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173B1 -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 Google Patents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173B1
KR101643173B1 KR1020150164135A KR20150164135A KR101643173B1 KR 101643173 B1 KR101643173 B1 KR 101643173B1 KR 1020150164135 A KR1020150164135 A KR 1020150164135A KR 20150164135 A KR20150164135 A KR 20150164135A KR 101643173 B1 KR101643173 B1 KR 10164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water flow
water
magne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용
강은영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5016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06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 G01P13/004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by using the rotation of vanes
    • G01P13/0046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by using the rotation of vanes with electrical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1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the magnetic field is produced by the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을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물이 흐르는 통로를 수직으로 막아 물의 흐름을 일직선으로 유지하도록 구동되어, 밸브를 개폐해 주기 위한 밸브본체부; 상기 밸브본체부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송신하기 위한 물 흐름 감지장치부; 및 상기 밸브본체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로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원격지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Running Water Sensing Of Sluice Valv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을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수감지용 제수밸브는, 스윙척(swing chuck)식의 체크 밸브(check valve) 구조를 하고 있고, 본체 내부가 분리벽에 의하여 1차측실과 2차측실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서 분리벽은 연통구가 뚫려 형성되고, 연통구는 축지된 밸브체에 의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수감지용 제수밸브는, 항상 밸브체가 닫힌 상태이고, 2차측실에 접속된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의 개방에 의하여 2차측실의 압력이 저하함으로써, 밸브체가 회전하여 1차측실에서 2차측실로 유수가 발생한다. 이때의 밸브체의 회전을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밸브체에 고정된 축은,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유수감지용 제수밸브는, 축의 회전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상이 된 경우에 리밋 스위치(limit switch)가 기동되도록 가로로 긴 레버를 축에 설치하여 두며, 밸브체의 회전에 의한 변위량을 증폭하여 레버의 선단 부근에 설치된 리밋 스위치에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 유수감지용 제수밸브는, 밸브체의 1차측면에 원호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여 1차측실과 2차측실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의 유수 면적이 작아진 구조로 형성되며, 1차측실에서 2차측실로 흐르는 수류에 의한 밸브체의 회전량을 증폭시켜 밸브축 부근에 설치한 리밋 스위치에서 변위를 검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4701호(2010.02.22 등록)는 유수감지용 제수밸브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내부에 흐르는 유수를 감지하는 유수감지장치가 관통 설치된 제수밸브에 있어서, 유수감지장치는, 제수밸브의 일단부에 관통 설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의 상부면에 두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비되면서 두 개의 삽입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장치와, 힌지장치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유수의 흐름에 의해 힌지장치를 중심하여 좌, 우로 회동되도록 단면상 "T" 형태의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감지부와, 하우징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감지수단이 좌, 우 회동할 시에, 수평부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상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홀이 형성된 결합홈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단면상 "╋" 형태로 외주연에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연결핀과, 하우징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연결핀의 상측부가 지지되도록 상측면에 지지홀이 형성되고 연결핀이 상, 하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핀지지부로 구성되는 연결부와, 하우징의 상측부에 구비되어 연결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상부면에 슬라이딩 되는 연결핀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표시홀이 연결핀에 맞춰 형성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든 관의 내부에 유수 흐름을 쉽게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누수 및 관 막힘 등의 문제점과 유수의 흐름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28875호(1998.08.05 공개)는 송ㅇ배수관로 전체에 걸리는 압력의 측정이 용이하여 파열 등으로 생기는 불의의 재난을 예방할 수 있는 제수밸브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밸브체 내부에 디스크를 장착하고 커버로 밀폐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커버의 적정위치에 테이퍼형 나사공을 뚫고 동일형상의 데이퍼형 나사부가 형성된 플러그를 나사식으로 끼우되 양측 플렌지 둘레에는 형 환요부를 요설하여 바이톤제오링을 각각 내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수감지용 제수밸브는,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최소한 2명의 관리자가 한조가 되어 일일이 힘을 주어가며 확인하거나, 하수도 점검 등을 통해 쌓은 개인 경험치를 토대로 밸브 개폐 정보를 간접 측정하기 때문에, 관리자마다 오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므로 인력낭비 및 행정낭비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밸브 개폐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밸브에 무리한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밸브에 손상을 줌으로써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4701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2887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을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물이 흐르는 통로를 막도록 수직으로 밸브를 개폐해 주기 위한 밸브본체부; 상기 밸브본체부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송신하기 위한 물 흐름 감지장치부; 및 상기 밸브본체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로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원격지시부를 포함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는, 상기 밸브본체부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터빈케이스; 상기 터빈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터빈몸통; 상기 터빈몸통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마그네틱; 및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틱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원격지시부로 송신하기 위한 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로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기 위한 수신부재; 상기 수신부재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표시신호로 생성시켜 주는 제어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에서 생성시킨 표시신호에 따라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제어부재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재;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신부재, 상기 제어부재, 상기 표시부재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주기 위한 전원공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으로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마그네틱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력에 대한 정보 및 고유번호를 포함한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원격지시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고유번호 및 자기력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고유번호 및 자기력정보로부터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을 측정하며, 측정한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신호로 생성시켜 상기 표시부재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고유번호의 순서를 파악하고, 파악된 고유번호의 순서에 대응하는 순서를 메모리부재로부터 확인하여, 확인된 순서에 대응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표시부재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자기력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자기력정보에서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에 대한 시간 간격을 확인하여, 확인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유속을 메모리부재가 판독하여, 판독된 유속을 표시부재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는, 상기 터빈케이스의 일측 외부면과 상기 터빈몸통의 외부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터빈케이스와 상기 터빈몸통 사이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터빈커버;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 내부와 상기 터빈몸통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터빈케이스와 상기 터빈몸통 틈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고무링; 및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 외부면과 상기 밸브본체부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터빈케이스와 상기 밸브본체부의 틈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고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는, 상기 터빈의 회전축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빈의 회전축을 지지해 주기 위한 제1베어링; 상기 제1베어링의 일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과 상기 터빈몸통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스토퍼; 상기 터빈의 회전축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터빈의 회전축에서 상기 터빈의 회전을 지지해 주기 위한 제2베어링; 및 상기 마그네틱의 외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의 외부면을 보호해 주기 위한 마그네틱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을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를 제공함으로써, 밸브의 개폐 상태를 일일이 힘을 주어 확인하거나 간접 측정하지 않아도 밸브에 설치된 원격지시장치를 통해 밸브의 개폐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의 개폐 상태 측정에 대한 오차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인력 및 행정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누수 및 관 막힘 등의 문제점들을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밸브에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손상을 주지 않아 밸브의 손상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밸브 사용 기간을 늘릴 수 있으며, 터빈 회전속도에 따라 유속을 측정할 수 있어, 다양한 상수도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밸브 탐지방식보다 안전성, 정확성, 용이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내지 도 4는 도 1에 있는 물 흐름 감지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원격지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100)는, 밸브본체부(110),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 원격지시부(130)를 포함한다.
밸브본체부(110)는, 원둘레의 일단부에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를 설치하고, 상부에 원격지시부(130)를 고정 설치하며, 물이 흐르는 통로를 막도록 수직으로 밸브를 개폐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본체부(110)는, 예를 들어, 볼 밸브, 소프트 실 밸브와 같은 제수밸브를 개폐해 줄 수 있다.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는, 밸브본체부(110)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한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물 흐름 감지신호로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물 흐름 감지신호를 원격지시부(130)로 송신한다.
원격지시부(130)는, 밸브본체부(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로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원격지시부(130)는,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로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물 흐름 감지신호에 대한 물 흐름에 대한 정보(즉, 물의 흐름 방향과 유속)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100)는,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123)을 사용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밸브의 개폐 상태를 일일이 힘을 주어 확인하거나 간접 측정하지 않아도 밸브에 설치된 원격지시부(130)를 통해 밸브의 개폐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의 개폐 상태 측정에 대한 오차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인력 및 행정낭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누수 및 관 막힘 등의 문제점들을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밸브에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손상을 주지 않아 밸브의 손상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밸브 사용 기간을 늘릴 수 있으며, 터빈(123) 회전속도에 따라 유속을 측정할 수 있어, 다양한 상수도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밸브 탐지방식보다 안전성, 정확성, 용이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내지 도 4는 도 1에 있는 물 흐름 감지장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는, 터빈케이스(121), 터빈몸통(122), 터빈(123), 마그네틱(124), 자기센서(125)를 포함한다.
터빈케이스(121)는, 일측에 터빈몸통(122)을 고정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자기센서(125)를 고정 설치하며, 밸브본체부(110)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케이스(121)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터빈몸통(122)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터빈케이스(121)는, 다른 일측의 내부면을 터빈(123)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다른 일측의 내부에 제1고무링(127)을 설치하며,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자기센서(125)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 외부면에 제2고무링(128)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케이스(121)는, 물에 녹슬지 않는 소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금속, 티타늄금속, 알루미늄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터빈몸통(122)은, 터빈케이스(12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터빈(123)을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몸통(122)은, 일측이 터빈케이스(12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몸통(122)은, 다른 일측의 하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설치된 터빈(123)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터빈(123)이 물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케이스(121)는, 물에 녹슬지 않는 소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금속, 티타늄금속, 알루미늄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터빈(123)은, 터빈몸통(122)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123)은, 예를 들어 소형 물레방아 장치로서,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123)의 회전축은, 일측이 터빈케이스(121)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다른 일측이 터빈(123)의 중앙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123)의 회전축은, 일측에 마그네틱(124)과 마그네틱케이스(223)를 고정 설치하며, 다른 일측에 터빈(123), 제1베어링(129) 및 스토퍼(221)를 설치할 수 있다.
마그네틱(124)은, 외부면에 마그네틱케이스(223)를 고정 형성하고, 터빈(123)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터빈(12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그네틱(124)은, 자기장을 형성하여, 자기센서(125)에 최초의 자기장을 입력할 수 있다.
자기센서(125)는,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터빈(12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마그네틱(124)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즉, 마그네틱(124) 자기력에 대한 정보)를 생성시켜 원격지시부(130)로 송신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자기센서(125)는, 마그네틱(124)의 N??S 극성에 상관없이 마그네틱(124)의 검출거리에 따라 마그네틱(124)의 자기장으로부터 형성된 자기력을 감지하여, 마그네틱(124) 자기력에 대한 정보를 물 흐름 감지신호로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물 흐름 감지신호를 원격지시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기센서(125)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기센서(125)는,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으로 일정한 원을 형성하여 부착 설치되고, 각각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마그네틱(124)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력에 대한 정보 및 고유번호를 포함한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원격지시부(130)(즉, 수신부재(131))(도 3 참조)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센서(125)는, 3개로 형성된 경우에, 120도 간격을 두고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각각 1, 2, 3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마그네틱(124)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기센서(125)는, 예를 들어 적외선 감지센서인 경우에,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으로 일정한 원을 형성하여 부착 설치되고, 마그네틱(124) 대신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판을 설치하여, 적외선이 원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적외선을 수신받지 못하는 것(즉, 수광받지 못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된 것에 대한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물 흐름 감지신호를 원격지시부(130)(즉, 수신부재(131))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자기센서(125)는, 평상시에 다수 개의 적외선을 각각 쏴서 마그네틱(124) 대신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판에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다가, 원판이 회전하여 적외선이 구멍을 통과할 시에, 적외선이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신받지 못하는 것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센서(125)는, 3개로 형성된 경우에, 120도 간격을 두고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각각 1, 2, 3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적외선을 수신받지 못하는 것(즉, 수광받지 못하는 것)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기센서(125)는, 감지한 자기력의 세기가 최고인 경우에 감지정보 및 고유번호를 원격지시부(130)(즉, 제어부재(132))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원격지시부(130)(즉, 제어부재(132))는, 전달된 감지정보에서 감지된 자기력의 최댓값(즉, 감지한 자기력의 세기가 최고인 값)에 대한 시간간격을 추출하여, 추출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유속을 메모리부재(134)가 판독하여, 판독된 유속을 표시부재(133)로 보내줄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재(134)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정보에 대한 시간간격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기센서(125)는, 예를 들어 적외선 감지센서인 경우에, 적외선이 원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적외선을 수신받지 못하는 것(즉, 수광받지 못하는 것)을 감지하여, 터빈(123)의 회전방향을 알 수 있으며, 적외선을 수광받거나 수광받지 못하는 때의 간격 차이를 통해 유속을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기센서(125)는, 예를 들어 스위치 센서인 경우에,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으로 일정한 원을 형성하여 제1접점을 부착 설치하고, 마그네틱(124) 대신에 제2접점이 설치된 원판을 설치하여,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접촉하는 것(즉, 스위치 온 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된 것에 대한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물 흐름 감지신호를 원격지시부(130)(즉, 수신부재(13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센서(125)는, 3개로 형성된 경우에, 120도 간격을 두고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각각 1, 2, 3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1접점과 제2접점이 접촉하는 순서(즉, 스위치 온 되는 순서)를 감지하여, 접촉 순서에 대한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는, 터빈커버(126), 제1고무링(127), 제2고무링(128), 제1베어링(129), 스토퍼(221), 제2베어링(222), 마그네틱케이스(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빈커버(126)는, 터빈케이스(121)의 일측 외부면과 터빈몸통(122)의 외부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터빈케이스(121)와 터빈몸통(122) 사이를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커버(126)는, 터빈케이스(121)와 터빈몸통(122) 사이를 고정시켜 주며, 터빈케이스(121)와 터빈몸통(122)의 틈 사이로 누수 되지 않고, 물에 녹슬지 않는 소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금속, 티타늄금속, 알루미늄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무링(127)은,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내부와 터빈몸통(122) 사이에 설치되어, 터빈케이스(121)와 터빈몸통(122) 틈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제2고무링(128)은, 터빈케이스(121)의 다른 일측 외부면과 밸브본체부(110)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어, 터빈케이스(121)와 밸브본체부(110)의 틈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제1베어링(129)은, 터빈(123)의 회전축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터빈(123)의 회전축을 지지해 준다.
스토퍼(221)는, 제1베어링(129)의 일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제1베어링(129)과 터빈몸통(122) 사이의 마찰을 줄여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스토퍼(221)는, 터빈몸통(122)의 내부면과 제1베어링(129)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여 제1베어링(129)과 터빈몸통(122) 사이의 마찰을 줄여수 있다.
제2베어링(222)은, 터빈(123)의 회전축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터빈(123)의 회전을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터빈(123)의 회전축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터빈(123)의 회전에 의해 터빈(123)의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그네틱케이스(223)는, 마그네틱(124)의 외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마그네틱(124)의 외부면을 보호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마그네틱케이스(223)는, 마그네틱(124)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터빈(123)의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원격지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격지시부(130)는, 수신부재(131), 제어부재(132), 표시부재(133)를 포함한다.
수신부재(131)는,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로(즉, 자기센서(125))(도 2 참고)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즉, 마그네틱(124) 자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물 흐름 감지신호를 제어부재(132)로 전달해 준다.
제어부재(132)는, 수신부재(131)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신호(즉, 물의 흐름 방향과 유속)로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신호를 표시부재(133)로 전달해 준다.
표시부재(133)는, 제어부재(132)에서 생성시킨 표시신호에 따라 물 흐름에 대한 정보(즉, 물의 흐름 방향과 유속)를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133)는, 원격지시부(13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물의 흐름 방향과 유속을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물의 흐름 방향과 유속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133)는, 물 흐름에 대한 정보 중 물의 흐름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점멸신호로서 나타내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재(133)는, 정방향의 경우에 녹색 점멸신호를 표시하며, 역방향의 경우에 적색 점멸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원격지시부(130)는, 메모리부재(134), 전원공급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재(134)는, 제어부재(132)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134)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고유번호의 순서에 대응하는 물의 흐름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134)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또는, 최솟값)에 대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유속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재(134)는, 자기센서(125)가 감지한 자기력의 세기가 최고인 경우에 전달된 고유번호의 순서에 대응하는 물의 흐름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재(135)는, 전원을 공급받아 수신부재(131), 제어부재(132), 표시부재(133), 메모리부재(134)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원격지시부(130)(좀 더 상세하게는, 제어부재(132))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고유번호 및 자기력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고유번호 및 자기력정보로부터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을 측정하며, 해당 측정한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신호로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표시신호를 표시부재(133)로 보내줄 수 있다. 이 때, 표시부재(133)는,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신호를 받아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을 각각 표시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원격지시부(130)(좀 더 상세하게는, 제어부재(132))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자기센서(125)로부터 수신되는 고유번호의 순서를 파악하고, 파악된 고유번호의 순서에 대응하는 순서를 메모리부재(134)로부터 확인하여, 확인된 순서에 대응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표시부재(133)로 보내줄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부재(134)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고유번호의 순서에 대응하는 물의 흐름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센서(125)의 고유번호가 각각 1, 2, 3로 주어지면, 메모리부재(134)는, 고유번호가 1, 2, 3의 순서일 경우에, 터빈(12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물의 흐름 방향이 정방향으로 흐르는 것이라는 정보를 저장하며, 고유번호가 1, 3, 2의 순서일 경우에, 터빈(12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물의 흐름 방향이 역방향으로 흐르는 것이라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원격지시부(130)(좀 더 상세하게는, 제어부재(132))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자기력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자기력정보에서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또는, 최솟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또는, 최솟값)에 대한 시간 간격을 확인하여, 확인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유속을 메모리부재(134)가 판독하여, 판독된 유속을 표시부재(133)로 보내줄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부재(134)는, 자기센서(125)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또는, 최솟값)에 대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유속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250)는, 밸브본체부(210),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 원격지시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 흐름 감지장치부(120), 원격지시부(130)는 도 1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밸브본체부(210)는, 밸브 관내에 구비된 밸브 원판이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밸브를 개폐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본체부(210)는, 예를 들어, 밸브 원판이 회전하도록 구동된 버터플라이 밸브와 같은 제수밸브를 개폐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110, 210: 밸브본체부
120: 물 흐름 감지장치부
121: 터빈케이스
122: 터빈몸통
123: 터빈
124: 마그네틱
125: 자기센서
126: 터빈커버
127: 제1고무링
128: 제2고무링
129: 제1베어링
221: 스토퍼
222: 제2베어링
223: 마그네틱케이스
130: 원격지시부
131: 수신부재
132: 제어부재
133: 표시부재
134: 메모리부재
135: 전원공급부재

Claims (10)

  1. 물이 흐르는 통로를 막도록 수직으로 밸브를 개폐해 주기 위한 밸브본체부;
    상기 밸브본체부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송신하기 위한 물 흐름 감지장치부; 및
    상기 밸브본체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로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원격지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는,
    상기 밸브본체부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터빈케이스;
    상기 터빈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터빈몸통;
    상기 터빈몸통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내부에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 되어, 상기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마그네틱; 및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틱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원격지시부로 송신하기 위한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로부터 물 흐름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기 위한 수신부재;
    상기 수신부재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표시신호로 생성시켜 주는 제어부재; 및
    상기 제어부재에서 생성시킨 표시신호에 따라 물 흐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제어부재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재; 및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신부재, 상기 제어부재, 상기 표시부재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주기 위한 전원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는,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으로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마그네틱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력에 대한 정보 및 고유번호를 포함한 물 흐름 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원격지시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고유번호 및 자기력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고유번호 및 자기력정보로부터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을 측정하며, 측정한 물의 흐름 방향 및 유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신호로 생성시켜 상기 표시부재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고유번호의 순서를 파악하고, 파악된 고유번호의 순서에 대응하는 순서를 메모리부재로부터 확인하여, 확인된 순서에 대응하는 물의 흐름 방향을 표시부재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시부는,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물 흐름 감지신호에서 자기력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자기력정보에서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기력 세기의 최댓값에 대한 시간 간격을 확인하여, 확인된 시간간격에 대응하는 유속을 메모리부재가 판독하여, 판독된 유속을 표시부재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는,
    상기 터빈케이스의 일측 외부면과 상기 터빈몸통의 외부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터빈케이스와 상기 터빈몸통 사이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터빈커버;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 내부와 상기 터빈몸통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터빈케이스와 상기 터빈몸통 틈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고무링; 및
    상기 터빈케이스의 다른 일측 외부면과 상기 밸브본체부의 원둘레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터빈케이스와 상기 밸브본체부의 틈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감지장치부는,
    상기 터빈의 회전축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빈의 회전축을 지지해 주기 위한 제1베어링;
    상기 제1베어링의 일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과 상기 터빈몸통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스토퍼;
    상기 터빈의 회전축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터빈의 회전축에서 상기 터빈의 회전을 지지해 주기 위한 제2베어링; 및
    상기 마그네틱의 외부면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의 외부면을 보호해 주기 위한 마그네틱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KR1020150164135A 2015-11-23 2015-11-23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KR10164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35A KR101643173B1 (ko) 2015-11-23 2015-11-23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35A KR101643173B1 (ko) 2015-11-23 2015-11-23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173B1 true KR101643173B1 (ko) 2016-07-28

Family

ID=5668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35A KR101643173B1 (ko) 2015-11-23 2015-11-23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1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875A (ko) 1996-10-24 1998-07-15 임경춘 안테나 및 습기 제거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자동차의 윈도우 유리
KR200407688Y1 (ko) * 2005-11-23 2006-02-01 (주) 두안수자원 개발 좁은 직경의 관정에 장입된 양수관에서 유량측정이 가능한유량계 장치
JP2009115271A (ja) * 2007-11-09 2009-05-28 Yamatake Corp 流量計測バルブ
KR100944701B1 (ko) 2009-08-31 2010-03-02 (주) 삼진정밀 유수감지용 제수밸브
KR20120094603A (ko) * 2011-02-17 2012-08-27 박찬호 유량계의 유량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150108108A (ko) * 2014-03-17 2015-09-25 송창석 무전원 수도검침장치 및 이를 탑재한 수도검침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875A (ko) 1996-10-24 1998-07-15 임경춘 안테나 및 습기 제거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자동차의 윈도우 유리
KR200407688Y1 (ko) * 2005-11-23 2006-02-01 (주) 두안수자원 개발 좁은 직경의 관정에 장입된 양수관에서 유량측정이 가능한유량계 장치
JP2009115271A (ja) * 2007-11-09 2009-05-28 Yamatake Corp 流量計測バルブ
KR100944701B1 (ko) 2009-08-31 2010-03-02 (주) 삼진정밀 유수감지용 제수밸브
KR20120094603A (ko) * 2011-02-17 2012-08-27 박찬호 유량계의 유량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150108108A (ko) * 2014-03-17 2015-09-25 송창석 무전원 수도검침장치 및 이를 탑재한 수도검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5547A1 (zh) 一种流体漏失监控装置和监控方法
US20080185050A1 (en) Fluid supply monitoring system
KR100902540B1 (ko) 제수밸브
US20150260310A1 (en) Check valve disc position indicator
KR101643173B1 (ko) 물 흐름 감지형 제수밸브
JP5140412B2 (ja) 水道配管の漏水検知方法と漏水検知機能付止水栓
ES2927709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detectar una fuga en un sistema de tuberías para un fluido
JPS58120123A (ja) 管路系における測定量の検出装置
CN109695724A (zh) 一种具有流量检测功能的控制阀门
CN201852604U (zh) 热式气体质量流量计
KR101469829B1 (ko) 역류방지 및 소음감쇄 기능을 가진 수도계량기
KR20130076224A (ko) 제수변 원격제어장치
CN209744065U (zh) 能够远程控制的高精度漏水保护装置
KR100944701B1 (ko) 유수감지용 제수밸브
KR200273286Y1 (ko) 관로의 유체흐름확인장치
CN213579888U (zh) 一种消防水压检测装置
KR100619541B1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KR102171328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JPH10104107A (ja) 埋設管の漏洩位置特定装置
JP2007162719A (ja) バタフライ弁、および消火設備の圧力測定装置
JP2013213732A (ja) 漏出探知装置
CN115581883B (zh) 一种建筑消防设施检测用消防栓水压检测装置
CN215573145U (zh) 一种超声波燃气表出气口防烫破坏装置
ES2952587T3 (es) Sistema de control de flujo de fluido
KR102480885B1 (ko) 누수 감지 알람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