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01Y1 -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 Google Patents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101Y1 KR200483101Y1 KR2020150004082U KR20150004082U KR200483101Y1 KR 200483101 Y1 KR200483101 Y1 KR 200483101Y1 KR 2020150004082 U KR2020150004082 U KR 2020150004082U KR 20150004082 U KR20150004082 U KR 20150004082U KR 200483101 Y1 KR200483101 Y1 KR 2004831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ow
- cervical
- air
- air tube
- cervical vertebr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237 neck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6578 sleeping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1175 cerebrospinal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23509 Kyph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727 cerebral blood flow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9816 Muscle tight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531 Chill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118 Hypot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79 Memory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14 Mental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904 Musculoskeletal stif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36 Ne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8319 Oropharynge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100 Phary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13 Shoulder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235 Snor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42 ba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0 cereb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9 cervic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12 clin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6 head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16 hear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5 lymph nod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0 memor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0 muscle relax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87 myo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4 nerv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0 pharyn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33 traum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채워져 베개몸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공기튜브와, 상기 공기튜브에 공기를 집어 넣거나 공기튜브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조절밸브가 일단에 구비되어 공기튜브에 연결된 공기공급호스의 말단에 연결 설치되는 공기주입기;를 포함하되, 상기 베개몸체는 사용자의 경추 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외표면이 라운드형으로 돌출되면서 쿠션재로 구성되는 경추받침부와, 상기 경추받침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경추받침부와 동일 폭과 더 낮은 높이로 이루어져 이용자의 어깨 상단부를 받쳐주도록 상호간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어깨받침부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어깨받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2어깨받침부와 경추받침부의 사이에는 경추받침부의 일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소정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 개방된 경추받침부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튜브가 삽입되는 공기튜브장착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경추받침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공기튜브의 팽창량에 따라 경추받침부 또는 어깨받침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ackrest neck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back pillow having an air tube filled with air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pillow body, and an air tube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air tube, And an air inject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air control valve and connected to the end of an air supply hose connected to the air tube, wherein the pillow body protrudes outward in a round shape so as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of the user, The cervical vertebra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rvical vertebra and a cervical vertebra which ar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a lower height as the cervical vertebra in front of and behind the cervical vertebra, And a second shoulder support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shoulder rest portion, The cervical vertebra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cision section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cervical vertebrae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cervical vertebrae and an air tube mounting part for inserting the air tube is formed inside the cervical vertebrae part opened through the incision part And a height of the cervical spine portion or the shoulder rest por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pansion of the air tube inserted into the cervical spine receiving por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맞게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베개 사용이 편안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목과 어깨 및 흉추 상단 부위까지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신체적으로 불구합이 발생된 신체의 교정과 근육이완 및 뇌척수액과 뇌혈류의 순환증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backrest neck pillow, which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haracteristics,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pillow and support the neck, shoulder, To a functional backrest neck pillow that allows the body to be calibrated, muscular relaxation, and circulation enhancement of cerebrospinal fluid and cerebral blood flow.
인간에 있어서 수면은 신체적, 정신적 피로를 회복시켜 생활의 원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생리활동 중의 하나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In humans, sleep is a very important factor as one of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necessary to restore the physical and mental fatigue and provide the driving force of life.
이러한, 수면은 수면시간 뿐만 아니라 수면자세 등이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중 어느 하나의 요소라도 부족하거나 결핍되면 양질의 수면을 취할 수가 없게 되고, 수면의 질이 떨어지게 되면 인간의 생리적 및 신체적 리듬과 조절능력이 저하된다.Such sleeping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leeping surface as well as the sleeping time, and if any one of them is deficient or lacking, it becomes impossible to take a good quality sleep, The physiological and physical rhythm and control ability of humans are degraded.
수면시간은 연령대에 따라 다르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 7~8시간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루 24시간 중 1/3 즉, 일생의 1/3을 수면을 취하는데 소비될 만큼 인간에게 있어서 수면은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Although the sleeping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age group, it is known to be suitable for about 7 to 8 hours a day on an adult basis, and one third of the 24 hours a day, that is, one third of the life is consumed for taking sleep. It is an essential element in living a healthy life.
또한, 수면자세는 수면시간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In addition, sleep pos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onjunction with sleeping time.
즉, 수면을 취한 후에 목이 아프거나, 머리가 무겁거나, 어깨가 저리거나 하는 것은 수면을 취하는 동안 그 자세가 불편하여 발생된 것으로, 아무리 많은 수면시간을 갖는다 하여도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 편안한 수면을 취했다고 볼 수 없다.In other words, a sore throat, a heavy head, or a shoulder rattling after taking a sleep is caused by the uneasiness of the posture while taking a sleep. If the posture is not correct even if it has a lot of sleeping time, I can not say I am drunk.
수면을 취하는 자세로는 똑바로 누운자세, 옆으로 누운 자세, 양팔을 머리 위로 올리고 자는 자세, 돌아누운 자세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There are various forms of taking sleep, such as an upright posture, a lying posture, a posture on which one's arms are raised above the head, and a posture.
가장 바람직한 수면자세로는 아래 Fig. 1 및 Fig. 2와 같이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운자세로 상부 흉추부위가 지지되면서 경추 뼈 사이가 신장되도록 하면서 목 부위가 만곡(C자 커브)형상이 되어 경추각도가 유지되는 Fig. 2 의 그림과 같이 이마와 턱이 약 5도의 경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위해 베개의 높이는 한국인 기준으로 6~10㎝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most desirable sleeping position is shown in Fig. 1 and Fig. The cervical vertebrae were placed in a straight posture as shown in Fig. 2 (a), and the cervical vertebra was extended. As shown in Figure 2, it is known that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forehead and jaw approximately 5 degrees. For this purpose, it is known that the height of the pillow is about 6 to 10 cm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Fig. 1 Fig. 2 Fig. 1 Fig. 2
이와 같이 바른 수면자세를 취함으로 인해서 수면시간동안 긴장되었던 온몸의 근육들을 이완시켜서 긴장을 해소하고, 원활한 혈액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면시간 동안 신체가 재충전되는 시간을 갖게 되며, 구부정한 자세 등으로 인해 압박을 받았던 신체 각 부위의 압박을 해소시켜 건강한 신체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By taking such a right sleeping posture, the muscles of the whole body that have been strained during the sleeping time are relaxed to relieve the tension and to enable smooth blood circulation, so that the body has a time to be recharged during the sleeping time, To relieve pressure on each part of the body that has received the body to maintain a healthy.
반면에, 옆으로 누운 자세는 척추나 골반이 비틀어질 가능성이 있어서 두부를 일정 높이 받쳐주도록 하여 목부를 지지하는 경추부위가 휘어지지 않게 베개의 높이를 알맞은 것으로 선택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that the spine or the pelvis may be twisted, and the toe is supported at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cervical spine supporting the neck is not bent.
또한, 양팔을 위로 올리고 자는 자세나 돌아누워 자는 자세는 어깨를 비롯한 목부위의 여러 근육을 긴장시킬 수가 있어 바람직한 수면자세로는 적당하지 못하다.Also, putting both arms up and resting in a relaxed posture can tighten the muscles of the neck, including the shoulders, and is not suitable for a desirable sleeping posture.
이와 같이, 적당한 수면시간과 좋은 수면자세를 취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베개이다.Thus, a pillow is essential for proper sleeping time and a good sleeping posture.
예로부터 베개는 그 형태와 용도에 따라 낮잠용 목침, 목에 베는 경침, 안고 자는 죽부인, 향초 등을 내부에 넣은 향침 등 다양한 형상과 재질, 기능 및 크기를 갖는 베개가 사용되어 왔다. Pillows of various shapes, materials, functions, and sizes have been used, such as a napping needle for a nap, a light needle for a neck,
이와 같이, 베개는 인간이 바른 자세로 수면을 취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으며, 좋은 베개의 사용이 수면의 질을 높이고 인체의 각종 질병 치유 및 신체의 불구합을 해소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As such, pillows have been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tool for people to take sleep in the right attitude, and the use of good pillows is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the quality of sleep and relieving various diseases and disabilities of the body. .
즉, 잘못된 베개의 사용은 머리와 몸통을 잇는 경추의 신경, 근육, 혈관, 인대, 임파선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목부위에 압박을 가하거나 충격을 가하게 되고, 목이 비뚤어짐으로 인해서 눈, 코, 귀, 인후, 심장, 폐, 위의 건강이 나빠짐은 물론이고 동맥경화나 견비통 및 만성두통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In other words, the use of a wrong pillow may cause compression or shock to the complex neck of the cervical nerves, muscles, blood vessels, ligaments, and lymph nodes connecting the head and the trunk, Ear, throat, heart, lung, and stomach, as well as cause atherosclerosis, stiffness and chronic headache.
또한, 이와 반대로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신체의 노화 등으로 인해서 신체의 특정부위(경추, 척추, 어깨 등)가 변형된 경우, 일반적인 베개를 사용할 경우 잘못된 신체부위를 더욱 나빠지게 하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cervical vertebrae, vertebrae, shoulders, etc.) is deformed due to a wrong living habits or the aging of the body, the use of a general pillow may make the wrong body part worse.
일례로, 아래 Fig.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추 후만증, 두부 전방이동, 둥근어깨, 척추 후만증 등과 같이 신체의 특정부위가 변형된 경우, 베개의 높이가 더욱 높은 것을 이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체의 변형된 부위를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이 발생되고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below, whe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is deformed, such as thoracic kyphosis, head forward movement, round shoulder, and posterior lumbar vertebrae, the higher pillow height is used, The deformed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is further worsened.
흉추 후만증 두부 전방이동 등근어깨 척추 후만증Thoracic kyphosis, head forward movement, shoulder spine posterior kyphosis
[Fig. 3 신체 변형 예] [Fig. 3 body modification example]
따라서, 좋은 수면을 취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신체의 변형된 부위의 자세를 교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베개는 단순한 머리받침대 역할을 하는 침구에서 탈피하여 수면시간 동안 편안함을 제공하여 신체의 활력을 회복시키고, 균형잡힌 신체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강기구의 역할까지 하게 되어 좋은 베개의 사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면서 종래의 평범한 베개에서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베개로 그 기술의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ake good sleep but also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deformed part of the body, the pillow breaks away from the bedding which acts as a simple head restraint, restoring the vitality of the body by providing comfort during the sleeping time And the use of a good pillow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e conventional pillow has been developed as a functional pillow with various functions.
베개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 중, 특히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면서 목부위의 근육과 신경조직의 긴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베개의 경우, 베개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체형이나 수면 습관에 맞춰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장 편안한 수면이 유지되도록 하고, 수면시 목이나 어깨 등 다른 신체부위의 압박이나 긴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성을 제공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pillow provided with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ow to relieve the tension of muscles and nervous tissues of the neck while inducing comfortable sleeping,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in accordance with the sleeping habits so as to maintain the most comfortable sleep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mpression or tension of the neck or shoulder when sleeping .
특히, 본 고안이 속하는 에어주입식 베개의 경우, 기계식 장치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베개에 비해 비교적 베개의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 저렴하게 제작,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air-injecting pillow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nd provided at a relatively low cost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llow, compared to a pillow for adjusting the height by using a mechanical device.
이러한 종래의 에어 주입식 배게의 일부 실시예를 살펴보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8667호(등록일:2000.02.03, 고안의 명칭: 공기펌프식 높이조절 베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1745호(등록일:2003.07.21, 고안의 명칭: 높낮이 조절을 위한 베개의 에어주입 및 배출장치), 한국실용신안 등록 제20-0436534호(등록일: 2007.08.28, 고안의 명칭: 높낮이 조절형 베개) 등이 안출된 바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such conventional air-injected pouches,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78667 (registered on Feb. 2, 2000, design name: air pump type height adjustable pillow),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21745 (Registered on July 21, 2003, name of design: air injection and discharge device for pillow for height adjustment),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6534 (Registered Date: 2007.08.28, Name of Design: Height Adjustable Pillow) This is what has happened.
이와 같은 종래의 높낮이 조절형 베개는 베개 이용자의 신체에 맞게 베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개의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목 디스크, 두통, 코골이, 어깨 결림 등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Such a conventional height-adjustable pillow allows the pillow to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body of the pillow so as to prevent or alleviate the neck disk, headache, snoring, shoulder stiffness, etc., .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식 높이조절형 베개의 경우에도 기계식 높이조절수단이 적용된 종래의 다른 형태의 베게와 마찬가지로 그 구조 및 구성이 복잡하거나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고가의 부품 및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어 기능성 베개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이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type height-adjustable pillow, the structur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pillow are complicated and the expensive parts and the manufacturing cost are large So that there is a disadvantage in increasing the economic burden of users who purchase and use the functional pillow.
또한, 공기가 주입되어 부풀어 오르는 공기주머니 또는 에어튜브는 그 횡방향 중심부가 가장 높게 부풀어 올라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을 중점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됨으로 인해서 높이를 높게 할 수록 사용자의 목부분과 머리부분 사이의 기울기가 크게 되어 베개 높이를 높게 할 경우 경추부위의 무리한 신장으로 수면 후에 목이 뻐근하는 등 수면 후에 오히려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In addition, the air bag or the air tube, which is inflated with air and inflate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rear part of the user's head mainly because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bag is bulged up to the highest level and formed into an elliptical structure. And the height between the head and the pillow is increased, the height of the pillow may be unreasonably increased due to excessive stretching of the cervical region.
특히, 나이가 들어가면서 어깨 통증, 두통, 목 디스크 등의 발병확률이 높아짐으로 인해서 수면시 베개의 올바른 사용과 베개의 기능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잘못된 베개의 사용은 편안한 수면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신체의 자극을 유발하게 되어 신체 각 부위의 근육에 긴장 또는 동통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됨으로 인해서 올바른 베개의 이용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상태이다.Particularly, as the ag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shoulder pain, headache, and neck disc becomes higher, so that the correct use of the pillow and the function of the pillow are more emphasized at the time of sleep. The use of the wrong pillow not only interferes with a comfortable sleep, , Which causes tension or pain in the muscles of each part of the body. Thus, it is important that the pillow has a proper habit of using the pillow.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에어주입식 높이조절형 베개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주입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경추받침부가 좌우 및 전후 균형 있게 승강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베개 이용자의 머리를 균형있게 받쳐주고, 베개 높낮이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고장발생을 줄이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이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air injection type height-adjustable pillow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cervical vertebrae, whose height is controlled by air inj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functional backrest neck pillow which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troubles and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illow height, improve durability,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on the user.
특히, 본 고안은 경추받침부의 전후방으로 서로 길이가 상이한 어깨받침부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둥근 어깨 및 두부 전방이동된 이용자의 목근육과 둥근 어깨주변의 근육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자의 신체 체형 및 신체 변형에 따라 어깨받침부의 넓은쪽과 좁은쪽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houlder rest portion having a different length from each other in front of and behind the cervical rest portion, so as to alleviate muscle tension around the neck muscles and round shoulders of a user who has been moved forward with round shoulder and hea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backrest neck pillow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wide side and a narrow side of the shoulder rest por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는 사용자의 경추 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외표면이 라운드형으로 돌출되면서 쿠션재로 구성되는 경추받침부와, 상기 경추받침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경추받침부와 동일 폭과 더 낮은 높이로 이루어져 이용자의 어깨 및 흉추상단부를 받쳐주도록 상호간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어깨받침부가 구비된 베개몸체; 공기가 채워져 상기 베개몸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공기튜브; 상기 공기튜브에 공기를 집어 넣거나 공기튜브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조절밸브가 일단에 구비되어 공기튜브에 연결된 공기공급호스의 말단에 연결 설치되는 공기주입기; 상기 제1어깨받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2어깨받침부와 경추받침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경추받침부의 일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를 통해 개방된 경추받침부의 내측으로 상기 공기튜브가 삽입 설치되도록 형성된 공기튜브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추받침부의 상면에는 광물질로 이루어진 일정 높이의 지압돌기가 다수 돌출된 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경추받침부의 내측에는 공기튜브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경침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functional back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rvical vertebra which is formed of a cushion material and protrudes outside in a round shape so as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of a user, A pillow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shoulder rest portion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nd lower height as the cervical spine portion and extended to have mutually different lengths so as to support an upper end of a user's shoulder and thoracic vertebra; An air tube filled with air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illow body; An air injector connected to an end of an air supply hose connected to an air tube and having an air control valve at one end thereof so as to inject air into the air tube or to discharge the air filled in the air tube to the outside; A cutout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shoulder rest portion and the cervical vertebra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shoulder rest portion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an air tube mounting part for inserting the air tube into the cervical vertebra of the cervical vertebra that is opened through the incision part. The cervical vertebr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ith a pivot plate protruding a large number of acupressure protrusions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hard needle which is rais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air tub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ervical spin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베개 이용자의 목부 근육 및 압통점에 자극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개몸체의 외측으로 감싸지는 외피의 표면에는 베개몸체의 경추받침부 상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한 개 이상의 격자형 밸런스 테이프가 형성된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outer skin that is wrapped outside the pillow body to provide stimulation to the neck muscles and tender points of the pillow use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lattice type balance tap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rvical spine of the pillow body Structure.
상기 격자형 밸런스테이프는 그 폭 및 간격이 3~5㎜, 길이가 7~10㎝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측 테이프는 3줄~8줄, 상부측 테이프는 4~9줄로 구성되어 서로 직각 또는 45도 각도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추받침부의 중심부에서 제1어깨받침부 및 제2어깨받침부의 각 선단부까지의 길이는 2:1의 비율을 갖도록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The lattice type balance tape has a width and an interval of 3 to 5 mm and a length of 7 to 10 cm. The lower side tape has 3 to 8 lines and the upper side tape has 4 to 9 lines. And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cervical vertebrae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shoulder rest part and the second shoulder rest part is formed to have a ratio of 2: 1.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는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생산성이 양호하고, 사용시 고장발생 위험이 적으며, 이용자의 조작이 편리한 베개를 제공하게 된다.The functional back pillow neck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has a good productivity, has a small risk of occurrence of trouble during use, and provides a pillow tha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특히, 목 뒷부분과 어깨 상단부까지 받쳐주면서 후두부는 닿지 않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수면시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 경추 뼈 사이가 신장되어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back of the neck and top of the shoulder, while supporting the back of the head can be used in the form of non-reaching when sleeping or resting in the cervical vertebrae are stretched to relax the tension muscles and maintain airway.
또한, 베개 이용자의 목부에 접촉하는 외피의 상면에 격자형 밸런스테이프가 형성되어 있어서 베개 이용자의 목부 근육 및 압통점에 자극을 주게 되어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면서 신체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경추받침부 내측에 광물질의 지압돌기가 형성된 지압편이 구비되어 목부위의 지압효과를 제공함과 더불어 광물질의 지압돌기에서 인체에 유용한 에너지장이 방출되어 목부를 통하는 뇌혈류와 뇌척수액의 순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 신체의 혈행개선으로 베개 이용자의 건강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lattice type balance t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kin contacting the neck of the pillow user, it stimulates the neck muscles and tender points of the pillow user so as to relax the tensed muscles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body,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effect of acupressure on the neck, it is also equipped with an acupressure piece formed with a mineral pressure pad on the inside of the pad. In addition, the energy field useful for the human body is released from the lipid pressure pad of the mineral to improve circulation of cerebral blood flow and cerebrospinal fluid The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in the body provides a useful effect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the user of the pillow.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상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수직 절단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에 적용된 밸런스테이프의 일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의 결합상태시 수직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기능성 등받이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back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main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back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a partial enlarged view,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back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balance tape applied to a functional back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of a major configuration of a functional back pillow pil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neck pil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use state diagram of a functional back pil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이하, “베개”로 약칭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nctional back pill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illow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0)는 이용자의 머리와 목 부위 및 어깨의 일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베개몸체(10)가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The
즉,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0)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내부 구성을 수직단면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의 구성 및 형상과 그 기능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shape of the
또한, 베개 각 부위의 형상과 구조의 설명시 이해가 용이하도록 베개를 베고 눕는 양쪽 방향을 전후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표시하고, 그 전후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폭방향이라고 칭한다.Furthe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pillow, both directions in which the pillow is laid down are indi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leftward / rightward direction or the widthwise direction .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0)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적인 형상이 마치 직사각형모양으로 이루어지면서 바닥면은 편평하고 그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 전체 길이의 약 1/3 지점에서 좌우 폭방향으로 일정 높이의 라운드형 경추받침부(12)가 융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First, the overall shape of the
특히, 상기 경추받침부(12)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어깨받침부(14,1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어깨받침부(14)는 최고의 위치인 경추받침부(12)의 상면에서 비교적 완만한 기울기로 하강하면서 경추받침부(12)의 전방으로 후방측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어깨받침부(16)는 최고의 위치인 경추받침부(12) 상면에서 제1어깨받침부(14)보다 더 경사가 급한 하강 기울기를 갖으면서 더 짧은 길이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Particularly, the first and second shoulder rests 14, 16 having a length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rvical
도 1은 베개의 외피(5) 내측에 베개몸체가 삽입된 최종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베개(100)의 일측으로 외피(5) 내측으로 삽입된 베개몸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공기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뺄때 사용하기 위한 공기주입기(25)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1 shows a state in which the pillow body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2는 외피(5)를 제거한 상태에서 외피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베개몸체(10)의 구성을 분리도시하고 있다.Fig.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베개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좌우 폭방향으로 라운드형의 상면이 일정 높이 돌출되어 베개 이용자의 목부위, 즉 경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 라운드형으로 융기된 경추받침부(12)가 상면으로 일정 높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받침부(12)의 전후 양쪽 방향으로 경추받침부(12)에서 점차 그 높이가 낮어지면서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제1어깨받침부(14)와 제2어깨받침부(16)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특히, 상기 제1어깨받침부(14)와 제2어깨받침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받침부(12)의 중심부에서 각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즉,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의 전후방향의 전체 길이가 L이라 할 때 상기 경추받침부(12)의 중심부에서 길이가 짧은 제2어깨받침부(16)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는 전체길이의 1/3L이고, 경추받침부(12)의 중심부에서 제1어깨받침부(1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는 2/3L로 구성되어 제1어깨받침부(14)가 제2어깨받침부(16)보다 훨씬 길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ength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0)에서 경주받침부(12)의 전·후방에 각각 길이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어깨받침부(14)(16)를 두는 이유는 베개 이용자의 목부위를 받쳐주는 목베개 기능 뿐만 아니라 둥근 어깨형태로 변형되었거나 두부 전방이동(흉추후만증 포함)된 자세로 변형된 경우, 등쪽 상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수면시나 누워있는 자세에서 목과 어깨 그리고 등 주위의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어깨받침부의 길이가 길고 짧게 제1 및 제2 어깨받침부로 구성된 것은 이용자의 체형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또한, 신체의 노화에 따라 등 상부와 어깨가 구부러지는 경우 및 잘못된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구부러진 경우 등 신체변형이 발생한 경우 수면시간 및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 등과 목부위의 근육긴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변형된 신체자세를 교정시키는 효과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the body is deformed due to the aging of the back and shoulders, or when the body is bent due to wrong lifestyle, etc.,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muscle tension of the neck and the like when sleeping time and lying down So as to provide an effect of correcting the deformed body posture.
한편, 도 2의 분해상태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의 특징부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개몸체(10)는 일정한 탄성재, 바람직하게는 항균성과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갖춘 메모리 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the
또한, 베개몸체(10)의 상면에 라운드형으로 돌출 형성된 경추받침부(12)의 일부는 그 후단 및 측단에 절개부(13)가 형성되어 절개부(13)에 의해 분리된 일정 크기의 개폐구(12a)가 전방으로 젖혀져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절개부(13)에 의해 분리된 개폐구(12a)의 내측으로 베개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공기튜브(20)가 삽입되어 베개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된다.A part of the
그리고, 베개몸체(10)의 내부에 공기튜브(20)가 삽입된 후에 개폐구(12a)가 닫혀 자연적으로 오픈되지 않도록 개폐구(12a)의 일측에 고정구(12b)가 형성되어 경추받침부(12)의 후방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fter the
이와 더불어, 상기 베개몸체(10)의 내부에 공기튜브(20)가 삽입된 후, 개폐구(12a)가 닫힌 상태에서 라운드형의 개폐구 상면에는 개폐구(12a)의 형상과 유사한 패드형태의 지압판(40)이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fter the
상기 지압판(40)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42)가 요철 형태로 구성되어 베개 이용자의 경부를 지압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지압판(40) 및 지압돌기(42)는 일라이트볼, 토르말린 볼, 제올라이트 볼, 황토 볼 등 광물질로 구성되어 광물질에 포함된 에너지장이 발산되어 후경부의 긴장된 근육의 이완을 통해 뇌척수액과 뇌혈류 순환증진을 촉진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한다.A plurality of
상기 베개몸체(10) 내부에 내장되어 경추받침부(12)의 높이를 조절하는 공기튜브(20)는 내마성과 내오염성이 있는 고탄력성 고무재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베개몸체(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개몸체(10)에 형성된 경추받침부(12)와 제1 및 제2 어깨받침부(14,16)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경추받침부(12)와 제1 및 제2어깨받침부(14,16)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공기튜브(20)는 그 내측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부피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공기공급호스(24)가 일측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공기공급호스(24)의 말단에는 사용자의 압축 조작에 의해 외부공기를 공기공급호스(24)를 통해 강제 주입하여 공기튜브(20)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기(25)가 구비된다.The
또한, 상기 공기주입기(25)의 일단에는 공기주입기를 통해 공기튜브(20)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을 저지하면서 공기튜브의 높이 조절을 위해 공기튜브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조절밸브(22)가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상기 공기튜브(2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개몸체(10)의 경추받침부(12) 일부분이 절개부(13)에 의해 베개몸체에서 분할되어 상하 개폐가능한 개폐구(12a)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구(12a)의 내측으로 공기튜브 장착부(15)가 일정 깊이 형성되고, 공기튜브(20)가 공기튜브 장착부(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구(12a)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구(12a)의 후단과 베개몸체(10)의 후단 사이에는 소정의 고정구(12b)가 구비된다. A part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0)는 경추받침부(1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공기튜브(20)에 의해 그 높낮이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춰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결합상태의 단면및 사용상태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The height of the
상기 경추받침부(12)의 전후방에 각각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어깨받침부(14,16)는 서로 상이한 길이로 구성되어 베개 이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제1어깨받침부(14) 또는 제2어깨받침부(16)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즉, 도 4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1어깨받침부(14)를 사용자의 등 상부를 받쳐주도록 한 상태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게 되면, 구부정한 자세나 신체의 노화, 둥근 어깨 등으로 인해 변형된 신체가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동안 제1어깨받침부가 어깨 상부를 받쳐주게 되어 바르지 못한 신체자세로 인해 발생되었던 목부나 어깨부위, 등 상부측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변형된 체형을 교정시키는 효과 뿐만 아니라 근육이완에 따른 뇌척수액과 뇌혈류의 소통이 증진되거나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the use state diagram of FIG. 4, if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개는 사용자의 목부를 받쳐주는 목베개 역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후두부는 받쳐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경추 뼈 사이를 신장시키면서 C형의 커브모양이 유지되도록 하여 항상 기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neck pillow for supporting the neck of a user, while preventing the back of the user from supporting the cervical spine,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 Ensure that airway maintenance is availabl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베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5)의 상면에 격자모양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밸런스 테이프(30)가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베개를 사용자의 목부에 받칠 경우, 외피(5)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밸런스 테이프(30)가 목부 근육 및 압통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여 목과 어깨상단부의 근육긴장을 경감시키거나 긴장을 소실시킬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본 고안의 베개 외피(5)에 적용된 격자모양의 상기 밸런스 테이프(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테이프(32)와 세로테이프(31)가 일정간격 유지되면서 서로 직교 또는 45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호로 교차되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밸런스 테이프(30)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구논문 및 건강관련 서적에 소개되고 있어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략적으로만 설명한다.As shown in FIG. 5, the lattice-shaped
즉, 상기 밸런스 테이프(30)의 기능 및 효과는 인체의 특정부위(근섬유)에 테이프를 붙여서 근육의 긴장과 이완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균형을 바로잡아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자연치유기술의 하나로, 일명 테이핑 요법으로 알려져 있다.That is,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테이프를 몸에 붙이면 몸의 불균형 상태로 인한 근육의 뒤틀림이 없어져서 척추와 관절 및 근육 등의 통증이 해소되고, 운동능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어 관절이나 근육에 발생한 부종이나 통증 등 온갖 장애를 자연적으로 치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When the tape is attached to the body, the muscles are not twisted due to the unbalance of the body, and the pain of the spine, joints and muscles is relieved, and the exercise capacity is increased. Thus, all kinds of disorders such as edema and pain in the joints and muscles are naturally healed It is reported that it is possible to do.
따라서, 인체의 다양한 장애만큼이나 테이프를 붙이는 위치나 테이프의 크기 등도 달라지게 되어 전문가에 의해 테이핑요법 치료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테이핑요법에 관한 과학적, 임상적 효과를 확인 및 입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논문(박유선, “운동병합 테이핑요법이 여성 노인의 만성요통, 일상생활기능장애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이장원 외, “스파이랄 테이핑 요법 시술이 요통환자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제23권 제5호(2006년 10월)// 고미아, “경부통증을 호소하는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밸런스 테이핑 요법의 효과”,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이 있다.Therefore, taping therapy is performed by a specialist as the position of the tape and the size of the tape are changed as much as the various faults of the human body, and a variety of research papers that can confirm and prove the scientific and clinical effects of taping therapies (Park, Yoo Sun, "Effects of exercise combination taping on chronic low back pain, daily living dysfunction and depression in female elderly",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 Lee, Jang Won et al., "Effects of Spiral Taping Therapy o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2006, October) // Gomia, "Effect of Balance Taping Therapy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s Who Came to Cervical Pa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2012).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인체의 통증해소 및 자연치유기능이 있는 테이핑요법을 인체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인체에서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중 하나이면서 여러가지 외상이나 물리적 손상의 위험이 높으며 머리와 몸을 연결하는 중요한 혈관 및 신경조직이 분포하고 있는 경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경추받침부(12)의 상면에 해당되는 베개의 외피에 형성되도록 하여 수면시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외피에 형성된 밸런스 테이프(30)에 경부가 접촉되어 인체에 직접 부착한 테이핑요법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is invention, it is not one of attaching the taping therapy having the natural healing function to the human body to relieve the pain of the human body and is one of the most moveable parts in the human body, and there is a high risk of various trauma and physical damage. The
본 고안에 적용된 밸런스 테이프는 가로 및 세로테이프 모두 폭 및 간격이 3~5㎜로 구성되고, 그 길이는 7~10㎝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에 위치한 테이프는 3~8줄, 상부에 위치한 테이프는 4~9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런스 테이프의 형성은 베개의 외피에 수(繡)로 박음질되거나 특정 패턴으로 인쇄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balance tape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3 to 5 mm wide and 5 mm wide tape, 7 to 10 cm in length, 3 to 8 lines at the bottom, and 4 To 9 lines, and the formation of the balance tapes may be formed by being stamp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or printed in a specific pattern.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상태도와 그 결합상태 단면도 및 사용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6 to 8 are respectively an exploded state view, a coupled state sectional view, and a used state of the main structure of th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베개에서 공기튜브(20)의 상면에 라운드형 또는 호형의 단면을 갖는 경침(50)이 추가로 삽입 설치되는 특징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즉, 베개몸체(10)의 분리된 경추받침부(12)의 내측으로 공기튜브(2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공기튜브(20)의 상면으로 내면에 오목부(52)가 형성되고 외면이 라운드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경침(50)이 안착되며, 상기 경침(50)의 상면으로 광물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압돌기(42)가 형성된 지압판(40)이 안착된 상태에서 개방된 개폐구(12a)가 닫혀지고, 닫혀진 상기 개폐구(12a)의 상면으로 외피(5)가 씌여져 사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압판(40)이 경침(50)의 상면에 안착되고, 지압판(40)의 상면으로 경추받침부의 개폐구(12a)가 덮여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지압판(40)은 경추받침부(12)의 내측에 경침(50)이 내장된 상태에서 개폐구가 닫히고, 닫힌 개폐구 상면에 안착된 후에 외피가 씌여지는 구조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그리고, 상기 지압판(40)은 망사형태의 속내피로 고정시켜 베개 이용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도면에는 이에 대한 상세한 도시가 생략되었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그리고, 상기 베개몸체(10)의 경추받침부(12) 상면에 해당되는 외피(5)의 상면에는 베개 이용자의 목부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 이상의 배런스 테이프(30)가 형성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경침(50)은 목재, 특히 편백나무 재질로 이루어져 베개몸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사용되는 중에 편백나무 고유의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이용자의 쾌적한 수면을 유도하고, 베개몸체 내부에서 각종 병원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베개 이용자의 건강에 유익하도록 한다.The light and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에서 베개몸체(10)의 내측에 딱딱한 경침(50)이 포함되고, 경침(50)의 오목부(52) 안쪽으로 공기튜브(20)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공기 주입에 따라 공기튜브(20)가 부풀어 오르면서 경침(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경추받침부(12)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In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0)의 사용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The use state of the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사용상태도에는 사용자가 베개의 제1어깨받침부를 사용자의 등 부위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8의 사용상태도는 제2어깨받침부(16)가 사용자의 등 부위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베개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The use state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uses the first shoulder rest part of the pillow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back part of the user, And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경추받침부를 기준으로 전후 양쪽으로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제1어깨받침부와 제2어깨받침부가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체형에 따라 등 부위를 받쳐주는 부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houlder rest portion and a second shoulder rest portion, each of which has a 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rvical spin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cervical spine, and supports the back por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r body shape of the user So that it can be selected and used.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인체의 형상에 맞게 경추부위를 받쳐주는 경추받침부가 라운드형으로 돌출되면서 베개 이용자의 목부를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베개 이용자의 어깨부위까지 받쳐주게 되어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한 구부정한 자세에 대한 교정효과도 함께 제공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vical spine supporting the cervical spin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uman body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a round shape to support the neck of the user of the pillow, and to support the shoulder portion of the pillow user And provides a correction effect for a bent posture due to a wrong posture.
또한, 탄성재의 경추받침부 상면이나 그 내측에 광물질로 구성된 지압돌기가 돌출 형성된 지압판이 부착되어 베개 이용자의 목부위를 지압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시 베개 이용자의 목부와 어깨부위의 긴장을 완화시키거나 소진시키고, 뇌척수액과 뇌혈류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하거나 이의 순환을 증진시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 cervical spine protrusion formed of a mineral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rvical spine of the resilient material or the inner side thereof is attached,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shivering the neck area of the pillow user, thereby relieving the tension of the neck and shoulders of the pillow user at the time of sleeping Or exhaustion of the cerebrospinal fluid and provide a beneficial effect in facilitating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and cerebral blood flow, or enhancing its circulation.
특히, 본 고안의 베개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부와 어깨부위만 받쳐주는 구조이고 후두부는 받쳐주지 않도록 베개몸체가 형성됨으로 인해서 반듯하게 베개를 베고 누울 경우 경추 및 상부 흉추부위가 지지되면서 경추 뼈 사이가 신장되어 목 부위가 만곡(C자 커브)형상이 유지되면서 기도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4 and 8,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only the neck and shoulders of the user, and when the pillow is folded flatly due to the pillow body being formed not to support the back of the head, As the site is supported, the cervical vertebrae are stretched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neck (C-shaped curve) so that the airway is maintained.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된 지압판(40)은 경추받침부를 구성하는 개폐구(12a)의 상면이나 경침(5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그 저면에 별도의 접착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부가적인 수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가능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5 : 외피 7 : 지퍼
10 : 베개 몸체 12 : 경추받침부
12a: 개폐구 12b: 고정구
13 : 절개부 14 : 제1어깨받침부
15 : 공기튜브 장착부 16 : 제2어깨받침부
20 : 공기튜브 22 : 공기조절밸브
24 : 공기공급호스 25 : 공기주입기
30 : 절개부 40 : 지압판
42 : 지압돌기 50 : 경침
52 : 오목부 100 : 베개5: Sheath 7: Zipper
10: pillow body 12: cervical vertebra
12a: opening /
13: incision part 14: first shoulder rest part
15: air tube mounting part 16: second shoulder rest part
20: air tube 22: air regulating valve
24: air supply hose 25: air injector
30: incision section 40:
42: acupressure projection 50:
52: concave portion 100: pillow
Claims (5)
상기 경추받침부의 상면에는 광물질로 이루어진 일정 높이의 지압돌기가 다수 돌출된 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경추받침부의 내측에는 공기튜브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경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A cervical vertebra comprising a cushion member protruding in a round shape so as to support a cervical vertebra of a user; a cervical vertebra having the same width and a lower height as the cervical vertebra in front of and behind the cervical vertebra; A pillow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shoulder rest portions extended to have mutually different lengths to support the upper end portion; An air tube filled with air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illow body; An air injector connected to an end of an air supply hose connected to an air tube and having an air control valve at one end thereof so as to inject air into the air tube or to discharge the air filled in the air tube to the outside; A cutout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shoulder rest portion and the cervical vertebra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shoulder rest portion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an air tube mounting part formed to insert the air tube into the cervical support part opened through the incision part,
Wherein a cervical spin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rvical spine with a plurality of pressure-
Wherein the cervical vertebra is provided with a light needle which is rais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air tube.
상기 베개 이용자의 목부 근육 및 압통점에 자극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개몸체의 외측으로 감싸지는 외피의 표면에는 베개몸체의 경추받침부 상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한 개 이상의 격자형 밸런스 테이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3. The method of claim 2,
One or more lattice type balance tap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skin wrapped around the pillow body to provide stimulation to the neck muscles and tender points of the pillow us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rvical spine of the pillow body Functional back pillow neck.
상기 격자형 밸런스테이프는 그 폭 및 간격이 3~5㎜, 길이가 7~10㎝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측 테이프는 3줄~8줄, 상부측 테이프는 4~9줄로 구성되어 서로 직각 또는 45도 각도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The method of claim 3,
The lattice type balance tape has a width and an interval of 3 to 5 mm and a length of 7 to 10 cm. The lower side tape has 3 to 8 lines and the upper side tape has 4 to 9 lines. Wherein the backrest is formed to intersect at an angle.
상기 경추받침부의 중심부에서 제1어깨받침부 및 제2어깨받침부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는 2:1의 비율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cervical vertebrae to a distal end of the first shoulder rest part and the second shoulder rest part is 2: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4082U KR200483101Y1 (en) | 2015-06-19 | 2015-06-19 |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4082U KR200483101Y1 (en) | 2015-06-19 | 2015-06-19 |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497U KR20160004497U (en) | 2016-12-28 |
KR200483101Y1 true KR200483101Y1 (en) | 2017-04-05 |
Family
ID=5770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4082U KR200483101Y1 (en) | 2015-06-19 | 2015-06-19 |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101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2953U (en) | 2017-04-06 | 2018-10-16 | 김정현 | Handle An integral flowerpot |
KR102295646B1 (en) * | 2021-02-10 | 2021-08-27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Oxygen supply apparatus |
KR102476475B1 (en) * | 2021-05-06 | 2022-12-13 | 이정근 | Pillow for cervical vertebral and fluid materials filling tub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6829Y1 (en) * | 1999-08-19 | 2000-04-15 | 정세영 | Pillow having a changeable height |
KR200374180Y1 (en) | 2004-06-08 | 2005-01-27 | 윤문병 | Fomentaion pilow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8667Y1 (en) | 1999-08-27 | 2000-04-15 | 신인준 | An air pump type height regulatable pillow |
JP2004146651A (en) | 2002-10-25 | 2004-05-20 | Tokyo Electron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with resist |
KR200321745Y1 (en) | 2003-04-04 | 2003-07-31 | 신석균 | air cushion |
-
2015
- 2015-06-19 KR KR2020150004082U patent/KR200483101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6829Y1 (en) * | 1999-08-19 | 2000-04-15 | 정세영 | Pillow having a changeable height |
KR200374180Y1 (en) | 2004-06-08 | 2005-01-27 | 윤문병 | Fomentaion pil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497U (en) | 2016-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41179B2 (en) | Deep sleep pillow | |
KR101474820B1 (en) |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 |
KR20100050859A (en) | A myofascal relaxer for physical therapy | |
KR101577903B1 (en) | 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 |
KR102406918B1 (en) | Neck cervical vertebrae pillow with functions to improve sleep disorders and blood circulation | |
KR102109986B1 (en) | Faculty pillow | |
KR200483101Y1 (en) |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 |
KR101378163B1 (en) | Multi position rest | |
KR100795271B1 (en) | Bare rattan pillows | |
KR20180004993A (en) | Rolling Shiatsu massage pillow for cervical treatment with functionality | |
WO2007091863A1 (en) | Bear back and neck pillow | |
CN204541544U (en) | Adjustable cervical vertebra healthcare pillow | |
CN202919716U (en) | Magnetotherapy shaping and muscle-bone strengthening pillow | |
KR20090011511U (en) | chiropratic pillow for beauty and correcting the posture | |
KR100929198B1 (en) | Cervical orthopedic pillows that support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head | |
KR200456599Y1 (en) | Spinal brace | |
KR200271779Y1 (en) | Neck pillow | |
CN200938989Y (en) | Combined bearer | |
JP3093737U (en) | pillow | |
KR101889221B1 (en) | a pillowa | |
RU30532U1 (en) | Orthopedic pillow | |
KR102632417B1 (en) | Height adjusted Height growth Pillow with Spinal correction and Sleep disorder Improvement function | |
CN217408387U (en) | Modular filling adjusting pillow | |
KR200474245Y1 (en) | Supporter for spinal adjustment and alleviating waist pain | |
KR101964154B1 (en) | Functional Pill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61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82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3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3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4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