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360B1 -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360B1
KR101311360B1 KR1020120059212A KR20120059212A KR101311360B1 KR 101311360 B1 KR101311360 B1 KR 101311360B1 KR 1020120059212 A KR1020120059212 A KR 1020120059212A KR 20120059212 A KR20120059212 A KR 20120059212A KR 101311360 B1 KR101311360 B1 KR 10131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resh water
flow path
flow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박종수
김동국
추고연
정헌도
전성일
이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4/00Machines in which the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a plasma or flow of conductive liquid or of fluid-borne conductive or magnetic particles and a coil system or magnetic field converts energy of mass flow into electrical energy or vice versa
    • H02K44/08Magnetohydrodynamic [MHD] generators
    • H02K44/18Magnetohydrodynamic [MHD] generators for generating A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수에서 담수로 투과되는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이온의 막투과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야기되는 전하 이동을 증가시킴에 따라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산화전극;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환원전극; 및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상기 유동환원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산화전극에 근접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담수가 흐르는 담수유로 및 상기 담수유로와 음이온 교환막으로 분리되는 염수가 흐르는 염수유로를 가지며, 양단부에 배치되는 양이온 교환막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농도차유로쌍;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상기 유동환원전극의 전극세정용액은 폐루프를 이루도록 순환되며, 상기 전극세정용액의 양이온과 상기 염수의 양이온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Salinity gradient electric generating device using closed-loop flow electrode}
본 발명은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수에서 담수로 투과되는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이온의 막투과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야기되는 전하 이동을 증가시킴에 따라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 가격의 계속적인 상승과,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하여, 기존의 화석연료 및 원자력에만 의존하던 전력생산방식의 탈피가 요구되고 있다.
수력발전은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는 장소적 제약이 크고 발전소 건설비용이 막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전력생산량도 미비하여, 국소단위의 전기공급은 가능하지만 국가 전체적인 안정적인 전기공급에는 한계가 있다.
풍력발전 역시 건설할 수 있는 장소적 제약이 클 뿐만 아니라, 바람의 세기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한 세기의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력발전과 마찬가지로 전력생산량도 미비하여, 국소단위의 전기공급은 가능하지만 국가 전체적인 안정적인 전기공급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태양열발전은 발전을 위해서는 거대한 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발전량도 적고 날씨에 따라 발전효율이 크게 달라서 보조적인 전력공급원에 지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루프로 이루어지는 유동산화전극과 유동환원전극 사이에, 염수유로와 담수유로를 교대로 배치하여 유동산화전극과 유동환원전극 사이의 이온농도의 기울기를 확대를 통하여 얻어지는 전위차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산화전극;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환원전극; 및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상기 유동환원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산화전극에 근접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담수가 흐르는 담수유로 및 상기 담수유로와 음이온 교환막으로 분리되는 염수가 흐르는 염수유로를 가지며, 양단부에 배치되는 양이온 교환막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농도차유로쌍;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상기 유동환원전극의 전극세정용액은 폐루프를 이루도록 순환되며, 상기 전극세정용액의 양이온과 상기 염수의 양이온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이다.
2 이상의 농도차유로쌍에서, 각각의 염수유로와 담수유로는 염수와 담수가 각각 병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2 이상의 농도차유로쌍에서, 각각의 염수유로와 담수유로는 염수와 담수가 각각 직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극세정용액으로부터 양이온교환막을 통해 이동하는 양이온에 따른 전하량 변화는 상기 전극세정용액의 Fe2 +와 Fe3 + 전환으로 전기적으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염수유로 내에는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폐회로를 가지는 산화환원전극 및 교대로 반복설치되는 염수유로와 담수유로에 의해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평시에 여유에너지로 염수를 농축하여 농축염수를 저장하고, 전력사용량이 피크시에 본 발명을 사용하여 농축염수와 담수의 농도차에 의한 발전을 통해 피크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전력저장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염수’라 칭함은 염의 농도가 해수의 염(salt) 농도인 35,000 ㎎/L 이상을 가지는 용액이며,‘기수’라고 칭함은 염 농도가 1,000∼10,000 ㎎/L 정도를 가진 용액이며, ‘담수’라 칭함은 염 농도가 0∼1,000㎎/L를 가진 용액을 뜻한다. 이는 미국 지질조사소에서 염의 농도에 따라 수질을 분류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발전을 위해 공급되는 염이 포함된 용액을 염수라 하고, 발전을 위해 염이 없거나 공급되는 염수에 비해 농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용액을 담수라 하며, 공급되는 염수와 담수가 이온의 이동으로 전기를 발생기키고 배출되는 용액을 기수라 칭하며, 따라서 기수는 이온의 농도가 염수보다 작고 담수보다 크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100)의 개략도이다.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100)는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산화전극(112)와, 상기 유동산화전극(112)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환원전극(118)과, 상기 유동산화전극(112)과 상기 유동환원전극(118) 사이에 배치되는 농도차유로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산화전극(112)과 상기 유동환원전극(118)은 전극세정용액이 지나가는 폐루프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유동산화전극(112)과 상기 유동환원전극(118) 사이에는 전극세정용액의 순환을 위한 펌프 등의 순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상기 농도차유로쌍은 1개를 가지고 있으며, 좌측에 담수유로(114), 우측에 염수유로(116)가 설치된다. 상기 담수유로(114)에는 담수가 공급되고, 상기 담수유로(114)를 지난 기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염수유로(116)에는 염수가 공급되고, 상기 염수유로(116)를 지난 기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농도차유로쌍의 양단부는 양이온 교환막(106,110)이 배치되고, 상기 염수유로(116)와 상기 담수유로(114) 사이에는 음이온 교환막(108)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산화전극(112)은 양극집전체(102)와 상기 양이온 교환막(106)으로 전극세정용액이 흐르는 공간이 한정되고, 유동환원전극(118)은 상기 양이온 교환막(110)와 음극집전체(104)로 전극세정용액이 흐르는 공간이 한정된다.
상기 담수유로(114), 상기 염수유로(116), 상기 유동산화전극(112), 상기 유동환원전극(118) 내부에는 간격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담수유로(114) 내부에는 이온흡착성이 좋은 흡착활물질(120)이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흡착활물질(120)로는 일정 비표면적을 가진 나노입자의 활성탄(ANC) 또는 탄소나노튜브(CNT)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세정용액은 상기 염수유로(116)에 흐르는 염수와 동일한 양이온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트륨이온(Na+)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극세정용액은 나트륨이온의 출입에 따른 전자의 잉여량 또는 부족량은 Fe2 +와 Fe3 + 사이의 전환으로 보충하게 되고, 이 때 발생되는 전위차에 의해 상기 양극집전체(102)와 상기 음극집전체(104)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응식 1]
Fe2 + = Fe3 + + e-
이와 같은 전극세정용액으로는 페로시안화물(Fe(CN)6)과 NaCl의 혼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염수에는 음이온으로써 염소이온(Cl-)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농도차 발전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염분차로 얻을 수 있는 이론적인 에너지량을 Veerman(J. Veerman et.al., Reverse electrodialysis: Performance of a stack with 50 cells on the mixing of sea and river water, J. Membr. Sci. 327(2009) 136-144)이 제시한 방법으로 구하면 표 1과 같다.
VR(㎥) VS(㎥) VR/VS G(J)
1
10 1 10 6.1
2 1 2 2.8
1 1 1 1.76
1.26 0.74 1.72 1.87
1 2 0.5 2.06
1 10 0.1 2.43
1 0 2.55
표 1에서 깁스자유에너지(Gibbs free energy)(G)는 298K에서 해수(염농도: 30kg NaCl/㎥)와 담수(염농도: 0kg NaCl/m3)의 농도차에서 얻을 수 있는 값이며, 여기서, VR는 담수량(river volume)이고, Vs는 해수량(See water volume)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염분차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에노드(anode) 전극인 유동산화전극(112)과 케소드(cathode) 전극인 유동환원전극(118)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담수유로(114)와 염수유로(116)에서 도 1과 같은 이온의 이동이 일어난다. 즉, 양이온 교환막(Cation Exchange membrane)(106,110)을 통해서는 Na+와 같은 양이온이 이동하고,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108)에서는 Cl- 와 같은 음이온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산화전극(112)의 양이온은 담수유로(114)로 이동하고, 염수유로(116)의 양이온이 유동환원전극(118)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염수유로(116)의 음이온은 상기 담수유로(114)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염(salt)의 농도가 높은 해수부분에서 염의 농도가 낮은 담수부분으로 이온이 이동하면서 양이온은 오른쪽 케소드(Cathode)전극 방향으로 향하며, 이와 반대로 음이온은 왼쪽 에노드 (Anode) 전극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온전류(Ion current)가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흐르게 되면, 유동산화전극(112)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나면서 전해질로부터 전자를 얻게되고 유동환원전극(118)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면서 전해질로 전자를 주게된다. 이때 전자는 외부 도선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산화전극(112)과 상기 유동환원전극(118)을 폐순환하는 전극세정액(Electrode rinse solution)은 상기 양극집전체(102)와 상기 음극집전체(104)에 발생하는 파울링을 제거하는 역할과 동시에 산화 및 환원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유동산화전극(112)과 상기 유동환원전극(118)과 농도차유로쌍의 배치에 의해, 단위 부피당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켜서 이온의 포텐셜을 높일 수 있으며, 이 결과 이온 전류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즉, 이온전류가 발생하면 이는 곧, 전하이동을 뜻하므로 전류의 증가를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염수와 담수를 투입시킬 경우, 염수가 가지고 있는 양이온 및 음이온들은 이온교환막을 통해 담수 부분으로 투과되면서, 농도 구배가 생긴다. 이때 양이온은 에노드(Anode) 전극방향으로 그리고 음이온은 케소드(Cathode) 전극방향으로 이끌리게 되면서 이온전류(Ion current)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양 전극부분에서는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자의 이동, 즉 전류(electron current)를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담수유로(114)에 흡착활물질(120)를 투입시켜 유동화시키므로 이온교환막을 통과하는 양이온 및 음이온의 투과속도를 보다 더 빠르게 함으로서, 양측 전극부분에 이온농도를 증가시켜 산화환원 반응을 더 빠르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200)의 개략도이다.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200)는 실시예 1의 농도차 발전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농도차유로쌍이 2개가 배치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200)는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산화전극(216)와, 상기 유동산화전극(216)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환원전극(226)과, 상기 유동산화전극(216)과 상기 유동환원전극(226)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농도차유로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농도차발전장치(200)의 내부에는 양극집전체(202)와 음극집전체(204) 사이에 순차적으로 양이온 교환막(206,210,214)과 음이온 교환막(208,212)이 교대로 배치되고, 좌측부터 유동산화전극(216), 담수유로(218), 염수유로(220), 담수유로(222), 염수유로(224), 유동환원전극(22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담수유로(218,222)에는 이온흡착성이 좋은 흡착활물질(228,230)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담수유로(218,222)에는 담수가 각각 공급되고, 각각의 담수유로(218,222)를 통과한 기수는 각각 배출된다. 상기 2개의 염수유로(220,224)에는 염수가 각각 공급되고, 각각의 염수유로(220,224)를 통과한 기수는 각각 배출된다. 즉, 상기 담수유로(218,222)와 상기 염수유로(220,224)는 각각 병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농도차발전장치(100)보다 이온농도의 기울기가 커지기 때문에 더 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300)의 개략도이다.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300)는 실시예 2의 농도차 발전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담수유로(318,322)와 염수유로(320,324)의 연결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300)는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산화전극(316)와, 상기 유동산화전극(316)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환원전극(326)과, 상기 유동산화전극(316)과 상기 유동환원전극(326)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농도차유로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농도차발전장치(300)의 내부에는 양극집전체(302)와 음극집전체(304) 사이에 순차적으로 양이온 교환막(306,310,314)과 음이온 교환막(308,312)이 교대로 배치되고, 좌측부터 유동산화전극(316), 담수유로(318), 염수유로(320), 담수유로(322), 염수유로(324), 유동환원전극(32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담수유로(318,322)에는 이온흡착성이 좋은 흡착활물질(328,330)이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담수유로(318)에는 담수가 공급되고, 상기 담수유로(318)를 통과한 담수는 다시 담수유로(322)에 공급되며, 상기 담수유로(322)를 통과한 기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염수유로(320)에는 염수가 공급되고, 상기 염수유로(320)를 통과한 염수는 다시 염수유로(324)에 공급되며, 상기 염수유로(324)를 통과한 기수는 외부로 배출된다.즉, 상기 담수유로(318,322)와 상기 염수유로(320,324)는 각각 직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농도차발전장치(100)보다 이온농도의 기울기가 커지기 때문에 더 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직렬연결을 통하여 단위 부피당 일정하게 함유된 양이온과 음이온을 최대한 이온교환막을 통과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술하면, 실제 유체와 접촉하는 이온교환막의 표면적은 일정하므로, 유체와 막 표면과의 접촉시간을 늘려주는 것에 의해 전기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400)의 개략도이다.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400)는 실시예 2의 농도차 발전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담수유로(418,422)에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436,438)를 설치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농도차 발전장치(400)는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산화전극(416)와, 상기 유동산화전극(416)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환원전극(426)과, 상기 유동산화전극(416)과 상기 유동환원전극(426)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농도차유로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농도차발전장치(400)의 내부에는 양극집전체(402)와 음극집전체(404) 사이에 순차적으로 양이온 교환막(406,410,414)과 음이온 교환막(408,412)이 교대로 배치되고, 좌측부터 유동산화전극(416), 담수유로(418), 염수유로(420), 담수유로(422), 염수유로(424), 유동환원전극(42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담수유로(418,422)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436,438)가 설치되고, 상기 담수유로(418,422) 내에서 바이폴라 플레이트(436,438)의 좌측으로 양이온흡착활물질(428,430)이 배치되고, 바이폴라 플레이트(436,438)의 우측으로 음이온흡착활물질(443,434)가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이온 교환막을 통과한 양이온과 음이온을 분리시켜 저장게 된다. 이는 담수 부분에 투입된 이온흡착활물질에 흡착된 이온을 역전위를 걸어 손쉽게 제거함으로서 담수부분에 투입시킨 이온흡착활물질을 보다 빠르게 재생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2개의 담수유로(418,422)에는 담수가 각각 공급되고, 각각의 담수유로(418,422)를 통과한 기수는 각각 배출된다. 상기 2개의 염수유로(420,424)에는 염수가 각각 공급되고, 각각의 염수유로(420,424)를 통과한 기수는 각각 배출된다. 즉, 상기 담수유로(418,422)와 상기 염수유로(420,424)는 각각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200,300,400: 농도차발전장치
102,202,302,402: 양극집전체
104,204,304,404: 음극집전체
106,110,206,210,214,306,310,314,406,410,414: 양이온 교환막
108,208,212,308,312,408,412 : 음이온 교환막
112,216,316,416: 유동산화전극
114,218,222,318,322,418,422: 담수유로
116,220,224,320,324,420,424: 염수유로
118,226,326,426: 유동환원전극
228,230,328,330: 흡착활물질
428,430: 양이온흡착활물질
432,434: 음이온흡착활물질

Claims (5)

  1.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산화전극;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전극세정용액이 이동하는 유동환원전극; 및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상기 유동환원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산화전극에 근접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담수가 흐르는 담수유로 및 상기 담수유로와 음이온 교환막으로 분리되는 염수가 흐르는 염수유로를 가지며, 양단부에 배치되는 양이온 교환막으로 구분되는 하나 이상의 농도차유로쌍;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산화전극과 상기 유동환원전극의 전극세정용액은 폐루프를 이루도록 순환되며,
    상기 전극세정용액의 양이온과 상기 염수의 양이온은 동일하고,
    상기 담수유로 내부에는 흡착활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 이상의 농도차유로쌍에서, 각각의 염수유로와 담수유로는 염수와 담수가 각각 병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2 이상의 농도차유로쌍에서, 각각의 염수유로와 담수유로는 염수와 담수가 각각 직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유로 내에는 바이폴라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활물질은 양이온흡착활물질과 음이온흡착활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담수유로 내에서 바이폴라 플레이트과 양이온교환막 사이에 양이온흡착활물질이 배치되고, 바이폴라 플레이트과 음이온교환막 사이에 음이온흡착활물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KR1020120059212A 2012-06-01 2012-06-01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KR10131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12A KR101311360B1 (ko) 2012-06-01 2012-06-01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12A KR101311360B1 (ko) 2012-06-01 2012-06-01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360B1 true KR101311360B1 (ko) 2013-10-14

Family

ID=4963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212A KR101311360B1 (ko) 2012-06-01 2012-06-01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36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081B1 (ko) 2013-05-06 2014-05-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역전기투석 발전장치
KR20150041442A (ko) * 2013-10-08 2015-04-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염을 포함한 공급수를 이용한 복합 염분차 발전 시스템
KR101541994B1 (ko) 2014-02-03 2015-08-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 생산이 가능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및 방법
KR20160038296A (ko) * 2014-09-30 2016-04-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교차흐름을 이용한 흐름전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장치
KR20160061497A (ko) * 2014-11-21 2016-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CN114890513A (zh) * 2022-05-30 2022-08-12 兰州理工大学 一种铜离子氧化还原电解质构筑的多通道电容脱盐装置及脱盐方法
US11502323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02322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KR20230133574A (ko) 2022-03-11 2023-09-19 한국전력공사 염분차 발전장치
US11855324B1 (en) 2022-11-15 2023-12-2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with heat pump
US12040517B2 (en) 2023-05-09 2024-07-1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7213A (ja) * 2008-07-15 2010-02-04 Fujimura Denshino Gijutsu Kenkyusho:Kk 塩分濃度差発電システム
KR20110034006A (ko) * 2008-06-24 2011-04-04 솔트워크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농도차 에너지를 이용하여 염수를 탈염하는 방법, 장치 및 플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4006A (ko) * 2008-06-24 2011-04-04 솔트워크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농도차 에너지를 이용하여 염수를 탈염하는 방법, 장치 및 플랜트
JP2010027213A (ja) * 2008-07-15 2010-02-04 Fujimura Denshino Gijutsu Kenkyusho:Kk 塩分濃度差発電システム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081B1 (ko) 2013-05-06 2014-05-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효율 역전기투석 발전장치
KR101668244B1 (ko) 2013-10-08 2016-10-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염을 포함한 공급수를 이용한 복합 염분차 발전 시스템
KR20150041442A (ko) * 2013-10-08 2015-04-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염을 포함한 공급수를 이용한 복합 염분차 발전 시스템
KR101541994B1 (ko) 2014-02-03 2015-08-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 생산이 가능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및 방법
WO2015115874A1 (ko) * 2014-02-03 2015-08-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 생산이 가능한 이산화탄소 포집 장치 및 방법
US10818953B2 (en) 2014-02-03 2020-10-27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Carbon dioxide trapping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oducing electricity
KR20160038296A (ko) * 2014-09-30 2016-04-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교차흐름을 이용한 흐름전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장치
KR101637539B1 (ko) 2014-09-30 2016-07-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교차흐름을 이용한 흐름전극장치와 이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장치
KR101641789B1 (ko) 2014-11-21 2016-07-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KR20160061497A (ko) * 2014-11-21 2016-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온전달 촉진제를 이용한 역전기투석 발전방법
KR20230133574A (ko) 2022-03-11 2023-09-19 한국전력공사 염분차 발전장치
US11502323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02322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563229B1 (en) 2022-05-09 2023-01-24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611099B1 (en) 2022-05-09 2023-03-21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699803B1 (en) 2022-05-09 2023-07-11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CN114890513A (zh) * 2022-05-30 2022-08-12 兰州理工大学 一种铜离子氧化还原电解质构筑的多通道电容脱盐装置及脱盐方法
US11855324B1 (en) 2022-11-15 2023-12-2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with heat pump
US12040517B2 (en) 2023-05-09 2024-07-1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360B1 (ko) 폐순환 흐름전극을 이용한 농도차 발전장치
US10821395B2 (en) Electrochemical desalination system
Shin et al. Improving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flow-electrode capacitive deionization (FCDI): Review of process optimization and energy efficiency
KR101394081B1 (ko) 고효율 역전기투석 발전장치
KR101394132B1 (ko) 고효율 염분차 발전장치
Beh et al. A redox-shuttled electrochemical method for energy-efficient separation of salt from water
Forrestal et al. Sustainable desalination using a microbial capacitive desalination cell
KR102016503B1 (ko) 탈염발전 하이브리드 장치 및 방법
Shehab et al. Enhanced water desalination efficiency in an air-cathode stacked microbial electrodeionization cell (SMEDIC)
EP30454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water desalination and ion separation by flow electrode capacitive deionization
Wang et al. From capacitive deionization to desalination batteries and desalination fuel cells
Jingyu et al. Microbial desalination cells technology: a review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cess, performance and efficiency
JP6382915B2 (ja) 逆電気透析を利用して水素を発生させる方法及び装置
Nam et al. Electrochemical redox cells capable of desalination and energy storage: addressing challenges of the water–energy nexus
Wang et al. Recent progress and prospect of flow-electrode electrochemical desalination system
Wang et al.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 1-liter upflow-stacked microbial desalination cell
Tran et al. A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electrode materials and applications for flow-electrode desalination systems
KR101431636B1 (ko) 고효율 농도차 발전장치
Wen et al. Improving desalination by coupling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with microbial desalination cell
EP3708544B1 (en) Hybrid power generation apparatus capable of electricity production and deionization simultaneously
KR102019317B1 (ko) 전기 생산과 탈염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및 방법
KR101596301B1 (ko) 염도차를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US20230264140A1 (en) Electrochemical desalination system
Cheng et al. Redox-flow battery with four-channel architecture for continuous and efficient desalination over a wide salinity working range
Shehab et al. Microbial electrodeionization cell stack for sustainable desalination, wastewater treatment and energy re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