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45B1 -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 Google Patents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45B1
KR101643545B1 KR1020160042470A KR20160042470A KR101643545B1 KR 101643545 B1 KR101643545 B1 KR 101643545B1 KR 1020160042470 A KR1020160042470 A KR 1020160042470A KR 20160042470 A KR20160042470 A KR 20160042470A KR 101643545 B1 KR101643545 B1 KR 10164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air
expansion tube
controlle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형
Original Assignee
김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형 filed Critical 김수형
Priority to KR102016004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in which a charging battery as driving power is embedded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comprising: a pad; a expansion tube; a fragrant kit; a speaker; a controller; an air generating device; a pressure control module; an air control module; an mp3 player; a control module; a power module; an interface module; a display module; a power air hose; and a first mike.

Description

다기능 베개패드장치{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본 발명은 다기능 베개 패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별도로 제작된 베개에 본 장치의 패드를 장착하거나, 사용중인 일반 베개의 저면(底面)에 본 장치의 패드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인이 본 장치의 패드가 장착되거나 저면(底面)에 본 장치의 패드를 삽입한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머리와 목(경추)의 상하운동 또는 좌우운동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경직된 목 주위 근육(경근頸筋)과 목뼈(경추頸椎)를 이완시키는 경추운동(頸椎運動)을 수행하는 기능과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pad of the present device on a separately manufactured pillow or by inserting a pad of the device into a bottom surface When the pad of this device is inserted or the pillow with the pad of this device is inserted on the bottom surface, the head and neck (cervical vertebra) And cervical vertebrae (cervical vertebra) that relax the neck bone (cervical vertebra)

또한, 사용인의 취침컨디션에 맞게 임의로 베개의 뒷머리 부위와 목 부위, 좌우 옆얼굴 부위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과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ed condition of the user, the pillow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 neck,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ow

또한, 사용인의 수면 중에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증상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면장애증상을 방지하고 치료하는 기능과In addition, the ability to detect and treat symptoms of sleeping disorders (snoring, sleep apnea) automatically during the sleep of the user,

또한, 사용인의 수면 전에 패드에 장착된 방향키트의 기능성 방향액을 베개를 통하여 휘산시켜 질 높은 숙면을 유도하는 기능과 In addition, the function of directing the functional direction liquid of the direction kit mounted on the pad before the sleep of the user through the pillow induces a high-quality sleep

또한, 사용인의 수면 전에 패드에 장착된 스피커의 기능성음악 통하여 숙면을 유도하고 불면증을 치료하는 음악치료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provided with a music therapy function for inducing sleeping through functional music of a speaker mounted on a pad before sleeping and for treating insomnia.

사람은 일생의 약 1/3을 잠을 자며 보낸다. 충분한 잠은 지친 뇌와 신체를 회복시킨다. 또한 기억력, 학습 능력, 감정 조절, 성장 발달, 면역력, 심혈관 계 기능, 성기능 등을 향상시켜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만들어 준다. 반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면 정신적, 신체적인 고통을 겪는다. 많은 사람들이 수면 장애 때문에 만족스럽게 잠을 이루지 못 하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 여섯 중 하나, 노인의 반 이상이 수면 장애를 가지고 있다. People spend about one-third of their lives sleeping. Sufficient sleep restores the weary brain and body. It also improves memory, learning ability, emotion regulation, growth and development, immunity, cardiovascular function, and sexual function, thus creating a healthy body and mind. On the other hand, if you do not sleep properly, you experience mental and physical pain. Many people are unable to sleep satisfactorily because of sleep disturbances. One in six adults in Korea, more than half of the elderly have sleep disorders.

수면장애는,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음에도 낮 동안에 각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또는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잠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포함하는 매우 폭넓은 개념이다. Sleep disturbance is a very broad concept involving failure to take a healthy sleep, failure to maintain awakening during the day despite having adequate sleep, or difficulty sleeping or awake when the sleep rhythm is disturbed.

수면장애는, 인구의 약 20% 이상이 경험한 적이 있거나 앓고 있는 매우 흔한 질환이다. 수면장애는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학습장애, 능률저하, 교통사고, 안전사고, 정서장애, 사회 적응장애, 결혼생활의 불만족, 그리고 산업재해 등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면장애를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이미 앓고 있는 내과적, 신경과적, 정신과적 질환이 악화되거나 회복이 지연될 수 있고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심각한 병을 초래할 수 있다.Sleep disorders are a very common disorder in which about 20% or more of the population have experienced or are suffering. Sleep disturbances can cause a variety of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and can be causes of learning disability, inefficiency, traffic accidents, safety accidents, emotional disturbances, social adjustment disorders, dis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industrial accidents. In addition, if the sleep disorder is not properly treated, the medical,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illnesses that are already suffering may deteriorate or the recovery may be delayed, and serious disease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may result.

수면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불면증, 수면호흡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하지불안증후군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Most people with sleep problems have symptoms of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somnia, sleeping breathing disorders (snoring, sleep apnea) narcolepsy, restless legs syndrome.

불면증은, 가장 흔한 수면 장애이다. 일반인의 약 1/3이 반복되는 불면증을 경험하고, 9%가 매일의 일상생활에서 불면증 때문에 괴로움을 느낀다고 한다. Insomnia is the most common sleep disorder.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general population experiences repeated insomnia, and 9% feel suffering from insomnia in their everyday lives.

불면증은 잠들기 힘들거나, 잠은 들지만 자주 깨고, 새벽에 너무 일찍 잠에서 깨어 수면부족 상태가 되어, 이로 인해 낮 동안 피로감, 졸음, 의욕상실 등의 결과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이다. 불면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평소 수면리듬이 약한 사람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으면서 수면리듬이 더욱 심하게 약화되고, 그 결과 잘못된 수면습관을 가지게 되면서 불면증이 생기게 된다.Insomnia is a typical sleeping disorder that causes difficulty falling asleep, sleeping but breaks frequently and awakens too early in the morning to become sleep deprived, resulting in daytime fatigue, drowsiness, and loss of will. The causes of insomnia vary widely. A person with a weak sleep rhythm usually suffers from psychological stress, so that the sleep rhythm is more severely weakened and, as a result, has a sleeping habit that causes insomnia.

이후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줄어들더라도 잘못된 수면습관이 남아 있어 불면증을 지속시키며, 만성불면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우울증, 불안장애 및 기타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불면증상은 흔히 나타난다. Even if the psychological stress is reduced, the sleeping habits remain, causing the insomnia to persist and develop into chronic insomnia. Insomnia is also common in people with depression, anxiety disorders and other mental illnesses.

수면호흡장애는, 수면 중에 기도의 저항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중추수면무호흡증후군(central sleep apnea syndrome),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중년 성인의 2~4%에서 발견된다.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이란 수면 중에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끊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환자가 잠이 들면 인두의 근육이 이완되면서 목젖과 혀가 후두에 닿아 기도가 막히게 되고, 공기가 이 곳을 통과하면서 인두와 후두가 진동하여 코골이를 하게 된다. 저호흡이나 무호흡이 발생할 때마다 혈액의 산소 농도가 떨어지고 각성이 일어나므로 결과적으로 깊은 잠을 취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낮에 피곤하며 졸음이 온다. 보통 밤에 심하게 코를 골면서 자는 뚱뚱한 사람이 낮에 졸음이 많이 오고 아침에 일어나면서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일 가능성이 있다. 폐쇄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는 낮 동안의 졸음과 인지기능 저하로 인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이 떨어지고, 그 결과 자동차사고나 작업장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심근경색증이나 협심증과 같은 심장동맥질환, 뇌졸중, 허파고혈압, 부정맥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Sleep disturbances are classified as central sleep apnea syndrome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hich are caused by increased airway resistance during sleep. Of thes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the most common and is found in 2 to 4% of middle-aged adults. Closed-sided sleep apnea syndrome is a phenomenon in which breathing is temporarily reduced or cut off due to narrowed or blocked airways during sleep. When the patient is asleep, the muscles of the pharyngeal muscles relax, causing the larynx and tongue to reach the larynx and obstruct the airway, causing the pharynx and larynx to vibrate and snore as air passes through them. Whenever there is low respiration or apnea,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blood drops and arousal occurs, resulting in a failure to take a deep sleep. This results in poor sleep quality, tiredness during the day and drowsiness. It is possible that obese people with severe nose at night usually get sleepy during the day and get headache when they get up in the morning.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have decreased memory and concentration due to daytime drowsiness and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resulting in increased risk of car accidents or workplace safety accidents. It also increases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and angina, stroke, pulmonary hypertension, and arrhythmia.

코골이는 매우 흔한 생리적인 현상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코를 곤다고 해서 모두 비정상인 것은 아니며 문밖에서 코고는 소리가 들리거나, 1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속삭이는 소리보다 더 큰 소음의 코골이라면 문제가 된다. 사회적으로는 코고는 소음으로 인해 주위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기 쉬우며 만성적인 수면부족으로 인하여 주간의 사회활동 중 졸음을 이기지 못하여 근무능률이 떨어지고, 학생들은 학업성적이 떨어지게 된다. 가정적으로는 소음으로 인하여 이혼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약 48%의 환자에서 발기불능이나 성욕감퇴를 일으키고, 전립샘비대증이나 요실금에 걸릴 확률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 30%의 환자에서 야뇨증과 아침 기상 시 머리가 무겁거나 두통을 경험하게 된다.Snoring is a very common physiological phenomenon. The snoring is a relaxed study dog (relatively soft back part in the mouth of the mouth) and the number of the goose Is the respiratory nois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surrounding structure. It is not all abnormal due to snoring and it is a problem if you can hear a snor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or a snout with a larger noise than whispering about 1m away. Socially, snoring is easy to be excluded from people due to noise, lack of chronic sleeping, lack of sleep during social activities during the day, resulting in poor working efficiency and poor student performance. In some cases, divorce may be caused by noise. Approximately 48% of patients have incontinence or loss of libido, prostatome enlargement and urinary incontinence is likely to be increased. In addition, about 30% of patients experience headache or heavy headaches during enuresis and morning weather.

수면무호흡증은, 잠을 자는 동안 목 근육의 움직임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아 기도 위쪽이 일시적으로 폐쇄되면서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상태가 한 시간에 5회 이상 나타나는 것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보통 한 번에 30~90초 정도 호흡이 정지되고 잠을 자는 동안 최대 600번까지 일어날 수 있다. 주요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무호흡증상 중 가장 위험한 경우로 뇌와 폐 사이의 신경 신호 전달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호흡이 조절되지 않으면서 일어난다. 주로 40대 이후의 남성과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잘 발생하는데, 비만한 사람이나 술을 마시고 잠을 자는 경우에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코골이가 있는 사람의 75%는 수면 중에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한다. 수면무호흡증은 주변사람이 관찰해도 알기 힘든 경우가 있다. 수면무호흡증이 하룻밤에 40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에는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체내 산소 공급이 어렵게 되어, 낮 동안 피로감, 자도 잔 것 같지 않은 느낌, 아침 두통, 무기력감, 중력과 기억력 저하, 우울증 등을 유발한다.Sleep apnea is a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neck muscles is not properly controlled while sleep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airway is occluded temporarily so that a breathless state of more than 5 times per hour appears for more than 10 seconds. Usually breathing stops for 30 to 90 seconds at a time and can occur up to 600 times during sleep. The major sleep apnea is the most dangerous of the sleep apnea symptoms, because the neural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brain and the lung is not performed smoothly and the breathing is not controlled. It occurs mainly in men in their forties and postmenopausal women, and the symptoms are more severe when they are obese or drink and sleep. And 75% of people with snoring accompany sleep apnea, which stops breathing during sleep. Sleep apnea can be difficult to observe when people around you are obsessed. When sleep apnea occurs more than 40 times a night, it does not sleep deeply, it causes difficulty in supplying oxygen to the body, causing fatigue during the day, feeling unattached, morning headache, lethargy, gravity and memory depression, and depression .

또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In addition, hypoxia induced by sleep due to sleep apnea may cause various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주간에는 피로감, 주간 졸림증, 성격 변화(공격적 성격,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 반응 등), 성 충동 감소, 발기부전,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인한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소아는 학습 부진이나 발달 지연, 그리고 입으로 숨을 쉬게 되어 말처럼 얼굴이 길어지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During the day, symptoms such as fatigue, daytime sleepiness, personality changes (aggressive personality, irritability, anxiety, depressive response), decreased sexual impulses, erectile dysfunction, and severe headache due to carbon dioxide accumulation may occur. Pediatric patients may experience symptoms such as poor learning, delayed development, and lengthening of the face, such as breathing through the mouth.

그러나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95%가 자신의 증상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데,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뒤에는 매우 큰 소리로 코를 골거나 몸을 크게 움직이기 때문에 함께 잠을 자는 사람이 있다면 쉽게 고쳐지기도 한다. 또 위험한 상황이 이어지는 것을 막으려면 환자가 잠을 자다가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잠을 깨워 숨을 쉴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However, 95% of patients with sleep apnea do not realize their symptoms. After breathing is temporarily stopped, if someone sleeps with a very loud nose or a bigger body, do. Also, to prevent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happening, it is good to let the patient wake up when he or she is asleep when the airway is closed.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으로는, 행동요법, 공기펌프, 구강장치, 수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체중감량, 음주의 절제, 금연, 옆으로 누워 자기와 같은 자가 행동요법을 먼저 시행해야 하며 이런 방법으로 충분한 효과를 거두지 못할 때 구강장치 요법이나 수술을 선택할 수 있다.Treatments for snoring and sleep apnea include behavioral therapy, air pumps, oral devices, and surgery. Among these, weight loss, abstinence of drinking, smoking cessation, lying on the side, self-care, such as self-first, and if this method is not effective enough to choose oral surgery or surgery.

기면증은, 야간에 6시간 이상 충분한 수면을 취함에도 낮에 심한 졸음을 호소하는 과다수면증 중 하나이다. 낮 동안 졸음 외에도 감정적으로 흥분할 때 힘이 빠지는 탈력발작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수면마비(가위눌림), 잠들 무렵 환각 증상 등이 동반될 수도 있다. 기면증은 그 증상이 청소년기에 처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졸음으로 학업에 장애를 초래하며, 운전 중인 사람에게는 사고 위험을 높입니다.Narcissism is one of the more frequent sleeping complaints of heavy sleepiness during the day, even when sleeping at least 6 hours at night. In addition to drowsiness during the day, emotional excitement may manifest as a loss of strength, loss of sleep, paralysis of the scissors, and hallucinations at night. Narcissism is often the first symptom of adolescence, causing disruption to school due to severe drowsiness, and increasing the risk of accidents for people who are driving.

하지불안증후군은, 잠들 무렵 다리(특히 종아리 부근)에 느껴지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불편감으로 잠들기 힘들어, 수면부족을 초래하는 수면장애이다. 다리에 느껴지는 불편감에 대해 환자들은 전기가 흐르는 느낌, 벌레가 기어가는 느낌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통증을 호소하지는 않는다. 불편감은 낮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대개 야간에 심해지며 다리를 움직이거나 주물러 주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낮 동안에도 다리를 같은 자세로 오래 가만히 있어야 하는 경우에 더 심해진다. 하지불안증후군은 50대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최근의 보고에서는 7세 이전의 아동에게서도 나타난다고 한다. 그리고 성장통으로 알고 있는 소아 하지불편감 중 일부는 소아하지불안증후군이라는 보고도 있다. 또한 임신 중 철분이 부족한 경우 하지불안증후군이 발병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Restless legs syndrome is a sleep disorder that causes sleep depriv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fall asleep with difficulty in expressing feelings in the legs (especially around the calf) at the time of falling asleep. Patients feel uncomfortable about their legs. They express various kinds of symptoms, such as the flow of electricity and the feeling of crawling caterpillars, and do not appeal to pain. Discomfort may appear during the day, and often it gets worse at night and often improves when you move or rub your legs. Even during the day, it becomes worse if you have to keep your legs in the same position for a long time. Although the anxiety disorder syndrome is common in children in their 50s, a recent report suggests that they occur in children before the age of seven. In addition, some of the discomforts of childhood, which are known as growing pains, are also reported to be child restless legs syndrome. In addition, when iron is lacking during pregnancy, restless legs syndrome is also common.

그리고, 목근육(頸筋)과 경추(頸椎)에 관련된 질환으로 흔히 일자목과 거북목 증후군(일명 컴퓨터병 VDT증후군)이 있다.And, it is related to neck muscle (cervical muscle) and cervical vertebra (dorsal thigh syndrome).

VDT 증후군은, 전체 목뼈 수가 7개인데 정상적으로는 귀가 어깨뼈봉우리와 같은 수직면 상에 있고 7개의 목뼈는 앞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서 배열되어 있다. 이를 경추 전만이라고 한다. 거북목 자세는 아래쪽 목뼈는 과하게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위쪽 목뼈와 머리뼈는 머리를 젖히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목뼈 전만이 소실되고 머리가 숙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개가 앞으로 빠진 자세이다. 평소 컴퓨터모니터를 많이 보는 사람, 특히 낮은 위치에 있는 모니터를 내려다보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한다. 또한 이런 자세가 오래되어 목, 어깨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 통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이 증상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없을수록 잘 생기지만 컴퓨터를 많이 하는 요즘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호발한다. 이런 자세는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 거북목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자세로 발생하는 장애는 생각보다 크고 교정이 어렵다.In VDT syndrome, the total number of cervical spines is 7, normally the ears are on the same vertical plane as the shoulder bone peaks, and the seven cervical bones are arranged with a convex bow. This is called cervical vertebrae. The turtle neck posture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bending the lower neck bone, and the upper neck bone and the head bone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ilting the head so that the neck bone only disappears as a whole, and the head is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not bowed. It usually happens to people who watch a lot of computer monitors, especially those who are looking at low-lying monitors. It also means that the posture is so long that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neck and shoulders are stretched to produce pain. This symptom is better with age and without muscle, but nowadays it is very common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This poses a variety of problems including pain and all of these problems are called turtle neck syndrome. The obstacles that occur in this posture are larger than thought and difficult to correct.

근육이 과하게 긴장하는 상태가 장기화되면 근막통증 증후군이 생겨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에도 통증은 지속된다. 그리고 뒤통수 아래 신경이 머리뼈와 목뼈 사이에 눌려서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통증은 수면을 방해해서 금방 피로해지는 등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When the muscles become too tense, prolonged pain causes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even when you are in the right posture. And the nerve under the back of the head between the head bone and the neck bone can be caused by a headache. Such pain can interfere with daily life, for example, by causing disturbance to sleep and causing immediate fatigue.

기본적 치료는 어깨를 펴고 고개를 꼿꼿이 하는 것이다. 아울러 20~30분에 한 번씩 목을 스트레칭해 주면 큰 도움이 된다.The basic treatment is to straighten your shoulders and straighten your head. It is also helpful to stretch your neck once every 20 to 30 minutes.

상기 수면장애의 증상을 완화하고 숙면에 도움을 주는 선행기술은 다수가 있지만, 그 중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There are a number of prior art techniques that alleviate the symptoms of sleep disorders and help with sleep, but among them,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선행기술 중 등록특허 10-0788715, 공개특허 10-2008-0075263은, 베개 내부 전체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고 빈 공간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베개자체를 팽창시켜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로 베개자체가 팽창하면 시중의 물놀이풍선튜브와 튜브목베개와 같이 머리와 목의 무게에 의해 베고 있는 부위가 아래로 쳐져서 머리와 목이 베개에 감싸이는 단점이 있고, 베개를 최대한 팽창시켜 탱탱한 상태를 유지해도 머리와 목은 공중에 뜨는 어지러움과 좌우로 돌아 누울 때 베개자체가 울렁거리는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of a pillow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Patent Document 10-0788715 and Patent Document 10-2008-0075263 disclose a pillow having an empty space formed on the entire inside of the pillow, and supplying air to the empty space to inflate the pillow itself, If the pillow itself is inflated by the adjusting techniqu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head and neck are wrapped around the pillow by the part of the head and neck that is cut by the weight of the head and neck like the water balloon tube and tube neck pillow in the market. Keeping your head and neck in a stable state can cause dizziness in the air and uncomfortable feeling that the pillow itself may recur when you turn left and right.

또한, 베개의 외피에 설치되어 머리의 방향과 위치를 파악하는 체압센서는, 현재 시중에서 구입하기가 쉽지 않으며, 직접 제작을 하더라도 높은 제작단가로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체압센서가 베개의 외피에 설치되면 누웠을 때 머리와 얼굴이 베기는 불편감을 초래하여 사용인의 숙면을 방해하는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to grasp the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is not easy to purchase on the market at presen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ice of the product is raised by a high manufacturing cost even if it is produced directly. When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i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head and face when lying down, thereby disturbing the user's sleep.

또한, 베개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는 에어셀도, 사이에 격막이 없는 하나의 에어셀로 구성되어 팽창 시 머리와 목이 베개의 아래로 쳐져서 감싸이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cell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illow, which regulates the height of the pillow, is constituted by one air cell without a diaphragm, and has a drawback that the head and neck are wrapped around the pillow when expanded.

그리고, 공개특허 10-2010-0124613 코골이방지용베개도 베개자체에 공기가 투입되어 상기 등록특허 10-0788715, 공개특허 10-2008-0075263와 동일한 단점이 있으며, 본 기술에 적용된 신호감지부(마이크로폰)는 베개본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코골이의 세기에 따라 베개본체 내부 빈공간부에 좌우로 구분된 에어주머니가 팽창되어 머리를 돌려서 코골이를 방지하는 기능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코골이의 소리세기를 좌우로 구분하여 감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 베개에 바로 누운 상태에서의 코골이 경우에는 좌우의 에어주머니만으로는, 중앙에 위치한 머리를 돌리기가 쉽지 않으며, 따라서 코골이를 방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Also, in the snoring prevention pillow, air is injected into the pillow itself, which has the same disadvantages as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and the signal sensing unit (microphone )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illow body, an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noring, it is described that the air bag which is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air holes in the pore inner side of the pillow body is inflated to rotate the head to prevent snoring, It is not easy to separate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it is not easy to rotate the head located at the center by only the left and right air bags in the case of the snoring in the state of lying directly on the pillow, an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prevent the snoring.

그리고, 등록실용 20-0369629는 베개의 외피 내부에 분말형태의 방향제를 담은 탈 부착이 가능한 포켓부가 형성되어 숙면에 도움을 주는 기술이나, 방향제 포켓부가 베개의 외피에 부착이 되면 베개표면에 이물감을 줄 수 있으며 수면에 방해를 초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istration room 20-0369629 is a technique that helps a sleeping state by forming a removable pocket portion containing a powdered perfume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but when the fragrance pocket por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And may cause disturbances to the surface of the water.

그리고, 공개특허 10-2006-0004136와 등록특허 10-0758780는 스피커가 베개자체에 내장되어 사용인이 누웠을 때 베기는 불편함을 초래하여 베개 고유의 의미를 잃어버릴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eaker is built in the pillow itself,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when the user lies down, and the meaning of the pillow inherent in the pillow may be lost.

[선행기술문헌]       [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       [Patent Literature]

1.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7887151.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0788715

2.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8-0075263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75263

3.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0-0124613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4613

4. 국내 등록실용공보 20-03696294. Domestic Registration Practical Bulletin 20-0369629

5.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6-00041365.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04136

6.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758780 6.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075878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사용인이 본 장치의 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별도로 제작된 베개를 사용하거나, 또는 현재 사용중인 일반 베개의 저면(底面)에 본 장치의 패드를 삽입한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에서, 머리와 목의 상하 운동 또는 좌우 운동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경직된 목 주위 근육(경근頸筋)과 목뼈(경추頸椎)를 이완시키는 경추운동(頸椎運動)을 수행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 user may use a separately prepared pillow to which a pad of the present device can be attached or a pillow in which a pad of the present device is inserted into a bottom surface of a currently used regular pillow,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that automatically repeats exercise or lateral movement to perform cervical exercise (cervical vertebral movement) that relaxes the rigid neck muscle (cervical muscle) and the neck bone (cervical cervical vertebra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인의 취침컨디션에 맞게 임의로 베개의 뒷머리 부위와 목 부위, 좌우 옆얼굴 부위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 and forth parts of the pillow, the neck part, and the left and right side face parts according to the sleeping condi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인의 수면 중에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증상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면장애증상을 방지하고 치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 pillow pad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detecting symptoms of sleeping disorder (snoring, sleep apnea) during a sleep of a user and preventing and treating symptoms of sleeping disorder automatical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인의 수면 전에 패드에 장착된 방향키트의 기능성 방향액을 베개를 통하여 휘산시켜 질 높은 숙면을 유도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which induces a high-quality sleeping surface by vaporizing the functional direction liquid of a direction kit mounted on a pad before sleeping of a user through a pillow.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인의 수면 전에 패드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기능성음악을 출력하여 불면증을 치료하는 음악치료 기능을 수행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that performs functional music therapy by outputting functional music through a speaker mounted on a pad before a user sleeps to treat insomnia.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과제의 해결 수단Solution to the Probl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는,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

먼저, 베개의 내부에 장착 또는 하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직사각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패드;와 First, a pad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illow or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상기 패드의 내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에어백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베개의 높낮이조절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와 An inflation tu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ad and having an airbag-shaped space formed therein, the inflation tube serving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상기 패드의 상면 양측에 부착되고, 내부에 기능성방향액이 저장되어 숙면을 유도하는 팩형태의 방향키트;와 A pack type direction kit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and storing a functional direction liquid therein to induce a good sleep;

상기 패드의 내부에 결합되고, 기능성음악을 출력하여 수면에 도움을 주는 스피커; 및 A speake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ad and outputting functional music to help sleep; And

상기 패드와 결합되어, 패드와 각 구성부의 제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A controller, coupled to the pa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the pad and each component;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의 팽창튜브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기발생장치;와An air generation device fixed inside the controller and supplying air to the expansion tube of the pad;

상기 컨트롤러 내부에 고정되고 공기발생장치와 패드의 팽창튜브 사이에 결합되어, 팽창튜브의 에어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 모듈;과 A pressure control module fixed inside the controller and coupled between the air generating device and the expansion tube of the pad to control the air pressure of the expansion tube;

상기 컨트롤러 내부에 고정되고 공기발생장치와 패드의 팽창튜브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압력제어 모듈과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어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공기제어 모듈;과 An air control module fixed inside the controller and coupl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expansion tube of the pad to control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tube by the pressure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상기 컨트롤러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의 스피커와 연계되어 기능성음악을 재생하는 MP3플레이어;와 An MP3 player fixed inside the controller and associated with the speaker of the pad to reproduce the functional music;

상기 컨트롤러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압력제어모듈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팽창튜브를 제어하고, 또한 제1마이크와 MP3플레이어를 제어하고 이를 외부로 제공하는 제어 모듈;과 The controller controls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outside, controls the expansion tube using the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pressur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MP3 player, And a control module

상기 컨트롤러의 외 측면에 전원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컨트롤러 내에 구비된 충전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며,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원 모듈;과 A power supply terminal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troller, a commercial power supply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to charge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controller, a voltage output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is supplied to each component, A pow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a current output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external control;

상기 패드의 외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An interface module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ad, the interface modu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A display modu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to display various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module;

상기 패드와 컨트롤러와 결합되어, 에어의 공급 또는 배출통로 역할 및 전기통로 역할을 하는 전원에어호스; 및 A power supply air hose coupled to the pad and the controller, the power supply air hose serving as an air supply or discharge passage and an electric passage; And

상기 전원에어호스의 패드컨넥터 부근에 고정되고, 사용인의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증상의 소리를 수집하여 제어모듈과 음원분석센서로 전송하는 제 1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rst microphone which is fixed near the pad connector of the power supply air hose and collects sounds of a user's sleeping disorder (snoring, sleep apnea) symptoms and transmits the collected sounds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sound source analysis sensor do.

여기에서 상기 패드는, 견고하지만 일부 탄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상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각 구성부가 설치되고, 패드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패드케이스;와 Here, the pad may be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polyurethane material which is strong but partly elastic, and has a spac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패드케이스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팽창튜브가 위치하는 부위가 천공된 형태로, 부드러운 합성섬유 또는 합성피혁 재질로 패드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된 장치의 덮개 역할을 하는 패드커버;와 A pad cov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ad case and serving as a cover of a device formed inside the pad case with soft synthetic fiber or synthetic leather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where the expansion tube is located is perforated;

상기 패드케이스와 패드커버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팽창튜브가 자리하는 부위가 천공된 형태로, 탄성이 높은 고탄성스펀지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패널; 및 A buffer panel coupled between the pad case and the pad cover and having a perforated portion where the expansion tube is perforated, the buffer panel serving as a buffer with a highly elastic high-elasticity sponge or polyurethane material; And

상기 패드커버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고, 테이프형상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비닐 재질로 겉 표면이 거칠어 베개와 상기 패드 사이에 미끌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밀림방지라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anti-jamming label fix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cover, the anti-jamming label serving to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pillow and the pad due to the rough outer surface of the tape-like polyurethane or polyvinyl material .

여기에서 또한, 상기 팽창튜브는 상기 패드상면의 뒷머리가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팽창튜브;와 상기 패드상면의 목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2 팽창튜브;와 상기 패드상면의 우측 얼굴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3 팽창튜브;와 상기 패드상면의 좌측 얼굴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4 팽창튜브; 및 Here, the expansion tube may include a first expansion tube for raising and low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ad, a second expansion tube for enhancing and lowering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A third inflation tube for enhancing and low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hat touches the right side face and a fourth inflation tube for enhancing and low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hat touches the left side face; And

상기 팽창튜브의 상면에 부착되고, 탄력성이 뛰어난 합성섬유 재질로 팽창튜브가 팽창할 때 팽창튜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xpansion tube cover which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tube and protects the expansion tube when the expansion tube is inflated by a synthetic fi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그리고, 상기 팽창튜브는 상기 패드케이스와 패드커버의 사이에 고주파결합 또는 박음질로 접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xpansion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high-frequency bonding or punching is performed between the pad case and the pad cover.

여기에서 또, 상기 방향키트는 숙면을 유도하는 라벤더 방향제와 같은 기능성 방향액;과 방향액을 저장하는 흠침스펀지;와 방향액이 저장된 흠침스펀지를 저장하는 방향키트팩;과 방향키트베이스; 및 방향키트를 상기 패드의 상면에 탈 부착이 가능한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the direction k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al direction liquid such as a lavender aroma inducing a good sleep; a scratch sponge storing a directional liquid; a direction kit pack storing a scrubbing sponge storing a directional liquid; And a Velcro tape capable of removing the orientation k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여기에서 또, 상기 스피커는 비교적 출력이 낮은 고사양의 마이크로스피커로 상기 패드케이스의 내부 양측 공간부에 2개 이상이 고정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MP3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기능성음악을 출력하여 불면증을 치료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peaker is a micro speaker of a high output with a relatively low output, wherein two or more spaces are fixed to both inner spaces of the pad case, and functional music reproduced in the MP3 player of the controller is output to treat insomnia .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러는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컴팩터한 사이즈의 직사각면체 형태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외부 정면에는 제어 모듈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LCD;와 각 기능을 제어하고 명령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선택버튼;과 외부의 하면에는 컨트롤러와 상기 패드를 에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에어호스의 컨트롤러컨넥터; 및 외부의 상면에는 컨트롤러 내부에 구비된 충전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로US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ler is a compact rectangular shaped body of a size that is easy to grasp by hand,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an external LCD on which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is output, A controller connector of a power supply air hos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ler and the pads to the air; And a micro USB which can connect a power charging cable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nal.

여기에서 또, 상기 공기발생장치는 에어를 발생하는 에어 펌프;와 상기 에어 펌프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팽창튜브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에어호스; 및 상기 패드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와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와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모듈에서 전송되는 전기 제어신호와 공기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에어를 패드의 스피커와 팽창튜브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원에어호스;와 상기 패드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와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를 연결하는 표면 부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ir gener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ir pump for generating air; and an expansion tube air hose serving as a passage for supplying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pump to the expansion tube; And a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pad and a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of the controller to supply an electrical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module of the controller and air generated by the air generator to the speaker and the expansion tube of the pad A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rface portion connecting a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pad to a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of the controller, and a power supply terminal .

여기에서 또, 상기 압력제어 모듈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1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1 압력센서;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2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2 압력센서;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3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3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3 압력센서; 및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4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4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4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ressure control module further comprises: a first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expansion tube; and a second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A third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third expansion tube; a second pressure sensor connected to the second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And a fourth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fourth expansion tube.

여기에서 또, 상기 공기제어 모듈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1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1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2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2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3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3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3 공기조절밸브; 및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4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4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4 공기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a first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first expansion tube, A second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expansion tube and controlling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second expansion tube, and a second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A third air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air; And a fourth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fourth expansion tube.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러 내부의 PCB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의 스피커와 연결되어 기능성음악을 재생하는 MP3플레이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an MP3 player, which is fixed to a PCB inside the controller and is connected to a speaker of the pad to reproduce functional music, And a control unit.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러 내부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압력제어모듈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팽창튜브를 제어하고, 제1마이크 및 MP3플레이어를 제어하고 이를 외부로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outside, which is fixed 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xpansion tube using the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pressure control module, and controls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MP3 player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module and providing it to the outside.

여기에서 또, 상기 컨트롤러의 외 측면에 전원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컨트롤러 내에 구비된 충전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며,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패드의 외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a power supply terminal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troller, a commercial power supply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to charge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controller, and a voltage output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is supplied to each component A pow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a current output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an interface modul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And a module. .

여기에서 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모듈과 전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display modu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to display various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module, .

한편, 상기 패드와 컨트롤러와 결합되어, 에어의 공급 또는 배출통로 역할 및 전기통로 역할을 하는 전원에어호스; 및 상기 전원에어호스의 패드컨넥터 부근에 고정되고, 사용인의 수면장애 소음을 수집하여 제어모듈의 음원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제 1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ower supply air hose coupled to the pad and the controller, the power supply air hose serving as an air supply or discharge passage and an electric passage; And a first microphone fixed to the vicinity of the pad connector of the power supply air hose and collecting sleep nois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noise to a sound source analyzer of the control module.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제1마이크에서 수집된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음원분석센서;를 더 구비하고, 음원분석센서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저장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a sound source analyzing sensor for analyzing the voice data collec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analyzed voice data to the control module, and further includes a sound source storing device for storing data input to and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analyzing sensor .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송수신하는 제 1무선 통신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제어 모듈과 송수신하는 제 2무선 통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display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ontrol module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에 따르면,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먼저, 본 발명은 베개와 일체화된 장치가 아닌 독립적인 장치로서, 본 장치의 패드를 장착할 수 있는 별도로 제작된 베개를 사용하거나, 또는 현재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베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편의성도 향상되고, 경제적인 부담도 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ependent device that is not a device integrated with a pillow, which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for a pillow that is separately prepared for mounting the pad of the present device, And an economical burden can be reduced.

그리고, 집에서 잠자리에 누워 간단히 경추운동 기능선택 버튼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머리와 목의 상하운동과 좌우운동을 반복하여 경직된 목 주위 근육(경근頸筋)과 목뼈(경추頸椎)를 이완시키는 경추운동(頸椎運動)을 과학적으로 수행하는 물리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n, by lying on the bed at home and simply selecting the cervical exercise function selection button, the cervical exercises that relax the rigid neck muscles (neck cervical muscles) and the neck bone (cervical cervical vertebra) automatically by repeating the head and neck exercise (Cervical vertebral movement) can be obtained by physically performing the physical therapy.

또한, 베개높이조절 버튼을 선택하여, 그날의 취침컨디션에 맞게 임의로 베개의 뒷머리 부위와 목 부위, 좌우 옆얼굴 부위의 높낮이를 간단히 조절 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로 여러 개의 높이가 다른 베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selecting the pillow height control button,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back and forth parts of the pillow, the neck, and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side face parts according to the bedtime condition of the day,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그리고, 수면 전에 수면장애방지 버튼을 선택하여, 취침 중의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증상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면장애증상을 방지하고 치료할 수 있다. Then, by selecting the sleeping-disorder prevention button before sleep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treat symptoms of sleeping disorder automatically by detecting symptoms of sleeping at bedtime (snoring, sleep apnea).

또, 수면 중에 감지하고 저장된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증상의 데이터를 컨트롤러를 통하여 확인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by checking the data of symptoms of sleep disorder (snoring, sleep apnea) sensed and stored during sleep through the controller.

또한, 패드에 장착된 방향키트의 기능성 방향액을 베개를 통하여 휘산시켜 질 높은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direction liquid of the direction kit mounted on the pad can be volatilized through the pillow to induce a high-quality sleeping surface.

그리고, 수면 전과 취침 중에 패드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기능성음악을 출력하여 음악치료기법으로 불면증을 치료할 수 있다.And, before sleeping and sleeping, the functional music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ttached to the pad, and the music therapy technique can treat the insomnia.

또한, 구동전원으로 충전배터리가 내장됨에 따라 일회용배터리를 자주 교체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 외부 전원을 입력 받기 위해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chargeable battery is built in as the driving power source,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ly replacing the disposable battery is solved, and a separate power cable is not required to receive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패드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패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팽창튜브와 팽창튜브에어호스의 연결상태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방향키트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방향키트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전원에어호스와 컨트롤러컨넥터, 패드컨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높이조절 기능 중 팽창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머리.목(경추)운동기능 중 머리와 목 부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팽창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머리.목(경추)운동기능 중 머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팽창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수면장애 방지 및 치료기능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패드를 베개 내부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패드를 베개 저면에 장착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pads in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pad cover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pads in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tube and the expansion tube air hose in the multi-
Fig.
6 is a plan view of a directional kit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rectional kit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power supply air hose, a controller connector, and a pad connector among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xpansion tube of the height adjusting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n expansion tube for lifting and lowering head and neck portions of a head and neck (cervical vertebra) movement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n inflation tube for moving the head of the head of a multi-function pillow pa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leeping disorder prevention and treatment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pad of a multi-function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inside a pillow.
15 is a sectional view of a pad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low.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패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d in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패드커버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패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팽창튜브와 팽창튜브에어호스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pads in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ulti-function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n expansion tube and an expansion tube air hose in a pillow pad device. FIG.

또한,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방향키트의 평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방향키트의 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중 전원에어호스와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와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rectional kit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1)는 크게는 패드(100)와 컨트롤러(200) 및 전원에어호스(180)로 구성될 수 있고, 상세하게는, 패드(100)와 팽창튜브(20)와 방향키트(80)와 스피커(90,91)와 컨트롤러(200)와 공기발생장치(120)와 압력제어모듈(130)과 공기제어모듈(140)과 MP3플레이어(154)와 제어모듈(150)과 전원모듈(160)과 인터페이스모듈(170)과 디스플레이모듈(110)과 전원에어호스(180)와 제1마이크(171)로 구성된다. 1 to 9,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composed of a pad 100, a controller 200 and a power supply air hose 180, The controller 200 and the air generator 120, the pressure control module 130, the air control module 140, and the MP3 140. The air conditioner 100, the expansion tube 20, the direction kit 80, the speakers 90 and 91, A control module 150, a power module 160, an interface module 170, a display module 110, a power supply air hose 180, and a first microphone 171.

먼저, 패드(100)는 도 2 와 도 3 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First, the pad 100, as shown in FIGS. 2, 3, 4, and 5,

통상의 구조로 팽창튜브(20)가 하부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견고하고 탄성이 있는 합성 수지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내부에 각 구성부가 설치되고 보호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되는 패드케이스(10)가 저면에 형성되고, A pad case (11) formed with a rigid and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polyurethane material, which prevents the expansion tube (20) from expanding downward in a normal structure, 1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패드케이스(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팽창튜브(20)가 자리하는 부위가 천공된 형태로, 부드러운 합성섬유 또는 합성피혁 재질로 패드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된 장치의 덮개 역할을 하는 패드커버(60)가 최상면에 형성되고, In addition, the pad 2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case 10, and the portion where the expansion tube 20 is located is perforated. The pad 20 is a soft synthetic fiber or synthetic leather material, A pad cover 60 is formed on the uppermost surface,

또한, 상기 패드케이스(10)와 패드커버(60)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팽창튜브(20)가 자리하는 부위가 청공된 형태로, 탄성이 높은 고탄성스펀지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패널(40)이 형성되고,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pad which is coupled between the pad case 10 and the pad cover 60 and has a portion in which the expansion tube 20 is located, A panel 40 is formed,

또한, 상기 패드커버(60)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고, 테이프형상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비닐 재질로 겉 표면이 거칠어 베개(300)와 상기 패드(100) 사이에 미끌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밀림방지라벨(70)이 형성된다. The pad 10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cover 60 and is made of a tape-like polyurethane or polyvinyl material. The surface of the pad 100 is rough, A label 70 is formed.

한편, 팽창튜브(20)는 팽창과 수축이 용이하고 신축성이 높은 고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패드케이스(10)의 내부 공간부(11)에 고정된다. 그리고 팽창튜브는 패드(100)의 상면에 4개의 구획된 자리에 각각 위치하며, 각기 고유의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 패드(100) 상면의 머리가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팽창튜브(21)와 상기 패드(100) 상면의 목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2 팽창튜브(22)와 상기 패드(100) 상면의 우측 얼굴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3 팽창튜브(23)와 상기 패드(100) 상면의 좌측 얼굴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 4 팽창튜브(24)로 구성되고, 각 팽창튜브(20)의 하부에는 팽창튜브에어호스(29)가 연결되어 에어의 통로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expansion tube 20 can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easy to expand and contract and has high elasticity, and is fixed to the inner space portion 11 of the pad case 10. The expansion tub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100 in four compartments, respectively. The expansion tube performs its own role. First, the first tube 100, which functions to heighten and lower the head of the pad 100, A second inflation tube 22 that functions to raise and lower the neck of the expansion tube 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100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100 which contact the right side of the pad 100, And a fourth expansion tube (24) for enhancing and lowering the area where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the upper face of the pad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lower end of each expansion tube (20) A hose (29) is connected to serve as a passage for air.

또한, 제 1 스피커(90)와 제 2 스피커(91)는 패드케이스(10)의 양측 공간부에 위치하고, 컨트롤러(200)의 MP3플레이어(154)에서 재생되는 기능성음악을 출력하여 불면증을 치료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출력은 낮으나 성능은 일반 스피커사양을 능가하는 마이크로스피커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peaker 90 and the second speaker 91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ad case 10 and output functional music reproduced by the MP3 player 154 of the controller 200 to treat insomnia It is desirable to use a type of micro speaker that has a low output power but exceeds the general speaker specification.

또한, 상기 팽창튜브(20)의 상면에 부착되고, 부드럽고 탄력성이 뛰어난 고무 재질 또는 합성직물 재질로 팽창튜브(20)가 팽창할 때 팽창튜브(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커버(50)가 형성된다. The inflation tube 2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flation tube 20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fabric material that is soft and resilient and serves to protect the inflation tube 20 when the inflation tube 20 is inflated. Is formed.

그리고, 상기 팽창튜브(20)는 상기 패드케이스(10)와 패드커버(60)의 사이에 고주파 열융착 또는 박음질로 접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pansion tube 20 is preferably joined to the pad case 10 and the pad cover 60 by high frequency fusion welding or punching.

또한, 방향키트(8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면증을 치유하고 숙면을 유도하는 라벤더 방향제와 같은 기능성 방향액(83)과 방향액(83)을 저장하고, 머리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탄성이 높은 합성수지 재질의 흠침스펀지(82)와 방향키트(80)의 상면에 형성되고, 방향액(83)과 방향액(83)이 저장된 흠침스펀지(82)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신장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방향키트팩(81)과 방향키트(80)의 하부에 형성되고, 견고하고 신축성이 있는 고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방향키트베이스(84)가 형성된다. The orientation kit 80 also stores functional liquids 83 and liquids 83 such as lavender fragrances that heal insomnia and induce a good sleep, as shown in Figures 6 and 7, A scratch sponge 82 made of a highly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serving as a supporting member and a scraper sponge 82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rection kit 80 and storing a directional liquid 83 and a directional liquid 83 A direction kit 84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a direction kit 8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rection kit 80 and made of a rigid and stretchable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

그리고, 수명이 다한 방향키트(80) 및 다른 향기가 휘산되는 방향키트(80)로 교체하기 위하여, 방향키트(80)를 상기 패드(100)의 상면 양측에 위치한 벨크로테이프(30)에 탈 부착이 가능한 벨크로테이프(85)를 방향키트(80)의 방향키트베이스(84) 저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rection kit 80 is detached from the velcro tape 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100 in order to replace the direction kit 80 having a longer life and the direction kit 80 in which the other fragrance is volatiz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elcro tape 85 which can be attached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rientation kit base 84 of the orientation kit 80. [

한편, 컨트롤러(2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컴팩트한 사이즈의 직사각 육면체 형태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러(200)의 외부 정면에는 제어 모듈(15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LCD(111)와 각 기능을 제어하고 명령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선택 버튼(112)과 컨트롤러(200)의 외부 저면에는 컨트롤러(200)와 상기 패드(100)를 에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에어호스(180)의 컨트롤러컨넥터(181)와 컨트롤러(200)의 외부 상면에는 컨트롤러(200) 내부에 구비된 충전배터리(미도시)에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충전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로USB(11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1,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20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a compact size that is easy to grasp by hand. On the outer front surface of the controller 200, A function selection button 112 for controlling and commanding each function and a controller 200 and a pad 100 are provid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ler 200. [ A power supply air hose 18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ler 200 to the controller 200 and a power supply charging cable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And a micro USB 113 that can connect the micro USB 113 (not shown).

그리고,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Then, as shown in Fig. 9,

공기발생장치(120)는 에어를 발생하는 에어펌프가 바람직하며, 에어펌프에서 발생된 에어를 상기 팽창튜브(20)에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통로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에어호스(29)와 상기 패드(100)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186)와 상기 컨트롤러(200)의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181)와 연결되어 컨트롤러(200)의 제어모듈(150)에서 전송되는 전기 제어신호와 공기발생장치(120)에서 발생한 에어를 패드(100)의 팽창튜브(20)와 스피커(90, 91)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전원에어호스(180)와 상기 패드(100)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186)와 상기 컨트롤러(200)의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181)가 결합하는 부위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185)와 전원()단자(18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 generating device 120 is preferably an air pump that generates air and includes an expansion tube air hose 29 serving as a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the air generated in the air pump to the expansion tube 20, 100 ar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186 of the controller 200 and an electric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150 of the controller 200 to the air generator 120 to the expansion tube 20 and the loudspeakers 90 and 91 of the pad 100. 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and the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186 of the pad 100 A power supply terminal 185 and a power supply terminal 187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rface of a portion where the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181 of the controller 200 is coupled.

또, 압력제어 모듈(130)은 상기 공기발생장치(120)와 제 1 팽창튜브(21)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팽창튜브(21)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1 압력센서(131)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2 팽창튜브(22)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팽창튜브(22)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2 압력센서(132)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3 팽창튜브(23) 사이에 연결되어, 제 3 팽창튜브(23)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3 압력센서(133)과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4 팽창튜브(24) 사이에 연결되어, 제 4 팽창튜브(24)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4 압력센서(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sure control module 130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131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120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21 and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expansion tube 21, A second pressure sensor 132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2 for controlling the air generation device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 third pressure sensor 133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23 to control the air pressure of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a third pressure sensor 133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And a fourth pressure sensor 134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air.

여기에서, 각 압력센서(131, 132, 133, 134)는 제어 모듈(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 모듈(150)로 압력값을 출력한다. 이때, 각 압력센서(131, 132, 133, 134)는 제어 모듈(150)이 실장된 PCB에 장착되는 디지털 압력센서 또는 기계식(벨로우즈 타입) 압력센서로 압력측정범위가 1~500Hg이상인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ssure sensors 131, 132, 133, and 13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50 to measure the pressure and output the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module 150. Each of the pressure sensors 131, 132, 133, and 134 is a digital pressure sensor or a mechanical type (bellows type)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PCB on which the control module 150 is mounted, and a pressure measurement range of 1 to 500 Hg or more .

또한, 공기제어 모듈(140)은 상기 공기발생장치(120)와 제 1 팽창튜브(21)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팽창튜브(21)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1 공기조절밸브(141)과 상기 공기발생장치(120)와 제 2 팽창튜브(22)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팽창튜브(22)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2 공기조절밸브(142)와 상기 공기발생장치(120)와 제 3 팽창튜브(23) 사이에 연결되어, 제 3 팽창튜브(23)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3 공기조절밸브(143과 상기 공기발생장치(120)와 제 4 팽창튜브(24) 사이에 연결되어, 제 4 팽창튜브(24)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4 공기조절밸브(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ir control module 140 is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120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21 and is connected to a first air control valve A second air control valve 142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120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A third air control valve 143 and an air generator 120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120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23 for controlling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a fourth air control valve 144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to control the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여기에서, 각 공기조절밸브(141, 142, 143, 144)는 직류(DC)-노멀(Normal)-클로즈 타입(Close Type) 또는 직류(DC)-노멀(Normal)-오픈 타입(Open Type)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ir control valves 141, 142, 143, and 144 are DC-Normal-Close Type or DC-Normal-Open Type, The solenoid valve of Fig.

한편, MP3플레이어(154)는 PCB에 실장 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20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100)의 스피커(90, 91)와 연결되어 기능성음악을 재생한다. Meanwhile, the MP3 player 154 is fixed inside the controller 200 while mounted on the PCB, and is connected to the speakers 90 and 91 of the pad 100 to reproduce the functional music.

여기에서, MP3플레이어는 착탈이 가능한 SD카드를 사용하여 사용인이 음원을 담아서 재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P3 player is able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by using the removable SD card.

한편, 제어 모듈(150)은 PCB에 실장 된 상태에서 컨트롤러(200) 내에 고정되고, 하기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 모듈(1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압력제어 모듈(130)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팽창튜브(20)의 압력을 측정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110)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또한, 제어 모듈(150)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미도시), 중앙처리장치(CPU)(151), 저장장치(HDD, 메모리)(153), MP3 플레이어(154) 및 데이터를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송수신하는 제 1무선 통신기(15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control module 150 is fixed in the controller 200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PCB, and controls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inputted from the display module 110, 130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expansion tube 20 and provide it to the display module 110. Here, the control module 150 also includes a timer (not show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51, a storage device (HDD, memory) 153, an MP3 player 154, An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5 for wirelessly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the display module 110.

그리고, MP3 플레이어(154)로는 음악치료에 응용되는 기능성 음악을 제공하여 불면증 치료시간에 음악치료를 겸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The MP3 player 15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ovide functional music for music therapy and also serve as music therapy during insomnia treatment time.

한편, 전원 모듈(160)은 컨트롤러(200)의 외 측면에 마이크로USB(113) 전원 단자가 설치되고, 전원 단자를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컨트롤러(200) 내에 구비된 충전배터리(미도시)에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며,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충전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전류 조절기(161)를 통해 조절한다. Meanwhile, the power module 160 is provided with a micro USB power termin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ler 200, and receives a commercial power through a power terminal to receive a charging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troller 200 And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output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through the current regulator 161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50. [

여기에서, 배터리는 리튬이온충전지 또는 리튬폴리머충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회 충전으로 10-사이클운영(10회 높이조절 및 수면장애 감지)이 가능한 대용량의 충전지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battery is preferably composed of a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rechargeable battery,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large capacity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10-cycle operation (10 times height adjustment and sleep failure detection) in one charge.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인터페이스 모듈(170)에 접속되어 제어 모듈(150)과 전원 모듈(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모듈(150)에서 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 모듈(150)로 전송한다. The display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7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50 and the power module 160 to display various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15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module 150.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버튼방식 또는 터치방식의 LCD가 장착되는 전자식컨트롤러, 단말기, 스마트폰, Tablet PC 등의 통상의 장치로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 기능을 조작하는 버튼입력수단과 작동상황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LCD(111), 음성 및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splay module 110 is a conventional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controller, a terminal,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which is equipped with a button or touch-type LCD. The display module 110 includes butto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 LCD 111 for outputting the operation status to the screen, and a speaker (not shown) for outputting audio and music.

또, 제어 모듈(150)은 제1마이크(171)에서 수집된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모듈(150)로 전송하는 음원분석센서(152)를 더 구비하고, 음원분석센서(152)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저장장치(15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trol module 150 further includes a sound source analyzing sensor 152 that analyzes the sound data collected by the first microphone 171 and transmits the analyzed sound data to the control module 150, And a tone generator 153 for storing data to be output.

또한, 제어 모듈(150)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송수신하는 제 1무선 통신기(155)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제어 모듈(150)과 송수신하는 제 2무선 통신기(1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ntrol module 150 further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or 155 that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display module 110. The display module 110 wirelessly transmits data to the control module 150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4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사용예 1><Use Example 1>

패드(100)의 팽창튜브(20)에 에어를 주입하여 패드(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An examp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d 100 by injecting air into the expansion tube 20 of the pad 100.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높이조절기능의 팽창튜브(20)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xpansion tube 20 of the height adjusting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컨트롤러(200) 시스템의 전원을 온하고, 컨트롤러(200) 하부에 위치한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181)에 전원에어호스(180)를 연결하고 타단은 패드(100)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186)에 접속한 상태에서 컨트롤러(200)의 기능선택 버튼(112) 중 높이조절 버튼을 누르고, 다음으로 업다운(Up-Down)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높이의 단계(Level)에 맞춘 다음 시작버튼을 누르면, 공기발생장치(120)의 에어펌프가 동작되어 제 1 공기제어밸브(141)와 제 2 공기조절밸브(142)와 제 3 공기조절밸브(143)와 제4 공기제어밸브(144) 및 전원에어호스(180)을 통해 에어가 패드(100)의 팽창튜브(20)로 공급되어 제 1 팽창튜브(21)와 제 2 팽창튜브(22) 및 제 3 팽창튜브(23)와 제 4 팽창튜브(24)를 팽창시킨다.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181 located below the controller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pad 100 The user presses the height adjustment button among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s 112 of the controller 200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6 and then presses the up-down button to adjust the level to the desired level, The first air control valve 141 and the second air control valve 142, the third air control valve 143 and the fourth air control valve 144, The air is supplied to the expansion tube 20 of the pad 100 through 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21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the fourth expansion The tube 24 is inflated.

이때, 압력제어 모듈(130)의 제 1 압력센서(131)는 제 1 팽창튜브(21)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2 압력센서(132)는 제 2 팽창튜브(22)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3 압력센서(133)는 제 3 팽창튜브(23)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4 압력센서(134)는 제 4 팽창튜브(24)의 압력을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sensor 131 of the pressure control module 130 senses the pressure of the first expansion tube 2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2 senses the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The third pressure sensor 133 senses the pressure of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the fourth pressure sensor 134 senses the pressure of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

아울러, 각 압력센서(131, 132, 133, 134)는 제어 모듈(150)에 미리 입력된 단계(Level)에 맞은 적정량의 에어가 각 팽창튜브(21, 22, 23, 24)에 주입되도록 감지하고, 적정량의 에어가 주입되면 제어 모듈(150)은 공기발생장치(120) 에어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공기제어 모듈(140)의 각 공기조절밸브(141, 142, 143, 144)를 닫아서 에어의 유출을 막는다.Each of the pressure sensors 131, 132, 133 and 134 senses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corresponding to a level input in advance to the control module 150 is injected into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1, 22, 23, The control module 1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120 and closes the air control valves 141, 142, 143 and 144 of the air control module 140 Prevent air leakage.

그런 다음, 사용자가 컨트롤러(200)의 기능선택 버튼(112) 중 설정 버튼을 누르면, 제어 모듈(150)에 정해진 수면시간(예, 8시간) 동안 패드(100)의 각 팽창튜브(21, 22, 23, 24)가 팽창과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정된다.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setting button among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s 112 of the controller 200, the control module 150 controls the respective expansion tubes 21, 22 (for example, 8 hours) of the pad 100 for a predetermined sleep time , 23, 24 are set to maintain the expansion and height.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 모듈(150)은 단계(Level) 및 압력수치와 경과시간 등을 컨트롤러(200)의 LCD(111)화면을 통해 막대그래프나 숫자,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스피커(90, 91)를 통해 음성 또는 멜로디로 출력할 수가 있다. In this state, the control module 150 can display the level, the pressure value and the elapsed time, etc. in the form of a bar graph, a number, or an animation through the LCD 111 screen of the controller 200, , 91 to output voice or melody.

그러나, 설정시간 중에 기능의 종료를 원할 경우 종료 버튼을 누르면 각 공기조절밸브(141, 142, 143, 144)가 열려서 각 팽창튜브(21, 22, 23, 24)의 에어는 배출되고 장치는 오프 된다.However, if it is desired to terminate the function during the set time, each of the air control valves 141, 142, 143 and 144 is opened when the end button is pressed so that the air of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1, 22, 23 and 24 is discharged, do.

<사용예 2>&Lt; Use Example 2 &

패드(100)의 팽창튜브(20)에 에어를 주입하여 패드(100)의 머리부위와 목 부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예.An example of injecting air into the expansion tube 20 of the pad 100 to raise and lower the head and neck of the pad 100.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머리.목(경추)운동 기능 중 머리와 목 부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팽창튜브(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n inflation tube 20 for raising and lowering head and neck portions of a head and neck (cervical vertebra) movement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컨트롤러(200) 시스템의 전원을 온하고, 컨트롤러(200) 하부에 위치한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181)에 전원에어호스(180)를 연결하고 타단은 패드(100)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186)에 접속한 상태에서 컨트롤러(200)의 기능선택 버튼(112) 중 머리.목(경추)운동 버튼을 누르고, 다음으로 업다운(Up-Down)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모드(Mode)에 맞춘 다음 시작버튼을 누르면, 공기발생장치(120)의 에어펌프가 동작되어 제 1 공기제어밸브(141)와 제 2 공기조절밸브(142) 및 전원에어호스(180)을 통해 에어가 패드(100)의 팽창튜브(20)로 공급되어 패드(100)의 머리부위인 제 1 팽창튜브(21) 및 목 부위인 제 2 팽창튜브(22)를 팽창시킨다.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181 located below the controller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pad 100 (Cervical vertebrae) exercise button among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s 112 of the controller 200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6 and then press the up-down button to set the mode to the desired mode The air pump of the air generator 120 is operat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pad 100 through the first air control valve 141, the second air control valve 142 and 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 And is supplied to the expansion tube 20 to expand the first expansion tube 21, which is the head portion of the pad 100,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which is the neck portion.

이때, 압력제어 모듈(130)의 제 1 압력센서(131)는 제 1 팽창튜브(21)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2 압력센서(132)는 제 2 팽창튜브(22)의 압력을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sensor 131 of the pressure control module 130 senses the pressure of the first expansion tube 2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2 senses the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Detection.

아울러, 각 압력센서(131, 132)는 제어 모듈(150)에 미리 입력된 모드(Mode)에 맞은 적정량의 에어가 각 팽창튜브(21, 22)에 주입되도록 감지하고, 적정량의 에어가 주입되면, 제어 모듈(150)은 공기발생장치(120) 에어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곧 바로 공기제어 모듈(140)의 각 공기조절밸브(141, 142)를 열어서 에어를 배출 시킨다.Each of the pressure sensors 131 and 132 senses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corresponding to a mode input in advance to the control module 150 is injected into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1 and 22 and when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is injected , The control module 150 stops operation of the air generating device 120 air pump and immediately opens each of the air control valves 141 and 142 of the air control module 140 to discharge air.

그리고,, 제어 모듈(150)은 팽창튜브(21, 22)의 에어가 배출이 완료되는 정해진 시점에서, 다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팽창튜브(21, 22)를 팽창시키고 수축시키는 기능을 정해진 시간 동안 반복하여 머리.목(경추) 상하 운동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n, the control module 150 performs a function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expansion tubes 21, 22 again in the same manner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at which the air of the expansion tubes 21, 22 is completed, Repeat the function of head and neck (cervical vertebra) up and down.

또한, 제어 모듈(150)은 정해진 모드에 따라 패드(100)의 머리부위인 제 1 팽창튜브(21) 및 목 부위인 제 2 팽창튜브(22)를 하나씩 교대로 팽창과 수축을 교차시켜서 머리.목(경추) 상하 운동의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50 alternately expands and contracts the first expansion tube 21, which is the head portion of the pad 100,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which is the neck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mode. The neck (cervical vertebra) performs the function of up and down movement.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 모듈(150)은 모드(Mode) 및 압력수치와 경과시간 등을 컨트롤러(200)의 LCD(111)화면을 통해 막대그래프나 숫자,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스피커(90, 91)를 통해 음성 또는 멜로디로 출력할 수가 있다. In this state, the control module 150 can display the mode, the pressure value, the elapsed time, and the like through a bar graph, a number, or an animation through the LCD 111 screen of the controller 200, , 91 to output voice or melody.

그리고, 설정시간 중에 기능의 종료를 원할 경우 종료 버튼을 누르면 각 공기조절밸브(141, 142)가 열려서 각 팽창튜브(21, 22)의 에어는 배출되고 장치는 오프 된다.
If it is desired to terminate the function during the set time, if the end button is pressed, the air control valves 141 and 142 are opened, air of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1 and 22 is discharged, and the apparatus is turned off.

<사용예 3><Usage example 3>

패드(100)의 팽창튜브(20)에 에어를 주입하여 패드(100)의 양측 부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예.An example in which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tube 20 of the pad 100 to raise and lower both sides of the pad 100.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머리.목(경추)운동 기능 중 머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팽창튜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expansion tube for moving the hea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head and neck (cervical vertebra) movement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컨트롤러(200) 시스템의 전원을 온하고, 컨트롤러(200) 하부에 위치한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181)에 전원에어호스(180)를 연결하고 타단은 패드(100)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186)에 접속한 상태에서 컨트롤러(200)의 기능선택 버튼(112) 중 머리.목(경추) 운동 버튼을 누르고, 다음으로 업다운(Up-Down)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머리.목(경추) 좌우운동 모드(Mode)에 맞춘 다음 시작버튼을 누르면, 공기발생장치(120)의 에어펌프가 동작되어 제 3 공기제어밸브(143)와 제 4 공기조절밸브(144) 및 전원에어호스(180)을 통해 에어가 패드(100)의 팽창튜브(20)로 공급되어 패드(100)의 좌측인 제 3 팽창튜브(23) 및 우측인 제 4 팽창튜브(24)를 팽창시킨다.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181 located below the controller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pad 100 (Cervical vertebra) movement button of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 112 of the controller 200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86 and then pushing the up-down button, The air pump of the air generator 120 is operated so that the third air control valve 143 and the fourth air control valve 144 and 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are operated Air is supplied to the expansion tube 20 of the pad 100 to expand the third expansion tube 23 on the left side of the pad 100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on the right side.

이때, 압력제어 모듈(130)의 제 3 압력센서(133)는 제 3 팽창튜브(23)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4 압력센서(134)는 제 4 팽창튜브(24)의 압력을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third pressure sensor 133 of the pressure control module 130 senses the pressure of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the fourth pressure sensor 134 senses the pressure of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Detection.

아울러, 각 압력센서(133, 134)는 제어 모듈(150)에 미리 입력된 모드(Mode)에 맞은 적정량의 에어가 각 팽창튜브(23, 24)에 주입되도록 감지하고, 적정량의 에어가 주입되면, 제어 모듈(150)은 공기발생장치(120) 에어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곧 바로 공기제어 모듈(140)의 각 공기조절밸브(143, 144)를 열어서 에어를 배출 시킨다.Each of the pressure sensors 133 and 134 senses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corresponding to a mode input in advance to the control module 150 is injected into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3 and 24 and when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is injected , The control module 1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air generating device 120 air pump and immediately releases the air control valves 143 and 144 of the air control module 140 to discharge the air.

그리고,, 제어 모듈(150)은 팽창튜브(23, 24)의 에어가 배출이 완료되는 정해진 시점에서, 다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팽창튜브(23, 24)를 팽창시키고 수축시키는 기능을 정해진 시간 동안 반복하여 머리.목(경추) 좌우 운동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n, the control module 150 performs the function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expansion tubes 23 and 24 again in the same manner at a predetermined time point at which the air of the expansion tubes 23 and 24 is completely discharged for a predetermined time Repeat the function of head and neck (cervical) left and right.

또한, 제어 모듈(150)은 정해진 모드에 따라 패드(100)의 좌측인 제 3 팽창튜브(23) 및 우측인 제 4 팽창튜브(24)를 하나씩 좌우 교대로 팽창과 수축을 교차시켜서 머리.목(경추) 좌우 운동의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50 may alternately expand and contract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which are the left side of the pad 100 and the right side, depending on the predetermined mode, (The cervical vertebrae).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 모듈(150)은 모드(Mode) 및 압력수치와 경과시간 등을 컨트롤러(200)의 LCD(111)화면을 통해 막대그래프나 숫자,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스피커(90, 91)를 통해 음성 또는 멜로디로 출력할 수가 있다. In this state, the control module 150 can display the mode, the pressure value, the elapsed time, and the like through a bar graph, a number, or an animation through the LCD 111 screen of the controller 200, , 91 to output voice or melody.

그리고, 설정시간 중에 기능의 종료를 원할 경우 종료 버튼을 누르면 각 공기조절밸브(143, 144)가 열려서 각 팽창튜브(23, 24)의 에어는 배출되고 장치는 오프 된다.
If it is desired to terminate the function during the set time, if the end button is pressed, the air control valves 143 and 144 are opened, air of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3 and 24 is discharged, and the device is turned off.

<사용예 4>&Lt; Use Example 4 >

패드(100)의 팽창튜브(20)에 에어를 주입하여 패드(100)의 머리부위와 목 부위 및 양측 부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예.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tube 20 of the pad 100 to raise and lower the head, neck and both sides of the pad 100.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베개패드장치의 수면장애 방지 및 치료기능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leeping disorder prevention and treatment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컨트롤러(200) 시스템의 전원을 온하고, 컨트롤러(200) 하부에 위치한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181)에 전원에어호스(180)를 연결하고 타단은 패드(100)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186)에 접속한 상태에서 컨트롤러(200)의 기능선택 버튼(112) 중 수면장애방지 버튼을 누르고, 다음으로 시작버튼을 누르면, 공기발생장치(120)의 에어펌프가 동작되어 제 1 공기제어밸브(141)와 제 2 공기조절밸브(142)와 제 3 공기조절밸브(143)와 제4 공기제어밸브(144) 및 전원에어호스(180)을 통해 에어가 패드(100)의 팽창튜브(20)로 공급되어 제 1 팽창튜브(21)와 제 2 팽창튜브(22) 및 제 3 팽창튜브(23)와 제 4 팽창튜브(24)를 팽창시킨다.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181 located below the controller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pad 100 The air pump of the air generating apparatus 120 is operated to start the first air control when the sleep failure prevention button among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s 112 of the controller 200 is pressed while the start button is pressed, Air flows through the valve 141, the second air control valve 142, the third air control valve 143, the fourth air control valve 144, and the power supply air hose 180 to the expansion tube 20 to expand the first expansion tube 21,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이때, 압력제어 모듈(130)의 제 1 압력센서(131)는 제 1 팽창튜브(21)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2 압력센서(132)는 제 2 팽창튜브(22)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3 압력센서(133)는 제 3 팽창튜브(23)의 압력을 감지하고, 또, 제 4 압력센서(134)는 제 4 팽창튜브(24)의 압력을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sensor 131 of the pressure control module 130 senses the pressure of the first expansion tube 2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2 senses the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22 The third pressure sensor 133 senses the pressure of the third expansion tube 23 and the fourth pressure sensor 134 senses the pressure of the fourth expansion tube 24. [

아울러, 각 압력센서(131, 132, 133, 134)는 제어 모듈(150)에 미리 입력된 단계(Level)에 맞은 적정량의 에어가 각 팽창튜브(21, 22, 23, 24)에 주입되도록 감지하고, 적정량의 에어가 주입되면 제어 모듈(150)은 공기발생장치(120) 에어 펌프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공기제어 모듈(140)의 각 공기조절밸브(141, 142, 143, 144)를 닫아서 에어의 유출을 막는다.Each of the pressure sensors 131, 132, 133 and 134 senses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corresponding to a level input in advance to the control module 150 is injected into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1, 22, 23, The control module 150 stops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120 and closes the air control valves 141, 142, 143 and 144 of the air control module 140 Prevent air leakage.

그런 다음, 사용자가 컨트롤러(200)의 기능선택 버튼(112) 중 설정 버튼을 누르면, 제어 모듈(150)에 정해진 수면시간(예, 8시간) 동안 패드(100)의 각 팽창튜브(21, 22, 23, 24)가 팽창과 높이를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설정된다.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setting button among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s 112 of the controller 200, the control module 150 controls the respective expansion tubes 21, 22 (for example, 8 hours) of the pad 100 for a predetermined sleep time , 23, 24) are automatically set to maintain the expansion and height.

이어서, 제어 모듈(150)에 의해 사용인의 수면 중에 각 압력센서(131, 132, 133, 134)는 각 팽창튜브(21, 22, 23, 24)의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인의 머리가 놓여 있는 부위를 수면 중 계속 감지한다. 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50 senses the pressure of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1, 22, 23, and 24 during the user's sleeping so that the pressure sensor 131, 132, 133, During sleep.

그리고, 사용인의 수면 중에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증상이 시작되면 제어 모듈(150)의 제 1 마이크(171)는 소리를 감지하고, 음원분석센서(152)는 소집한 음원를 분석하여,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증상 특유의 소리로 판단되면 제어 모듈(150)에 의해 머리가 놓여 있는 부위의 팽창튜브(20)에 에어를 공급하여 팽창튜브(20)를 최대한 팽창시켜 사용인의 머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주어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증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치료한다.The first microphone 171 of the control module 150 senses a sound and the sound source analysis sensor 152 analyzes the sound source which is called by the control module 150 when a symptom of a sleep disorder (snoring, sleep apn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is specific to the sleeping disorder (snoring, sleep apnea) symptoms, the control module 150 supplies air to the expansion tube 20 at the head of the head to expand the expansion tube 20 to the utmost, Turn the head to the left or right to prevent and treat symptoms of sleep disorders (snoring, sleep apnea).

또한, 사용인의 수면 중 발생된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중상은 제 1 마이크(171)에서 감지하고, 음원분석센서(152)에서 분석 후 소집되어, 제어 모듈(150)의 음원저장장치(153)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횟수와 제어 모듈(150)에 의해 수면장애(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증상의 방지기능이 가동 또는 작동된 횟수 등을 컨트롤러(200)의 수면장애방지 모드(Mode)를 선택하여 LCD(111)에서 출력 할 수 있다. The loudspeakers (snoring, sleep apnea) caused by the user's sleep are detected by the first microphone 171 and analyzed by the sound source analyzing sensor 152, (Snoring, sleep apnea), and the number of times the prevention function of the sleeping disorder (snoring, sleep apnea) symptom is activated or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150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controller 153, The user can select the sleep-disorder prevention mode of the LCD 200 and output the selected mode.

그리고, 수면장애방지 모드의 설정시간 중에 기능의 종료를 원할 경우 종료 버튼을 누르면 각 공기조절밸브(141, 142, 143, 144)가 열려서 각 팽창튜브(21, 22, 23, 24)의 에어는 배출되고 장치는 오프 된다.If it is desired to terminate the function during the set time of the sleep-disorder prevention mode, if the end button is pressed, the air in each of the expansion tubes 21, 22, 23 and 24 is opened And the device is turned off.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 :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10 : 패드케이스
20 : 팽창튜브
30 : 벨크로테이프
40 : 완충패널
50 : 팽창튜브 커버
60 : 패드커버
70 : 밀림방지라벨
80 : 방향키트
90 : 제1스피커
100 : 패드
110 : 디스플레이 모듈
120 : 공기발생장치
130 : 압력제어 모듈
140 : 공기제어 모듈
150 : 제어 모듈
160 : 전원 모듈
170 : 인터페이스 모듈
180 : 전원에어호스
200 : 컨트롤러
300 : 베개
1: Multifunctional pillow pad device
10: Pad case
20: Expansion tube
30: Velcro tape
40: buffer panel
50: Expansion tube cover
60: Pad cover
70: Anti-jam label
80: direction kit
90: First speaker
100: Pad
110: Display module
120: air generating device
130: Pressure control module
140: air control module
150: Control module
160: Power module
170: Interface module
180: Power supply air hose
200: controller
300: pillow

Claims (11)

베개의 내부에 장착 또는 하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직사각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패드;와
상기 패드의 내부 공간부에 고정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의 내부가 비어있는 에어백 형상으로 패드 상면의 각 부위를 팽창시키는 팽창튜브;
상기 패드의 상면 양측에 부착되고, 기능성방향액을 장시간 베개의 외부로 휘산시키는 팩형태의 방향키트;와
상기 패드의 내부에 고정되고, 기능성음악을 출력하여 수면에 도움을 주는 스피커;
상기 패드에 연결하여 패드와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패드의 각 팽창튜브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기발생장치;
상기 컨트롤러 내부의 PCB에 실장되고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상기 패드의 각 팽창튜브 사이에 결합되어, 각 팽창튜브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 모듈; 및
상기 컨트롤러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상기 패드의 각 팽창튜브 사이에 결합되어, 각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공기제어 모듈;
상기 컨트롤러 내부의 PCB에 실장되어, 숙면을 유도하고 불면증을 치료하는 기능성음악을 재생하여 상기 패드의 각 스피커에 출력하는 MP3플레이어;와
상기 컨트롤러 내부의 PCB에 실장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압력제어모듈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팽창튜브를 제어하고 또한, 제1마이크와 MP3플레이어 및 무선통신기를 제어하고 이를 외부로 제공하는 제어 모듈;
상기 컨트롤러의 외측 면에 전원 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 단자를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컨트롤러 내에 구비된 충전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각 구성부에 공급하며,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전원 모듈;과
상기 패드의 외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전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전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패드와 상기 컨트롤러와 결합되어, 에어의 공급 또는 배출통로 역할 및 전기케이블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전원에어호스;
상기 전원에어호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수면장애(코골이, 무호흡증)증상의 음성을 수집하여 제어모듈의 음원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제 1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베개패드장치.
A pad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pillow or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thereof;
An expansion tube fixed to an inner space portion of the pad and expanding each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in an air bag shape in which an interior of an elastic material is hollow;
A directional kit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and packed with the functional direction liquid to the outside of the pillow for a long period of time;
A speaker fixed inside the pad and outputting functional music to help sleep;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pad to control the pad and each component;
An air generating device fixed inside the controller and supplying air to each of the expansion tubes of the pad;
A pressure control module mounted on the PCB inside the controller and coupled between the air generating device and each of the expansion tubes of the pad to control the pressure of each expansion tube; And
An air control module fixed inside the controller and coupl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each of the expansion tubes of the pad to control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each expansion tube;
An MP3 player mounted on a PCB inside the controller to reproduce functional music for inducing a good sleep and treating insomnia and outputting the reproduced music to each speaker of the pad;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componen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outside, controls the expansion tube using the pressure value measured from the pressure control module, and controls the first microphone, the MP3 player,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roviding it to the outside;
A power supply terminal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troller, a commercial power supply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to charge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 the controller, a voltage output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is supplied to each component, A pow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a current output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external control;
An interface module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ad, the interface modu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 display modu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power module to display various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an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module;
A power supply air hose coupled to the pad and the controller, the power air hose serving as a supply or discharge passage of air and a passage of the electric cable;
And a first microphone fixed to the inside of the power supply air hose and collecting the voice of a sleeping disorder (snoring, apnea) symptom,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voice to the sound source analyzing device of the control modul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견고하고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상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각 구성부가 설치되고, 패드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패드케이스;와
상기 패드케이스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각 팽창튜브가 자리하는 부위가 천공된 형태로, 부드러운 질감의 합성섬유 또는 합성피혁 재질로 각 구성부의 덮개 역할을 하는 패드커버;
상기 패드케이스와 패드커버 사이에 접합되고, 상기 팽창튜브가 자리하는 부위가 천공된 형태로, 탄성재질인 고탄성스펀지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패드의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패널; 및
상기 패드커버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고, 테이프 형상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비닐 재질로 겉 표면이 거칠어 베개와 상기 패드 사이에 미끌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밀림방지라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d includes:
A pad case which is formed of a rigid and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polyurethane material,
A pad cov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ad case and having a perforated portion where each of the expansion tubes is disposed, the pad cover serving as a cover of each component portion with a soft synthetic fiber or a synthetic leather material;
A buffer panel bonded between the pad case and the pad cover and having a perforated portion at which the expansion tube is disposed, the buffer panel being made of a highly elastic sponge or polyurethane material, which is an elastic material; And
And an anti-jamming label fix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cover, the anti-jamming label serving to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pillow and the pad due to a rough outer surface made of a tape-like polyurethane or polyvinyl material Multifunction pillow pa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는,
상기 패드 상면의 머리가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하는 제 1 팽창튜브;와
상기 패드 상면의 목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하는 제 2 팽창튜브;
상기 패드 상면의 우측 얼굴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하는 제 3 팽창튜브;
상기 패드 상면의 좌측 얼굴이 닿는 부위를 높이고 낮추는 역할을 하는 제 4 팽창튜브;
상기 각 팽창튜브에 결합되어 공기통로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에어호스; 및
상기 각 팽창튜브의 상면에 부착되고, 부드럽고 신축성이 뛰어난 합성직물 재질로 각 팽창튜브가 팽창할 때 팽창튜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팽창튜브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ansion tube comprises:
A first expansion tube that functions to raise and low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hat the head touches;
A second expansion tube that functions to raise and lower a neck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A third inflation tube serving to raise and low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hat the right side face touches;
A fourth inflation tube that serves to raise and low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that touches the left face;
An expansion tube air hose coupled to each of the expansion tubes and serving as an air passage; And
And an expansion tube cov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expansion tubes and serving to protect the expansion tube when the expansion tubes expand due to a soft and stretchable synthetic fabric material.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트는,
숙면을 유도하는 라벤더 방향제와 같은 기능성 방향액;과
상기 방향액을 저장하고 외부 압력에 완충역할을 하는 흠침스펀지;
상기 방향액이 저장된 상기 흠침스펀지를 내장하는 방향키트팩;과 방향키트베이스; 및
상기 방향키트베이스의 저면에 접합되어 방향키트를 상기 패드의 상면에 탈 부착이 가능한 용도의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ion kit includes:
A functional aromatic liquid such as a lavender fragrance that induces a good night's sleep;
A scratch sponge for storing said direction liquid and serving as a buffer against external pressure;
A direction kit pack including the directional sponge in which the directional liquid is stored; And
And a Velcro tape bond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direction kit base, the Velcro tape being capable of attaching a direction kit to an upper surface of the pa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마이크로스피커로, 상기 패드케이스의 상부 양측 공간부에 2개 이상이 고정되고, 상기 제어모듈이 MP3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기능성음악을 출력하여 수면을 유도하고, 불면증을 치료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eaker includes:
The micro speaker is fixed at two or more spaces on both upper side spaces of the pad case, and the control module outputs functional music reproduced from the MP3 player to induce sleeping and to treat insomnia. Multifunction pillow pa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컴팩트한 사이즈의 직사각면체 형태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외부 정면에는 제어 모듈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LCD;와
각 기능을 제어하고 명령하는 기능을 하는 기능선택버튼;
외부의 하면에는 컨트롤러와 상기 패드를 에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에어호스의 컨트롤러컨넥터; 및
외부의 상면에는 컨트롤러 내부에 구비된 충전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충전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로US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comprising:
An LCD having a rectangular shape of a compact size that is easy to grasp by hand and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having an external front surface for outpu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A function selection button for controlling and commanding each function;
A controller connector of a power supply air hos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troller and the pad to the air on an external lower surface; And
And a micro USB which can connect a power charging cable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발생장치는,
에어를 발생하는 에어 펌프;와
상기 패드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와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와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모듈에서 전송되는 제어 전기신호와 공기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에어를 패드의 팽창튜브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원에어호스; 및
상기 패드의 전원에어호스 패드컨넥터와 상기 컨트롤러의 전원에어호스 컨트롤러컨넥터가 결합하는 표면부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전원()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generation device includes:
An air pump generating air
A power supply air hose connector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pad and a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of the controller to supply a control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module of the controller and air generated by the air generator to the expansion tube of the pad, hos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rface portion where a power supply air hose pad connector of the controller and a power supply air hose controller connector of the controller are connected; and a power supply termin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 모듈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1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1 압력센서;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2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2 압력센서;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3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3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3 압력센서; 및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4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4 팽창튜브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 4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control module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air pressure in the first expansion tube;
A second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A third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third expansion tube; And
And a fourth pressure sensor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fourth expansion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제어 모듈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1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1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2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2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3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3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3 공기조절밸브; 및
상기 공기발생장치와 제 4 팽창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제 4 팽창튜브에 공급 또는 배출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제 4 공기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ontrol module includes:
A first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first expansion tube;
A second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second expansion tube;
A third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third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third expansion tube; And
And a fourth air control valve connected between the air generator and the fourth expansion tube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ied to or discharged from the fourth expansion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마이크에서 수집된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음원분석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음원분석센서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저장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d a sound source analysis sensor for analyzing the voice data collected by the first microphone and transmitting the analyzed voice data to the control module,
And a sound source storage device for storing data input to and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analysis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송수신하는 제 1무선 통신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제어 모듈과 송수신하는 제 2무선 통신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베개패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n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display module,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ontrol module.
KR1020160042470A 2016-04-06 2016-04-06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KR101643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70A KR101643545B1 (en) 2016-04-06 2016-04-06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70A KR101643545B1 (en) 2016-04-06 2016-04-06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45B1 true KR101643545B1 (en) 2016-07-28

Family

ID=5668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470A KR101643545B1 (en) 2016-04-06 2016-04-06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45B1 (en)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401B1 (en) * 2016-10-20 2017-04-12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Cervical pillows stretch
KR101761878B1 (en) * 2016-08-01 2017-07-26 김정우 Pillow and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the suffocation accident of children
KR101885461B1 (en) * 2017-02-16 2018-08-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Height adjustable pillow
KR20180126821A (en) * 2017-05-18 2018-11-28 노근호 Pillow
KR20180130928A (en)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불스원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ment of pillow
WO2019039750A1 (en) * 2017-08-21 2019-02-28 주식회사 메텔 Automatically height-adjustable pillow
KR101935722B1 (en) 2018-05-18 2019-04-03 김수형 All-In-One Function Pillow Device
KR20190123112A (en) * 2018-04-23 2019-10-31 박세호 Smart pillow
KR102023362B1 (en) * 2019-04-09 2019-11-04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65513B1 (en) * 2018-12-13 2020-01-13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IT201800007960A1 (en) * 2018-08-08 2020-02-08 Angela Rita Scifo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yofascial detensioning of one or more parts of the body
KR102086307B1 (en) 2019-12-20 2020-03-06 김수형 Body Relaxation Massage Device
WO2020122394A1 (en) *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KR102136808B1 (en) * 2019-02-18 2020-07-2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illow for exercising neck
KR102137927B1 (en) * 2020-03-11 2020-07-24 (주)성우메디텍 Massage pillow with air-bag
KR102354774B1 (en) * 2020-11-13 2022-01-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Active Pillow System
KR102406918B1 (en) 2021-06-29 2022-06-10 김수형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US20230000428A1 (en) * 2019-11-30 2023-01-05 Resmed Sensor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user position using multi-compartment bladders
KR20230140208A (en) 2022-03-29 2023-10-06 홍현성 Height-Adjustable Pillow Having User-Customized Variable Structure
KR102632417B1 (en) 2023-07-06 2024-01-31 김수형 Height adjusted Height growth Pillow with Spinal correction and Sleep disorder Improvement function
WO2024029731A1 (en) * 2022-08-03 2024-02-08 주식회사 불스원 Snoring relief pillow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noring relief pill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190A (en) * 2009-05-13 2012-02-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An active pillow system and a method for manipulating a person's resting conditions
KR20120002384U (en) * 2010-09-28 2012-04-05 리스토어 인터내셔널 코., 엘티디. Massage pillow for anti-sn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190A (en) * 2009-05-13 2012-02-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An active pillow system and a method for manipulating a person's resting conditions
KR20120002384U (en) * 2010-09-28 2012-04-05 리스토어 인터내셔널 코., 엘티디. Massage pillow for anti-snoring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78B1 (en) * 2016-08-01 2017-07-26 김정우 Pillow and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the suffocation accident of children
KR101725401B1 (en) * 2016-10-20 2017-04-12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Cervical pillows stretch
KR101885461B1 (en) * 2017-02-16 2018-08-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Height adjustable pillow
WO2018151482A1 (en) * 2017-02-16 2018-08-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Height-adjustable pillow usable for rehabilitation therapy
RU2721142C1 (en) * 2017-02-16 2020-05-18 Корея Юниверсити Рисерч Энд Бизнес Фаундейшн Height-adjustable rehabilitation therapeutic pillow
KR101969094B1 (en) * 2017-05-18 2019-04-15 노근호 Pillow
KR20180126821A (en) * 2017-05-18 2018-11-28 노근호 Pillow
KR20180130928A (en) * 2017-05-30 2018-12-10 주식회사 불스원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ment of pillow
KR102052099B1 (en) * 2017-05-30 2019-12-04 주식회사 불스원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ment of pillow
KR20190020377A (en)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메텔 Pillow availabl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its hight
KR102034574B1 (en) * 2017-08-21 2019-11-18 주식회사 메텔 Pillow availabl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its hight
WO2019039750A1 (en) * 2017-08-21 2019-02-28 주식회사 메텔 Automatically height-adjustable pillow
KR20190123112A (en) * 2018-04-23 2019-10-31 박세호 Smart pillow
KR102046599B1 (en) * 2018-04-23 2019-11-19 박세호 Smart pillow
KR101935722B1 (en) 2018-05-18 2019-04-03 김수형 All-In-One Function Pillow Device
IT201800007960A1 (en) * 2018-08-08 2020-02-08 Angela Rita Scifo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yofascial detensioning of one or more parts of the body
JP7113562B2 (en) 2018-12-13 2022-08-05 テンマイン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EXTERNAL FOR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XTERNAL FORCE DETECTION SYSTEM
CN111989015A (en) * 2018-12-13 2020-11-24 天满紫商贸有限公司 External force detec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ystem
KR102065513B1 (en) * 2018-12-13 2020-01-13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0122394A1 (en) *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KR102136808B1 (en) * 2019-02-18 2020-07-22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illow for exercising neck
KR102023362B1 (en) * 2019-04-09 2019-11-04 주식회사 텐마인즈 External force detect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30000428A1 (en) * 2019-11-30 2023-01-05 Resmed Sensor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user position using multi-compartment bladders
US11819335B2 (en) * 2019-11-30 2023-11-21 Resmed Sensor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user position using multi-compartment bladders
KR102086307B1 (en) 2019-12-20 2020-03-06 김수형 Body Relaxation Massage Device
KR102137927B1 (en) * 2020-03-11 2020-07-24 (주)성우메디텍 Massage pillow with air-bag
KR102354774B1 (en) * 2020-11-13 2022-01-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Active Pillow System
KR102406918B1 (en) 2021-06-29 2022-06-10 김수형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KR20230140208A (en) 2022-03-29 2023-10-06 홍현성 Height-Adjustable Pillow Having User-Customized Variable Structure
WO2024029731A1 (en) * 2022-08-03 2024-02-08 주식회사 불스원 Snoring relief pillow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noring relief pillow
KR102632417B1 (en) 2023-07-06 2024-01-31 김수형 Height adjusted Height growth Pillow with Spinal correction and Sleep disorder Improvemen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45B1 (en) Pillow pad device for multi function
KR101935722B1 (en) All-In-One Function Pillow Device
US99079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d treating sleep disorders and sleep-related conditions
CN110251112B (en) Wearable device
JP3181658U (en) Deep sleep pillow
US20160367432A1 (en) Electromechanical tactile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CN202386359U (en) Pillow
KR102406918B1 (en)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JP2009525160A (en) Clothing capable of preventing sleep breathing disorder and / or bed slip, and sleep breathing disorder and / or bed slip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77903B1 (en) 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JP2003164496A (en) Sleeping environment control device
CN201197525Y (en) Healthy-care bed mattress used for nursing and massaging lumbar vertebra and cervical vertebra
JP2023540748A (en) smart mattress
KR20230040964A (en) Mattress assembly comprising oscillator
WO2021039464A1 (en) Mattress device
TW201937440A (en) Sleeping apparatus and sleeping system
WO2015033008A1 (en) Mattress and posture correction appliance therefor
CN108851847A (en) Intelligent multiple use pillow
KR200483101Y1 (en)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KR102487668B1 (en)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systems
CN210727392U (en) Multifunctional pillow
JP3101466U (en) Anti-snoring pillow
KR102632417B1 (en) Height adjusted Height growth Pillow with Spinal correction and Sleep disorder Improvement function
JP2021069527A (en) Nap system
CN214760205U (en) Multifunctional mat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