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017B1 -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017B1
KR101645017B1 KR1020140155532A KR20140155532A KR101645017B1 KR 101645017 B1 KR101645017 B1 KR 101645017B1 KR 1020140155532 A KR1020140155532 A KR 1020140155532A KR 20140155532 A KR20140155532 A KR 20140155532A KR 101645017 B1 KR101645017 B1 KR 10164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mera
control
terminal block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567A (ko
Inventor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이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석 filed Critical 이정석
Priority to KR102014015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0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거리에 있는 피제어장치와 함께 마련되며, 피제어장치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리셋시켜줌으로써 정상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터미널 블럭이 마련되어 전원터미널 블럭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장치에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피제어장치와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제어장치가 오작동 중으로 판단되면 피제어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전원부의 전원터미널 블럭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다시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MINI REMOTE MULTI CONTROL UNIT}
본 발명은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거리에 있는 피제어장치와 함께 마련되며, 피제어장치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리셋시켜줌으로써 정상 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는 장치들은 현장에서 스위치를 직접 온/오프하여 동작시킨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경우 리모콘에 의해 동작이 가능하나, 리모콘의 경우에도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면 인식이 되지 않는 관계로 작동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적이다.
이러한 장치들의 전원 공급, 데이터 저장, 데이터 통신, 시스템 업데이트 등을 원격지에서 관리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예컨대, 차량의 속도 및 신호 위반 단속용 카메라, 방범용 카메라 등이 설치되는 현장에서 감시 및 단속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하면 현장 작업자가 직접 카메라가 설치된 전신주의 함체를 열고 카메라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현장 작업자가 카메라 인근에 배치되어야 하며 수시로 단속을 하여야 하므로, 인력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장의 여건상 현장 작업자가 직접 현장에 투입되기에 적절치 못한 카메라 설비의 경우에는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카메라 설비의 전원 등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원거리의 특성상 현장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1186호(2010년07월14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산업현장에서의 단말기기 등의 오작동시, 대부분의 경우 단순히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시키 동작, 즉 리셋을 하면 해결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인력을 투입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격으로 각각의 단말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제어장치, 특히 방범용 또는 단속용 카메라 설비가 마련되는 전장품 함체에 구비되는 카메라, 컴퓨터, 공유기 등의 전원을 제어하되, 오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제어장치의 연속되는 동일의 오작동에 대해 관제실에 신속하게 알림을 줄 수 있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제어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피제어장치 간의 통신 중계를 행할 수 있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터미널 블럭이 마련되어 전원터미널 블럭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장치에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피제어장치와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제어장치가 오작동 중으로 판단되면 피제어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전원부의 전원터미널 블럭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다시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전원터미널 블럭을 오프시킨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제어장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각종 제어 동작을 하는 컴퓨터와, 통신부, 카메라, 컴퓨터 및 외부의 관제실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공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는 카메라에서 생성되어 컴퓨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1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는 트래픽분석을 통하여 트래픽양이 미리 설정된 트래픽문턱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카메라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카메라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는 카메라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카메라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는 카메라에서 생성되어 컴퓨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색상값을 제2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는 영상분석으로 통하여 색상값이 단일 색상값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카메라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카메라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는 카메라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카메라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는 컴퓨터와 시리얼통신으로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회신받는 시리얼 데이터를 제3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는 시리얼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시리얼 데이터가 연속하여 일정 횟수 이상 회신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컴퓨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는 컴퓨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컴퓨터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는 공유기로 핑(ping) 테스트를 하여 회신되는 핑테스트결과 데이터를 제4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는 핑테스트분석을 통하여 핑테스트결과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정상 패킷값이 아닌 경우, 공유기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공유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는 공유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공유기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피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가 연속하여 N회 이상 오작동 중으로 판단된 경우, N+1회에서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 온오프 제어를 중지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관제실로 이상감지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전원터미널 블럭 각각으로부터 전력량을 실시간 검출하며,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문턱값 이상으로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하여 관제실로 과부하감지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는,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장거리통신 연결단자와,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단거리통신 연결단자와, 공유기와 통신하기 위한 LAN 연결단자와, 외부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통신부는 피제어장치 간에 통신을 중계하되, 카메라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하여 장거리통신 연결단자와 단거리통신 연결단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바이패스시키며, 감지 신호를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하여, 센서 연결단자를 단거리통신 연결단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통신부는 온도 감지부의 온도 감지신호를 단거리통신 연결단자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산업현장에서의 단말기기 등의 오작동시, 대부분의 경우 단순히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시키 동작, 즉 리셋을 하면 해결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인력을 투입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격으로 각각의 단말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피제어장치, 특히 방범용 또는 단속용 카메라 설비가 마련되는 전장품 함체에 구비되는 카메라, 컴퓨터, 공유기 등의 전원을 제어하되, 오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피제어장치의 연속되는 동일의 오작동에 대해 관제실에 신속하게 알림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피제어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피제어장치 간의 통신 중계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전원부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통신부를 나타낸 타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트래픽분석을 통한 카메라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영상분석을 통한 카메라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시리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컴퓨터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핑테스트분석을 통한 컴퓨터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과부하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전원부를 나타낸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통신부를 나타낸 타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100)는, 전원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터미널 블럭(112)이 마련되어 전원터미널 블럭(112)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장치에 전원을 출력한다. 전원부(11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입력단자(111)가 더 마련된다.
통신부(120)는 피제어장치와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로부터 송수신되는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제어장치가 오작동 중으로 판단되면 피제어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전원부(110)의 전원터미널 블럭(112)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다시 온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을 오프시킨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시간은 1초 내지 5초 정도로 이는 피제어장치에 전원이 완전히 제거되어 리셋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피제어장치는, 방범용 또는 단속용 카메라 설비, 나아가 개인용 카메라 설비, 산업현장용 카메라 설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카메라 설비에 해당되도록,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0)와, 카메라(20)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각종 제어 동작을 하는 컴퓨터(30)와, 통신부(120), 카메라(20), 컴퓨터(30) 및 외부의 관제실(50)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공유기(4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카메라(20), 컴퓨터(30), 공유기(40),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100)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장품 함체(10)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셩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카메라(20)에서 생성되어 컴퓨터(3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1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130)는 트래픽분석을 통하여 트래픽양이 미리 설정된 트래픽문턱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카메라(20)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카메라(2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110)는 카메라(2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카메라(20)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카메라(20)에서 생성되어 컴퓨터(3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색상값을 제2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130)는 영상분석으로 통하여 색상값이 단일 색상값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카메라(20)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카메라(2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110)는 카메라(2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카메라(20)의 상태를 리셋시킬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은 1분 내지 5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컴퓨터(30)와 시리얼통신으로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회신받는 시리얼 데이터를 제3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130)는 시리얼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시리얼 데이터가 연속하여 일정 횟수 이상 회신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30)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컴퓨터(3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110)는 컴퓨터(3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컴퓨터(30)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주기는 1초 내지 5초가 바람직하며, 횟수는 40회 내지 80회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공유기(40)로 핑(ping) 테스트를 하여 회신되는 핑테스트결과 데이터를 제4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제어부(130)는 핑테스트분석을 통하여 핑테스트결과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정상 패킷값이 아닌 경우, 공유기(40)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공유기(4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전원부(110)는 공유기(40)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공유기(40)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피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가 연속하여 N회 이상 오작동 중으로 판단된 경우, N+1회에서 전원터미널 블럭(112)의 전원 온오프 제어를 중지하고, 통신부(120)를 통하여 관제실(50)로 이상감지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N회는 3회 내지 5회가 바람직하다. 또한, 공유기의 오작동 시에는 관제실(50)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경우를 대비하여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내외부에 별도의 무선데이터 통신 모듈, 예컨대 LTE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전원터미널 블럭(112) 각각으로부터 전력량을 실시간 검출하며,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문턱값 이상으로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통신부(120)를 통하여 관제실(50)로 과부하감지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120)는, 카메라(20)와 통신하기 위한 장거리통신 연결단자(121)와, 컴퓨터(30)와 통신하기 위한 단거리통신 연결단자(122)와, 공유기(40)와 통신하기 위한 LAN 연결단자(123)와, 외부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 연결단자(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20)는 피제어장치(20, 30, 40, 50) 간에 통신을 중계하되, 카메라(20)와 컴퓨터(30)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하여 장거리통신 연결단자(121)와 단거리통신 연결단자(12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바이패스시키며, 감지 신호를 컴퓨터(30)에 전송하기 위하여, 센서 연결단자(124)를 단거리통신 연결단자(122)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100)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통신부(120)는 온도 감지부의 온도 감지신호를 단거리통신 연결단자를 통해 컴퓨터(3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산업현장에서의 단말기기 등의 오작동시, 대부분의 경우 단순히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시키 동작, 즉 리셋을 하면 해결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인력을 투입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격으로 각각의 단말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피제어장치, 특히 방범용 또는 단속용 카메라 설비가 마련되는 전장품 함체에 구비되는 카메라, 컴퓨터, 공유기 등의 전원을 제어하되, 오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피제어장치의 연속되는 동일의 오작동에 대해 관제실에 신속하게 알림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는 피제어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피제어장치 간의 통신 중계를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동작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트래픽분석을 통한 카메라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영상분석을 통한 카메라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시리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컴퓨터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핑테스트분석을 통한 컴퓨터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의 과부하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전원부에는, 전원 입력단자에 전원코드를 꼽아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제어가 필요한 각각의 단말코드를 전원 터미널 블럭에 결선한다.
통신부에서는, 단거리통신 연결단자가 RS232통신 연결로 구성되며, AC 전원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컴퓨터로부터 받는다. 또한, 현재온도측정도 가능하게 한다. 장거리통신 연결단자가 RS485통신 연결로 구성되며, RS232통신을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바이패스(Bypass)하여 카메라로 전송해준다.
또한, 센서 연결단자가 무전원 접점 센서 등으로부터 접점신호를 받을 수 있는 부분으로, 접점신호가 들어오면 RS232통신을 통해 정해진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한다. 예컨대, 차량이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루프디텍터를 접점 센서로 사용하여, 센서 연결단자에 결선한 경우, 루프디텍터가 작동하면 RS232통신을 통해 ‘L’ 이라는 문자를 컴퓨터에 전송한다. LAN 연결단자는 AC 전원을 제어하는 데이터를 공유기로부터 받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로 IP카메라를 사용하는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카메라의 이상 유무를 알아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IP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하여 서버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를 끊임없이 전송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치 이상의 트래픽을 유발한다. 특히, HD급 영상의 경우 초당 3~4메가의 데이터 저장한다.
만약, IP카메라의 트래픽이 일정치 이하로 감소한다면 영상이 제대로 전송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IP카메라의 트래픽을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통해 모니터링하여 트래픽을 분석하는 중 상기와 같은 현상인 트래픽감소가 일정시간(약5분)이상 감지된다면 IP카메라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IP카메라의 전원을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통하여 오프시킨 후 온하여 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의 이상 유무를 알아내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트래픽 분석만으로 IP카메라의 이상유무를 검사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의 송신부분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일정한 데이터를 보내지만 영상을 촬영하는 부분에 있어서 문제가 있을 경우, 예컨대 렌즈 등의 외부요인이 있을 경우에는 트래픽분석만으로는 검출이 어려움으로 IP카메라의 영상 분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IP카메라는 정상 작동을 하나 카메라 렌즈나 기타 다른 요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이지 않은 화면이 전송되어진다. 이러한 경우, IP카메라에서 전송되어지는 영상의 대부분은 단색으로 구성되어진다.
IP카메라의 영상을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통하여 분석하던 중 상기와 같은 현상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된다면 IP카메라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IP카메라의 전원을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를 통하여 오프한 후 온하여 준다.
한편, 트래픽분석과 영상분석을 통하여 카메라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때, 이러한 이상 현상이 연속 3회 이상 반복될 경우 해당 관제실로 이상감지알람을 띄워주고, 관제실에서 특별한 조치가 있기 전까지는 전원제어를 일시 중지한다. 즉, 반복되는 전원 온오프로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관제실에 이를 알려줌으로써, 오작동의 다른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터의 생존 여부 검출하기 위하여,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와 컴퓨터를 시리얼통신(RS232)으로 연결한다.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와 컴퓨터를 특정 데이터를 통해 주기적(1초)으로 통신을 하여 컴퓨터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 한다. 상기와 같이,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 하던 중 컴퓨터에서 리턴되어 오는 데이터가 연속 60회 이상이 없다면 컴퓨터의 이상 여부로 감지하여 컴퓨터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한다.
한편, 컴퓨터의 경우에도 시리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컴퓨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던 중, 이러한 이상 현상이 연속 3회 이상 반복될 경우 해당 관제실로 이상감지알람을 띄워주고, 관제실에서 특별한 조치가 있기 전까지는 전원제어를 일시 중지한다. 즉, 반복되는 전원 온오프로 컴퓨터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관제실에 이를 알려줌으로써, 오작동의 다른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유기의 생존 여부 검출하기 위하여,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서 공유기로 핑(Ping)테스트를 하여 결과값을 리턴받는다. 핑테스트 중 정상적인 패킷값이 아닌, 응답없음 등의 데이터가 리턴되어 온다면 공유기의 이상 여부로 판단하여 공유기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한다.
한편, 공유기의 경우도, 이상 유무를 판단하던 중, 이러한 이상 현상이 연속 3회 이상 반복될 경우 해당 관제실로 이상감지알람을 띄워주고, 관제실에서 특별한 조치가 있기 전까지는 전원제어를 일시 중지한다. 이때, 공유기는 관제실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로, 공유기의 오작동으로 관제실에 이상감지알람을 전송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LTE모듈을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 부착하고 관제실로 알람을 띄워준다.
도 9를 참조하면, 피제어장치들의 전력 측정과 과부하 검출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에 종속되어 있는 피제어장치의 부하들의 전력량을 실시간 검출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특히, 전력량을 검출 중 특정 포트의 과부하가 일정시간(1분) 이상 감지될 시 해당 부하의 이상 여부로 판단하여 관제실로 알람을 띄워준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원결멀티제어 장치는 상수도 시스템의 가압장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중앙관제센터에 설치된 관제 프로그램과 무인 가압장의 PLC 및 전기 패널과의 통신장애(공유기 문제 및 유동IP)를 자동복구할 수 있다. 즉, 공유기 이상유무 판단 왓치독 기능으로 공유기 리셋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 설정으로 가압장 펌프에 물이 찰 경우 펌프의 전원을 오프하여 펌프고장을 대비 할 수 있다. 즉, 펌프에 물이 들어갈 경우 전원을 오프시키고 일정시간 이후 전원을 인가하여 펌프고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온도를 측정하여 가압장상황실 및 관제실로 데이터 전송할 수 있다. 즉, 원격으로 온도 및 습도를 체크 할 수 있고, 접점에 팬쿨러 연결 시 일정 온도 이상에서 팬이 구동하여 에너지사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황실 컴퓨터와 가압장의 거리가 1Km 이내 일 경우 주기적은 프로토콜 데이터로 상황실 컴퓨터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관제실로 데이터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수위 감지장치에서 접점을 줄 경우 감지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장품 함체
20 : 카메라
30 : 컴퓨터
40 : 공유기
50 : 관제실
100 :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110 : 전원부
111 : 전원 입력단자
112 : 전원터미널 블럭
120 : 통신부
121 : 장거리통신 연결단자
122 : 단거리통신 연결단자
123 : LAN 연결단자
124 : 센서 연결단자
130 : 제어부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터미널 블럭이 마련되어 상기 전원터미널 블럭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장치에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상기 피제어장치와 상기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제어장치가 오작동 중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제어장치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원부의 상기 전원터미널 블럭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다시 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피제어장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각종 제어 동작을 하는 컴퓨터와, 상기 통신부, 상기 카메라, 상기 컴퓨터 및 외부의 관제실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공유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되어 상기 컴퓨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트래픽양을 제1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생성되어 상기 컴퓨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색상값을 제2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트래픽분석을 통하여 상기 트래픽양이 미리 설정된 트래픽문턱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또는 영상분석으로 통하여 상기 색상값이 단일 색상값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더 제어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카메라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상기 카메라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터미널 블럭을 오프시킨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컴퓨터와 시리얼통신으로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회신받는 시리얼 데이터를 제3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리얼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상기 시리얼 데이터가 연속하여 일정 횟수 이상 회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컴퓨터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상기 컴퓨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컴퓨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상기 컴퓨터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공유기로 핑(ping) 테스트를 하여 회신되는 핑테스트결과 데이터를 제4 전원제어판단 데이터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핑테스트분석을 통하여 상기 핑테스트결과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정상 패킷값이 아닌 경우, 상기 공유기가 오작동 중임을 판단하여 상기 공유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오프시킨 후 온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공유기가 연결되는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킨 후 온시켜 상기 공유기의 상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8.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가 연속하여 N회 이상 오작동 중으로 판단된 경우, N+1회에서 상기 전원터미널 블럭의 전원 온오프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관제실로 이상감지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터미널 블럭 각각으로부터 전력량을 실시간 검출하며, 상기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과부하문턱값 이상으로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관제실로 과부하감지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와 통신하기 위한 장거리통신 연결단자와,
    상기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단거리통신 연결단자와,
    상기 공유기와 통신하기 위한 LAN 연결단자와,
    외부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피제어장치 간에 통신을 중계하되, 상기 카메라와 상기 컴퓨터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하여 상기 장거리통신 연결단자와 상기 단거리통신 연결단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바이패스시키며,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연결단자를 상기 단거리통신 연결단자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의 온도 감지신호를 상기 단거리통신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KR1020140155532A 2014-11-10 2014-11-10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KR10164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32A KR101645017B1 (ko) 2014-11-10 2014-11-10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32A KR101645017B1 (ko) 2014-11-10 2014-11-10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67A KR20160055567A (ko) 2016-05-18
KR101645017B1 true KR101645017B1 (ko) 2016-08-02

Family

ID=5611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32A KR101645017B1 (ko) 2014-11-10 2014-11-10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0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446A (ko) * 1990-09-28 1992-04-28 이헌조 Tv의 리셋 방법 및 회로
KR950002408A (ko) * 1993-06-16 1995-01-04 김광호 다중방식 카메라시스템의 카메라 연결상태 자동검출장치
KR960038559A (ko) * 1995-04-19 1996-11-21 김주용 중대형 컴퓨터 전원제어회로
KR20100081186A (ko)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데이터 전송방법, 피제어장치, 원격제어 중개장치, 통합 원격제어장치, 서버, 그리고, 원격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67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73B1 (ko)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444242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반 및 원격제어반의 자가진단 방법
KR101662507B1 (ko)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KR101665407B1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동화재감지시스템
KR101859925B1 (ko) 원격 데이터 수집 및 제어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전원차단 시스템
KR101797218B1 (ko) 원격 방범용 멀티제어장치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29563B1 (ko) 메쉬네트워크 스마트센서를 이용한 변전설비 및 지하공동구 전력설비 관재시스템
JP2016044547A (ja) 自動開閉扉の監視装置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721585B1 (ko) 화재경보기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겸용 실내기기 제어 시스템
RU2611025C2 (ru) Комбинация шин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опасностью
KR20160015472A (ko)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5017B1 (ko) 소형 원격멀티제어 장치
JP618426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コントローラ
KR20140013233A (ko) 화재사고 감지와 발화지점 확인 화재 방재 장치
KR101583413B1 (ko) 무인 경비용 포터블 카메라 장치
KR101459372B1 (ko) 도어 개폐 장치
KR102242541B1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US20160353023A1 (en) Mini remote multi-control unit
KR20120137115A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883672B1 (ko)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hmi 시스템
KR101681737B1 (ko) 미분무 스모크분사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319608B1 (ko) 원격 전원제어장치를 이용한 영상장치
KR101483443B1 (ko)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지능형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