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789B1 -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789B1
KR101641789B1 KR1020140163395A KR20140163395A KR101641789B1 KR 101641789 B1 KR101641789 B1 KR 101641789B1 KR 1020140163395 A KR1020140163395 A KR 1020140163395A KR 20140163395 A KR20140163395 A KR 20140163395A KR 101641789 B1 KR101641789 B1 KR 101641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membrane
seawater
ion
piperazine
prom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497A (ko
Inventor
김한기
김찬수
정남조
남주연
윤여일
박기태
박성열
남성찬
정순관
김영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6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7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4/00Electrochemical current or voltage gener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6/00 - H01M12/00;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을 각각 적어도 하나 배치하고, 해수 및 담수를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 사이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수 및 담수간의 이온이동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수에 이온전달 촉진제를 포함하여, 상기 해수내의 이온을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Reverse electrodialysis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catalyst for ion delivery}
본 발명은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풍력에너지, 태양열에너지, 연료 전지 등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역전기투석(reverse electrodialysis, RED)은 이와 같은 청정에너지 중의 하나로서, 해수와 담수의 염도차이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에너지기술로써, 전기를 공급하여 전해질 농도차를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전기투석 공정과는 반대로 전기투석을 이용하여 담수화의 역 과정을 거치면서 에너지를 얻는 기술이고, 다른 신재생에너지원과 다르게 기상조건이나 시간 등에 제약 없이 발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은 해수 발전기술 중 삼투압차에 의해 물을 통과시켜 에너지를 얻는 압력지연삼투 발전(pressure-retarded osmosis, PRO) 보다 에너지를 얻는 면에서 이론상으로 효율적이어서 최근 유럽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기투석 발전장치는 두개의 전극(anode, cathode)과 음이온교환막(anion-exchange membrane, AEM), 양이온교환막(cation-exchange membrane, CEM)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교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의 사이로 해수와 담수를 흘려주면, 농도차이로 인해 해수에 존재하는 Na+ 이온과 Cl-이온이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을 통과하여 담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자는 전극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전자의 흐름이 형성되어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역전기투석 발전장치는 농도차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고농도의 유입수를 사용할수록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서 해수 담수화 공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고농도의 염수(brine)를 해수에 첨가하여 역전기투석 장치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고농도의 염수를 사용하는 경우 출력밀도(power density)는 높지만 이온교환막을 통한 이온의 제한된 확산이동 및 이온교환막 내-외부의 농도 분극 등의 현상으로 인해 오히려 에너지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장시간 운전 시 막 오염 및 고농도의 염수에 의한 시스템 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고농도의 염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역전기투석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등록 제10-1394081호
본 발명은 고농도의 염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을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세트로 배치하고, 해수 및 담수를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 사이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수 및 담수간의 이온이동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수에 이온전달 촉진제를 포함하여, 상기 해수내의 이온을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은 이온전달 촉진제를 해수에 포함함으로써, 해수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염수에서 담수로 이동하는 이온의 양을 증가시켜, 이온의 막투과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전하 이동을 증가시킴에 따라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공간에서 피페라진의 이동 제한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공간에서 피페라진의 이동 제한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RED)의 출력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RED)의 전류 및 전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을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세트로 배치하고, 해수 및 담수를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 사이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수 및 담수간의 이온이동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수에 이온전달 촉진제를 포함하여, 상기 해수내의 이온을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입자크기가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의 공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상기 해수내에서 양전하를 띌 수 있으며, 상기 양전하를 띄는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피페라진, 2-메틸피페라진, 1,4-디메틸피페라진, 1,4-디에틸피페라진, 2,3-디메틸피페라진, 2,5-디메틸피페라진, 2,4-디메틸피페라진, 1,4-디프로필피페라진, 1,4-디이소프로필피페라진, 1-(2-아미노에틸)피페라진, 2-아미노에틸피페라진, 1-(2-하이드록실에틸)피페라진, 1-(1-하이드록실메틸)피페라진, 1-(3-하이드록실프로필)피페라진, 1,4-비스(1-아미노메틸)피페라진, 1,4-비스(2-아미노에틸)피페라진, 1,4-비스(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피페라지놀, 양이온성 관능기를 가진 덴드리머, 키토산,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L라이신, 폴리디알릴디메틸염화암모늄, 폴리알릴아민, 염산염, 폴리오르니틴, 폴리비닐아민염산염, 폴리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탈크릴레이트, 폴리아미도아마인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해수내에서 음전하를 띌 수 있으며, 상기 음전하를 띄는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폴리글루탐산, 폴리아크릴산, 알긴산, 카라기난, 히알루론산, 폴리스타이렌술폰산염,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셀룰로오스황산염, 덱스트란황산염, 헤파린, 헤파린황산염, 폴리메틸렌코구아니딘 및 콘드로이틴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공간에서 피페라진의 이동 제한 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공간에서 피페라진의 이동 제한 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RED)의 출력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RED)의 전류 및 전압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와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인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염수'라 함은 염의 농도가 해수의 염(salt) 농도인 35,000mg/L 이상을 가지는 용액이며, '기수'라 함은 염 농도가 1,000 내지 10,000mg/L 정도를 가진 용액이며, '담수'라 함은 염 농도가 0 내지 1,000mg/L 를 가진 용액을 의미한다. 이는 미국 지질조사소에서 염의 농도에 따라 수질을 분류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발전을 위해 공급되는 염이 포함된 용액을 염수라 하고, 발전을 위해 염이 없거나 공급되는 염수에 비해 농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용액을 담수라 하며, 공급되는 염수와 담수가 이온의 이동으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배출되는 용액을 기수라 칭한다. 따라서, 기수는 이온의 농도가 염수보다 작고 담수보다 크게 된다.
도 1은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은 역전기투석 발전장치(100)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역전기투석 발전장치(100)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여기서, 역전기투석 발전장치(100)라 함은 두개의 전극(110, 110´)(anode, cathode)과 음이온교환막(130)(anion-exchange membrane, AEM), 양이온교환막(120)(cation-exchange membrane, CEM)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교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발전장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인 구동원리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공지되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음이온교환막(130)과 양이온교환막(120)을 각각 적어도 하나 배치하고, 해수 및 담수를 상기 음이온교환막(130)과 상기 양이온교환막(120) 사이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수 및 담수간의 이온이동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수에 이온전달 촉진제를 포함하여, 상기 해수내의 이온을 상기 음이온교환막(130)과 상기 양이온교환막(120)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온전달 촉진제를 해수에 포함함으로써, 해수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염수에서 담수로 이동하는 이온의 양을 증가시켜, 이온의 막투과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야기되는 전하 이동을 증가시킴에 따라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의 이온전달 촉진제는 해수에서 양전하를 띌 수 있으며, 상기 양전하를 띄는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피페라진, 2-메틸피페라진, 1,4-디메틸피페라진, 1,4-디에틸피페라진, 2,3-디메틸피페라진, 2,5-디메틸피페라진, 2,4-디메틸피페라진, 1,4-디프로필피페라진, 1,4-디이소프로필피페라진, 1-(2-아미노에틸)피페라진, 2-아미노에틸피페라진, 1-(2-하이드록실에틸)피페라진, 1-(1-하이드록실메틸)피페라진, 1-(3-하이드록실프로필)피페라진, 1,4-비스(1-아미노메틸)피페라진, 1,4-비스(2-아미노에틸)피페라진, 1,4-비스(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피페라지놀, 양이온성 관능기를 가진 덴드리머, 키토산,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L라이신, 폴리디알릴디메틸염화암모늄, 폴리알릴아민, 염산염, 폴리오르니틴, 폴리비닐아민염산염, 폴리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탈크릴레이트, 폴리아미도아마인 등 양이온성 고분자 및 젤라틴을 구성된 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이온전달 촉진제로 피페라진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식에 의해 피페라진 계열(PZ)의 물질은 수용액상에서 양성자 첨가(protonation) 반응을 통해 전하를 갖게될 수 있다.
[반응식 1]
PZ + H+ → PZH+
[반응식 2]
PZH+ + H+ → PZH2 +
상기의 양성자 첨가 반응은 피페라진을 해수에 추가하기 전에 별도의 수용액에서 시행될 수 있으며, 다른 양태로서, 피페라진을 별도의 반응 없이 해수에 추가함으로써, 해수내의 수용액과 반응하여 전하를 갖게할 수 있다.
도 2는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공간에서 피페라진의 이동 제한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예로 해수에서 양전하를 띄는 피페라진이 음이온교환막(130)과 양이온교환막(120)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위치할 경우, 음이온교환막(130)을 통해서는 서로 같은 전하를 갖는 이온교환막에서 도난배제(donnan exclusion)에 의해서 피페라진의 이동이 제한되며, 양이온교환막(120)에서는 이온교환막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온전달 촉진제는 이온교환막의 공극보다 커서, 이온교환막을 통과할 수 없다.
다만, 이온교환막의 종류에 따라 공극의 사이즈가 다를 수 있으며, 일 예로, 공극의 사이즈가 10Å 인 이온교환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이온전달 촉진제는 입자의 크기가 14Å인 piperazin Hexahydrate 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공간에서 피페라진의 역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전하를 띄는 피페라진은 전기적인력에 의해서 해수내의 Cl-와 결합하는 성질을 갖으며, Na+는 전기적척력으로 밀어내는 성질을 갖을 수 있다. 즉, 피페라진과 같은 수용액상에서 양이온을 띄는 이온전달 촉진제는 해수내의 Cl-과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음이온교환막(130)까지 Cl-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Cl- 은 이온전달 촉진제와의 전기적 인력보다, 음이온교환막(130)에 포함되어 있는 양이온 관능기 (Cationic Functional Group) 인 -NH3, -NRH2 +, NR2H+, -NR3 +, PR3 + 또는 -SR2 + (R은 알킬)의 인력으로 인해, 이온전달 촉진제와의 결합을 끊고 음이온교환막(130)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온전달 촉진제는 Na+와는 상술한 바와같이, 전기적 척력으로 양이온교환막(120)으로 전달을 시키고, 이때, 양이온교환막(120)에 포함되어 있는 음이온 관능기 (Anionic Functional Group) 인 SO3 -, COO-, PO3 2 -, PO3H- 또는 C6H4O-에 의해, Na+는 양이온교환막(12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Na+와 Cl-는 스스로의 확산하여 이온교환막을 통과하는 것 외에도 이온전달 촉진제에 의해서, 이온 교환막을 통과함으로써 동일 농도에서도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특정양태로는 이온전달 촉진제는 해수에서 음전하를 띌 수 있으며, 이는 폴리글루탐산, 폴리아크릴산, 알긴산, 카라기난, 히알루론산, 폴리스타이렌술폰산염,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셀룰로오스황산염, 덱스트란황산염, 헤파린, 헤파린황산염, 폴리메틸렌코구아니딘, 콘드로이틴황산염 및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음이온성 고분자 으로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히, 해수에서 음전하를 띄는 이온전달 촉진제는 해수에서 양전하를 띄는 이온전달 촉진제와 유사하게, 해수에 추가하기 전에 별도의 수용액에서 시행될 수 있으며, 또는 음전하를 띄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별도의 반응 없이 해수에 추가함으로써, 해수내의 수용액과 반응하여 음전하를 갖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수에서 음전하를 띄는 이온전달 촉진제가 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120)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위치할 경우, 양이온교환막(120)을 통해서는 서로 같은 전하를 갖는 이온교환막에서 도난배제(donnan exclusion)에 의해서 음전하를 띄는 이온전달 촉진제의 이동이 제한되며, 음이온교환막(130)에서는 이온교환막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의 이온전달 촉진제는 해수에서 Na+와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며, Cl-와는 전기적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이온전달 방법은 양전하를 띄는 이온전달 촉진제와 방법이 동일하므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이온전달 촉진제는 역전기투석 발전장치(100) 외에도 이온교환막 표면의 막 오염 방지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RED)의 출력변화
본 실시예에서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와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하지 않은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의 출력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실시예의 이온전달 촉진제는 피페라진(PZ) 계열인 2-메틸피페라진(2-MPZ, Acros organic, 98%)을 이용하였으며, 피페라진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Synonyms Piperazine Angydrous
Molecular Formula C4H10N2
Formula Weight 86.13
Registry Number 110-85-0
Density 146
Melting Point 108-112˚C
Boiling Point 145-146˚C
Flash Point 82˚C
Structure
Figure 112014112525432-pat00001
역전기투석 장치는 통상의 역전기투석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이때의 양이온교환막으로는 Fumasep FKS 을 사용하였으며, 음이온 교환막으로는 Fumasep FAS 을 사용하였다. 또한, 담수와 염수는 각각 30㎕/min 으로 공급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염수는 염화나트륨(NaCl, 대정화금, 99.5%) 3.0 중량%를 증류수에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이온 전달 촉진제로 사용한 2-메틸피페라진은 15 중량% 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이온전달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는 역전기투석 발전장치보다 이온전달 촉진제를 포함하는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의 출력이 높았다.
실시예 2.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RED)의 전류 및 전압 변화
본 실시예에서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의 전류 및 전압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의 이온전달 촉진제와 역전기투석 장치는 실시예 1과 같으며, 나머지 조건도 실시예 1과 같았다.
이에 더하여, 표 2에서는 염화나트륨(NaCl) 3%, 2-메틸피페라진(2-MPZ) 10% 그리고 염화나트륨(NaCl) 3%에 2-메틸피페라진(2-MPZ) 10%를 혼합하였을 때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었다.
표 2에서 전기 전도도를 비교하여 보면, 2-메틸피페라진 (2-MPZ) 을 해수에 첨가하였을때의 전기 전도도가 2-메틸피페라진 (2-MPZ) 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낮아졌다. 이와 같이 전기 전도도가 낮아짐은 Cl-가 이온전달 촉진제인 2-메틸피페라진 (2-MPZ) 와 전기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여기서 전기 전도도는 물에 녹아있는 이온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2-메틸피페라진 (2-MPZ) 을 해수에 첨가하였을때의 전기 전도도가 낮아짐은 해수의 이온의 농도가 낮아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pH(염수) pH(담수) 전기 전도도(mS/cm)
NaCl 3% 7.8 - 47.7
2-MPZ 10% 11.9 - 0.81
2-MPZ 10% + NaCl 3% 11.9 10.7 32.6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의 전류 및 전압 변화를 확인해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의 전류와 전압값이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하지 않은 역전기투석 발전장치보다 항상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하였을때, 전기전도도 또는 농도가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장치가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하지 않은 역전기투석 발전장치보다 전류와 전압값이 항상 높았다.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는 Na+와 Cl- 는 스스로의 확산 외에도 역전기투석 발전장치에서 이온전달 촉진제인 Piperazine에 의해서 이온 교환막을 통과함으로써 농도를 높이 않아도 출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역전기투석 발전장치
110, 110´: 전극
120: 양이온교환막 130: 음이온교환막

Claims (6)

  1.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을 각각 적어도 하나의 세트로 배치하고, 해수 및 담수를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 사이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해수 및 담수간의 이온이동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역전기투석 발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수에 이온전달 촉진제를 포함하여, 상기 해수내의 이온을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상기 양이온교환막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입자크기가 상기 음이온교환막과 양이온교환막의 공극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상기 해수내에서 양전하를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를 띄는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피페라진, 2-메틸피페라진, 1,4-디메틸피페라진, 1,4-디에틸피페라진, 2,3-디메틸피페라진, 2,5-디메틸피페라진, 2,4-디메틸피페라진, 1,4-디프로필피페라진, 1,4-디이소프로필피페라진, 1-(2-아미노에틸)피페라진, 2-아미노에틸피페라진, 1-(2-하이드록실에틸)피페라진, 1-(1-하이드록실메틸)피페라진, 1-(3-하이드록실프로필)피페라진, 1,4-비스(1-아미노메틸)피페라진, 1,4-비스(2-아미노에틸)피페라진, 1,4-비스(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피페라지놀, 양이온성 관능기를 가진 덴드리머, 키토산,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L라이신, 폴리디알릴디메틸염화암모늄, 폴리알릴아민, 염산염, 폴리오르니틴, 폴리비닐아민염산염, 폴리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탈크릴레이트, 폴리아미도아마인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내에서 음전하를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를 띄는 상기 이온전달 촉진제는
    폴리글루탐산, 폴리아크릴산, 알긴산, 카라기난, 히알루론산, 폴리스타이렌술폰산염, 카복시메틸셀루로스, 셀룰로오스황산염, 덱스트란황산염, 헤파린, 헤파린황산염, 폴리메틸렌코구아니딘 및 콘드로이틴황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KR1020140163395A 2014-11-21 2014-11-21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KR101641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95A KR101641789B1 (ko) 2014-11-21 2014-11-21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395A KR101641789B1 (ko) 2014-11-21 2014-11-21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497A KR20160061497A (ko) 2016-06-01
KR101641789B1 true KR101641789B1 (ko) 2016-07-22

Family

ID=5613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395A KR101641789B1 (ko) 2014-11-21 2014-11-21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7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2323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02322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855324B1 (en) 2022-11-15 2023-12-2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with heat pu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7533A (zh) * 2019-05-24 2019-09-27 武汉大学 一种离子交换树脂单离子动态建模方法以及浓度计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420A (en) 1985-10-14 1990-02-13 Tosoh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highly selective fluorinated anion exchange membrane
JP2013012322A (ja) 2011-06-28 2013-01-17 Kuraray Co Ltd 逆電気透析発電用のイオン交換複層膜
KR101311360B1 (ko) 2012-06-01 2013-10-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61893B2 (en) * 2008-06-24 2015-02-26 Saltworks Technologies Inc. Method, apparatus and plant for desalinating saltwater using concentration difference energy
KR101394081B1 (ko) 2013-05-06 2014-05-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역전기투석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420A (en) 1985-10-14 1990-02-13 Tosoh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highly selective fluorinated anion exchange membrane
JP2013012322A (ja) 2011-06-28 2013-01-17 Kuraray Co Ltd 逆電気透析発電用のイオン交換複層膜
KR101311360B1 (ko) 2012-06-01 2013-10-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2323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02322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563229B1 (en) 2022-05-09 2023-01-24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611099B1 (en) 2022-05-09 2023-03-21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699803B1 (en) 2022-05-09 2023-07-11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855324B1 (en) 2022-11-15 2023-12-2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with heat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497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506B2 (en) Electrochemical desalination system
Ye et al. Loose nanofiltration-based electrodialysis for highly efficient textile wastewater treatment
KR101641789B1 (ko)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US11261109B2 (en) Single module, flow-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ous water desalination and ion separation by capacitive deionization
US93999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oil recovery (EOR) by injecting treated water into an oil bearing formation
Nazif et al. Recent progress in membrane development, affecting parameters, and applications of reverse electrodialysis: A review
KR101789093B1 (ko) 축전탈이온전극의 적층구조
Paltrinieri et al. Functionalized anion-exchange membranes facilitate electrodialysis of citrate and phosphate from model dairy wastewater
Chae et al. Clean power generation from salinity gradient using reverse electrodialysis technologies: Recent advances, bottlenecks, and future direction
US20160272515A1 (en) Composition for electrode of capacitive deionization apparatus and electrode including same
CN105142765A (zh) 在用于渗透驱动的膜过程的膜中减少离子交换和反向盐流动现象的方法
US20150225266A1 (en) Composition for electrode of capacitive deionization apparatus, and electrode including same
KR20140145017A (ko) 전기 흡착 탈이온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유체 처리 방법
Jiang et al. Ion exchange membranes for electrodialysis: a comprehensive review of recent advances
EP2122736B1 (en) Improved device for performing a reverse electrodialysis process, and improved methods for performing a reverse electrodialysis process
US10651493B2 (en) Reverse electrodialysis systems comprising wafer and applications thereof
EP4029594A1 (en) Electrochemical device with efficient ion exchange membranes
KR101328279B1 (ko) 전기투석용 이온 교환막과 전극을 이용한 용수재활용을 위한 폐수처리 및 염도차 발전 방법
US20230264140A1 (en) Electrochemical desalination system
US11673093B2 (en) Electro-controllable ion exchange membrane
TW201927408A (zh) 離子交換膜、脫離子裝置及脫離子裝置之運作方法
US20230126358A1 (en) Redox shuttle assisted electrodeionization
CN202933630U (zh) 快离子电性膜水处理设备
WO2023069284A1 (en) Redox shuttle assisted electrodeionization
Kabay et al. Current status of ion exchange membranes for electrodialysis/reverse electrodialysis and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capacitive mix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