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981B1 -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981B1
KR101645981B1 KR1020130166787A KR20130166787A KR101645981B1 KR 101645981 B1 KR101645981 B1 KR 101645981B1 KR 1020130166787 A KR1020130166787 A KR 1020130166787A KR 20130166787 A KR20130166787 A KR 20130166787A KR 101645981 B1 KR101645981 B1 KR 10164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kin
cosmetic composition
hexagonal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7873A (ko
Inventor
김건우
김일동
Original Assignee
김건우
김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김일동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13016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ⅰ) 수상 파트를 가온 또는 냉각하는 단계; ⅱ) 유상 파트 또는 가용화 파트를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파트와 호모 믹싱하는 단계; ⅲ) 상기 각 파트를 호모 믹싱 후, 가온된 수상 파트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믹싱된 파트를 여과하면서 자화육각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력과 탄력을 향상시키고, 표피의 각질 탈락을 원할하게 하여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Production method of cosmetics for elasticity and moisture effect on the skin containing six-angle water and cosmetic composition produced by this method}
본 발명은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과 보습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표피의 각질탈락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즉, 피부속에 수분 공급으로 탄력있는 피부로 만들어준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요인들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상해를 직접 받는 부위인 동시에 또한 이들의 기능적, 구조적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우리가 살아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조직이다. 그러나 우리의 피부는, 예를 들어,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와 같은 손상으로 피부의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피부는 더욱 더 큰 손상을 입게 되고 피부 탄력이 저하되며, 주름이 생성된다. 피부가 노화되면, 피부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트릭스(Matrix) 안의 콜라겐(collagen),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양이 줄어들고, 불용성 콜레겐의 양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는 거칠게 된다. 나아가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피지막은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고, 피부 수화에 대한 보호막을 잃게 되어, 결국 피부는 건조하게 되고, 투명성을 잃게 되어 피부단백질의 탄력이 감소되고 주름이 생성된다.
한편, 피부의 보습 작용도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피부 탄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즉 피부의 보습력 상실은 피부 노화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피부의 수분균형은 표피에 의해 조절된다. 표피의 각질층은 죽은 세포들이 쌓여 있는 것이지만, 피부의 수분유지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생체는 대부분이 생명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로 구성되어 있다. 정상 피부에서의 수분은 체내에 70%, 각질층에 20%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지탱해 준다.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각질화(keratinization)로 생성된 각질층 안의 수분의 양은 항상 10 내지 20%를 유지한다. 현재 피부 내 수분 유지 방법은 폐색제(occlusive agent)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폐색제는 수분 손실을 막는 장벽을 피부 위에 형성함으로써, 수분 부유를 촉진하는 소수성 물질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색제로는 바세린, 라놀린, 코코아 버터, 미네랄 오일 및 실리콘이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디메틸 술폭사이드(dimetyl sulfoxide), 크로톤 오일(croton oil) 및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은 원료를 20 종에서 50여 종 첨가시킨다. 상기 원료들이 제품에 적용되면, 피부에 염증, 가려움증, 알러지 등의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가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에 노출되면 각질층이 손상을 받게 되고, 따라서 각질층 손상의 지표가 되는 경표피 수분 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1차적인 염증반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화장품은 피부에 유해한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때문에 피부 보습 효과 및 보호 효과 등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좋은 물은 건강의 기본이며 질병의 예방은 물론 치료까지도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올 만큼 물의 신비는 무한하다. 액체 상태인 물속에는 물 분자 하나하나가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5각형, 육각형으로 된 고리 구조로 서로 손을 맞잡고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마시고 있는 물의 화학적 구조는 크게 육각형 고리 구조, 5각형 고리 구조, 그리고 5각형 사슬 구조 등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이것을 육각수 혹은 오각수라고 부른다.
이중 육각수는 생리 활성이 커 이것을 마신 식물 플랑크톤은 증식률이 높아졌고 녹색 식물은 수확량이 많아졌으며 병아리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산란율이 향상 되는 등 실험을 통해 이미 입증됐다.
인체는 70% 이상이 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질병 치료에 있어 어떤 약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세포주위를 구성하고 있는 물이 일정한 크기와 규칙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하는데 만약 이 구조가 흐트러지면 세포의 기능에 곧바로 이상이 생겨 질병 AIDS, 암 당뇨병 등이 발현될 수도 있다.
또 암환부에 많이 존재하는 것이 5각수인데 정상 세포와 종양 세포 주변의 물을 조사해보니 종양 세포 주위의 물이 정상세포에 비해 질서가 없고 움직임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떤 이유나 원인에 의해 세포의 물 구조가 파괴돼 생긴 암이나 당뇨병 등도 이런 파괴된 세포내 물 구조를 정상화해줌으로써 치유까지 가능하다.
또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맞이하게 되는 노화관계에서도 물은 중요한 역할을담당하고 있다. 노화란 체내의 구조화된 물 정상 세포의 육각수 물이 체외로 빠져나가면서 인체내에 구조화 되지 않은 무질서한 물의 양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이 큰 원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육각수가 일부 떨어져나가 세포내 무질서한 물의 양이 증가하면 노화가 촉진되는 것이다. 따라서 육각수 물을 장기간 섭취하게 되면 인체의 세포가 건강해져 자연스럽게 노화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게 된다.
육각수는 6각형 고리 구조의 물을 나타낸다.
물의 화학적 구조는 6각형 고리구조, 5각형 고리구조, 5각형 사슬구조 등 세 종류인데, 그 중에서 정상적인 사람의 세포가 가장 좋아하는 물이 6각형 고리구조를 이루는 물이다. 정상적인 인체에 62%가 6각형 고리, 24%가 5각형 고리, 14%가 기타 구조의 물이다. 건강한 세포 안과 밖에는 육각수가 모여 있다. 반면 건강하지 못한 세포 주위에는 6각형 고리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생체분자 밖으로 나가거나 제멋대로 돌아다닌다.
육각수는 세포 안팎으로 있는 물이기 때문에 피부 속 진피 층 까지 깊이 침투할 수 있다. 6각형 고리구조의 물은 온수 10℃에서는 3∼4%, 0℃에서는 10%, -30℃ 및 -40℃에서는 10% 함유한다.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나이가 들면 세포의 안팎에 6각형 고리구조가 깨지기 때문에 피부속의 수분 밸런스가 깨져 피부에 주름 잡히는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육각수는 세균의 침입도 막아주고 세균의 번식도 억제해 항균 효과가 있다.
대표적으로 6각수가 많은 식물로는 대나무 수액과 자작나무 수액이 있다. 대나무 수액은 대표적인 3대 음용수로써 무기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피부를 탄력있게 만들어주고 아미노산이 피부의 영양을 주어 기미, 주근깨, 검버섯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작나무 수액은 피부 진정 작용이 뛰어나 홍반을 억제해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육각수를 다량 함유하는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던 중,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의 육각자화기를 이용하면 화장품의 성상에 변화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다량의 육각수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고, 피부 보습과 탄력의 기능성이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육각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탄력있는 피부를 만들어주는데) 원활한 각질 탈락을 유도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수상 파트를 가온 또는 냉각하는 단계; ⅱ) 유상 파트 또는 가용화 파트를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파트와 호모 믹싱하는 단계; ⅲ) 상기 각 파트를 호모 믹싱 후, 가온된 수상 파트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믹싱된 파트를 여과하면서 자화육각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ⅰ) 수상 파트를 가온 또는 냉각하는 단계; ⅱ) 유상 파트 또는 가용화 파트를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파트와 호모 믹싱하는 단계; ⅲ) 상기 각 파트를 호모 믹싱 후, 가온된 수상 파트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믹싱된 파트를 여과하면서 자화육각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상 파트, 유상 파트 및 가용화 파트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화육각 장치는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젤, 연고,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의 보조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육각수 0.01%~100% 함유하는 화장품에서 10℃ 이하에서 제조하였을 때 육각수를 3~4% 함유한다. 제조시 냉각 후 특허 등록 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이용한 방법으로 육각수를 생성시켜 배출한다. 이때 화장품의 정제수가 육각수로 전환될 때 화장품의 성상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때, 육각수는 10%까지 생성이 된다.
육각수는 피부 흡수에 관여한다. 피부에 있는 세포 주변에 관여하고 있는 육각수는 건강한 세포 주변에 모여 있다. 물의 관련하여 인력에 대해 비슷한 인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끌어당기는 인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그리하여 피부 속에 진피 세포층까지 흡수 되어 피부 속의 수분 막을 형성한다. 즉 진피층까지 흡수가 된다는 말은 피부 속에 유효성분을 더 침투 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표피의 각질층은 수분을 약 10~20% 정도를 함유하고 있으며, 수분 상태가 10% 미만이 될 경우에는 피부가 건조하고 탄력과 윤기도 없어지게 되므로 노화피부가 되기 싶다. 그러므로 수분은 탄력이 있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피부의 수분을 어떻게 유지하는가에 따라 탄력이 있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것인가가 결정된다.
표피의 각질층은 수분의 증발을 억제해 주고 외부에서 과잉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도 방지한다. 즉 각질층의 표면에 천연 보호막(피지막)이 있어서 수분의 증발을 차단해주는 것이다. 이 천연 보호막이 유중수화형(w/o)의 상태이지만 땀을 흘리게 되면 수중유화형(o/w)으로 전환되어 땀의 증발을 촉진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다시 원래 상태인 유중수화형(w/o)으로 전환되어 수분 조절을 한다. 수분이 피부를 통하여 배설되는데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발한과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가운데 피부 표면에서 발산되는 불감증발이 있다.
수분이 피부를 통하여 배설되는 양은 하루 약 550 ml로서 전체 배출량의 약 22%를 차지한다. 이중에서 50%는 수분의 손실이 느껴지지만 나머지 50%는 수분의 손실을 의식하지 못하는 불감증발이다.
각질층은 천연보습인자인 세포간 지질에 의해 수분이 유지되고 진피층은 뮤코다당류가 결합수를 만들어 보습효과를 유지한다.
표피와 진피층의 수분 함량의 감소가 피부 노화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피부 관리의 최상의 목적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것이 피부 노화 예방의 매우 중요한 일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양소가 요구되지만 피부에 있어서 최고의 영양소는 수분일 것이다. 따라서 건조한 실내에서 장기간 근무하거나 바람이 많고 건조한 계절인 봄, 가을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야 하며,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피부에 적당한 수분을 보충해주어야 촉촉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육각수가 세포를 보호하는 방식은 세포내 외적으로 세포를 보호하고, 안정화와 인지질막의 구조를 안정화시켜 온도변화에 따른 인지질막의 라멜라 구조의 파괴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육각수를 인간 세포에 투여 할 경우 세포내 수분의 보습유지와 세포의 세균 침투를 막아주는 역할로 인체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물 구조 입자임을 밝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력과 탄력을 향상시키고, 표피의 각질 탈락을 원할하게 하여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해준다.
도 1은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에 따른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3은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에 따른 설치된 상태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에 따른 자석의 자기장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결합부
12: 결합홈 13: 지지돌기
14: 안착홈 15: 라벨부
20: 자석 21: 자력차단판
30: 몰딩부 40: 물유입관
50: 고정수단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육각수를 포함한 화장품 제조
육각수 0.01%~100% 함유하는 화장품에서 10℃ 이하에서 제조하였을 때, 육각수를 3~4% 함유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품 제조시 냉각 후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이용한 방법으로 육각수를 생성시켜 배출하였다. 이때 화장품의 정제수가 육각수로 전환될 때 화장품의 성상은 변화되지 않았다. 이때 육각수는 10%까지 생성이 되었다.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의 사용방법은 상기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과 같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조예 1> 크림(cream)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육각자화기를 이용한 육각수가 함유된 크림의 제조는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 파트를 메인 믹서에 투입한 후, 75℃까지 가온하면서 유상 파트를 유상믹서에 투입한 후 73℃까지 가온하였다.
가온이 다 되었으면 상기 유상 믹서의 내용물을 메인 믹서에 투입한 후 호모믹싱을 5분간 하였다. 호모믹싱 후 냉각수를 이용해 10℃까지 냉각하였다. 여과 하면서 자화육각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였다.
Ingredint Name %(w/w)
Water add to 100
Sodium Hyaluronate 3.0
Butylene Glycol 2.2
Glycerin 4.0
Caprylic/CapricTriglyceride 2.0
CetearylAlcohol 2.5
Glyceryl Stearate 1.5
Polysorbate60 1.2
HelianthusAnnuus(Sunflower)SeedOil 2.0
Stearic Acid 2.5
Carbomer 0.4
Tocopheryl Acetate 0.05
Arginine 0.35
Glycerin/CaprylhydroxamicAcid/CaprylylGlycol 0.3
Perfume 적량
<제조예 2> 토너(toner)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육각자화기를 이용한 육각수가 함유된 토너의 제조는 하기 표 2의 조성과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 파트를 메인 믹서에 투입하였다. 메인 믹서에 투입한 후 냉각수를 이용해 10℃까지 냉각하였다.
가용화 파트의 내용물을 프리 믹서에서 믹싱하였다. 모두 용해가 되었을 때, 메인 믹서에 상기 가용화 파트의 내용물을 투입하였다. 이때, 제조 온도를 10℃를 유지하였다. 여과 후 배출할 때, 자화육각수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였다.
Ingredint Name %(w/w)
Water add to 100
Sodium Hyaluronate 3.0
Butylene Glycol 2.0
Glycerin 4.0
Alcohol 4.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
Allantoin 0.05
Glycerin/CaprylhydroxamicAcid/CaprylylGlycol 0.3
Acrylates/C10-30AlkylAcrylateCrosspolymer 0.10
Arginine 0.10
Perfume 적량
<제조예 3> 로션(lotion)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육각자화기를 이용한 육각수가 함유된 로션의 제조는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 파트를 메인 믹서에 투입한 후, 75℃까지 가온하면서 유상 파트를 유상 믹서에 투입한 후 73℃까지 가온하였다.
가온이 다 되었으면 유상 믹서의 내용물을 메인 믹서에 투입한 후 호모 믹싱을 5분간하였다.
호모 믹싱 후 냉각수를 이용해 10℃까지 냉각하였다. 여과하면서 자화육각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였다.
Ingredint Name %(w/w)
Water add to 100
Glycerin 5.0
Butylene Glycol 4.0
Polysorbate 60 2.0
Cetearyl Alcohol 1.0
Sodium Hyaluronate 2.0
Glyceryl Stearate 1.0
GlycerylStearate/PEG-100Stearate 0.5
Squalane 1.0
Stearic Acid 1.0
Allantoin 0.05
Tocopheryl Acetate 0.05
HelianthusAnnuus(Sunflower)SeedOil 0.50
Glycerin/CaprylhydroxamicAcid/CaprylylGlycol 0.30
Carbomer 0.05
Arginine 0.05
Perfume 적량
<실시예 2> 화장품 보관 방법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완제품을 냉동고에서 10℃를 유지하여 완제품을 보관였다. 완제품 출고시 냉동차를 이용하여 출고하였다.
소비자는 냉장고를 이용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제조과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다만, 최종적으로, 여과하면서 화장품을 배출할 때, 특허 등록번호 20-0383812 육각자화기를 이용하지 않았다.
<시험예 1> 피부수분 함유량 및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
연구대상은 과거에 알레르기성 질환이나 아토피 피부염 등 질환의 병력이 없는 30~40세 (32.1 ± # 2.1)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 부위는 팔 하박 부위로 한정하였다.
<1-1> 피부수분(Skin hydration) 함유량
구체적으로, 팔의 하 박부위에 일정한 위치와 크기의 시험 부위를 지정하였고, 초기 값으로 도포 전 수분 함유량 및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일정량의 크림 도포 후 피부 수분 함유량은 30 min 간격, 경피 수분 손실량은 2 h 간격으로 2번 측정하였다. 측정된 capacitance value는 0 ~ 120 사이의 arbitrary capacitance units (A.U.)으로 전환하였으며, 측정된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g/h·hm2로 표기하였다. 측정값이 높을수록 피부 표면 수분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피부 수분 함량의 변화는 240 min 후 육각수 제조 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제형은 기초 화장수 및 로션, 크림을 도포하지 않은 부위에 비해 19.6 %, 육각수 제조 방법 함유 시험제형은 38.5 %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1-2> 경피수분 손실량
또한, 시험제형을 피부에 도포하여 240 min 동안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도포 실험 결과,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240min 후 육각수 제조 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제형은 기초 화장수 및 로션, 크림을 도포하지 않은 부위에 비해 2.5 %, 시험제형은 32.4 %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 1-1 및 1-2 결과를 토대로 육각수를 기초 화장수 및 로션, 크림크림은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피부 탄력 개선량 측정
연구대상은 과거에 알레르기성 질환이나 아토피 피부염 등 질환의 병력이 없는 30 ~ 40세 (32.1 ± # 2.1)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 부위는 얼굴로 한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얼굴에 일정한 위치와 크기의 시험 부위를 지정하였고, 초기 값으로 도포 전과 도포후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기초 화장수 및 로션, 크림을 도포하여 1개월 동안 1일 2회에 걸쳐 피부에 도포하였으며, 1개월 후 큐토미터 (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다.
1개월 후 피부탄력 개선은 도포 전에 비해 24%가 증가하였으며, 육각수에 의한 수분의 피부 탄력은 개선되었음을 나타냈다.
<시험예 3> 안정도 시험
상기 제조예의 스킨, 로션 및 크림을 제조한 후 배출시 자화육각 장치를 이용하여 제품 안에 함유하고 있는 정제수를 육각수로 만들었을 때 안정도 변화 체크하였다.
구체적으로, cycling 항온조란 48시간 동안 영하 20℃에서 부터 영상 50℃까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항온조이다. 안정도 시험 기간은 2013년 10월 28일 부터 2013년 12월 6일까지 확인하였다. 안정도 시험은 6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6주 동안 안정화를 이루었으면 사용기간 설정에서 3년을 보관 가능하였다. 개봉 전 3년 개봉 후 1년으로 사용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로션), 표 5(크림) 및 표 6(스킨)에 기재하였다.
로션(분리)
기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4℃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25℃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cycling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45℃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크림(분리)
기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4℃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25℃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cycling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45℃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기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4℃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25℃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cycling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45℃ 항온조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그 결과, 화장품 제조 후 배출시 자화육각장치로 스킨, 로션, 크림에 함유하고 있는 정제수를 육각수로 전환하여도 안정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ⅰ) Glycerin/ CaprylhydroxamicAcid/ CaprylylGlycol를 포함하는 수상 파트를 가온 또는 냉각하는 단계;
    ⅱ) Sodium Hyaluronate 및 Arginine를 포함하는 유상 파트 또는 가용화 파트를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파트와 호모 믹싱하는 단계;
    ⅲ ) 상기 각 파트를 호모 믹싱 후, 가온된 수상 파트를 10℃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믹싱된 파트를 여과하면서 자화육각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파트, 유상 파트 및 가용화 파트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육각 장치는 물유입관 등의 외주연을 잡아주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며, 고정수단에 의해 2개가 한조로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척력이 발생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석과 상기 결합홈에 충진되어 자석을 고정하는 몰딩부로 구성된 육각자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66787A 2013-12-30 2013-12-30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64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787A KR101645981B1 (ko) 2013-12-30 2013-12-30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787A KR101645981B1 (ko) 2013-12-30 2013-12-30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873A KR20150077873A (ko) 2015-07-08
KR101645981B1 true KR101645981B1 (ko) 2016-08-05

Family

ID=5379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787A KR101645981B1 (ko) 2013-12-30 2013-12-30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12B1 (ko) * 2001-04-17 2003-05-16 김정식 개량된 스피닝 릴의 스풀과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902B1 (ko) * 2011-09-16 2017-12-04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12B1 (ko) * 2001-04-17 2003-05-16 김정식 개량된 스피닝 릴의 스풀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873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24703A1 (zh) 一种水溶性富勒烯外用组合物
US7994141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ES2856480T3 (es) Utilizaciones cosméticas de la swertiamarina
US2017024610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KR20200114029A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20060100287A1 (en) Insulin-like growth factor-1 secretagogue
KR101096277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23898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mucilaginous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aloe barbadensis combined with liposome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use thereof as a sun protector, an anti-acne agent, an epidermal regenerator and a moisturiser
KR102090971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147A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5981B1 (ko) 육각수를 함유하는 피부 탄력과 보습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59820A (ko) 동백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제
KR101967576B1 (ko) 라멜라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 항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2842A (ko)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U2020418843A1 (en) PPAR agonist complex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