말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밴사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송신하는 카드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Card Settlement System Using Detachable Settlement Terminal}
본 발명은 주문과 결제 기능을 겸비한 주문결제 단말기가 메인결제 단말기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주문결제 단말기의 착탈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결제 인프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맹점에 구비된 결제단말기와 가맹점 방문 고객에게 신용카드를 발급한 카드사 간 결제 트랜잭션을 위한 결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밴(VAN)사에 의해 구축되며, 구축된 전자결제 인프라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밴사 기반 대리점/가맹점 네트워크를 운용하고 있다.
즉, 신용카드 대리점/가맹점에서는 신용카드 거래가 발생하면 정보판독을 위해 카드결제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객(신용카드 사용자)이 제시한 신용카드를 스캔하고,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금액 및 할부 개월 수 등과 같은 결제정보들을 입력하며, 카드결제 단말기는 유선전화 가입자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혹은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각 신용 카드사를 연결하는 밴사 서버에 접속하고, 신용카드정보와 거래내역정보를 전송하여 거래승인을 요청하며, 밴사서버로부터 거래 승인을 인증하는 승인번호를 수신하고 매출전표를 출력한 후 고객으로부터 거래증빙을 위한 서명을 받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최근에는 서명의 편의성을 위해 필기구가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서명을 입력받아 이를 전산으로 관리하는 방식이 신용카드결제 시스템에 도입 적용되면서 카드결제 단말기에는 이른바 전자서명기 즉, 사인패드(Sign Pad)가 구비되어 고객의 서명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822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문과 결제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주문결제 단말기를 메인결제 단말기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주문결제 단말기의 분리 시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메인결제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메인결제 단말기의 결제 기능과 휴대용으로 결제뿐만 아니라 주문 기능을 함께 병행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은 카드를 인식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며,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사인패드를 포함하는 메인결제 단말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선택된 메뉴 정보와 서명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메뉴 정보와 그에 따른 과금 정보 및 상기 과금에 대한 카드 결제 요청 시 결제 카드 정보와 서명 정보를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로 송신하고 그에 따른 승인결과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결제 단말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밴사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송신하는 카드사서버;를 포함하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주문결제 단말기가 메인결제 단말기로부터 착탈 가능함에 따라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가 결합 시에는 메인결제 단말기의 결제 기능을 수행하고, 분리 시에는 휴대용으로 결제뿐만 아니라 주문 기능을 함께 병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문결제 단말기가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메인 카드결제 단말기와 연계되도록 함에 따라 각각의 주문결제 단말기가 밴사와 거래하지 않고도 주문은 물론 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단말기 간 3G 통신망을 이용할 시 부가되는 유료 월정액 비용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지그비 통신을 통해 무선 방식으로 내부 결제가 이루어짐에 따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종래 카드결제 시스템보다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중경로통신장치가 더 구비됨으로써 메인결제 단말기와 밴사서버 또는 메인결제 단말기와 카드사서버가 상호 통신함에 있어 낙뢰가 발생된 지역과의 거리, 낙뢰 진행 경로 및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낙뢰 발생 시기를 예상하고 예상된 시기에 따라 메인결제 단말기의 전원과 데이터 전송 경로를 무선에서 유선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의 송, 수신이 가능함은 물론 낙뢰에 의한 장비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결제 단말기와 주문결제 단말기의 착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주문결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메인 카드결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식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결제 단말기(100), 주문결제 단말기(200), 밴사서버(300) 및 카드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카드 결제 시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사인패드(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신용카드결제 단말기 및 포스(POS) 단말기는 물론 카드 결제 외 기타 결제 방식에 대한 모든 단말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방식의 결제 단말기, 모바일상품권 결제 단말기, IC카드 결제단말기 및 이들을 통합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복합 결제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결제되는 카드를 인식하고 카드 결제에 따른 승인결과를 출력한다.
이러한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MS 카드 리더부를 탑재하며, 신용카드번호 등이 기록된 MS카드가 밀착하여 유동시, 자기 헤드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로딩되는 것을 이용하여 MS카드의 MS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랙(Track)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사인패드(150)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모듈의 형태로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상기 사인패드(150)로부터 인식정보를 전달받아 인식정보가 포함된 결제요청전문을 생성하고, 이러한 결제요청전문을 거래중인 밴사(VAN)의 밴사서버(300)로 통신망을 이용해 전달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밴사서버(300)(카드사서버(400))로부터 승인결과전문에 관한 정보를 받아 출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카드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 결과로서 생성되는 결제처리 결과 정보 등을 인쇄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미리 정의된 인쇄양식에 맞게 인쇄정보를 소정의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기 위한 인쇄 프로토콜 및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휴대용으로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근거리에 위치하며, 패밀리 레스토랑과 같은 특정 업소의 점원이 휴대하며 이를 이용하여 메뉴를 주문을 받고 주문 메뉴에 따른 과금의 카드 결제를 수행한다.
이러한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선택된 메뉴 정보와 서명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과 송수신하여 상기 메뉴 정보와 그에 따른 과금 정보 및 상기 과금에 대한 카드 결제 요청 시 결제 카드 정보와 서명 정보를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그에 따른 승인결과를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착탈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에 결합된 상태로 평상 시에는 메인결제 단말기(100)의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휴대용으로 주문 및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문결제 단말기(200)가 수용되도록 하나 이상의 수용홈(101)이 구성되며, 각 수용홈(101)에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와 접속하기 위한 제 1 커넥터(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상기 제 1 커넥터(102)에 대응하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 2 커넥터(201)가 구성됨으로써 주문결제 단말기(200)가 상기 수용홈(101)에 안착될 경우 제 1 커넥터(102)와 제 2 커넥터(201)가 접속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의 제 2 커넥터(201)가 접속됨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통신 전환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의 착탈 여부를 실시간 감지하게 되고, 주문결제 단말기(200)가 접속할 경우 상기 제 1 커넥터(102)와 제 2 커넥터(201)에 의한 유선 통신망을 적용하도록 통신망 전환을 하게 되며, 주문결제 단말기(200)가 분리되는 경우 이를 파악하여 유선에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통신망 전환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지그비(Zigbee)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주문결제 단말기(200)가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내부에 2차 전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커넥터(102)에 제 2 커넥터(201)가 접속할 경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2차 전지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문결제 단말기(200)의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 수단(210), 메뉴 입력 수단(220), 카드 정보 입력 수단(230), 식별부(270), 터치스크린(240), 통신모듈(260) 및 암호화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 수단(210)은 주문 메뉴의 신규, 추가, 이동, 조회, 송신 키 및 카드 결제 요청키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키가 구비된다.
상기 메뉴 입력 수단(220)은 메뉴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메뉴 입력 수단(220)은 해당 업소에서 판매되고 있는 메뉴들과 그에 대한 가격 정보를 설정 또는 수정한다. 이러한 메뉴 입력 수단(220)의 입력은 선택된 관리자에 한하여 권한이 부여되는 것으로 비밀번호 입력 방식과 같은 인증과정을 통 상기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드 정보 입력 수단(230)은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 카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카드 정보 입력 수단은 모듈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카드의 마그네틱을 인식하거나 카드의 일련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결제 카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식별부(270)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에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해당 주문결제 단말기(200)에 부여하는 것으로, 각각의 주문결제 단말기(200)는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갖게 되며, 이와 통신하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상기 식별코드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문결제 단말기를 식별하도록 한다.
상기 터치스크린(240)은 상기 키 입력 수단(210) 및 메뉴 입력 수단(220)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및 카드 결제에 따른 승인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주문결제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카드 결제에 따른 서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터치스크린(240)을 통해 서명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주문결제 단말기(200)의 서명 정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지그비 통신망을 통해 메인결제 단말기(100)로 전달된다.
상기 통신모듈(260)은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가 분리되어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 통신의 일 수단으로 지그비(ZigBee) 통신망을 이용함에 따라 지그비(ZigBee) 송수신 모듈이 내장된다.
상기 암호화부(250)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데이터 즉, 상기 입력 수단들(210, 220, 230)로부터 입력되는 일반 데이터는 물론 결제 카드 정보 또는 서명 정보와 같은 보안을 요하는 중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부(110), 통신모듈(140), 복호화부(120) 및 분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부(110)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를 인증하며 인증된 주문결제 단말기(200)와의 상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인증부(110)는 기 등록된 주문결제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특정 주문결제 단말기(200)와의 통신 접속 시 저장된 주문결제 단말기 정보와 접속 요청을 시도하는 해당 주문결제 단말기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등록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 또는 승인불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승인이 완료된 주문결제 단말기(200)에 한하여 상호 통신 권한을 부여하며, 승인불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주문결제 단말기(200)에 미등록 단말기임을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송신함과 더불어 상호 통신을 불허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인증부(110)는 주문결제 단말기(200)의 신규 설치 시에 해당 주문결제 단말기 정보를 최초 등록 및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모듈(140)은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주문결제 단말기(200)에 내장된 지그비(Zigbee) 송수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적용된다.
상기 복호화부(120)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상기 복호화부(120)는 상기 주물결제 단말기(200)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즉,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일반 데이터는 물론 결제 카드 정보 또는 서명 정보와 같은 보안을 요하는 중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이하 분석부(130)에서 데이터 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분석부(130)는 상기 복호화부(120)에서 복호화된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통해 결제 카드 정보와 서명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들을 메인결제 단말기(100)에서 생성하는 결제요청전문에 포함시켜 벤사서버(300) 또는 카드사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인패드(150)를 포함하는 바, 상기 사인패드(150)는 입력된 서명을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전환하는 인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부는 상기 사인패드(150)로부터 입력된 서명을 인식하여 인식정보로 전환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 전송이 되는 것이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에서는 이러한 인식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전문을 생성하여 거래 중인 밴사서버(300)로 전송토록 함으로써 카드사서버(400)(밴사서버(300)에 비교인식정보가 있는 경우)에서 결제요청전문에 포함된 인식정보를 기 저장된 비교인식정보에 비교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진위여부 즉 카드도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식부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명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151), 서명가속도를 인식하는 가속도인식부(152), 서명압력을 인식하는 필압인식부(153), 서명시간을 인식하는 서명시간인식부(154)를 포함하고 있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 인식부를 이미지인식부(151), 가속도인식부(152), 필압인식부(153), 서명시간인식부(154)로 구성하는 이유는 종래 카드인증의 수단으로 서명이미지에 의한 인증정도가 제시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서명이미지는 일단 노출이 되면 용이하게 도용이 가능하게 되는 바, 그 실효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서명이미지는 물론, 사용자가 서명에 있어 특유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서명 가속도, 서명에 있어서 필압, 서명에 걸리는 시간을 각각 인증을 위한 함수로 도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사인패드(15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이미지센서, 가속도센서, 압력감지센서, 시간감지센서가 각각 내장되도록 하여 이러한 복수의 센서가 USN방식 등에 통합적으로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 전송토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전송되는 데이터가 인식정보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사인패드(150)는 암호부가 더 구성되는 바, 상기 암호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된 인식정보를 암호화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는 사용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밀성(Confidentiality) , 인증(Authentication), 무결성(Integrity) 등을 포함하는 보안 요구사항을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인증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사인패드(150) 자체에서 수행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암호부는 상기 인식정보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고, 정보의 위조를 방지하는 인증자를 부가하는 등에 의해 인식정보 자체의 도용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그비(Zigbee) 통신망은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주문결제 단말기(200)와 분리되어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근거리 통신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지그비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 ∼ 30m 내,외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이러한 지그비 통신은 휴대전화나 무선 LAN의 개념으로, 기존의 통신 기술과는 달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밴사서버(300)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해당 업소에 계약 체결된 특정 밴사에 구비된 서버를 의미하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카드사서버(400) 간 카드 결제 등을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드사서버(400)는 상기 밴사서버(300)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상기 카드사서버(400)는 상기 밴사서버(300)로부터 인식정보가 포함된 결제요청전문을 수신하여, 일반적인 인증에 관한 사항(카드한도초과 여부 등)을 인증하고, 특히 결제요청전문에 포함된 인식정보와 기 저장된 비교인식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승인결과전문을 생성하고, 승인결과전문을 밴사서버(300)로 전송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비교인식정보는 사용자가 애초 카드발급시 생성,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로서 비교인식정보도 서명이미지, 서명가속도, 서명필압, 서명시간에 관한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메뉴 정보와 그에 따른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업주는 일별, 주별, 월별 등 주문 메뉴 내지 매출 등의 통계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시스템에서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밴사서버(300) 또는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카드사서버(400) 간의 상호 데이터 통신 시 낙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다중경로통신장치(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경로통신장치(500)는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밴사서버(300) 또는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카드사서버(400) 간을 중개하기 위한 것으로, 양 장치 간에 손실없이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다중경로통신장치(500)는 낙뢰에 의해 데이터 전송은 물론 연결된 메인결제 단말기(100)가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중경로통신장치(5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거리에 위치하는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메인결제 단말기(100)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AC 전원부(610) 또는 배터리 전원부(620)로부터 선택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중경로통신장치(500)는 유/무선 지원 모듈(510), 낙뢰신호 송수신부(520), 거리 연산부(530), 날씨정보 수집부(540), 변환 결정부(550), 전원 변환 처리부(560), 통신 변환 처리부(570) 및 연결 지원 모듈(580)을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 지원 모듈(5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용선 및 xDSL과 같은 유선을 연결하는 시리얼 모듈(UART) 및 랜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CDMA 모뎀 및 TRS 모뎀과 같은 무선을 연결하는 시리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무선 지원 모듈(510)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통신 경로 이중화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상황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520)는 낙뢰가 감지된 경우 낙뢰 발생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낙뢰 발생 신호는 도면에 기재된 바 없으나 기상청의 관제 센터와 접속되어 관제 센터로부터 송신되는 기상 정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상 정보에는 낙뢰 발생 신호와 함께 해당 낙뢰가 발생된 지역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 연산부(530)는 상기 낙뢰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낙뢰 발생 지역과의 거리를 연산한다.
상기 날씨정보 수집부(540)는 상기 기상청의 관제 센터로부터 구름의 이동방향, 구름의 이동속도 및 대기의 전하량과 같은 날씨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상기 변환 결정부(550)는 상기 거리 연산부(530)에서 연산된 낙뢰가 발생한 지역과의 거리와 상기 날씨정보 수집부(540)에서 수집된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원 변환 신호"를 결정하고,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송할지 무선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통신경로 변환 신호"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 결정부(550)는 낙뢰가 발생한 지역과의 거리가 설정된 제 1 기준거리 미만이면, 낙뢰가 발생될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전원제어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AC 전원부(610)에서 배터리 전원부(620)로 전환하라는 전원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 1 시간 내에 데이터를 유선에서 무선으로 전송하라는 통신경로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 1 시간은 0초에 가까운 시간일 수 있으며, 제 1 기준 거리는 낙뢰가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거리이며, 계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과 같이 번개가 자주 발생하는 계절에는 제 1 기준거리가 1~3km 범위에서 설정된다면 겨울과 같이 번개가 자주 발생하지 않는 계절에는 제 1 기준거리가 10~15km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제 1 기준 거리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메인결제 단말기(100)의 전원을 낙뢰 발생 예상 시기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적절하게 전송하여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변환 결정부(550)는 낙뢰가 발생한 지역과의 거리가 설정된 제 1 기준 거리 이상이면, 날씨정보 수집부(540)에서 수집된 날씨 정보를 이용하여 낙뢰 진행 경로를 예측한다.
즉, 상기 변환 결정부(550)는 날씨 정보에 포함된 구름의 이동 방향과 구름의 이동 속도를 벡터 변환하여 낙뢰 진행 경로를 예측한다. 메인결제 단말기(100)의 위치가 낙뢰 진행 경로에 포함되면 구름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제 2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 결정부(550)는 제 2 시간 내에 메인결제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AC 전원부(610)에서 배터리 전원부(620)로 전환하라는 전원 변환 신호를 생성함과 더불어, 제 2 시간 내에 데이터를 유선에서 무선으로 전송하라는 통신경로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 2 시간은 구름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제 1 시간과의 시간차가 줄어들도록 설정되고, 구름의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제 1 시간과의 시간차가 늘어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낙뢰가 발생한 지역과의 거리뿐만 아니라 낙뢰 진행 경로 및 구름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의 전원 및 통신경로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낙뢰 발생 시기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의 전원 및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 변환 처리부(560)는 상기 변환 결정부(550)에서 출력되는 전원 변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AC 전원부(610) 및 배터리 전원부(620)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 AC 전원이 공급되게 하거나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상기 통신 변환 처리부(570) 상기 변환 결정부(550)에서 출력되는 통신경로 변환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가 유선으로 전송되게 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되게 한다.
한편, 상기 연결 지원 모듈(580)은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의 연결을 지원하며, 연결 지원 모듈(580)이 랜 포트일 경우 이더넷(Ethernet)으로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지원 모듈(580)이 시리얼 모듈일 경우 상용의 RS-232C, RS-422 및/또는 RS-485를 통해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경로통신장치(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밴사서버(300) 또는 메인결제 단말기(100)와 카드사서버(400)가 상호 통신함에 있어 낙뢰가 발생된 지역과의 거리, 낙뢰 진행 경로 및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낙뢰 발생 시기를 예상하고 예상된 시기에 따라 메인결제 단말기(100)의 전원과 데이터 전송 경로를 무선에서 유선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송, 수신이 가능함은 물론 낙뢰에 의한 장비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메인 카드결제 단말기 101 : 수용홈
102 : 제 1 커넥터 110 : 인증부
120 : 복호화부 130 : 분석부
140 : 통신모듈 150 : 사인패드
200 : 주문결제 단말기 210 : 키 입력 수단
220 : 메뉴 입력 수단 230 : 카드 정보 입력 수단
240 : 터치스크린 250 : 암호화부
260 : 통신모듈 270 : 식별부
300 : 밴사서버 400 : 카드사서버
500 : 다중경로통신장치

Claims (15)

  1. 카드를 인식하고 승인결과를 출력하며,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사인패드를 포함하는 메인결제 단말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착탈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이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고, 선택된 메뉴 정보와 서명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메뉴 정보와 그에 따른 과금 정보 및 상기 과금에 대한 카드 결제 요청 시 결제 카드 정보와 서명 정보를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로 송신하고 그에 따른 승인결과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주문결제 단말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밴사서버; 및
    상기 밴사서버로부터 결제요청 전문을 송신받아 기 저장된 비교인식 정보와 결제요청 전문의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승인결과 전문을 송신하는 카드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구성되고 각 수용홈에는 제 1 커넥터가 구성되며,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하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 2 커넥터가 구성되되,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의 제 2 커넥터가 접속됨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통신 전환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결제 단말기와 주문결제 단말기 간 무선 통신망은 지그비(Zigbee) 통신망을 이용하고,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는, 메뉴의 신규, 추가, 이동, 조회, 송신 키 및 카드 결제 요청키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키가 구비된 키 입력 수단; 메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 입력 수단;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 카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카드 정보 입력 수단;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에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식별부; 카드 결제에 따른 서명 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키 입력 수단 및 메뉴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및 카드 결제에 따른 승인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는,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부; 및 상기 복호화부에서 복호화된 데이터를 통해 결제 카드 정보와 서명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인패드는,
    이미지센서, 가속도센서, 압력감지센서, 시간감지센서가 구비되며 각각의 센서에 의해 서명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 서명 가속도를 인식하는 가속도인식부, 서명압력을 인식하는 필압인식부 및 서명시간을 인식하는 서명시간인식부를 포함하여 입력된 서명을 인식하고 인식정보로 전환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생성되는 인식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암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결제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주문결제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뉴 정보와 그에 따른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163694A 2013-12-26 2013-12-26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KR10142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94A KR101428986B1 (ko) 2013-12-26 2013-12-26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694A KR101428986B1 (ko) 2013-12-26 2013-12-26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986B1 true KR101428986B1 (ko) 2014-08-12

Family

ID=5175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694A KR101428986B1 (ko) 2013-12-26 2013-12-26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78A (ko) * 2014-12-18 2016-06-28 (주)조아전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720A (ko) * 2006-06-13 2007-12-18 안지영 무선랜을 이용한 주문관리방법 및 주문관리장치
KR100925533B1 (ko) * 2007-07-27 2009-1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pos 단말기 및 그에 따른 pos 시스템
KR101331874B1 (ko) * 2013-05-14 2013-11-21 한국유체기술(주) 다중경로통신장치를 이용한 원격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720A (ko) * 2006-06-13 2007-12-18 안지영 무선랜을 이용한 주문관리방법 및 주문관리장치
KR100925533B1 (ko) * 2007-07-27 2009-1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pos 단말기 및 그에 따른 pos 시스템
KR101331874B1 (ko) * 2013-05-14 2013-11-21 한국유체기술(주) 다중경로통신장치를 이용한 원격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278A (ko) * 2014-12-18 2016-06-28 (주)조아전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KR101647011B1 (ko) * 2014-12-18 2016-08-23 (주)조아전자 단말기 간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113B2 (en) Payment method using one-time card information
CN103793815B (zh) 适用于银行卡和行业卡的移动智能终端收单系统及方法
DK2622585T5 (en) PIN verification for hubs and spokes
CN106572091B (zh) 发票信息传递生成方法及其系统
US201402581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US9519900B2 (en) Secure two party matching transaction system
CN101692277A (zh) 一种用于移动通信设备的生物识别加密支付系统及其方法
CN104408620B (zh) 一种安全的nfc支付方法及系统
Chen et al. NFC mobile payment with Citizen Digital Certificate
RU2014129856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инамического временного разрешения на платеж в переносном устройстве связи
CN101800639A (zh) 一种实现网银业务的方法、系统和设备
KR101780186B1 (ko) 모바일 결제 인증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16206535A1 (zh) 一种物联网多功能移动pos机及智能支付系统
KR20090012546A (ko) 모바일 카드 인증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증방법
CN101790166A (zh) 基于手机智能卡的数字签名方法
CN104063789A (zh) 一种对处理对象进行处理的方法、装置及系统
CN104732387A (zh) 移动装置及其相关电子交易方法
WO2012030162A2 (ko)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CN103824203A (zh) 一种移动智能终端的积分支付系统
CN103065241A (zh) 云端信用卡交易系统及其交易方法
KR200407425Y1 (ko) 전자 서명기
KR101347686B1 (ko) 통합사인패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428986B1 (ko) 착탈 가능한 결제 단말을 이용한 카드결제시스템
KR101428982B1 (ko) 지그비 통신 및 인터넷망을 이용한 무선주문카드결제시스템
JP5514780B2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