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012B1 -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012B1
KR101646012B1 KR1020140111773A KR20140111773A KR101646012B1 KR 101646012 B1 KR101646012 B1 KR 101646012B1 KR 1020140111773 A KR1020140111773 A KR 1020140111773A KR 20140111773 A KR20140111773 A KR 20140111773A KR 101646012 B1 KR101646012 B1 KR 101646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ipe
fixing
drain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665A (ko
Inventor
이병기
이아름솔
이솔빈
Original Assignee
(주)코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포스 filed Critical (주)코포스
Priority to KR102014011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0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통에 연결된 배수관을 일정길이 절단한 후 상기 배수관을 대체하는 연질의 스토퍼 관을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 관이 관통되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에 결합되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토퍼 관을 압박하여 상기 배수통에 소독수가 차도록 구성된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관의 상단과 하단에는 외주면에 걸림구가 돌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스토퍼 관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걸림구에 체결되는 끼움부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몸체의 지지를 위해 중심에 상기 스토퍼 몸체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된 'ㄷ'자 형상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상하부의 연결부재는 배수관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을뿐더러 배수관의 중간 어디라도 설치가 용이하고 배수통과 함께 스토퍼 이전의 배수관까지 소독 및 청소가 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Sterilization device for drain in the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을뿐더러 배수관의 중간 어디라도 설치가 용이하고 배수통과 함께 스토퍼 이전의 배수관까지 소독 및 청소가 되도록 하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식부엌을 갖는 주방에는 조리할 재료를 다듬거나 씻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물을 저수 또는 배수할 수 있는 싱크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싱크대에는 요리 등을 하면서 발생되는 각종 찌꺼기 또는 설거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염물질 등이 배수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과정에서 싱크대에 구비되어 있는 배수통에 오염물질이 달라붙게 되고 이들이 오랜시간이 지나면서 부패하여 악취 등이 발생하게 되어 위생적으로 매우 불결하게 되고 심지어 이로 인해 음식물 등에 세균이 들어가 식중독 등과 같은 위험한 사고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싱크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상기 싱크대의 배수통을 뚜껑으로 막고 주기적으로 락스 등과 같은 소독수를 투여하여 싱크대 안을 간단하게 소독 살균토록 하고 있으나, 상기한 방법으로는 세균이나 각종 오염물질이 달라붙는 배수통을 소독하기 어려워 사용자는 칫솔이나 수세미에 세정제를 묻혀 상기 배수통을 씻어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칫솔이나 수세미로는 배수통의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울뿐더러 상기 배수통에 묻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에 의해 악취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싱크대의 배수통(101)에 연결된 배수관(102)을 일정길이 절단한 후 상기 배수관(102)을 대체하는 연질의 스토퍼 관(110)을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 관(110)이 관통되는 스토퍼 몸체(120)와 상기 스토퍼 몸체에 결합되는 스토퍼(130)에 의해 상기 스토퍼 관(110)을 압박하여 상기 배수통(101)에 소독수가 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싱크대 배수통의 소독구조"를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115576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 몸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에 각각의 끼움구(121a,122a)를 구비하고 스토퍼 관(11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홈(120a)이 형성되며 체결수단(123)에 의해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121,122)와, 상기 관통홈(120a)에서 스토퍼(13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일측에 삽입홈(124a)이 구비된 멈춤구(124)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스토퍼 몸체(120)의 일측에 구비된 안내공(120b)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봉(131)과, 상기 결합봉(131)의 일단에 형성되어 멈춤구(124)의 삽입홈(124a)에 안착되는 안내구(132)와, 상기 결합봉(131)의 타탄에 형성된 손잡이(133)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출원된 싱크대 배수통의 소독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통(101)에 부착해서만 설치가 가능하므로 배수통이 2개 이상이거나 공간이 협소할 경우 설치가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간 활용도가 높은 배수관의 중간에 설치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으며, 금형제작비를 절감하기 위해서 기 제작된 스토퍼와 혼합조립하는 방식을 택했고,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이 설계되고 모형제작이 되었지만 본 발명을 제작하는 것이 제일 저렴하고 간단하며 그 역할 또한 확실하다는 결론에 이르러 제품 제작을 기획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115576호 (발명의 명칭:스토퍼를 구비한 싱크대 배수통의 소독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조립 할 수 있을뿐더러 배수관의 중간 어디라도 설치가 용이하고 배수통과 함께 스토퍼 이전의 배수관까지 소독 및 청소가 되도록 하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는, 싱크대의 배수통에 연결된 배수관을 일정길이 절단한 후 상기 배수관을 대체하는 연질의 스토퍼 관을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 관이 관통되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에 결합되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토퍼 관을 압박하여 상기 배수통에 소독수가 차도록 구성된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관의 상단과 하단에는 외주면에 걸림구가 돌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가 결합되고; 스토퍼 관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걸림구에 체결되는 끼움부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몸체의 지지를 위해 중심에 상기 스토퍼 몸체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된 'ㄷ'자 형상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상하부의 연결부재는 배수관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몸체(120)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멈춤구(124)에 구비된 삽입홈(124a)에 안착부재(124b)를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재(124b)는 삽입홈(124a)의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끼움홈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외측에 형성된 제1 끼움대의 외면은 걸림구와의 체결을 위해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스토퍼 몸체의 상면과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대는 고정브라켓의 중심에 끼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 관(110)은 상기 상단 연결부재(160) 및 상기 스토퍼 몸체(120) 사이에 개구부(110a)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0a)는 펌핑호스(112a) 및 펌핑부(112b)로 이루어진 펌핑통(11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을뿐더러 배수관의 중간 어디라도 설치가 용이하고 배수통과 함께 스토퍼 이전의 배수관까지 소독 및 청소가 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토퍼 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배수통에 연결된 배수관을 일정길이 절단한 후 상기 배수관을 대체하는 연질의 스토퍼 관을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 관이 관통되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에 결합되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토퍼 관을 압박하여 상기 배수통에 소독수가 차도록 구성된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관(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외주면에 걸림구(162)가 돌출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160)가 결합되고; 스토퍼 관(110)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걸림구(162)에 체결되는 끼움부(171)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몸체(120)의 지지를 위해 중심에 상기 스토퍼 몸체(120)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172)가 구비된 'ㄷ'자 형상의 고정브라켓(170)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상하부의 연결부재(160)는 배수관(102)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관(110), 스토퍼 몸체(120), 스토퍼(130)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특허 제10-2011-0115576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상기 스토퍼(130)의 결합봉(131)에 형성된 나사산(131a)은 하나가 아닌 두 개로 형성되어 손잡이(133)의 작은 회전에도 스토퍼 관(110)의 압박이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압박시 스토퍼(130)가 후진되지 아니하도록 결합봉(131)은 상기 결합봉(131)이 나사결합되는 스토퍼 몸체(120)의 일측에 구비된 안내공에 마찰력이 극대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 관(110)은 상부 내부 벽면이 스토퍼 관(110)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역류방지막(111)으로 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수관(102)을 통해 내려온 음식물 및 악취 등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음식물 등과 같은 찌꺼기는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미 토출된 음식물 등은 다시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막(111)은 방사상의 형태로 된 다수개의 절개부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선출원된 특허의 경우, 스토퍼(130)의 전진으로 상기 스토퍼(130)가 스토퍼 몸체(120)에 나사결합되면 결합봉(131)의 끝단이 멈춤구(124)의 삽입홈(124a)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멈춤구(124)를 이동시켜 스토퍼 관(110)을 압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홈(124a)의 상면과 하면은 개구된 상태여서 종종 결합봉(131)이 올라타는 문제, 즉 상기 삽입홈(124a)으로부터 결합봉(131)의 끝단이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124a)에 안착부재(124b)를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재(124b)는 삽입홈(124a)의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결합봉(131)의 나사결합시 상기 결합봉(131)이 삽입홈(124a)을 올라타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 것이다.
물론 상기 삽입홈(124a)의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상태가 아닌 상기 상면과 하면이 폐쇄된 상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봉(131)의 끝단이 올라타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단, 선출원된 특허의 경우, 상기 스토퍼 몸체(120)의 상하부 케이스(121,122)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상하부 케이스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외적 미감의 향상을 위해 초음파 접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60)는 배수관(102)과 스토퍼 관(11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파이프 형상의 일자관(161)과, 상기 일자관(161)의 외주면 중심에 돌출 형성되되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걸림구(162)로 구성된다.
상기 일자관(161)의 상단과 하단 외주면에는 경사면(161a)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경사면(161a)은 일자관(161)의 상하부로 배수관(102)과 스토퍼 관(110)이 쉽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브라켓(170)은 연결부재(160), 스토퍼 관(110), 스토퍼 몸체(120)를 일괄로 연결하여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토퍼 관(110)의 지지를 위해 걸림구(162)에 체결되도록 상하부에 형성된 끼움부(171)와, 스토퍼 몸체(120)의 지지를 위해 중심에 상기 스토퍼 몸체(120)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17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170)은 스토퍼 관(110)이 접히지 않고 일자로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끼움부(171)로 상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재(160)를 지지함과 동시에 스토퍼 몸체(12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172)로 상기 스토퍼 몸체(12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끼움부(171)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끼움홈(171a)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71a)의 외측에 형성된 제1 끼움대(171b)의 외면은 걸림구(162)와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상기 끼움홈(171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1,2 끼움대(171b,171c)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대(171b)는 제2 끼움대(171c)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벌어짐이 바람직한데, 이는 끼움홈(171a)으로 걸림구(162)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부(172)는 스토퍼 몸체(120)의 상면과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대(172a)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대(172a)는 고정브라켓(170)의 중심에 끼움부(171)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72)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고정대(172a)에는 고정홈(172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72b)에 대응하는 고정돌기(120c)가 스토퍼 몸체(12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출원된 특허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락스 등과 같은 화학약품을 싱크대에 직접 부어야 했고, 이로 인해 화학약품이 피부에 묻을 경우 피부 부식을 일으키거나 화학약품의 강한 냄새로 인해 두통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펌핑호수(112a) 및 펌핑부(112b)로 구성된 펑핑통(112)을 상기 스토퍼 관(110)에 따로 연결시킴으로써 필요 시에만 이를 통해 화학약품이 배수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스토퍼 관(110)은 펌핑통(112)과 결합되기 위해 스토퍼 관(110) 일측 상부에 개구부(110a)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펌핑호스(112a)가 연결되고 펌핑통(112)에 구성된 펌핑부(112b)를 누름으로써, 락스 등과 같은 화학약품이 용이하게 제공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102 : 배수관
110 : 스토퍼 관 110a : 개구부
111 : 역류방지막 112 : 펌핑통
112a : 펌핑호스 112b : 펌핑부
120 : 스토퍼 몸체 130 : 스토퍼
160 : 연결부재 161 : 일자관
161a : 경사면 162 : 걸림구
170 : 고정브라켓 171 : 끼움부
171a : 끼움홈 171b : 제 1끼움대
171c : 제 2끼움대 172 : 고정부
172a : 끼움대

Claims (6)

  1. 싱크대의 배수통에 연결된 배수관을 일정길이 절단한 후 상기 배수관을 대체하는 연질의 스토퍼 관을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 관이 관통되는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에 결합되는 스토퍼에 의해 상기 스토퍼 관을 압박하여 상기 배수통에 소독수가 차도록 구성된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관(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외주면에 걸림구(162)가 돌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재(160)가 결합되고;
    스토퍼 관(110)의 지지를 위해 상기 걸림구(162)에 체결되는 끼움부(171)가 상하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몸체(120)의 지지를 위해 중심에 상기 스토퍼 몸체(120)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172)가 구비된 'ㄷ'자 형상의 고정브라켓(170)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상하부의 연결부재(160)는 배수관(102)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120)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멈춤구(124)에 구비된 삽입홈(124a)에 안착부재(124b)를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재(124b)는 상기 삽입홈(124a)의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171)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끼움홈(171a)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71a)의 외측에 형성된 제1 끼움대(171b)의 외면은 걸림구(162)와의 체결을 위해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 관은 상부 내부 벽면이 스토퍼 관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역류방지막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막은,
    상기 스토퍼 관에서 토출된 음식물 및 찌꺼기가 역류되지 않도록 방사상의 형태로 된 다수개의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72)는, 스토퍼 몸체(120)의 상면과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대(172a)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대(172a)는 고정브라켓(170)의 중심에 끼움부(171)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172a)에는 고정홈(172b)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172b)에 대응하는 고정돌기(120c)가 스토퍼 몸체(120)의 상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관(110)은 상기 상단 연결부재(160) 및 상기 스토퍼 몸체(120) 사이에 개구부(110a)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0a)는 펌핑호스(112a) 및 펌핑부(112b)로 이루어진 펌핑통(11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6. 삭제
KR1020140111773A 2014-08-26 2014-08-26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KR101646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73A KR101646012B1 (ko) 2014-08-26 2014-08-26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773A KR101646012B1 (ko) 2014-08-26 2014-08-26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65A KR20160024665A (ko) 2016-03-07
KR101646012B1 true KR101646012B1 (ko) 2016-08-08

Family

ID=5554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773A KR101646012B1 (ko) 2014-08-26 2014-08-26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0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34Y1 (ko) * 2005-12-13 2006-03-09 하진숙 소독액 공급수단을 갖는 세수(洗手)장치
KR100821980B1 (ko) * 2005-11-09 2008-04-17 민병이 파이프 내부의 소독 및 청소장치
JP2014005662A (ja) * 2012-06-25 2014-01-16 Maruichi Corp 逆流防止弁
KR101362470B1 (ko) * 2012-10-24 2014-02-13 이아름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3358A1 (ja) 2008-12-26 2010-07-01 有限会社ワイ・システムズ 半導体成膜時の温度測定方法および温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80B1 (ko) * 2005-11-09 2008-04-17 민병이 파이프 내부의 소독 및 청소장치
KR200410634Y1 (ko) * 2005-12-13 2006-03-09 하진숙 소독액 공급수단을 갖는 세수(洗手)장치
JP2014005662A (ja) * 2012-06-25 2014-01-16 Maruichi Corp 逆流防止弁
KR101362470B1 (ko) * 2012-10-24 2014-02-13 이아름솔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665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327B1 (en) Portable training sink and vanity for children
WO2006102346A2 (en) Plungers and devices for storing plumbing tools
US20160244955A1 (en) Delivery System for Cleaning & Maintaining Drains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WO2004071182A1 (en) Toilet for pet
KR101646012B1 (ko)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US20140366266A1 (en) Portable sink drain diverter
CA2513673A1 (en) Drain trap with clean out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KR101362470B1 (ko) 싱크대 배수통용 소독장치
WO2014120284A1 (en) Portable sink drain diverter
KR101116463B1 (ko) 싱크볼 구조
KR200444802Y1 (ko) 개폐밸브를 갖는 싱크대소독장치
US9107546B2 (en) Toilet bowl hygienic cleaning unit
KR20170043394A (ko) 악취의 새어나옴과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된 오수의 배출이 용이한 가정용 음식물쓰레기통
KR101640596B1 (ko)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KR200447749Y1 (ko) 배수가 용이한 주방기구용 다리
KR20150138883A (ko) 식칼 소독기
EP4361363A1 (en) A cleansing and sanitation system for sanitary appliances
KR200473010Y1 (ko) 위생 샤워기
KR101269421B1 (ko) 스토퍼를 구비한 싱크대 배수통의 소독구조
KR20150002177U (ko) 씽크대 배수구용 걸름망
US20030075205A1 (en) Toilet bowl soaker
KR200366602Y1 (ko) 세척할 필요가 없는 도마
KR20070053049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기
KR200374420Y1 (ko) 식기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주방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