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272B1 - 용접용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272B1
KR101644272B1 KR1020150082533A KR20150082533A KR101644272B1 KR 101644272 B1 KR101644272 B1 KR 101644272B1 KR 1020150082533 A KR1020150082533 A KR 1020150082533A KR 20150082533 A KR20150082533 A KR 20150082533A KR 101644272 B1 KR101644272 B1 KR 10164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elding
storage case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 filed Critical 김호
Priority to KR102015008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용접용 보호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감아 고정되는 밴드고정부재; 상기 밴드고정부재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려지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차광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용접용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접용 보호 장치{PROTECTION DEVICE FOR WELD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접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신체 일부(예: 팔뚝, 손목 등)에 고정시켜 용접 시 안전성 확보는 물론 작업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용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용접 작업(예를 들면, 아크 용접, 가스 용접 및 모재 절단 작업 등) 시에 발생하는 유해한 자외선 및 강렬한 가시광선, 적외선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이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용접용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용접 마스크는 전체적으로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광판을 통해서만 용접 작업을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차광판은 각종 유해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매우 짙은 색상으로 착색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유로, 작업자가 용접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외부 식별이 불가하여 용접 작업 중 수시로 용접 마스크를 벗어 용접 부위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게다가, 용접 마스크를 이용할 경우 용접 작업 시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작업장 내부 온도가 높거나 또는 계절적인 요인으로 더운 여름철의 경우 용접 마스크를 착용한 채 작업을 실시하면 얼굴에 땀이 흐르는 등 작업 상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483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용접용 마스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483호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신체 일부(예: 팔뚝, 손목 등)에 고정하여 용접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용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감아 고정되는 밴드고정부재; 상기 밴드고정부재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려지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으로 착탈 가능한 차광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용접용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고정부재는, 사용자의 신체 중 팔뚝(또는 손목 등)에 감아 고정되며, 양단부가 벨크로(velcro)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보강플레이트가 내장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사용자의 팔뚝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가 내장된 상기 밴드고정부재의 내측에는 다수 개의 나사 체결 공이 십(十)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나사 체결 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체결나사와 고정너트로 구성된 다수 개의 체결고정부재에 의해 십자형 고정플레이트가 덧대어 결합 고정되고, 상기 십자형 고정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중앙돌출블록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출블록의 내측 나사 홈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링과, 상기 링의 선단에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중앙으로부터 설정길이로 돌출된 나사돌기를 가지며, 상기 나사돌기는 상기 중앙돌출블록의 나사 홈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중앙돌출블록의 돌출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내측 중심을 따라 나사 공이 형성된 원추형 소켓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에는 나사 공이 마련된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와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나사 체결되는 커넥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재는,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의 나사 공과 상기 결합돌기의 나사 공을 통해 양단이 동시 체결되는 나사체결 핀과,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와 상기 결합돌기 각각의 체결을 제한하도록 상기 나사체결 핀의 길이 중앙에 체결되는 경계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는 테두리 내측을 따라 상기 차광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차광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의 타측에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차광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로를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플레이트는 다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다수 개의 차광플레이트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으로 겹겹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인 용접용 보호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의 신체 일부(예: 팔뚝, 손목 등)에 고정하여 용접 시 작업자의 두 손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접이 실시되는 작업 영역에 근접하여 차광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어 용접 작업 시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과 달리 작업자의 안면을 덮는 구조가 아니어서 용접 작업상 편의성이 향상되며, 장시간 용접을 실시할 경우에도 안면에 땀이 흐르거나 악취가 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광플레이트의 손상 시 해당 부품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내구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보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광플레이트 결합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수납케이스 간의 연결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고정부재와 연결부재 간의 연결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고정부재에 구비된 고정블록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고정부재의 전개 형상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보호 장치의 사용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용접용 보호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보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보호 장치의 일부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7은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보호 장치의 사용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보호 장치(100)는, 밴드고정부재(110), 연결부재(130), 수납케이스(150), 그리고 차광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고정부재(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감아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고정부재(110)는 사용자의 신체 중 팔뚝(A, 도 7 참조)에 감아 고정될 수 있는데, 양단부(111, 113)가 벨크로(velcro) 타입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밴드고정부재(110)와 일단부(131)가 연결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려지는 케이블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관용의 자바라 케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150)는 상기 연결부재(130)의 타단부(133)와 연결되는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납케이스(150)의 내측에는 사각 중공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차광플레이트(1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광플레이트(160)는 용접 중 발생하는 빛 등을 차단하는 부재로서, 기존의 용접 마스크에 사용되는 차광렌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흑색 유리 또는 컬러 유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차광플레이트(160)를 통해 작업자는 용접 시 발생하는 빛을 차단하면서 용접 부위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며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플레이트(160)가 상기 수납케이스(150)로부터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수납케이스(150)는 테두리 내측을 따라 상기 차광플레이트(160)가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차광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수납케이스(150)의 타측에서 힌지(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개폐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차광플레이트(160)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로가 개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30)는 일단부(131)를 통해 상기 밴드고정부재(110)와 연결되고, 타단부(133)를 통해 상기 수납케이스(15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0)의 타단부(133)에는 내측 중심을 따라 나사 공이 형성된 원추형 소켓부재(1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133)와 연결되는 상기 수납케이스(150)의 일측에는 나사 공이 마련된 결합돌기(1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133)와 상기 결합돌기(151)는 하나의 커넥터부재(170)에 의해 양단 각각으로 나사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재(170)는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133)의 나사 공과 상기 결합돌기(151)의 나사 공을 통해 양단이 동시 체결되는 나사체결 핀(171a, 171b)과,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133)와 상기 결합돌기(151) 각각의 체결을 제한하도록 상기 나사체결 핀(171a, 171b)의 길이 중앙에 체결되는 경계너트(17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30)의 타단부에 상기 수납케이스(150)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부(131)와 상기 밴드고정부재(110)가 연결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고정부재(110)에는 보강플레이트(115)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15)는 상기 밴드고정부재(110)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부(131)가 연결되는 부위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결부재(130), 상기 케이스(150) 및 상기 차광부재(160)의 중량으로 인해 가해진 하중을 견고하게 지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15)는 사용자의 팔뚝(A, 도 7 참조)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밴드고정부재(110)가 원형으로 감겨 팔뚝(또는 손목 등)에 고정될 때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지게 변형 또는 휨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15)가 내장된 상기 밴드고정부재(110)의 내측에는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다수 개(예: 4개)의 나사 체결 공(116)이 십(十)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나사 체결 공(116)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나사(123a)와 고정너트(123b)로 구성된 다수 개의 체결고정부재(123)에 의해 십자형 고정플레이트(121)가 상기 보강플레이트(115)의 면상에 덧대어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십자형 고정플레이트(121)의 중앙으로부터 중앙돌출블록(125)이 돌출 형성되는데, 중앙돌출블록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이의 내측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나사 홈(125a,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 홈(125a, 도 5 참조)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부(131)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30)의 일단부(131)는, 링 부재와, 이의 선단에 구비되는 너트와, 너트의 중앙에서 설정길이로 돌출된 나사돌기(131a)를 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나사돌기(131a)는 상기 중앙돌출블록(125)의 나사 홈(125a, 도 5 참조)을 통해 체결되어 연결부재(130)와 밴드고정부재(110) 간의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상기 나사돌기(131a)의 길이는 상기 중앙돌출블록(125)의 돌출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차광플레이트(160)는 여러 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수납케이스(150)의 내측에서 여러 개의 차광플레이트(160)가 겹겹이 적층되는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다양한 목적 및 기능에 따라 여러 장의 차광플레이트가 이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보호 장치의 사용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작업자는 자신의 신체 중 일부, 즉 왼팔의 팔뚝 부위에 밴드고정부재(110)를 감아 고정시킨 다음, 연결부재(130)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려 수납케이스(150)에 결합된 차광플레이트(160)의 배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용접 작업 시 두 손이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용접 마스크 등의 사용 시 안면에 땀이 발생하는 등과 같은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작업자의 신체 일부(예: 팔뚝, 손목 등)에 고정하여 용접 시 작업자의 두 손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용접이 실시되는 작업 영역에 근접하여 차광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어 용접 작업 시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과 달리 작업자의 안면을 덮는 구조가 아니어서 용접 작업상 편의성이 향상되며, 장시간 용접을 실시할 경우에도 안면에 땀이 흐르거나 악취가 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광플레이트의 손상 시 해당 부품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장치의 내구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용접용 보호 장치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작업자의 팔뚝
100: 용접용 보호 장치
110: 밴드고정부재
111: 밴드고정부재의 일단부
113: 밴드고정부재의 타단부
115: 보강플레이트
116: 체결 공
120: 고정부재
121: 십자형 고정플레이트
123: 체결고정부재
123a: 체결나사
123b: 고정너트
125: 중앙돌출블록
125a: 나사 홈
130: 연결부재
131: 연결부재의 일단부
131a: 나사돌기
133: 연결부재의 타단부(또는 원추형 소켓부재)
150: 수납케이스
151: 결합돌기
160: 차광플레이트
170: 커넥터부재
171a, 171b: 나사체결 핀
173: 경계너트

Claims (10)

  1. 사용자의 신체에 감아 고정되는 밴드고정부재;
    상기 밴드고정부재와 일단부가 연결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려지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으로 착탈 가능한 차광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용접용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부재는,
    사용자의 신체 중 팔뚝 또는 손목에 감아 고정되며, 양단부가 벨크로(velcro) 타입으로 연결되는 용접용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보강플레이트가 내장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사용자의 팔뚝 또는 손목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 가능한 용접용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가 내장된 상기 밴드고정부재의 내측에는 다수 개의 나사 체결 공이 십(十)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나사 체결 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체결나사와 고정너트로 구성된 다수 개의 체결고정부재에 의해 십자형 고정플레이트가 덧대어 결합 고정되고,
    상기 십자형 고정플레이트의 중앙으로부터 중앙돌출블록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앙돌출블록의 내측 나사 홈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가 나사 체결되는 용접용 보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는, 링과, 상기 링의 선단에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중앙으로부터 설정길이로 돌출된 나사돌기를 가지며,
    상기 나사돌기는 상기 중앙돌출블록의 나사 홈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중앙돌출블록의 돌출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용접용 보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내측 중심을 따라 나사 공이 형성된 원추형 소켓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에는 나사 공이 마련된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와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나사 체결되는 커넥터부재를 포함하는 용접용 보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는,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의 나사 공과 상기 결합돌기의 나사 공을 통해 양단이 동시 체결되는 나사체결 핀과, 상기 원추형 소켓부재와 상기 결합돌기 각각의 체결을 제한하도록 상기 나사체결 핀의 길이 중앙에 체결되는 경계너트를 포함하는 용접용 보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테두리 내측을 따라 상기 차광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차광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마련되는 용접용 보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의 타측에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차광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로를 개방 및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용접용 보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플레이트는 다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다수 개의 차광플레이트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으로 겹겹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용접용 보호 장치.
KR1020150082533A 2015-06-11 2015-06-11 용접용 보호 장치 KR10164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33A KR101644272B1 (ko) 2015-06-11 2015-06-11 용접용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33A KR101644272B1 (ko) 2015-06-11 2015-06-11 용접용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272B1 true KR101644272B1 (ko) 2016-07-29

Family

ID=5661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33A KR101644272B1 (ko) 2015-06-11 2015-06-11 용접용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2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956A (ja) * 1998-12-11 2000-06-27 Sekimura:Kk 防護面
KR200249271Y1 (ko) * 2001-05-08 2001-11-16 기 동 조 용접마스크의 투시창 개폐장치
KR20120114743A (ko) * 2011-04-08 2012-10-17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KR101201483B1 (ko) 2011-05-17 2012-11-14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956A (ja) * 1998-12-11 2000-06-27 Sekimura:Kk 防護面
KR200249271Y1 (ko) * 2001-05-08 2001-11-16 기 동 조 용접마스크의 투시창 개폐장치
KR20120114743A (ko) * 2011-04-08 2012-10-17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KR101201483B1 (ko) 2011-05-17 2012-11-14 김동근 용접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306B2 (en) Face shield assembly
US20150033431A1 (en) Face protector
US6154881A (en) Face protector
US9107465B2 (en) Angle-adjustable sun cap
CN103550875B (zh) 防毒防尘面具
US11376161B2 (en) Welder protector
JPH07146380A (ja) 取り外し可能なベゼルを用いた時計ケース
AU722291B2 (en) In line rewirable switch device
CH700466B1 (de) Uhr mit einem drehbaren Glasreif.
KR101644272B1 (ko) 용접용 보호 장치
KR920010986B1 (ko)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CN107635882B (zh) 用于切割设备的包装和包装过的切割设备
JPWO2007043540A1 (ja) 目当て
KR102160663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용접 마스크
US6789271B2 (en) Eye protection
KR101930993B1 (ko) 용접 마스크용 조명장치
US3020802A (en) Binoculars having shock absorbing covering
KR101178254B1 (ko) 용접용 투시 보호구
WO2017006096A1 (en) An eyeguard
CN213047654U (zh) 一种医用护目镜
KR200320527Y1 (ko) 안전모용 썬캡
GB2520707A (en) Lens cap
ITBO20040005U1 (it) Serratura a lucchetto per valigie, bauli e simili
KR20130004617U (ko) 용접용 마스크
KR200353862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