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667B1 - 스로틀 밸브 - Google Patents

스로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667B1
KR101646667B1 KR1020150041585A KR20150041585A KR101646667B1 KR 101646667 B1 KR101646667 B1 KR 101646667B1 KR 1020150041585 A KR1020150041585 A KR 1020150041585A KR 20150041585 A KR20150041585 A KR 20150041585A KR 101646667 B1 KR101646667 B1 KR 10164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motor housing
motor
power supply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재
Original Assignee
(주)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4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예컨대, 반도체 공정 설비의 유체 흐름 제어 등에 사용하는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가 개시된다. 개시되 스로틀 밸브는, 링 형태의 플랜지, 플랜지 내측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플랜지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퍼, 플랜지 외부에 배치된 모터 하우징,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플랩퍼가 플랜지에 대해 각도 조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 하우징 내에서 모터의 일 측에 배치된 것으로,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가 형성된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모터 하우징 내에서 모터의 타 측에 배치된 것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가 형성된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모터 하우징 내에서 모터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회로가 형성된 통신용 회로 보드,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및 통신용 회로 보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 및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모터 하우징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팬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본 발명은 예컨대, 반도체 공정 설비의 유체 흐름 제어 등에 사용하는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에 관한 것이다.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는 관(管)을 통과하는 유체(통상적으로, 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로서, 대표적으로 자동차의 기화기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공정 챔버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배기관에 스로틀 밸브가 장착된다.
도 1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스로틀 밸브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로틀 밸브(10)는 고리 형태의 플랜지(flange)(11)와, 플랜지(11) 내의 원형 개구를 개폐하는 플랩퍼(flapper)(13)와, 상기 플랩퍼(13)를 개폐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하는 모터 박스(15)와, 상기 모터(15)의 작동을 제어하여 플랩퍼(13)가 상기 원형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박스(17)를 구비한다. 모터 박스(15)는 플랜지(11)의 일 측에 고정 결합되고, 제어 박스(17)는 플랜지(11) 및 모터 박스(15)와 분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스로틀 밸브(10)는 제어 박스(17)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플랩퍼(13)의 동작 반응에 지연이 발생하여 작업 능률 및 양품 수율이 저하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61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9339호
본 발명은, 플랩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보드를 모터와 함께 배치하여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되는 스로틀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랩퍼 동작 제어를 위한 구성이 콤팩트(compact)하게 배치되면서도 신호 노이즈(signal noise)로 인한 오작동, 소음 등의 부작용이 없는 스로틀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성능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신뢰성 있게 연결되는 스로틀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링(ring) 형태의 플랜지(flange), 상기 플랜지 내측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퍼(flapper), 상기 플랜지 외부에 배치된 모터 하우징(motor housing),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랩퍼가 상기 플랜지에 대해 각도 조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motor),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모터의 일 측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가 형성된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circuit board),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모터의 타 측에 배치된 것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가 형성된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모터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회로가 형성된 통신용 회로 보드,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및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interface)용 회로 보드, 및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팬(fan)을 구비한 스로틀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방열 팬은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방열 팬은 상기 모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는 각각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 측으로 돌출된 수형 커넥터(connector)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는 상기 3개의 수형 커넥터가 끼워지는 3개의 암형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3개의 수형 커넥터가 상기 3개의 암형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가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는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측으로 돌출된 2개의 수형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는 각각 상기 2개의 수형 커넥터가 하나씩 끼워지는 암형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2개의 수형 커넥터가 상기 2개의 암형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가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보드는, 스로틀 밸브의 펌웨어(firmware)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update)하기 위한 펌웨어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보드는, 통신 포트로서 디바이스넷(devicenet) 통신선이 연결되는 디바이스넷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양극산화(anodizing) 처리에 의한 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보드를 모터와 함께 배치함으로써 스로틀 밸브 설치의 공간적 제약을 줄일 수 있으며, 플랩퍼의 동작 반응 속도가 빨라져 작업 능률 및 양품 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개로 분리된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통신용 회로 보드, 및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를 모터 하우징 내에 구비하되,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와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를 최대한 이격되게 배치하여 RF 노이즈(radio frequency noise)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디바이스넷(devicenet)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게 통신용 회로 보드를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를 이격된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와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하였다. 이로 인해,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가 향상되고, 스로틀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상기 스로틀 밸브를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스로틀 밸브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모터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는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모터 하우징 내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5는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6은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20)는, 플랜지(flange)(21), 플랩퍼(flapper)(23), 모터 하우징(25), 모터(41), 기어 박스(44), 각도 측정 센서(47),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 통신용 회로 보드(80),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 및 한 쌍의 방열 팬(88, 89)를 구비한다.
플랜지(21)는 중앙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원형 개구(22)가 형성된 링(ring) 형태의 부재로서, 예컨대, 관(管)과 같은 유체의 통로 내에 끼워진다. 플랩퍼(23)는 상기 플랜지(21) 내측의 원형 개구(22)를 개폐하도록 플랜지(21)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랩퍼(23)는 원형 개구(22)의 내측면을 가로지르는 샤프트(24)에 고정 지지되어, 상기 원형 개구(22)를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원형 개구(22)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도 2 참조)와, 상기 원형 개구(22)를 일부 개방하는 위치로 자세 변경 가능하다. 상기 원형 개구(22)를 폐쇄하는 위치인 때에는 플랜지(21)에 대한 플랩퍼(23)의 각도가 0°이고, 상기 원형 개구(22)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인 때에는 플랜지(21)에 대한 플랩퍼(23)의 각도가 90°이며, 상기 원형 개구(22)를 일부 개방하는 위치인 때에는 플랜지(21)에 대한 플랩퍼(23)의 각도가 0°와 90°사이의 어느 일 각도이다.
모터 하우징(motor housing)(25)은 플랜지(21)의 외측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모터(41), 기어 박스(44), 각도 측정 센서(47),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 통신용 회로 보드(80), 및 한 쌍의 방열 팬(88, 89)이 수용된다. 모터(41)는 플랩퍼(23)가 플랜지(21)에 대해 각도 조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기어 박스(44)는 모터(41)의 샤프트(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일정 비율로 감속하거나 가속하여 플랩퍼(23)의 샤프트(24)에 전달하며, 기어 박스(44)의 출력측 샤프트(미도시) 말단의 커넥터(45)는 모터 하우징(25)의 내측 원형 측벽부(26)를 관통하여 상기 플랩퍼 샤프트(24)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예를 들어, 모터(41)의 샤프트(미도시)가 2 회전(720° 회전)하면 상기 기어 박스(44)의 출력측 샤프트(미도시)와 플랩퍼 샤프트(24)가 1/8 회전(90°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 측정 센서(47)는 플랩퍼(23)가 플랜지(21)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각도 측정 센서(47)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이고, 상기 기어 박스(44)의 출력측 샤프트(미도시)가 회전함으로 인한 화상(畵像)의 변화를 통해 플랩퍼(23)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모터(41)와 기어 박스(44)는 플랩퍼 샤프트(2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CL)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기어 박스(44)는 복수의 볼트(39)에 의해 모터 하우징(25)의 내측 원형 측벽부(26)에 고정 지지된다. 참조 번호 '46' 은 상기 복수의 볼트(39)에 일대일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 체결부이다. 모터(41)는 기어 박스(44)에 볼트(bolt)에 의해 고정 체결된다. 각도 측정 센서(47)는 상기 기어 박스(44)의 출력측 샤프트(미도시)를 에워싸며 상기 내측 원형 측벽부(26)에 지지된다.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는 모터(41), 한 쌍의 방열 팬(88, 89), 및 각도 측정 센서(47)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가 형성된 회로 보드(circuit board)로서, 모터 하우징(25) 내에서 모터(41) 및 기어 박스(44)의 일 측에 배치된다.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는, 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유닛(66)을 제어하는 신호, 및 각도 측정 센서(47)의 감지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가 형성된 회로 보드로서, 모터 하우징(25) 내에서 모터(41) 및 기어 박스(44)의 타 측에 배치된다.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는 복수의 체결 볼트(74)에 의해 기어 박스(44)의 일 측에 고정 지지되고,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는 복수의 체결 볼트(79)에 의해 기어 박스(44)의 타 측에 고정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회로 보드(70, 76)는 모터(41)와 기어 박스(4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와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가 하나의 보드(board)에 형성되어 있거나, 너무 근접하여 배치되면 한 쌍의 회로 보드(70, 76)를 흐르는 신호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소위 RF 노이즈(radio frequency noise)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오작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와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는 서로 분리된 보드(board)에 형성되고, 양 자간 거리는 50 내지 150 mm 로 충분히 이격되어 있어, 상기 RF 노이즈로 인한 문제가 방지된다.
통신용 회로 보드(80)는 스로틀 밸브(20)와 다른 기기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때 스로틀 밸브(20)와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회로가 형성된 회로 보드로서, 모터 하우징(25) 내에서 모터(41)의 하측에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와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 사이에 배치된다.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 및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는 각각, 모터(41)를 마주보는 측면에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80) 측으로 돌출된 수형 커넥터(connector)(72, 78, 67)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는 상기 3개의 수형 커넥터(72, 78, 67)가 끼워지는 3개의 암형 커넥터(82, 83, 81)를 구비한다. 상기 3개의 수형 커넥터(72, 78, 67)가 상기 3개의 암형 커넥터(82, 83, 81)에 끼워져 통신용 회로 보드(80)가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 및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와 통전(通電)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모터 하우징(25) 내에서 위치 고정되게 지지된다.
한편, 인터페이스(interface)용 회로 보드(50)는 모터 하우징(25)의 외측 측벽부(27)에 복수의 체결 볼트(63)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지지되는 원형의 회로 보드로서, 상기 축선(CL)을 따라 기어 박스(44) 및 모터(41)와 일렬로 배치된다.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는 모터(41)와 마주보는 측면에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측으로 하나씩 돌출된 2개의 수형 커넥터(65, 66)를 구비한다.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와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는 상기 2개의 수형 커넥터(65, 66)가 하나씩 끼워지는 암형 커넥터(71, 77)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수형 커넥터(65, 66)가 상기 2개의 암형 커넥터(71,77)에 끼워져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70) 및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76)가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와 통전(通電)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는 디스플레이 유닛(52), 파워 포트(power port)(54), 센서 포트(sensor port)(55),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56), 펌웨어 포트(firmware port)(61)를 구비하고, 각각 상기 외측 원형 측벽부(27)에 형성된 개방된 창(28, 29, 30, 31, 35)을 통해 이들(52, 54, 55, 56, 61)은 모터 하우징(25)의 외부로 노출된다. 파워 포트(54)는 스로틀 밸브(20) 외부의 전력 공급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포트이고, 센서 포트(55)는 각도 측정 센서(47)의 감지 신호를 스로틀 밸브(20) 컴퓨터(미도시)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는 포트이다.
통신 포트(56)는 스로틀 밸브(20)를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로서, 예컨대, 디바이스넷(devicenet) 통신선이 연결되는 디바이스넷 포트일 수 있다. 통신 포트(56)를 통해서 스로틀 밸브(20) 작동에 관한 설정(setting) 및 관련 데이터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스로틀 밸브(20)로 수신되거나, 후술할 세팅용 버튼(setting button)(57, 58)을 통해 입력된 스로틀 밸브(20) 작동에 관한 설정 및 관련 데이터가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펌웨어 포트(61)는 스로틀 밸브(20)의 펌웨어(firmware)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update)하기 위하여, 펌웨어가 저장된 메모리(memory)와 연결되는 포트이다.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는 플랩퍼(23)의 작동을 포함하는 스로틀 밸브(20)의 작동을 설정하는 한 쌍의 세팅용 버튼(57, 58)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세팅용 버튼(57, 58)은 상기 외측 원형 측벽부(27)에 형성된 개방된 창(32, 33)을 통해 모터 하우징(25) 외부로 노출된다. 공간적 여유가 충분하지 못하므로 상기 세팅용 버튼(57, 58)은 직경 1 내지 2 mm 의 스틱(stick) 형태로 형성되고, 예컨대, 핀(pin), 스크류 드라이버 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눌러 입력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의 세팅용 버튼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66)에는 상기 세팅용 버튼(47, 48)을 눌렀을 때의 상태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스로틀 밸브(20)의 작업자는 세팅용 버튼(47, 48)을 적절한 순서에 따라 누르고,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66)으로 확인함으로써 스로틀 밸브(20)를 현장에서 점검하면서 동시에 스로틀 밸브(20)의 설정을 초기화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20)에 이상을 발견했을 때 상기 스로틀 밸브(20) 작동 관리용 컴퓨터(미도시)로 다시 가서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한 쌍의 세팅용 버튼(57, 58)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 유닛(52)에 표시되는 항목을 이동 및 변경하는 스크롤 버튼(scroll button)(58)이고, 다른 하나는 디스플레이 유닛(66)에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는 기능 버튼(function button)(57)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2)은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행렬로 배열된 LED 어레이(LED array)이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52)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과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도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는 모터 하우징(25)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상태 표시 램프(59)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전력 및 신호의 수신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50)는 모터 하우징(25)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통신 상태 표시 램프(60)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25)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방열 팬(88, 89)은 모터 하우징(25) 내부의 과열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 방열 팬(88, 89)은 모터(41)의 상측에 축선(CL)과 평행하게 일렬로 배열되고, 모터 하우징(25)의 관부(pipe portion)(36)에 볼트(bolt)(미도시) 체결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관부(36)에는 제1 및 제2 방열 팬(88, 89)과 정렬되는 지점에 복수의 제1 벤트 홀(vent hole)(37)과 복수의 제2 벤트 홀(38)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방열 팬(88, 89)이 작동하면 모터 하우징(25) 내부의 고온의 공기를 제1 벤트 홀(vent hole)(37)과 제2 벤트 홀(38)를 통해 외부로 송풍하여 모터 하우징(25)의 과열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모터 하우징(25)의 관부(36)에는 상온의 외부 공기가 모터 하우징(25)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 벤트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모터 하우징(25)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며, 모터 하우징(25) 외측면은 양극산화(anodizing) 처리에 의한 광택성 피막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스로틀 밸브(20) 주위의 복사열이 상기 양극산화 피막에 반사되며 모터 하우징(25) 내부로의 침투가 최소화된다. 상기한 방열 팬(88, 89), 벤트 홀(37, 38), 및 모터 하우징(25)의 양극산화 피막과 같은 방열 수단에 의해, 모터 하우징(25) 내의 모터(41), 및 4개의 회로 보드(50, 70, 76, 80)에 탑재된 소자(electronic element)들의 과열과, 그로 인한 오작동 및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스로틀 밸브 21: 플랜지
23: 플랩퍼 25: 모터 하우징
41: 모터 44: 기어 박스
40: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 56: 통신 포트
705: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76: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80: 통신용 회로 보드 88, 89: 방열 팬

Claims (7)

  1. 링(ring) 형태의 플랜지;
    상기 플랜지 내측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퍼;
    상기 플랜지 외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인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랩퍼가 상기 플랜지에 대해 각도 조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모터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가 형성된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모터의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보드가 설치된 일면과 반대 일면에 결합되고,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가 형성된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모터의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와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사이의 일면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회로가 형성된 통신용 회로 보드;
    상기 모터 하우징의 하측을 막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및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 및,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모터의 상기 회로 보드들이 결합되지 않은 일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팬;을 구비하는 스로틀 밸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팬은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방열 팬은 상기 모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는 각각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 측으로 돌출된 수형 커넥터(connector)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는 3개의 상기 수형 커넥터가 끼워지는 3개의 암형 커넥터를 구비하여,
    3개의 상기 수형 커넥터가 상기 3개의 암형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통신용 회로 보드가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 하우징 내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는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 측으로 돌출된 2개의 수형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는 각각 상기 2개의 수형 커넥터가 하나씩 끼워지는 암형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2개의 수형 커넥터가 상기 2개의 암형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전력 공급용 회로 보드 및 상기 신호 처리용 회로 보드가 상기 인터페이스용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보드는, 스로틀 밸브의 펌웨어(firmware)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update)하기 위한 펌웨어 포트(port)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보드는, 통신 포트로서 디바이스넷(devicenet) 통신선이 연결되는 디바이스넷 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양극산화(anodizing) 처리에 의한 피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밸브.
KR1020150041585A 2015-03-25 2015-03-25 스로틀 밸브 KR10164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585A KR101646667B1 (ko) 2015-03-25 2015-03-25 스로틀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585A KR101646667B1 (ko) 2015-03-25 2015-03-25 스로틀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667B1 true KR101646667B1 (ko) 2016-08-12

Family

ID=5671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585A KR101646667B1 (ko) 2015-03-25 2015-03-25 스로틀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402B1 (ko) * 2017-12-22 2018-11-27 모은산업 주식회사 기능성 버터플라이 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354Y1 (ko) * 2003-09-02 2004-01-07 권이랑 전자밸브용 액츄에이터 제어시스템의 개도위치검출부 구조
KR100454719B1 (ko) * 2003-03-14 2004-11-03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모듈형 컴퓨터
KR20060079339A (ko) 2004-12-30 2006-07-0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공정챔버의 압력조절장치
KR100676196B1 (ko) 2000-04-10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엽식 반도체설비의 스로틀밸브
JP2008298083A (ja) * 2004-05-31 2008-12-11 Aisan Ind Co Ltd スロットルボデーのオープナー開度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196B1 (ko) 2000-04-10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엽식 반도체설비의 스로틀밸브
KR100454719B1 (ko) * 2003-03-14 2004-11-03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모듈형 컴퓨터
KR200337354Y1 (ko) * 2003-09-02 2004-01-07 권이랑 전자밸브용 액츄에이터 제어시스템의 개도위치검출부 구조
JP2008298083A (ja) * 2004-05-31 2008-12-11 Aisan Ind Co Ltd スロットルボデーのオープナー開度調整方法
KR20060079339A (ko) 2004-12-30 2006-07-0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공정챔버의 압력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402B1 (ko) * 2017-12-22 2018-11-27 모은산업 주식회사 기능성 버터플라이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6524B2 (en) Electronic device
US6119680A (en) Ventilation system for an appliance
EP2321558B1 (en) Motorized gear and coupling system
JP2005264938A (ja) 真空ポンプシステム
KR101646667B1 (ko) 스로틀 밸브
EP3660403B1 (en) Cooking appliance
JP2013517423A (ja) ポンプ装置
KR20190120620A (ko) 조리기기
WO2017050070A1 (zh) 一种太阳能供电且可局部冷却的电气柜
KR20230117294A (ko)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538109B1 (ko) 스로틀 밸브
KR101390285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JP6134902B2 (ja) 送風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加熱調理器
KR20210057237A (ko) 웨이퍼 정 위치 감지 장치
US9396604B2 (en) Vending machine with heat transmission system
WO2023040481A1 (zh) 一种冰箱
US10401247B2 (en)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rrangement for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6051824A (en) Wet prevention apparatus for sensor of microwave oven
US20180023719A1 (en) Exhaust system and control device
TWM597866U (zh) 微型光譜儀
JP4818238B2 (ja) 空気調和機
JP5733369B2 (ja) 制御ユニット一体型ターボ分子ポンプ
CN219999642U (zh) 投光灯
US11629796B2 (en) Vacuum valve and actuator used in vacuum valve
JP7161966B2 (ja) 環境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